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정 의존 환자의 충동성 및 스트레스 내인력

        남궁기,이희상,전종호,현명호,천덕희,유계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3

        충동성과 스트레스는 주정 의존의 원인, 증상 혹은 위험 요인이나 재발 요인으로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없다. 따라서 만일 주정 의존의 원인 및 재발 요인으로 생각되는 충동성과 스트레스 내인력이 주정 의존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난다면 주정 의존의 치료에 있어서도 충동성을 낮추고 스트레스 내인력을 증가시키는데 초점을 두는 새로운 사회 기술 훈련 방법 등을 고안 적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가 계획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정 의존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여 주정 의존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충동성의 경향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고, 스트레스 내인력이 유의하게 떨어질 것이라는 가설을 검정하므로써, 주정 의존군과 대조군 사이에서 충동성과 스트레스 내인력에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9명의 주정 의존 환자군과 29명의 대조군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충동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충동성 척도(impulsivity scale)와 인식력 검사(Cognitrone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충동성 척도 검사에서 주정 의존군은 전체 충동성 및 무계획 충동성과 운동 충동성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인식력 검사에서는 주정 의존군이 대조군에 비해 틀린 문항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는데(p<0.05) 이는 주정 의존군의 충동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운동 결정력 검사의 소검사-3에서 주정의존군이 대조군에 비해 시간 내에 반응한 옳은 반응의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으며(p<0.05), 이는 주정 의존군의 스트레스 내인력이 떨어짐을 시사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주정 의존 환자가 정상인에 비해 충동성이 높고, 스트레스 내인력이 떨어진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들과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볼 때 주정 의존 환자의 치료와 예후의 판단 및 치료 효과의 평가에 충동성과 스트레스 내인력을 그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make a comparison of the impulsivity and the stress tolerance betwee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alcoholic group) and control subjects(control group). The author examined 29 alcoholics and 29 control subjects by the impulsivity scale, Cognitrone test and Determination Unit tes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scores of IMPM(impulsivity-motor), IMPP(impulsivity-nonplanning) and IMP(impulsivity-total sco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ic group than in control group(10.00±5.43 vs 6.38±4.84, t=2.56, d.f.=51, p<0.05 ; 15.22±6.68 vs 10.77±5.87, t=2.53, d.f.=51 p<0.05 ; 36.67±13.20 vs 27.12±11.73, t=2.78, d.f.=51, p<0.05). The number of incorrect responses(Incorrect) of the Cognitrone 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ic group than in control group(25.52±13.26 vs 17.83±7.30, t=2.47, d.f.=43.53, p<0.05 in Student t-test). The number of timely right responses of the Determination Unit test, subset-3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coholic group than in control group(62.79±43.13 vs 90.79±52.02, t=-2.23, d.f.=56, p<0.05 in Student t-test). These results mean that the impulsivity is higher and the stress tolerance is lower in alcoholic group than in control group. With these results, the impulsivity and the stress tolerance in alcoholic patients can be used as indicator of their treatment efficacy and prognosis.

      • 청소년의 혈청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와 충동성의 관련성

        이준석,이강표,이장한,남정현,양병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6

        연구목적: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가 저하된 경우에 충동성이 증가한다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으며, 최근에는 콜레스테 롤 농도와 독립적으로 혈청 중성지방이 충동성 및 적대적 행동, 우울증과 관련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동성이 높은 시기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혈청 콜레스테롤과 충동성의 관계, 혈청 중성지방과 충동성의 관계를 조사해보았다. 방 법: 경상남도 한 군지역 내 고등학교 1학년생 전체 518명을 대상으로 2000년 5월에서 6월 사이에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혈청 지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체질환 및 정신질환을 배제한 450명을 연구에 포함시켜 조사하 였다. 충동성 측정을 위하여 Barratt 충동성 척도(Barratt Impulsiveness Scale, BIS)를 사용하였으며, 혈액 검사를 통하여 혈청 지질 농도 및 전혈 계산, 전해질 검사, 간기능 검사, 혈당 검사 등을 실시하였고, 소변 검사도 병행 실 시하였다. 결 과: 1) 충동성이 높은 집단은 충동성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남녀 모두에서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가 의미 있게 낮았다. 특히, 상관관계 분석에서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의 저하는 BIS 하위척도인 운동충동성의 증가와 관련 되었다. 2) 충동성이 높은 집단은 충동성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혈청 중성지방의 농도가 남녀 모두에서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이나 신체질량지수 요인을 배제시킨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결 론: 이 연구의 결과 혈청 콜레스테롤과 충동성은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혈청 중성지방도 충동성과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혈청 콜레스테롤이나 혈청 중성지방이 중추신경계 세로토닌과 연관되어 심리적 특 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전의 가설들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Objectives:Many studies have shown an association between low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impulsive aggressive behaviors.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serum triglycerides concentration has been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impulsive aggressive behaviors regardless of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However, conflicting results have also been report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lipid levels(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and impulsiveness in adolescents. Methods: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serum triglycerides concentration, complete blood count, electrolytes, liver function test, and blood sugar level were measured by overnight fasting blood sampling and urinalysis was also conducted in 450 high school students. Impulsiveness level was measured by Barratt impulsiveness scale(BIS). Serum cholesterol was measured by standard enzymatic assay and serum triglycerides was measured by Boehringer Mannheim method. Results:1) The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high impulsiveness group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low impulsiveness group both in male and female separately. Especially, the lower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associated with motor impulsiveness, a subscale of BIS. 2) The triglycerides concentration in high impulsiveness group was foun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 triglycerides concentration in low impulsiveness group. Above results were still valid even after excluding the factor of sex and of body mass index.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 cholesterol concentration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impulsiveness, and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serum triglycerides concentration and impulsiveness. These results support the previous hypothesis that serum lipid levels(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affect brain serotonin level and human psychologic characteristics.

      • KCI등재

        온라인 격투기 스포츠시청이 충동성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김병철,한광령,조경훈,김기섭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9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2 No.4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watching on-line mixed martial arts on the aggression and impulsiveness. We studied with 300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 collection of data, the measurement tools are according to the Impulsiveness(Park Eun-Jung, 2008), the Aggression(Lee Chu-Jin, 2007). The collective data was analyzed by SPSS 12.0 version for Windows, the statistic which was obtained from our data wa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um up we would make three main results through the method and procedure we mentioned above. First, it was related with on-line viewing hours frequency place and the Impulsiveness. we found hours spent watching television affected the reckless impulsiveness and the place affected the c wnitive Impulsiveness, the kinetic Impulsiveness and reckless Impulsiveness. Secondly, it was relation of on-line viewing hours frequency place to the Aggression. It was shown that the frequency affected the physical aggression and the place watching television affected in the proportion to the physical aggression, oral aggression and indirect aggression. Lastly, we also saw that the cognitive impulsiveness and reckless impulsive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hysical aggression, oral aggression and indirect aggression. 본 연구는 온라인 격투기 스포츠시청이 충동성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소재 중, 고등학교 287명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는 설문지이며, 설문지에 포함된측정도구는 충동성(박은정, 2008), 공격성(이추진, 2007)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SPSS 12.0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분석에 이용된 통계기법은 다중회귀분석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스포츠 시청의 하위요인 중 스포츠 시청 시간은 충동성의 하위 요인 중 무계획 충동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청빈도는 충동성의 하위요인 중 인지 충동성, 운동충동성, 무계획 충동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청 장소에서는 자료의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더미변수로 변환하여 자료 처리한 결과 PC방에 서 충동성의 하위요인 중 인지충동성과 운동충동성, 무계획 충동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시청의 하위요인 중 스포츠 시청빈도에서는 신체적 공격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고, 스포츠 시청 장소에서 PC방은 공격성의 하위요인 중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직접적 공격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스포츠 시청에서의 인지 충동성과 무계획 충동성은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간접적 공격성, 부정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 충동성은 공격성의 하위요인 중 부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부모의 학대적 양육태도가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 낙인감의 매개효과

        박영숙(Park, Young-Suk) 한국교정복지학회 2021 교정복지연구 Vol.- No.73

        청소년 범죄율은 청소년 인구의 감소 등의 이유로 전체적으로는 감소 추세에 있다고는 하지만 그 양상을 보면 점점 흉악화, 저연령화, 조직화되고 있다. 청소년의 범죄 및 비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한데 그 중에 충동성과 비행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을 보면, 가정의 심리 환경보다 개인 특성이 비행에 더 상관이 높게 나타났는데 개인 특성 중 특히 충동성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특성 상 부모의 양육태도는 가정적 요인으로서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런데 부모의 학대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충동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낙인감 역시 자신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며 우울과 불안, 공격성과 더불어 충동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청소년들은 부모의 학대적 양육태도로 인하여 자신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낙인감을 갖게 된다고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학대적 양육태도가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낙인감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고 보고 이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대적 양육태도는 낙인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낙인감은 충동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대적 양육태도는 충동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대적 양육태도가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충동성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하여 붓스트래핑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학대적 양육태도는 낙인감을 매개로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청소년의 충동성과 관련하여 부모의 양육태도는 낙인감을 매개로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Although the juvenile crime rate is on a downward trend overall due to a decrease in the juvenile population, it is becoming increasingly atrocious, younger, and more organized. There ar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crime and delinquency. Among them,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ity and delinquency show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ve a higher correlation with delinquency than with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the home. appeared to show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parents parenting attitude as a family factor has a large influence. In particular, it is reported that parents abusive parenting attitude is related to the impulsiveness of adolescents. It was found to be a factor that increases impulsivity along with aggression. It is also said that adolescents develop a sense of stigma by negatively evaluating themselves due to their parents abusive parenting attitudes. Therefore, in this study, stigma would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of parents abusive parenting attitudes affecting impulsivity, and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busive parent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igma, stigma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mpulsivity, and abusive parent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mpulsivit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impulsivity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abusive parenting attitude affecting impulsivity. In the results of bootstrapping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it can be seen that the abus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impulsivity through stigma as a medium. According to these results, in relation to impulsivity of adolescents, parents parenting attitud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impulsivity through stigma as a medium.

      • KCI등재

        충동성 구분에 따른 정서조절방략 사용이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최지수,성기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2 인지행동치료 Vol.22 No.2

        본 연구는 충동성 개념을 다차원적 충동성 모델을 바탕으로 재조명하고, 정서적 충동성(부정 긴급성, 긍정 긴급성)과 비정서적 충동성(계획성 부족, 지속성 부족)이 적응적 및 부적응적 정 서조절방략을 매개하여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정신건강의학과 환자 151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UPPS-P), 정서조절방략 질문지(ERSQ), 지각된 스트레 스 척도(PSS), 벡 우울 척도 2판(BDI-II)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적 충동성이 높아질수록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을 많이 사용하였고, 이에 따라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정서적 충동성이 높아질수록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을 적게 사용하였 고, 이에 따라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결과에서 직접효과 는 유의하지 않고 간접효과만 유의하였으며, 간접효과는 우울을 통제하고도 유의하였다. 이는 충동성이 스트레스로 이어지는 경로에 정서조절방략이 핵심적인 매개역할을 하며, 특히 충동 성 구분에 따라 정서조절방략의 사용 양상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impulsivity on perceived stress through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Specifically, this study classified the concept of impulsivity into emotional impulsivity and non-emotional impulsivity, and examined the indirect effect of adaptive or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 total of 151 psychiatric patients completed the UPPS-P Impulsive Behavior Scal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ERSQ), Perceived Stress Scale (PSS), and Beck Depression Scale 2nd edition (BDI-II).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impulsivity, the more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used, and the perceived stress level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level of non-emotional impulsivity, the les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used, and accordingly, the perceived stress level increased. In each result, the direct effect was not significant, and only the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Furthermore, the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when the depression was controll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plays a key mediating role in the path through which impulsivity leads to stress, and more importantly indicate that the mediation pattern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could differ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impulsivity-emotional and non-emotional impulsivity.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통제적 양육행동과 공격성의 관계: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

        신현숙,곽유미,김선미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9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adolescents’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i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al control and adolescent aggression. Nine-hundred fifty-seven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 1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scale, the K-CES-D scale, the impulsivity scale, and the reactive proactive aggression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in their classroom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mployed to test the goodness of fit of the mediation models in which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control and adolescents’ aggression is mediated by their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Bootstrapping procedure was applied to test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control affects adolescents’ aggression through either the mediation of depression or that of dysfunctional impulsivity. More importantly, parental control affected adolescents’ depression, which in turn influenced dysfunctional impulsivity, which eventually affected aggression. Furthermore, even when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were taken into account as mediators, the direct effect of parental control on adolescents’ aggression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support an integrative framework delineating the role of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as multiple mediators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parental control affects adolescents’ aggression. The results also imply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both direct and indirect services in school psychological intervention and prevention for aggressive adolescent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공격성 간 관계에서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남녀 고등학생 957명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태도 질문지, 한국판 우울증 척도(K-CES-D), 충동성 척도, 반응적-선제적 공격성 질문지(RPAQ)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통해,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적용하여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공격성 간 관계에서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우울을 매개로 공격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둘째,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역기능적 충동성을 매개로 공격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셋째,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우울이 역기능적 충동성에 영향을 미쳐서 공격성에 이르는 경로도 유의하였다. 넷째,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을 매개변수로 설정하더라도,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이 변수 간 관계를 부분적으로 검증했던 한계를 보완하여,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에 관련지어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청소년기 공격성에 대한 통제적 양육행동의 직접 효과뿐만 아니라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하다는 결과는 공격적인 청소년을 위한 학교심리 개입과 예방에서 부모자문의 간접 서비스와 청소년 대상의 직접 서비스를 병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학대적 양육태도가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 비행친구의 매개효과

        박영숙(Park, Young Suk),유주영(Yoo, Ju Young) 한국교정복지학회 2022 교정복지연구 Vol.- No.77

        충동성은 순간적인 감정의 지배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공격적 행동, 과잉행동, 폭력적 행동 등 예기치 못한 행동을 일으키기 쉽다. 특히 청소년기는 질풍노도의 시기로 충동성이 특별히 두드러지는 시기인데 청소년의 경우 학교폭력, 자살, 약물중독, 게임중독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청소년의 비행 및 범죄 예방 차원에서 충동성을 낮추려는 노력들이 필요하다고 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학대적 양육태도와 비행친구와의 관계, 즉 학대적 양육태도가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비행친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대적 양육태도는 비행친구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행친구는 충동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대적 양육태도는 충동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대적 양육태도가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비행친구가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하여 붓스트래핑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학대적 양육태도는 비행친구를 매개로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Because impulsivity is due to the domination of a momentary emotion, it is easy to cause unexpected behavior such as aggressive behavior, hyperactivity, and violent behavior. In particular, adolescence is a period of flurry and rage, and impulsivity is particularly prominen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efforts to lower impulsivity are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delinquency and crime in adolescents. Therefore, in this study, abusive parenting attitudes, which are factors affecting impulsivity, and the relationship with delinquent friends, that is, abusive parenting attitudes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elinquent friend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busive parent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linquent friends. Also, it was found that delinquent friend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mpulsivity, and abusive parent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mpulsivit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delinquent friend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the abusive parenting attitude affecting impulsivity. As a result of bootstrapping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abus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impulsivity through a delinquent friend.

      • 적응장애로 입원한 병사와 일반병사의 정신병리 비교분석

        유병국(Byung-Kuk Yoo),임기영(Ki-Young L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5 사회정신의학 Vol.10 No.2

        목 적: 많은 병사들이 군 부적응의 문제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군부적응의 요인들에 대한 간헐적인 연구들은 이루어져 왔으나, 군 병원에 입원을 요하는 심각한 적응장애 환자들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국군 ○○병원에 입원한 적응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일반 병사와 비교하여 어떤 정신병리상의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6월 1일부터 2005년 2월 28일까지 국군○○병원에 입원한 환자들 중에서 정신과 전문의(5인)에 의해서 적응장애로 진단되어진 환자 10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2004년 12월 1일 현재 국군○○병원 본부 근무대에 소속된 장병 116명을 저 계급자 순으로 무작위로 선발하였다. 두 군에 대하여 소정의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1) K-Social Avoidance & Distress(이하 K-SAD라 지칭) 사회적 상황에서 불안을 경험하는 정도와 잠재적으로 혐오하는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측정하며 진위형 28문항으로 되어있다. 2) Barret Impulsiveness Scale 11판(이하 BIS-11 이라 지칭) 무계획, 운동, 인지에 관한 충동성을 측정하며 2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Symptom Checklist -90-Revision(이하 SCL-90-R 이라 지칭) 9개 증상차원, 9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체화, 강박증, 대인민감성, 우울, 불안 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 과: K-SAD 점수가 적응장애 환자군에서(102.12±25.16) 대조군에(75.59±16.69) 비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적응 장애 환자군에서 총충동성(57.70±10.64), 인지충동성(22.67±4.60), 운동충동성(18.09±4.32), 무계획 충동성(16.94±3.16) 모든 항목에서 정상대조군의 총 충동성(50.28±8.34), 인지충동성(20.27±3.39), 운동충동성(14.83±3.66), 무계획 충동성 (15.16±2.80)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p<0.05). SCL-90-R 검사에서 신체화 척도를 포함하여 적응장애 환자군 에서(62.31±15.19) 정상 대조군(47.26±8.20)에 비해 모든 척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p<0.05). 결 론: 국군 ○○병원에 입원중인 102명의 적응장애 환자군이 116명의 정상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더 높은(p<0.05) 사회불 안을 느끼고 있었으며 인지, 운동, 무계획 충동성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더 높은(p<0.05) 충동성향을 보였고, SCL-90-R 검사에서 신체화 척도를 포함한 9가지 소척도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p<0.05)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충동성과 우울, 당뇨병 관련 자기관리행동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서지현,김정민,최지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levels of depression, impulsivity and diabetes self-care management i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examine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impulsivity and self-care with glycemic control. A total of 60 adults diagnosed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complet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assessing depression, impulsivity, and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HbA1c, an index of glycemic control, was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at baseline and about 4 months later. Depression was correlated with elevated level of HbA1c. Impulsivity was correlated with poor self-care in general dietary behavior, and non-planning impulsivity was correlated with low level of HbA1c at 4 months later. I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fter controlling for age, gender, and duration of disease, glycemic control was associated with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low level of impulsivity. Also,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impulsivity and depression on glycemic control was observed. This finding suggests that impulsivity might operate as a buffer i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oor glycemic control.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its small sample size and the self-reporting method by which depression, impulsivity and diabetes self-care management were evaluated. Replication of the present study’s results in a large-scale study using behavior task and structured interviews would strengthen the generalizability of these results. 본 연구에서는 제 2형 당뇨병 진단을 받은 성인들의 심리적 및 행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우울감과 충동성, 당뇨병 관련 자기관리 행동을 평가하고, 이러한 심리적 및 행동적 요인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참가자는 제 2형 당뇨병 진단을 받은 성인 60명이었고, 우울감, 충동성, 당뇨병 관련 자기관리 활동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혈당조절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설문지 작성 시점(1차 당화혈색소)과 그로부터 약 4개월 후의 당화혈색소(2차 당화혈색소) 수치를 수집하여 그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상관 분석 결과, 우울감이 높을수록 혈당조절의 어려움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동성이 높을수록 자기관리행동 중 일반적 식사 행동 실천의 어려움이 높으며, 충동성의 하위척도 중에서는 무계획 충동성이 높을수록 2차 당화혈색소 수치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울감과 충동성이 혈당조절을 유의하게 예측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울감은 높을수록, 충동성은 낮을수록 혈당조절의 어려움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우울감과 충동성이 상호작용하여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 2형 당뇨병의 혈당조절의 어려움과 높은 우울감의 관계는 개인의 충동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표본수를 확대하여 행동기록이나 행동과제, 구조화된 면접 등을 통한 자세한 정보 수집을 동반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반복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일중독 형태가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규,오재환 한국치안행정학회 2020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7 No.3

        다양한 승진제도와 직무활동을 계랑평가하는 성과주의는 경찰조직의 불화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러한 경찰조직의 기본적인 여건은 구성원들에게 일중독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선행 연구들은 일중독이 조직에 미치는 다양한 형태의 부정적인 효과들을 밝히고 있다. 그중에서도 일중 독이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의 삶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경 찰공무원은 직무수행 중에 충동성이 발현되면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경찰조직관리 차원에 서 충동성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일중독 형태가 충동 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경찰공무원의 성별에 따라 일중독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일관 여가 높았고(p<.05), 일즐거움도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p<.05). 충동성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일중독 형태와 충동성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즐거움과 일강박은 음의 상관관계 (p<.01)가 나타났다. 일관여와 일강박은 양의 상관관계를(p<.05), 충동성과 일강박은 양의 상관관계 를 보였다(p<.01). 일관여와 일즐거움은 양의 상관관계(p<.05)를 나타냈다. 셋째, 일중독 유형이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일중독의 하위요소 인 일강박(p<.001)과 일즐거움(p<.001)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확인되었 다. 일강박이 높을수록 (B=.860) 충동성이 증가하였고 일즐거움이 증가할수록(B= -.055)) 충동성이 감소했다. Police promotion conflicts and performanc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can cause work addiction. Work addiction negatively affects mental health and causes serious imbalances in personal life. Work addiction can increase impulse, so be careful. This is because the duties of the police must be done through strict standards and careful judgmen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work poisoning patterns on impulsivity and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work addiction depending on gender. Men were more consistent than women (p<.05), and men enjoyed more than women (p<.05). Women with impulsivity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men (p<.05).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on the form of work poisoning and impulsivit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work enjoyment and work compulsion (p<.01). Consistency and coerciv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p<.05), and impulsivity and cohesive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p<.01). Consistency and joy were positively correlated (p<.05).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type of work poisoning on impulsivit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s of work force (p<.001) and work pleasure (p<.001), which are the sub-elements of work poisoning, were confirmed. The impulsivity increased as the work force increased (B=.860) and the impulse decreased as Enjoyment of Work increased (B=-.05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