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원환자의 신체적 기능상태 및 미충족 간호요구도 : 만성호흡기질환, 장루보유 대장암, 뇌졸중 환자를 중심으로

        오의금,성지현,박영수,이현주,김유경 병원간호사회 2016 임상간호연구 Vol.22 No.2

        Purpose: 본 연구의 목적은 퇴원환자의 신체적 기능상태와 퇴원 후 가정에서 경험하는 미충족 간호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Methods: 본 연구는 2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며, 만성호흡기질환자, 장루를 보유한 대장암 환자, 뇌줄중으로 진단받은 환자가 연구대상에 포함되었다. 신체적 기능상태와 미충족 간호요구도는 각각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KPS) Scale 과 Problems After Discharge Questionnaire-English version (PADQ-E) 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버전으로 분석되었다. Results: 만성호흡기질환자와 장루를 보유한 대장암환자는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의 신체적 기능상태와 (mean 77.20, 77.60 out of 100) 높은 수준의 미충족 간호요구도 (mean 2.23, 2.63 out of 4)를 보였다. 뇌졸중 환자는 개별상담, 신체적 증상, 치료지시이행의 영역에서 미충족 간호요구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기능상태는 세 질환군에서 모두 미충족 간호요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뇌졸중환자그룹에서 신체적 기능상태가 미충족 간호요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clusion: 본 연구 결과는 퇴원 환자들이 다양한 측면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미충족 간호요구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퇴원환자를 위한 간호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됨을 제안하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hysiological functional status and unmet care needs among patients with chronic pulmonary disease, colorectal cancer, and strokes after discharge.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224 patients diagnosed with aforementioned diseases from January to July in 2014 in two different tertiary hospitals in Seoul and its suburban area. Physiological functional status and unmet care needs were collected using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KPS) Scale and Problems After Discharge Questionnaire-English version(PADQ-E) respectivel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program. Results: Patients with chronic pulmonary disease and colorectal cancer showed a low level of physiological functional status (mean: 77.20 and 77.60 out of 100 respectively) and a high level of unmet care needs (mean 2.23 and 2.63 out of 4 respectively). Stroke patients showed a high level of unmet care needs in the category of ‘counseling’, ‘physical complaints’, and ‘instructions’. Physiological functional statu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unmet care needs in all three patient groups and i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unmet care needs in patients with stroke.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patients after discharge were still having insufficient functional status and various unmet care nee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development of nursing care service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after discharge

      • KCI등재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요구도

        이지원(Ji-won Lee),임선영(Sun-young L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가족의 중환자실 입원이라는 위기상황에 직면한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부담감과 요구도 정도 및 관계를 확인하여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013년 5월부터 10월까지 B지역에 소재한 4개의 종합병원 중환자실에 입 원한 환자의 가족 중 최소 입원기간이 3일이 경과한 환자의 가족 중 주간호대상자 93명을 대상으로 하였 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와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로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부담감은 평균 3.56점(5점 만점)로 중등도로, 요구도는 평균 3.58 점(4점 만점)으로 높았으며, 일반적 특성 중 입원기간에 따라 부담감에 유의한 차이(F=3.463, p=.036)가 있었다. 또 부담감과 요구도의 관계는 유의한 순상관관계(r=.332, p<.001)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요구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간호중재가 이루 어질 때 가족의 위기는 완화되고 나아가 환자의 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burden and needs of family members of ICU(Intensive Care Unit) patients facing a crisis situation of a family member being hospitalized in ICU and check their connec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October 2013. The subjects include 93 ma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hospitalized in ICU at four general hospitals in the B area for three days or longer. Collected data were put to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with the SPSS WIN 20.0 program. As a result, the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scored mean 3.56 points(out of five) on burden and mean 3.58 points(out of four) on needs, recording a moderate or higher level in both the area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F=3.463, p=.036) in burde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ith the number of days in the hospital.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332, p<.001) between their burden and needs.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an a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the burden of the families of ICU patients in a crisis situation and check their needs will be able to mitigate the family crisis and further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recovery of ICU patients.

      • KCI등재

        A Study on Demand and the Supply for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jects of Public Health Centers

        조현,손주영,허점도,진은희,Cho, Hyun,Son, Joo-Young,Heo, Jeom-Do,Jin, Eun-Hee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0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시 군 구 보건소 재가 암환자 관리사업의 객관적 실태분석의 일환으로 재가 암환자 관리 사업의 주 대상자인 재가 암환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조사도구를 이용하여 그들의 재가 암환자 관리 요구도와 제공정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의 요구도 및 제공정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 조사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현재 재가 암환자 관리사업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를 신체적, 정서적, 영적, 교육정보적 서비스로 나누어 재가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요구도와 제공정도는 정서적 서비스에서 가장 높고 다음으로 교육 정보적 서비스, 영적 서비스, 신체적 서비스 순으로 조사되었다. 각 서비스별 주요 항목을 살펴보면 신체적 서비스의 경우 통증조절은 요구도에 비해 그 제공정도가 낮았고 반면 배설장애조절과 개인위생은 요구도에 비해 그 제공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 서비스의 경우 전반적으로 요구도와 제공정도가 높았고 영적 서비스의 경우 요구도에 알맞게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보건소 재가암환자 관리사업에 대한 환자의 서비스 요구도와 실제 제공받은 서비스 정도를 분석한 연구로서 향후 재가 암환자의 요구도에 근거한 효율적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s a part of the analysi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management of public health renters in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across the nation,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gree of patient demands for that management and the degree and scope of the supply for the patient's demand. Methods: Developed the questionnaire which was constituted of degree of demand and supply for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and analyzed data centering on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by utilizing SPSS WIN 12.0. Results: The 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home-based cancer patients management project include physical, emotional, spiritual and education/informative servic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home-based cancer patients about these services, and its result showed that the degree of demand and supply was highest for emotional service, followed by education/informative service, spiritual service and physical service in the order of the demand-supply degree. When main items for each service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physical service, pain control was provided murk lower than its demand, while excretion disorder control and individual hygiene is provided murk more than its demand. In the case of emotional service, the degree of demand was overall higher than that of supply; spiritual service was provided appropriately to the degree of demand.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s the home-based canter patients management project of public health centers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degree of demand for patient services and the degree of services that are actually provided. The findings could be used as based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rograms in future on the basis of actual demand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 일 호스피스 병동 입원 환자와 가족의 요구도

        김형철,김은숙,박광희,Kim, Hyung-Chul,Kim, Eun-Sook,Park, Kwang-H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0 No.3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입원 환자와 가족의 간호요구를 파악하고,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주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2004년 5월부터 10월 말까지 일 호스피스 병동에서 퇴원한 환자 76명과 가족 7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SPSS 10.0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연령은 70세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초기 진단명은 폐암이 가장 많았다. 호스피스 입원환자가 경험하는 신체적 증상은 통증, 기운 없음, 식욕부진, 오심구토, 호흡곤란의 순이었고, 정서적 증상은 불안, 우울, 분노 순이었으며, 영적 증상은 신에게 의지하고 싶어함, 원목실, 성직자가 방문하여 종교의식을 원함 순이었다. 입원 환자의 요구도는 통증 조절, 통증 이외의 증상(구토, 호흡곤란, 복수 등)조절, 정서적 문제의 해결, 영적 문제의 해결 순으로 높았으며, 환자의 관심사는 본인의 건강관련문제, 혼자 남을 배우자에 대한 관심, 자녀의 장래문제 순이었다. 가족의 간호 요구도는 "환자의 상태 및 처치/간호에 대한 정보"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가족의 역할 알려주기", "영적 지지", "정서적 지지" 순이었다. 문항별로는 "환자의 예후에 대해 알려주는 것", "환자에게 행해지고 있는 각각의 간호가 왜 필요한지 알려 주는 것" 순으로 높았다. 가족들은 환자의 편안한 임종을 가장 높게 기대하였고, 서비스의 만족도는 자원봉사자 서비스가 가장 높았으며, 통증 조절, 간호사 서비스 순이었다. 결론: 의료인들은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실제적인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개별적인 대상자들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하는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때 환자와 가족 모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ssess the needs of the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provide basic data to meet with their needs.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study using questionnaire method.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by mail from 76 discharged patients from a hospice ward from May until the end of October, 2004, an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0.0. Results: Admitted patients had needs of pain control (85.5%), non-pain symptoms (63.2%) such as vomiting, dyspnea, ascites, etc, and emotional and spiritual problem solving (28.9%, 14.5%). Interests of patients were health care of himself/herself (65.8%), concern for their spouses left alone (32.9%), and future of their children (15.8%). In families' needs of care of 5 areas, "information on patient's status and treatment/nursing care" was shown most high score ($3.48{\pm}0.62$). In detailed questions, they request most 'to inform the prognosis of patients' and the next is 'to inform the reasons that nursing care was required'. The next highest score was to 'inform family roles' ($3.39{\pm}0.64$), and next was spiritual support ($3.11{\pm}0.79$), and emotional support ($3.08{\pm}0.72$). Expectations of family on the treatment were comfortable dying (73.4%) scored the highest. Patients' families were satisfied with volunteer service most in service area (97.4%). The next was pain control (89.5%) and nursing service (77.6%). Conclusion: Health care staff should identify the actual needs of families caring cancer patients and they should operate realistic programme which can give continuous and assistance by reflecting individual needs and characteristics. With these srategies,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nd families can be improved. And then the intervention programme should be developed to measure subjective nursing care need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KCI등재

        한국형 환자분류체계의 단축형 개발과 간호요구 유형 분류

        이지윤,조성현,홍경진,윤효정,심원희,김문숙,김영주 병원간호사회 2022 임상간호연구 Vol.28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의 한국형 환자분류체계(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1, KPCS-1)를 간호요구도 예측을 위한 유의미한 문항들로 최소화하고, 간호요구도 측정결과를 중증도와 의존도의 2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환자를 유형화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외과 병동 2개, 내과 병동 2개에서 14일의 조사 기간 동안 재원한 환자 전체이다. 14일 동안 해당 병동에 입원한 전체 환자에 대해 매일 1회씩 한국형 환자분류체계을 평가하여 총 411명의 환자의 자료 2,082건을 분석하였다. 결과: 각 문항별로 총점기여도 평가와 전문가 검토를 하여 50개 문항을 26개 문항으로 단축하였다. 요인분석을 하여 위생, 식이, 배설, 운동 영역이 의존도 요인으로 묶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중증도와 의존도가 둘 다 낮은 환자(평균 점수: 7.68±2.81/1.05±1.33), 중증도 높고 의존도 낮은 환자(평균 점수: 17.20±4.15/1.94±2.40), 중증도는 중간이고 의존도가 높은 환자 (평균 점수: 13.56±5.30/9.66±2.64)로 유형화하였다. 세 그룹의 간호요구도 총점은 8.73±3.36, 19.14±5.74, 23.24±6.31 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1712.12, p<.001). 결론: 한국형 환자분류체계의 문항단축과 중증도와 의존도에 따른 새로운 환자분류기준은 실무에서의 활용성을 높이고 구체적인 인력배치기준에 유용할 것이다.

      • KCI등재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요구도 및 간호서비스 만족도 비교연구

        이내영,한지영,허미진,Lee, Nae Young,Han, Ji Young,Heo, Mi Ji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5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요구도 및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간호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B시 일개 종합병원 입원환자 105명과 간호사 105명을 대상자로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간호요구도는 환자는 $3.73{\pm}0.76$, 간호사는 $3.88{\pm}0.60$였다 (t=9.23, p<.001). 하위영역은 치료 영역이 환자와 간호사 모두에서 가장 높았으며, 신체 영역이 두 집단 모두 가장 낮았고 두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p<.001).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환자는 $3.35{\pm}0.74$, 간호사는 $3.31{\pm}0.44$였다 (t=3.88, p<.001). 하위영역은 두 집단 모두 치료 영역이 가장 높고 신체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간호요구도와 간호서비스 만족도 간 차이는 환자 (t=3.77, p<.001)와 간호사 (t=9.23, p<.001) 모두 간호요구도가 간호서비스 만족도보다 높았다. 즉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요구도가 환자보다 높아 간호서비스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두 집단 모두 간호서비스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요구에 못 미치는 간호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었다. 따라서 환자와 간호사 모두 만족하는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략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This study evaluates the need of nursing (NN) and satisfaction on nursing service (SNS) in patients and nurse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105 patients and 105 nurses in one hospital. The mean score of NN was $3.73{\pm}0.76$ for patients and $3.88{\pm}0.60$ for nurses (t=9.23, p<.001). The top score came from cure territory, while the lowest from physical territory in both patients and nurses. The mean score of SNS was $3.35{\pm}0.74$ for patients and $3.31{\pm}0.44$ for nurses (t=3.88, p<.001). The top score came from cure territory, while the lowest from physical territory in both patients and nurses. When NN and SNS are compared, the score of NN was higher than that of SNS in both patients (t=3.77, p<.001) and nurses (t=9.23, p<.001). As a result, they provided unsatisfactory nursing services, although nurses worked hard to improve them. Nurse administrators should develop strategies and apply them.

      • KCI등재

        권역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현황, 교육 요구 및 간호역량 관련 융합 연구

        김경미,김종경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권역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현황 , 교육 요구 및 간호사 역량을 파악 하는데 있다. 자료 수집은 5개 권역 외상 중환자 치료센터에 근무하는 123명 간호사로부터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조사 설문지는 외 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현황, 교육 요구 및 간호사의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외상 중환자 간호 교육 참여는 78.9%이었다. 외상 중환자 간호 교육 중요도 결과 ‘태도’는 3.64, ‘지식’은 3.52, ‘기술’은 3.47로 나타 났다. 교육 요구도 결과 ‘지식’은 3.18, ‘태도’는 3.05, ‘기술’은 2.97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역량 조사 결과 ‘윤리적 역량’ 은 3.62, ‘심미적 역량’은 3.53, ‘인격적 역량’은 3.39, ‘과학적 역량’은 3.37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시점에 맞고 적용 가능한 외상 간호교육의 표준화된 교육과정 및 실습위주의 교육개발에 초점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성과 간호역량증진을 위한 전략모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status, e,ducation needs and competencies of nurses in the regional trauma intensive care unit.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23 nurses from 5 hospitals in the regional intensive Care Unit trauma .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the education importance and needs of the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the competence of nurses. The analysis was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78.9% had experience in trauma-intensive care nursing. In the case of the importance of trauma education, ‘attitud’e was 3.64, followed by ‘knowledge’ was 3.52 and ‘skill’ was 3.47. In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trauma service, ‘knowledge’ was highest at 3.18, ‘attitude’ was 3.05, and ‘skill’ was 2.97. The nurses’ ethical competence was the highest with 3.62, followed by aesthetic competence was 3.53, personal competence was 3.39, and scientific competence was 3.37.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standardized curriculum and practice-oriented education development of trauma nursing education at the present time and applicabl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ek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and nursing competence of the trauma intensive care unit nurse.

      • KCI등재

        대장암 환자의 교육 이해도와 교육 요구도

        지부용,박정윤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1

        본 연구는 치료과정의 대장암환자를 대상으로 질병, 질병관리, 정서사회적 지지에 대한 이해정도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2011년 10월 10일부터 11월 11일까지 강원도 G시에 소재하고 있는 종합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대장암 입원환자와 외래방문 환자 110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질병, 질병관리, 정서사회적 지지에 대한 교육이해도는 4점 만점에 2.68점, 2.81점, 2.53점이었으며, 교육요구도는 3.14점, 3.03점, 2.33점이었다. 교육이해도는 일반적 특성과 질병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 요구도는 연령과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평균을 기준으로 교육 이해도의 높고 낮음, 교육요구도의 높고 낮음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높은 교육 이해도와 교육 요구도를 보이는 항목은 음식섭취, 민간요법, 응급 상황 등의 10문항이, 낮은 교육 이해도와 높은 교육 요구도에는 ‘질병의 원인, 증상, 병기, 예후에 대한 교육’, ‘진단적 검사의 종류와 시행 이유’ 등 9문항이 포함되었다. 높은 교육이해도와 낮은 요구도를 보이는 교육정보로는 가족에 대한 걱정나누기, 사회생활 등 7문항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낮은 교육이해도와 요구도에는 부부생활, 사회적 공적부조 등의 8문항이 포함되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understanding and educational needs of colorectal cancer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 to November 30, 2011, and 110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ith cancer-related information, cancer management related information, and emotional-social support related information. Items in which the perceived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provided is low have a high degree of educational needs such as ‘Medication’, ‘Surgical treatment’ and ‘Diseas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items in which the perceived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provided is high, have high degree of educational needs such as ‘Radiotherapy’, ‘Chemotherapy and side effect', 'Recurrence'. In conclusion, the effective cancer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perceived understanding to enhance patient’s perceived understanding of cancer education. Also, nurses should organize and plan to cater the educational need of colorectal cancer patients.

      • KCI등재

        재활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인식 비교

        박지원,소희영,김창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1 재활복지 Vol.15 No.1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patient need with nurs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 Method: A questionnaire composed of 43 items was used to collect data. Participants were 211 patients receiving care after industrial accidents and 150 nurses working at a special hospital for industrial disasters. Results: Mean score for nurs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 was 4.17,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mean score for patient need (3.78)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domains of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 (physical·therapeutic, t=-8.622, p=.000; psychological·holistic, t=-3.772, p=.000; educational·informational, t=-6.409, p=.000; social·occupational, t=-4.870, p=.000). The score for patient need (3.78) was higher than for nurses' performance (3.48). Scores for nurses' performance were higher than patient need only for the physical·therapeutic domain (t=-1.207, p=.229), while scores for patient nee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other three domains; psychological·holistic (t=2.438, p=.015), educational·informational (t=3.474, p=.001), and social·occupational (t=7.764, p=.000) compared to scores for nurse performance.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although nurses recognized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 as important, they only perform physical and therapeutic services. Therefore special education, supplementation of human resources, and strategy to systemize medical and nursing structur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sychological, educational, and social servic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재활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요구도와 간호사의 중요도 인식정 도 및 수행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박지원 등(2009)이 개발한 43문항으로 구성된 재활간호서비스 측정도구 설문지를 이용하여 1개 산업재해 전문병원에 입원한 환자 211 명과 같은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5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재활간호서비 스에 대한 간호사의 중요도 인식(M =4.17)이 환자의 요구도(M =3.78)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 게 나타났다. 재활간호서비스 영역별로 차이를 비교해 보면 신체 ․ 치료(t =-8.622, p =.000), 심리 ․ 영적(t =-3.772, p =.000), 교육 ․ 정보(t =-6.409, p =.000), 사회 ․ 직업(t =-4.870, p =.000) 모든 영역 에서 간호사의 중요도 평균점수가 환자의 요구도 평균점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환자의 요구도(M =3.78)는 간호사의 수행도(M =3.48)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를 영역별로 비교 해 보면 신체 ․ 치료(t =-1.207, p =.229) 영역만 간호사의 수행도 평균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고, 심 리․ 영적(t =2.438, p =.015), 교육 ․ 정보(t =3.474, p =.001), 사회 ․ 직업(t =7.764, p =.000)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환자의 요구도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간호사는 재 활간호서비스 내용에 대해 환자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신체 ․치료 영역의 수행도만 환자 의 요구를 충족하고 있다. 심리, 교육, 사회적 영역의 수행도를 높이기 위한 전문적인 교육과 인 력보충, 의료 및 간호시스템을 체계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국제협력 의료서비스지원을 위한 몽골 암환자 가족간호제공자의 교육요구도 조사연구

        김진희,최수경,강희영 한국몽골학회 2018 몽골학 Vol.0 No.54

        Background: Cancer is the second biggest cause of death in Mongolia. However, healthcare centers responsible for terminal patients’ hospice care are few.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in Mongolian households have very littl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cancer patient care.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regarding home care in Mongolia.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150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public health clinics of six districts in Ulaanbaatar city.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June to August 2017, and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54 items by the researcher that Jung had developed for care worke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Scheffé test with SPSS 23.0 program.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at C university (2-1041055-AB-N-01-2017–49). Results: Total mean score of participants’ educational needs was 3.70. By area of needs, emotional support and other (basic nursing skills) areas were most needed. Specifically, “Terminal care,” “Conversing,” “Managing diet and nutrition,” “Performing or helping range of motion,” and “Caregiving for family members on patient’s passing away” were the highest demands. Educational needs differed by cancer stages, family caregivers of stage 4 patients had greater educational needs than those of stage 3 patients. Conclu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cancer patients’ home care by investigating family caregivers’ educational needs. An educational program tailored to participants’ needs will positive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living under stress and burden of caregiving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patients’ health recovery. 배경: 암은 몽골인의 두 번째 사망원인으로, 몽골의 암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289명으로 아시아-태평양 국가 중 가장 높은 순위이다. 그러나 몽골은 암환자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이 부족한 상황이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몽골 암환자 가족간호제공자의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암환자 가족간호제공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몽골 울란바토르시 소재 보건소에 등록된 암환자 가족간호제공자 중 150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C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구조화된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7월 3일부터 2017년 8월 17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교육요구도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3.70점이었으며, 영역별로 살펴보면, 정서지원영역과 기타 영역(기본적인 간호술)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항목별로는 ‘임종간호하기’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말벗하기’, ‘식사관리와 영양관리하기’, ‘근육수축방지를 위한 관절운동수행 또는 수행돕기’, ‘임종 시 가족간호하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4기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간호제공자가 3기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간호제공자보다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결론: 몽골 암환자 가족간호제공자의 교육요구와 암의 진행정도에 따른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의 제공을 통해 가정 내 암환자 돌보는 가족간호제공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궁극적으로 암환자의 건강회복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