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방법 발명의 특허성에 대한 소고

        한지영 한국지식재산학회 2022 産業財産權 Vol.- No.72

        This study deals with patentability on surgical, therapeutic and dignostic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humans or animals from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laws, especially IP 5 countries including the U.S., Europe, China, Japan and Korea. In particular, a revised Bill of the Patent Act is submitted by the National Assembly, which suggested that inventions on medical methods of humans and animals should not be patentable. This study focused on any problems regarding the reasons against patentablity of inventions on medical methods of humans, and the pros and cons. The current Patent Act does not have any regulation on patentability of the inventions on medical methods as to humans and animals, but the Examination Guideline refuses the patentability owing to no industrial application. However, the Examination Guideline approves the patentability on medical apparatus and medicines as well as on the inventions on medical methods as to animals. The Supreme Court stands on the same stance. TRIPs Art. 27 Section 3 prescribes that “Members may also exclude from patentability: (a) diagnostic, therapeutic and surgical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humans or animals,”which leaves its patentability up to Member states. From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law, the U.S. is the only country in which an invention on medical methos for the treatment of humans is patentable. However, EPC and China regulate to regard an invention on medical methos for the treatment of humans and animals as unpatentable, on the contrary, South-Korea and Japan regulate such inventions on medical methos for the treatment of humans as unpatentable, but on medical methos for the treatment of animals as patentable. n this regard, a revised Bill of the Patent Act suggests that inventions as to medical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animals should be unpatentable. However, the Bill should consider the social changes of recognition about animals and sentiment of the people with the voices of industrial circles. I would agree with any standpoints on the patentablility on the inventions as to medical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humans, but legislation should be made taking into consideration on particularity of fields of medicine, emphasis on human life and health, humanitarian viewpoints, wellfare etc. as well as on opinions of health care industry. From this viewpoint, such claims as patentable for an invention as to medical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humans and animals should be yet reviewed and discussed. 본 연구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수술, 치료 또는 진단 방법에 관한 발명의 특허성에 관하여 비교법적으로 IP 5 국가를 분석 및 고찰하였다. 특히 최근 국회에서 발의된 특허법 개정법률안에는 인간 또는 동물의 의료방법 발명을 특허법 제32조에서 불특허사유로 규정하도록 입법 개정을 하고 있어서 인간에 대한 의료방법 발명의 찬반론과 동물의 의료방법 발명의 불특허사유 인정에 대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현행 특허법에는 인간 또는 동물의 의료방법 발명에 대한 특허 여부 관련 규정이 없으며, 특허청 예규인 특허실용신안 심사기준에서는 인간에 대해서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없다는 이유로 특허를 거절하고, 의료기기와 의약품을 특허대상으로 하고, 동물의 의료방법 발명에 대해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인정하여 특허를 부여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법원의 입장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TRIPs 협정 제27조 제3항에서는 인간 또는 동물의 치료를 위한 진단 방법, 요법 및 외과적 방법에 대하여 특허를 부여할지 여부를 각 회원국의 재량에 위임하고 있으며, 비교법적으로 보면, 의료방법 발명에 대하여 실무적으로 특허를 인정하는 국가는 미국이 유일하고, 유럽특허조약(EPC)과 중국은 인간 또는 동물의 의료방법 발명에 대해 불특허사유로 규정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와 일본은 인간에 대해서만 불특허사유로 하고, 동물에 대해서는 특허를 인정하는 실무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법 일부 개정안은 동물의 경우에도 불특허사유로 규정한다고 제안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산업계의 목소리와 함께 최근 동물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정서와 사회적 변화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다만, 의료방법 발명에 대해 특허를 부여하자는 일부 주장에 대해서는 동의할만한 견해가 있기는 하지만, 무엇보다도 의료방법 발명에 대한 특허 여부와 관련해서는 의료산업계의 주장은 물론, 의료분야의 독특성,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중시하고, 인도적 차원이나 복지 증진 등 인류의 보편타당성 가치 등을 함께 고려하여 입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의료행위에 관한 발명에 특허를 부여하는 주장은 여전히 검토하고 논의되어야 할 요소들이 많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영상저작물의 표절에 관한 연구

        한지영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6 스포츠와 법 Vol.19 No.2

        Plagiarism is defined as the wrongful appropriation or stealing and publishing another's thoughts, ideas, or expressions and claiming that they are your own. Although plagiarism can constitute copyright infringement, the number of plagiarism cases is increasing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But some lack of uniformity prevails in judicial application of the substantial similarity test. In essence, courts differ over the subject matter to which the test applied.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approach will frequently affect the outcome of the case, for any copyrighted literary work is likely to contain some, if not all, of these individually unprotectable elements. Under one view, substantial similarity is judged with respect to the whole of the copied portions of the plaintiff's work, including portions that viewed in isolation might not be eligible for copyright. This approach is called total concept and feel test and such an analysis treats the selection and sequencing of theses elements, perhaps unprotectible in isolation, as though they were a copyrightable compilation. Under another view, the uncopyrightable elements of copied material are first removed from consideration. Such elements include facts, ideas, and 'scènes á faire'-trite, stock scenes or treatments of facts and ideas. This is dissection test and removing unprotectible elements prior to the substantial similarity of expression test would preclude copyright protection for factual compilations containing an innovative selection or arrangement of elements because each element would be eliminated and nothing would be left for purposes of determining substantial similarity. This article shows two-step-test for the substantial similarity in motion pictures. The first step is total concept and feel test to consider the whole of the copied portions of the plaintiff's work. Even if elements are found unprotectible, they should not be eliminated from the substantial similarity analysis. Because the unprotectible elements can constitute such total composition as to be subject to protection under the copyright laws. The whole becomes substantially greater than the sum total of its parts. The second step is dissection test to eliminate unprotectible part from similar elements between two work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fendant used the unprotectible elements, then no copyright infringement can be found. But if the works are deemed substantially similar, then the court should consider whether there is an innovative arrangement of elements. If substantial similarity is found in an innovative arrangement, then copyright infringement will be established even though the copyrighted work is composed of unprotectible elements. This test is appropriate to find comprehensive-nonliteral-similarity between the works and it will be more efficient way to find plagiarism and copyright infringement of motion pictures and other audiovisual works. 영상저작물의 가치가 높아지고 사회 및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점 커지면서 영상저작물에 대한 표절의혹도 더욱 빈번히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영상저작물의 표절에 관하여 아직 법원은 명확한 판단기준을 보여주고 있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판례의 경향은 포괄적ㆍ비문자적 유사성만이 존재하는 경우에 매우 제한적으로만 실질적 유사성을 인정하고 있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보아 기존의 저작물과 상당히 유사한 느낌을 주는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표절로 인정되지 않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질적 유사성을 판단하는 2단계 접근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전체적 접근방법을 기본으로 하여, 분해적 접근방법을 보완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영상저작물의 표절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저작권법」 전부개정안에서 업무상저작물에 관한 소고

        한지영 한국저작권위원회 2022 계간 저작권 Vol.35 No.4

        Recently, discussions on work made for hire, which have been a lot of issues in the past in the field of copyright, are underway again. Furthermore, amendments to work made for hire have been drawn in drafts of the Copyright Act from the viewpoint of the amended Bill as well as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orks made for hire have been controversial in that they give the authorship to juridical person, not employee of a legal person, as the only exception to the ‘creator principle’, which is the underlying principle in the Copyright Act. Under the circumstances, it is desirable to submit an amendment on work made for hire in the drafts of the Copyright Act from the viewpoints of the amended Bill as well a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ut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aspects to calm controversy as to work made for hire. It is believed that many domestic scholars have made meaningful suggestions on various issues raised by work made for hire. In this paper, the application of the legal philosophical theory on work made for hire was reviewed, and a regulation on work made for hire in the Korea Copyright Act is comparatively analyzed with the relevant overseas legislations. In addition, the previous researchers' suggestions on work made for hire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and the drafts of the Copyright Act from the viewpoints of the amended Bill as well a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ere review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In this regard, I suggested the direction to be amended as to issues on work made for hire in my own way. 최근 저작권 분야에서 과거에 많은 쟁점이 되었던 업무상저작물에 관한 논의가 다시 진행되고 있고, 한걸음 더 나아가 정부(문화체육관광부)와 의원입법으로서 「저작권법」 전부 개정안에 업무상저작물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업무상저작물은 「저작권법」에 근간 원칙인 ‘창작자 원칙’에 대한 유일한 예외로서 저작자로서의 지위를 자연인이 아닌 법인에게 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동안 많은 논란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배경하에 「저작권법」 전부개정안에서 업무상저작물에 관한 개정안이 제출된 것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의원입법의 「저작권법」 전부개정안을 보면 업무상저작물에 관한 그동안의 논란을 불식시키기에는 여전히 미흡하며, 주요 쟁점들이 그대로 남아 있다. 업무상저작물이 불러일으키고 있는 다양한 법적 쟁점들에 대하여 그동안 국내 다수의 연구자들은 각자 유의미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업무상저작물에 관한 법철학적 이론의 적용을 검토하고, 비교법적으로 우리나라 「저작권법」과 해외 「저작권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선행 연구자들의 업무상저작물에 관한 제언들을 분석 및 정리한 후, 문화체육관광부와 의원입법의 「저작권법」 전부개정안을 분석 및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필자는 업무상저작물에 관한 주요 쟁점들과 향후 개정 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저작권법상 데이터베이스관련 규정의 해석에 관한 고찰

        한지영 대한변호사협회 2006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55

        데이터베이스는 경제, 산업, 사회, 문화 활동의 결과 발생한 대량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를 가치 있는 자원으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는 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투자가 요구되지만,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이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는 특징을 지닌다. 예를 들어 조선왕조실록을 CD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사람의 노동력, 시간, 비용이 필요하지만 일단 제작된 CD를 이용하는 자는 마우스 클릭만으로 순식간에 복제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침해의 용이성 때문에 적절한 보호가 보장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제작자의 투자의욕이 감소되며 이는 데이터베이스 산업의 발전을 저해할 위험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의 보 호에 대한 필요성이 계속해서 제기되어 왔다. 우리 저작권법은 2003년 개정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저작권법으로 보호하는 규정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의 보호가 아직 초기 단계로서 그 보호 방식에 대해서 세계 각국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저작권법을 통한 배타적 권리로의 보호가 적절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본고는 개정 저작권법이 내재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각국 판례 에 대한 검토를 통해 우리 저작권법의 해석론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제작에의 투자 보호와 정보의 독점 방지라는 데이터베이스 보호규정의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절한 균형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한 산후조리 실태 분석

        한지영,이내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2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information about actual condition of postpartum care for developing Support Policies for postpartum care. The condition of postpartum care was analyzed by 908 cases from the 2008-2013 Korean Health Panel data. A total of 50.2% used postpartum care center or postpartum caretaker. Mean period of postpartum care was 12.91days in postpartumcare center, 17.22days in postpartum caretaker, and 28.66 days in postpartum care center with postpartum caretaker. In type of postpartum care by general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with older age, higher education, income used postpartum care center or postpartum caretaker. In type of postpartum care, participants with vaginal delivery used postpartum care center, followed by expected Cesarean section and emergency Cesarean section. The results show that support policies for postpartum care should be established to increase births and to improve maternal child health. 본 연구는 산후조리 실태를 확인하여 효과적인 산후조리를 통한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 및 가족적응 지원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008~2013년 한국의료패널 자료에서 추출한 908건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50.2%가 산후조리원이나 산후도우미를 이용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산후조리 기간은 산후조리원은 평균 12.91일, 출산후 도우미는 17.22일, 산후조리원과 출산후 도우미를 모두 이용하는 경우 28.66일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산후조리 형태에서는 연령, 교육수준, 총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산후조리원이나 출산후 도우미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분만관련 특성에 따른 산후조리 형태는 출산형태에서 자연분만, 예약 제왕절개, 응급 제왕절개의 순으로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고, 출산장소에서 산후조리원은 산부인과병원에서 출산한 경우 이용비율이 높았고, 출산후도우미는 종합병원에서 출산한 경우 이용비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가정 외에서 산후조리가 주로 이루어지므로, 출산율 증가와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확보하기 위해 산후조리에 대한 지원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일명 ‘표지갈이’ 사건에서의부정발행죄 적용범위에 관한 고찰

        한지영 한국저작권위원회 2016 계간 저작권 Vol.29 No.3

        원저작자와 저작자 아닌 자, 그리고 출판사 직원과의 3자 합의하에 대학전공서적에 저작자 아닌 자가 저작자 중의 한 명으로 실명이 표시된 일명 ‘표지갈이’ 사건에 대해서, 의정부지방법원 2016. 6. 15. 선고 2015고단4745 판결은 해당 서적이 초판인 경우에는 제137조 제1항 제1호의 부정발행죄를 적용하여 유죄를 선고하고, 해당 서적이 재발행일 경우에는 최초 공개만을 의미하는 저작권법상 ‘공표’의 개념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하여 무죄를 선고하였다. 그런데, 대상 판결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점에서 저작권법 해석상 오류를 범하고 있다. 첫째, 부정발행죄에서의 공표는 최초 공개냐 아니냐의 여부와 관계없는 광의의 공표로서, 최초 공개만을 의미하는 공표권에서의 공표(협의의 공표)와 구별하여야 한다. 둘째, 부정발행죄의 보호법익은 “저작물에 대한 사회 일반의 신용”이라는 사회적 법익이 아니라 “성명표시와 관련된 인격적 이익”이라는 개인적 법익만이다. 셋째, 이러한 개인적 법익은 포기가 가능한 만큼, 원저작자 및 저작자 아닌 자(즉, 피해자)의 승낙이 있다면 부정발행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지 아니하거나 위법성이 조각된다. 결론적으로 대상 판결은 저작권법상의 부정발행죄의 해석·적용에 법리 오해가 있으므로, 상급심에서의 면밀한 재검토를 요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