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미세먼지로 인한 어린이 환경성 질환 영향 연구

        배현주,임유라,간순영,이종태 한국환경연구원 2014 수시연구보고서 Vol.2014 No.-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초미세먼지(PM<sub>2.5</sub>)와 어린이 천식 입원에 대하여 시공간적 분포를 탐색하고, 초미세먼지(PM<sub>2.5</sub>)로 인한 어린이 천식 입원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초미세먼지(PM<sub>2.5</sub>)의 농도 개선에 따른 건강피해 감소의 건강편익을 산출하였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시를 대상으로 초미세먼지(PM<sub>2.5</sub>)와 어린이 천식 입원에 대하여 시간적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았다. 크리깅 분석결과 초미세먼지(PM<sub>2.5</sub>) 농도는 2010년부터 2103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계절별로는 봄과 겨울이 여름과 가을과 비교하여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15세 미만 연령집단의 천식 입원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을 탐색한 결과, 2011년과 2012년을 제외하고는 서울 서북부에 속한 지역이 대부분 고위험지역(hot-spot)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미세먼지(PM<sub>2.5</sub>)와 15세 미만 연령 천식 입원의 공간적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Rapid inquiry facility(RIF)를 활용하여 위험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미세먼지(PM<sub>2.5</sub>)농도가 낮은 구간보다 높은 구간에서 천식 입원환자 발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시를 대상으로 초미세먼지(PM<sub>2.5</sub>)와 천식 입원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건강영향 평가 결과 초미세먼지(PM<sub>2.5</sub>)의 농도 증가는 어린이 천식 입원 발생위험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이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어린이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욱 민감집단인 0~4세 연령집단이 15세 미만 연령집단보다 초미세먼지(PM<sub>2.5</sub>)로 인한 천식 입원 발생위험이 높았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여아보다 남아가 초미세먼지(PM<sub>2.5</sub>)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 2013년 초미세먼지(PM<sub>2.5</sub>)의 농도 수준이 WHO에서 권고하는 대기질 기준을 달성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도출한 대기오염 농도 증가에 따른 천식 입원의 농도-반응(concentration-response)함수를 적용하여 초미세먼지(PM<sub>2.5</sub>)의 농도 개선으로 기대되는 천식 입원 감소의 건강편익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결과 국민의 건강보호를 위하여 2015년 시행 예정인 초미세먼지(PM<sub>2.5</sub>)에 대한 대기환경기준의 단계적 강화가 필요하며, 환경정책의 건강편익 산정결과를 토대로 정책의 우선순위와 우선대상지역을 결정하는데 유용한 판단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n PM2.5 and children's asthma admission in Seoul, qualitatively evaluated the effects of PM2.5 on children's asthma admission, and estimated the health benefit of health damage reduction, according to PM2.5 concentration improvement. This study examined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PM2.5 and children's asthma hospital admission in Seoul from 2007 to 2013. As a result of krigging analysis, the concentration of PM2.5 showed a constantly declining trend from 2010 to 2013, and the concentration was higher in spring and winter, compared to summer and autumn. According to search for the areas, where asthma admission of the age group of 15 and younger children occurred intensively, most northwestern area of Seoul was the hot-spot. For spatial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M<sub>2.5</sub> and the asthma admission of children aged 15 and younger, this study conducted a risk analysis using rapid inquiry facility(RIF). As a result, the relative risk of asthma admission was higher in the area with higher PM<sub>2.5</sub> concentration than in the area with lower PM2.5 concentration. This study also quantitatively evaluated PM<sub>2.5</sub> and its effects on asthma admission in Seoul from 2007 to 2013. As a result of health effect evaluation, PM<sub>2.5</sub> increase significantly raised children's asthma admission. By age, the age group aged 0 to 4 had relatively higher risk of asthma hospital admission due to PM<sub>2.5</sub> than that of the age group aged 15 and younger. By gender, boys were affected more by PM<sub>2.5</sub> than girls. If Seoul's PM<sub>2.5</sub> concentration in 2013 is assumed to meet the air quality criterion recommended by WHO, this study estimated the health benefit of the decrease in asthma admission through PM<sub>2.5</sub> concentration improvement by applying a concentration-response function of asthma admission drawn by this study, according to air pollution concentration increase. Accord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step-by-step consolidation of air environment criteria of PM<sub>2.5</sub>, which is scheduled to be executed in 2015, is required for people's health protection. Also, the health benefit estimation results of environmental policy can be used as useful judgement basis in deciding policy priority and preferential areas.

      • KCI등재

        관광환경계획을 위한 초미세먼지 농도의 공간군집 특성과 관광지 특성 간의 관계 분석: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를 대상으로

        박득희,임철희 한국호텔관광학회 2022 호텔관광연구 Vol.24 No.4

        미세먼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미세먼지와 관련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초미세먼지 데이터와 관광지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관광공간을 조사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초미세먼지 공간군집 특성을 파악하고 관광지의 특성(관광객 수, 관광지 수, 관광목적의 교통량)과 초미세먼지의 공간군집 특성 간에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전세계 초미세먼지 데이터, 국가교통DB, 관광정보시스템에서 제공받은 데이터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정제하여 활용했다. 본 연구는 Getos-Ord Gi*와 Local Moran’s I 공간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시가화 및 농업지역이 주로 초미세먼지 고농도로 볼 수 있는 Hotspot과 HH군집으로 확인되었고, 신안군과 순천시는 초미세먼지가 낮은 군집인 Coldspot과 LL군집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미세먼지의 농도와 관광지 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미세먼지의 농도와 교통량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초미세먼지의 공간군집 특성에 따라 관광객 수, 관광지 수, 교통량의 평균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관광환경 계획에 관련하여 관광객 수, 관광목적의 교통량은 초미세먼지 농도의 차이가 발생 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줬고, 초미세먼지의 공간군집 특성과 관광지 특성 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을 보여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관광환경 계획에 관련한 학술적 시사점과 함께 지속가능한 관광 발전을 위한 지역의 관광환경 정책 설계 및 계획, 교통 정책 수립과 관련한 실무적 시사점을 결론에 구체적으로 작성하였다.

      • PMF 수용 모델을 활용한 시흥시 폐기물 소각장 지역 초미세먼지의 오염원 유형 특성 파악 및 기여도 산정

        이영수 ( Young Su Lee ),김영권 ( Youngkwon Kim ),이승묵 ( Seung-muk Yi ),김재영 ( Jae Young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대기오염물질은 발생되면 배출원으로부터 대기 중으로 이류, 확산, 반응, 침적 등에 따라 존재 형태와 농도가 변한다. 따라서, 특정 지역의 초미세먼지는 주변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혼합된 입자상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특정 오염원 유형 화학 성분비나 특수 원소 등의 특성 정보를 이용하면, 모델링을 통해 초미세먼지 내 해당 오염원 유형의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PMF) 모델링은 이러한 오염원 유형 도출을 위해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에서 보급하고 있는 PMF 5.0을 이용하여 시흥시 초미세먼지의 폐기물 소각 오염원 기여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1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시흥시 특정 지역의 초미세먼지를 3-4일 간격으로 24시간 포집하였으며, 초미세먼지의 질량농도, 탄소 성분, 이온 성분, 미량원소 성분을 각각 분석하였다. 질량농도 분석은 시료 채취 전후 24시간 동안 건조시킨 Teflon filer (PT47P, MTL,US)의 무게를 측정하여 포집한 공기량을 고려하였다. 무게 측정 시 온도(21±1.5℃)와 습도(35±5%)를 유지한 조건에서 정전기를 제거한 후 측정하였다. 탄소 분석은 Quartz fiber filter (7407, PALL사, 미국)를 사용하여 탄소 분석기기(lab OC-EC aerosol analyzer, Sunset Lab., US)의 열광학투과도(Thermal Optical Transmittance, TOT)방법으로 분석하였고, 분석 조건은 NIOSH5040 Protocol을 사용하였다. 이온 분석은 포집된 Teflon filer (TF-10000, PALL, US)를 사용하여 이온크로마토그래피(930 Compact IC Flex, Metrohm, Swiss)로 분석하였다. 시료는 40ml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120분 간 sonication 추출하였고, 0.45 μm membrane으로 필터링했다. 미량원소 분석은 Teflon filer (PT47P, MTL, US)를 사용하여 전처리 없이 ED-XRF (ARL QUANT’X ED XRF Spectrometer, Thermo Fisher Scientific, US)로 분석하였다. 불확도는 [(0.1×농도)<sup>2</sup> × (0.5×검출한계)<sup>2</sup>]<sup>0.5</sup>로 산정하였다. 모델링 결과 폐기물 소각장 배출로 인한 초미세먼지 기여도를 측정 일별로 도출한 시계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소각장 배출로 인한 화학 성분 구성비와 같은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소각장 오염원 유형의 주요 특성은 탄소 성분과 특정 금속 성분 함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특정 지역의 초미세먼지는 기상 상황에 따라서도 농도가 크게 달라지고, 구성 성분도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추정을 위해서는 다른 오염원 유형들과의 복합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 KCI등재

        패널 분위회귀분석을 통한한국의 미세먼지 국내외 영향요인 분석

        김해동,김재혁,조하현 한국환경경제학회 2022 자원·환경경제연구 Vol.31 No.1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domestic and Chinese factors on fine dust(PM10 & PM2.5) in Korea by using the panel quantile regression. Daily analysis was conducted for 11 regions in Korea. For domestic factors, electricity demand and traffic volume, and for Chinese factors, interaction term of Chinese three cities’ fine dust and the domestic west wind are used. As a result, the influence of domestic factors was different when the domestic fine dust concentration was high and low.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was low, electricity demand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PM2.5, and didn’t affect PM10 in the national analysis. In regional analysis, the amount of electricity dem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only in the capital area and Chungcheong. Electricity demand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both PM2.5 and PM10 when it was high.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inese factor always had a significant effect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addition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reduction of PM2.5 generated by domestic thermal power generation should also be strengthened compared to the present.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하여 전국 및 지역별 패널 분위회귀분석을 진행하여, 국내 및 중국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2015년 5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일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국내 요인으로는 전력수요 및 교통량을, 중국 측 요인으로는 베이징 등 3개 도시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와 서풍의 교차항을 이용하여 패널 분석을 진행하였다. 국내 미세먼지 농도가 높고 낮을 때 국내 요인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미세먼지 농도가 낮을 때, 전국분석에서 국내 화력발전의 대리변수인 전력수요량은 초미세먼지에 양(+)의 영향력을 미쳤다. 지역별 분석결과, 수도권 및 충청도 지역에서만 전력수요량이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 전력수요량은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를 모두 유의하게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미세먼지의 경우 그 추정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중국 요인의 경우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와 관계없이 우리나라에 항시 양(+)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향후 국내 초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4계절 항시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며, 국내 화력발전으로 인한 초미세먼지 발생분에 대한 감축이 현재보다 강화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공간패널모형을 이용한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분석

        이종현,김영민,김용구,Lee, Jong Hyun,Kim, Young Min,Kim, Yongku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7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8 No.3

        초미세먼지 (particulate matter 2.5, $PM_{2.5}$)는 분진의 입경이 2.5 이하의 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한 입자들을 말하는데, 미세먼지와 달리 대기 중에서 제거가 어렵고 기도나 코 점막에서 걸러지지 않으며, 호흡 시 폐포까지 직접 침투하기 때문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폐 기능 감소,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증가, 폐암 발생증가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 초미세먼지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초미세먼지의 농도는 기상인자 (풍속, 강우량, 일사량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산화질소, 오존, 이산화황, 미세먼지 등 대기물질의 농도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자동차 수나 오염원으로 인한 초미세먼지외에도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초미세먼지 또한 고려되어야 하는 대상이므로 기상인자 중 풍향과 풍속 또한 어느 정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인접 지역에 대한 영양 또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대기물질 및 기상자료와 초미세먼지 농도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공간자기상관 행렬에 기초한 공간패널모형을 소개하였고 이를 서울 25개 구에서 관측된 초미세먼지 자료에 적용하였다. 또한 초미세먼지와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통해 서울시에서 발생한 호흡기 질환 환자 수를 분석하여 그의 위해성을 확인하였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air quality of 92% of the world is known to exceed the standard of WTO and the death caused by air pollution is almost 6 million per year. The $PM_{2.5}$ concentration in Korea is the second most serious among the OECD countries following Turkey. Since the $PM_{2.5}$ has a direct effect on the respiratory system, it has been actively studied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But current research on the $PM_{2.5}$ is limited in weather factor or air pollutants.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influence of spatial neighbor with weather factor or air pollutants using spatial panel model.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 to 25 borough of Seoul in Korea. The result shows a significant effect of spatial neighbor on the $PM_{2.5}$ concentration fields.

      • KCI등재

        초미세먼지의 심혈관계와 호흡기계 입원영향 평가 및 건강편익 산정

        배현주 한국응용경제학회 2016 응용경제 Vol.18 No.3

        입자상 대기오염물질 중 상대적으로 건강위해 가능성이 더 크다고 보고된 초미세먼지(PM2.5)의 건강영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65세 이상 연령집단을 대상으로 초미세먼지(PM2.5)가 심혈관계 입원과 호흡기계 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일반화 부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결과, 초미세먼지(PM2.5) 농도 10㎍/㎥ 증가시 심혈관계 입원위험이 3.74%, 호흡기계 입원위험이 8.84% 증가하였다. 또한 수도권 지역의 초미세먼지(PM2.5) 농도 수준이 세계보건기구의 대기질 권고 기준을 달성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기대되는 건강편익을 산출하였다. 초미세먼지(PM2.5) 농도개선으로 인하여 30세 이상 연령집단에서 조기사망은 7,852명(95% CI : 5,396~10,251명) 감소하였다. 65세 이상 연령집단에서 호흡기계 입원과 심혈관계 입원은 각각 12,572건(95% CI : 8,577~16,567건)과 12,378건(95% CI : 6,557~18,321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것을 경제적 비용으로 환산하면 3조 2,744억원에 해당한다. 환경오염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하는 것은 사회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편익으로, 다양한 대기관리정책에 대하여 건강편익 산정결과를 토대로 정책의 효과와 효율성을 평가함으로써 정책의 우선순위와 우선대상지역을 결정하는 데 유용한 판단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We examined the association of particulate matter with an aerodynamic diameter <2.5㎛ (PM2.5) with cardiovascular hospitalization and respiratory hospitalization in Seoul, Korea, between 2006 and 2010. In addition, we estimate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s that would result from implementing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eline. The generalized additive model was us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PM2.5 and hospitalizations. To estimate the health benefits, we used the Environmental Benefits Mapping and Analysis Program. Based upon increase of 10㎍/㎥ of PM2.5, the cardiovascular hospitalization risk was increased by 3.74%(95% CI : 1.99 ~ 5.51%) and the respiratory hospitalization risk was increased by 8.84%(95% CI : 6.09 ~ 11.66%). It was estimated that the health benefits attaining the WHO air quality guidelines for would suggest an annual reduction of 7,852(95% CI : 5,396~10,251) premature deaths, 12,378(95% CI : 6,557~18,321) cardiovascular hospitalizations and 12,572(95% CI : 8,577~16,567) respiratory hospitalizations. The health impact assessment and health benefit estimation results of environmental policy can be used as an useful decision making basis on setting policy priority and preferential areas.

      • 초미세먼지차단용기능성크림 개발

        조영태,김재용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초미세먼지의 크기는 보통 머리카락 직경에 비해 20분의 1보다 더 작은 매우 미세한 입자이기 때문에 호흡을 통해 인체로 들어가는 경우, 코나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까지 도달, 침착해 폐의 기능을 약화시키거나, 피부 모공에 바로 침투하여 모세혈관을 타고 혈액에 침투해 심혈관계 질병, 조산 및 생식기능 약화, 아토피를 포함한 각종 피부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초미세먼지가 피부를 통해 인체 내로 침투하여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초미세먼지 차단용 기능성 크림을 연구, 개발하였다. 『초미세먼지 차단용 기능성크림』은 특허등록 기술로 대기중에 발생하는 초미세먼지를 차단하는 화장품류에 해당되며, 근본적으로 미세먼지 및 그 속에 포함된 오염 물질이 피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사전에 차단 및 방지하며,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다공성 광물질, 인체 무해한 광촉매 및 청각 추출물을 피부 크림 제조 기술을 개발, 광물질에 의한 초미세먼지 흡착 작용과, 광촉매에 의한 항균작용과 해조류 추출물에 의한 차단 효과 및 피부 보호기능이 탁월한 초미세먼지 차단용 기능성 크림이다.

      • KCI우수등재

        종합병원 주출입부 로비공간 규모 및 형태에 따른 초미세먼지 영향 비교

        윤은지,임영환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6 No.11

        General hospitals are used by many, including patients and visitors that are physically vulnerable to fine dust. Passive planning with thespatial structure of hospitals to cope with fine dust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public health, climate adaptation and sustainability. The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hape and volume of a lobby space that is advantageous in reducing the influx and influence ofexternal fine dust in the main lobby space of a general hospital. In this study, ultrafine dust(PM2.5), which can adversely affect health, wastargeted. Based on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lobby spaces in general hospitals in the preceding study, the spread of PM2.5 in lobbyspaces was investigated through simulation. The lobby and the elevator hall through which fine dust can spread throughout the building werecovered in the simu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If the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the amount of PM2.5 reaching the elevator hallslightly decreased as the lobby area increased, and it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height of the lobby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samearea and height of the lobby, when the X-axis length was longer than the Y-axis length, the amount of ultrafine dust reaching the elevatorhall was less. It implies that the direction of the incoming air with dust and the spatial axis is closely related, and the follow-up studyshould be conducted including variables such as climatic conditions, direction of openings, and spatial axis. 미세먼지 취약계층이 많이 방문하는 병원 건축은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연구가 더욱 필수적이며, 주출입부 로비공간은 특히 외부공기과 함께 미세먼지 유입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있으므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영역이다. 종합병원은 기계적 공조 시스템에 많이 의존하지만, 부하절감 및 효과적 설비계획을 위해서도 공간구조에 따른 미세먼지 대응효과에 대한 패시브적인 방안이 먼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 로비공간에서 외부 미세먼지 유입 및 영향을 저하시키는 데 유리한 병원 건축 로비공간의 형태구조를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초미세먼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에서의 종합병원 로비공간의 형태적인 분류를 바탕으로 지방공공의료원의 로비규모 현황과 계획규모에 근거한 적정규모의 로비공간에서 초미세먼지(PM2.5) 확산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알아보았다. 주출입부 로비와 엘리베이터 홀까지의 공간을 다루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로비 면적이 증가할수록 엘리베이터 홀까지 다다르는 초미세먼지의 양은 소폭 감소했고, 로비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엘리베이터 홀까지 다다르는 초미세먼지의 양은 크게 감소했다. 같은 면적과 같은 높이의 로비의 경우, X축 길이가 Y축 길이보다 길 때 엘리베이터 홀에 다다르는 초미세먼지의 양이 더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입되는 공기 방향과 공간 축 방향에 따른 것으로 해석하였다. 현재까지 주로 기능, 동선, 치유환경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뤄진 종합병원의 로비공간에 대해 본 연구는 미세먼지 대응의 측면에서 이뤄진 연구로서 의의가 있고, 기후, 출입구의 방향 등의 변수들에 의한 실내공간의 미세먼지 확산에 대해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F-48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세먼지 노출과 폐렴 발생의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

        지원준,박유랑,김혜령,최창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7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4 No.0

        목적: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이 급성 호흡기 질환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기존의 연구에서 보고된 바 있으나, 폐렴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를 통해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의 노출 기간에 따른 폐렴 발생의 위험에 대하여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고 있는 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와 국립환경과학원의 미세먼지 농도측정확정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폐렴 발생은 한국표준질병분류에서 폐렴에 해당하는 J100, J110, J2-18, J851 진단 코드가 2015년도에 새롭게 부여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전국 16개 시도에서 최대 4주까지 지역별 미세먼지 측정 수치와 폐렴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포아송 회귀분석이 사용되었고,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전국 단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성적: 2015년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된 폐렴 환자는 54,727명이였으며, 여성이 52.6%이였다. 폐렴 발생은 연령별로는 18세 이하에서 50.2%으로 가장 많았고, 지역별로는 경기도(21.1%)와 서울(16.7%)의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미세먼지의 노출에 따른 폐렴발생 위험을 분석한 결과, 폐렴 발생 당일의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폐렴 발생에 가장 영향이 컸으며(OR 1.05, 95% CI 1.02-1.07), 이러한 영향은 최대 2주 누적 노출까지 지속(OR 1.03, 95% CI 1.00-1.05)되었다. 반면, 미세먼지(PM10)는 폐렴 발생 당일에는 영향을 주었으나(OR 1.01, 95% CI 1.00-1.02) 이후의 노출은 폐렴 발생과 일관된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결론: 미세먼지(PM10)보다는 초미세먼지(PM2.5)가 폐렴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초미세먼지(PM2.5)로 인한 폐렴 위험도의 증가는 최대 2주까지의 누적 노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 KCI등재

        에너지, 지역내총생산, 인구변화는 미세먼지 발생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가?

        박승규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21 地域發展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2013년~2016년 광역시도별 석탄, 석유, 가스, 전력 사용간 대체관계를 규명하고 석유가격 감소에 따라 변화되는 에너지원, 지역내총생산, 인구변화가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를 로그평균디비지아 분해법을 활용하여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발생은 가스, 전력, 석탄, 석유의 에너지원 대비 집적도(EI), 에너지원 집적도(EC), 경제적성과(EO), 인구변화(POP), 총에너지집적(ETI) 순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원별로는 석유, 석탄, 전력, 가스 에너지 순으로 집적도(EC)가 크기 때문에 에너지원 대비 집적도(EI)는 가스, 전력, 석탄, 석유 순으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발생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인구변화보다는 경제적성과가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발생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부보다는 도부에서 보다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의 석유가격 감소로 인한 에너지원간 수요 변화를 고려할 경우에는 석유와 타 에너지원과는 대체관계가 파악되었으며, 에너지원, 지역내총생산, 인구변화에 대한 관계를 벡터자기회귀모형을 활용하여 로그평균디비지아 분해법을 확장하였다. 석유가격 감소 성향을 적용한 결과 석유 에너지원 집적도(EC)는 증가한 반면 석탄, 가스, 전력 집적도는 감소하였다. 이로 인해 석유 대비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집적도(EI)는 감소하였으며 전력을 제외한 대체관계에 있는 석탄, 가스 집적도(EI)는 감소하였다. 더불어, 석유가격 감소로 인한 수요 증가는 총에너지 집적도(ETI)를 증대시킨 반면 경제적성과(EO) 및 인구변화(POP) 기여율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