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류인식과 한국 관광이미지에 대한 연구

        민혜성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7 호텔경영학연구 Vol.26 No.8

        Most of the studies on Korean tourism and Korean Wave (Hallyu) have been done focusing on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On the contrary, this study, targeting foreign students in Korea, has five main topics: (1) the effects of Korean Wave on the cognition of Korea’s national image; (2) the effect of Korean Wave on the cognition of an image of Korean tourism; (3) the effect of Korean Wave on intension of purchasing Korean tourism products; (4) the correlation of Korea’s national image and an image of Korean tourism; (5) the effects of Korean tourism on the cognition of purchasing Korean tourism products. Through these, this study aims at widening the foreign source markets for the promotion of Korean tourism.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oreign students living in Seoul. A total of 183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9.0 program.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drawn up. First, Korean Wav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friendly image, stable image, and advanced image. Second, Korean Wav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greeable image, convenient image about cognition of Korean tourism. Third, the speciality of culture, excellence of athletics and excellence of food in Korean Wav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 tourism products. Forth, Korea’s national image and an image of Korean tourism are correlated. Fifth, an image of Korean tourism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 tourism products.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s tourism products would be necessary for the promotion of Korean tourists through the Korean Wave. 한류와 한국관광에 관련된 연구는 주로 그 대상을 중국인과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연구는 연구의 대상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한류가 한국 국가이미지에 미치는영향, 둘째, 한류가 한국관광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셋째, 한류가 한국 관광 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넷째, 한국 국가 이미지와 한국 관광 이미지의 상관관계, 다섯째, 한국 관광 이미지가 한국관광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관광의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관광객 대상의 확대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지 조사방법을 실시하였고,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회귀분석(regression)을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류가 우호적 이미지(Friendly Image), 안정적 이미지(Stable Image), 선진적 이미지(Advanced Image) 중 일부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가 한국 관광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유쾌한 이미지(agreeable Image)와 편리한 이미지(convenient Image)의 일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류 중 문화의 전문성(speciality of culture), 체육의 우수성(excellence of athletics), 음식의 우수성(excellence of food)이 한국 관광 상품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국가 이미지와 한국 관광 이미지는 상관관계가 있다. 다섯째, 한국 관광 이미지는 한국 관광 상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한류를 통한 한국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추후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 관광 상품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호텔관광전공 교원의 외국인 유학생 지도경험의 의미

        진진희,한진석,한승훈 한국호텔관광학회 2025 호텔관광연구 Vol.2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호텔관광전공 교원의 외국인 유학생 지도경험에 대한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경험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으며, 연구문제는 호텔관광전공 교원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긍정적인 지도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와 호텔관광전공 교원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부정적인 지도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문헌연구법과 수도권 대학교 호텔관광전공 학과에 재직하고 외국인 유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1년 이상인 교원을 대상으로 심층면접법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개인과 전체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통합하여 제시할 수 있는 Giorgi(1985) 분석기법에 따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호텔관광전공 교원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긍정적인 지도경험의 의미는 3개의 주제, 12개의 의미단위, 91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도출되었다. 첫째, 호텔관광전공 교원들은 혁신적이고 새로운 전공수업 방식에 도전하고 그 과정에서 기쁨을 느끼고 있었다(주제1). 둘째, 호텔관광전공 교원들은 다문화에 대해 넓은 포용심을 갖고 있었다(주제2). 셋째, 호텔관광전공 교원들은 외국인 유학생들과의 교류를 통해 깊은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고 있었다(주제3). 또한, 호텔관광전공 교원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부정적인 지도경험의 의미는 2개의 주제, 19개의 의미단위, 96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도출되었다. 첫째, 호텔관광전공 교원들은 한국 학생 지도보다 외국인 유학생 지도에 대해 많은 책임감과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다(주제4). 둘째, 호텔관광전공 교원들은 외국인 유학생을 지도하면서 자신만의 기준과 가치관이 흔들릴 때마다 혼란스러움을 느끼고 있었다(주제5). 이 연구는 호텔관광전공 교원을 대상으로 외국인 유학생 지도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여 관광 교육학 분야의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호텔관광전공 교원의 외국인 유학생 지도경험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meanings of teaching experienc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of professors majoring hotel and tourism.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approached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at can understand the essence of experiences, an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What are the meanings of positive teaching experienc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of them? and What are the meanings of negative teaching experienc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of them?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rofesso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hotel and tourism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have more than one year of teaching experienc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Giorgi(1985) analysis technique that can present the meanings of individual and overall experiences in an integrated manner. As a result, the meanings of positive teaching experienc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of them was derived from 3 themes, 12 meaning units, and 91 meaningful statements. First, they were challenging innovative and new major teaching methods and felt joy in the process (T1). Second, they had a broad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T2). Third, they formed deep emotional bonds through interactions with international students (T3). In addition, the meanings of negative teaching experienc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of them was derived from 2 themes, 19 meaning units, and 96 meaningful statements. First, they felt more responsibility and burden for teaching international students than for Korean students (T4). Second, they felt confused whenever their own standards and values were shaken while teaching international students (T5).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tourism education by analyzing the meanings of teaching experienc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of them, and provided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 KCI등재

        음식 해설이 방한 외래관광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현장실험을 통한 교훈

        이솔지,송민경 한국호텔관광학회 2023 호텔관광연구 Vol.25 No.2

        음식관광의 중요성은 각 국가 및 도시의 정책과 연결된다. 국내에서도 음식관광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관련 예산이 투입되고 있으나, 국가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음식관광의 만족도를 높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방한 외래관광객에게 음식을해설해주면 그들의 음식관광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현장실험을 하였다. 방한 외래 관광객 100명을 대상으로약 3주간에 걸쳐서 진행하였으며, 한국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 중 한국음식에 대한 만족도가 낮으며 정책적 논의의 핵심인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은 무작위 처치방법으로 대상이 홀수날에 입국하면 한국음식의 해설을 실시하였으며, 짝수날에 입국하면 해설을 제공하지 않았다. 현장실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음식 해설만을 고려한 상황, 관광객 특성 변수를 추가한경우, 음식의 가격과 외래관광객의 한국 방문 특성을 추가로 통제한 상태, 가이드 특성을 추가한 각각의 경우에서 전부 만족도평균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방한 외래관광객에게 한국 음식을 소개하는 것은 그들의 음식관광 만족도를 제고시키는 비용대비 매우 효율적인 정책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은 음식관광에 있어 음식해설의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실증연구 방법론을 보완하는 현장실험 기법을 활용한 연구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재 수행되고 있는 정부의 한국음식 산업화 사업의 정책이 적절하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정책 수립에 있어 음식관광 해설의 중요성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북한 평양방문 인바운드 관광객의 호텔서비스 평가: 트립어드바이저 리뷰를 중심으로

        강성진,문혜영 한국호텔관광학회 2019 호텔관광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북한방문 인바운드 관광객의 고객특성 및 여행행태를 파악하고 관광객이 지각하는 평양 내 위치한 호텔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9년 3월까지 북한 방문 후 트립어드바이저 사이트에 리뷰(영어로 작성된)를 올린 외국인 관광객의 특성정보, 여행행태 및 숙박한 호텔에 대한 정량적 평가점수를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과제검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평양방문 인바운드 관광객의 경우, 유럽이 241명(47.3%)로 가장 많았으며, 유럽 내에 영국이 52.3%로 방문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북미(미국, 75.2%, 캐나다, 16.8%), 아시아, 오세아니아(호주, 90.5%)순으로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 인바운드 관광객이 지각하고 있는 평양 내 호텔의 5가지 서비스 항목에 대한 평가는 장소(위치/평균: 3.75)가 가장 만족도가 높았으며, 다음으로 청결도(3.72), 서비스(3.58), 가격(3.35), 객실(3.29)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텔별 인바운드 관광객이 지각하는 5가지 호텔서비스 평가에서는 서산 및 보통강 호텔이 가성비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넷째, 인바운드 관광객의 평양 내 호텔의 서비스 평가에서 객실상태, 청결도, 서비스 항목이 총 평점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가격과 장소(위치)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면세점 물리적 환경이 고객감정반응, 한국 관광 쇼핑이미지 및 쇼핑관여도에 미치는 영향 : 방한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체첸,정희경,유종식,한희섭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7 호텔경영학연구 Vol.26 No.8

        Shopping is the core aspect of international tourists’ behaviors. Particularly, Chinese travelers are big buyers in the international shopping industry. As the growth of the Chinese tourists overseas travels, For the purpose of shopping tourists also increased. The present research was designed to examine such Chinese travelers’ post-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in a duty-free shop context. Specifically,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uty-free shop atmospherics on Chinese travelers’ emotional responses, intention to revisit the duty free shop, image of Korea as a shopping destination, and shopping involvement. In this research, the duty-free shop's physical environments are divide into ambient cues, design cues, and social cues three part in this research. An Internet-based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AMOS and SPSS were used as data analysis tools. Overall,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odel included an adequate level of prediction ability for intention to revisit the duty free shop, image of Korea as a shopping destination, and shopping involvement. In addition, hypothesized relationships were generally supported. Findings of the present research offer valuable information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n the duty-free shop industry. 쇼핑이란 관광객들이 관광지를 방문할 때 발생하는 가장 보편적인 활동이다. 특히, 한국 방문 기간중 면세점에서 발생하는 중국 관광객의 구매행동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요인은 면세점의 발전과 생존,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면세점의 지속적인 매출성장을 위해 면세점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과 관광객의 감정반응이 한국 쇼핑이미지와 쇼핑관여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환경을 주변요인, 디자인요인 그리고사회요인으로 구분하였고, 조사대상은 한국 면세점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중국 관광객으로 선정하였고, 인터넷 설문조사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AMOS와 SPSS20.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상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회수된 235부 중, 분석이 가능한 23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요인에서 주변요인과 사회요인은 관광객의 감정반응에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디자인요인은 부분적으로 중국 관광객의 즐거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의 즐거움과 환기는 한국 쇼핑관광이미지와 쇼핑관여도에 영향을부분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 관광객이 인지하는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특징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바탕으로 제안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은 결론에서 세부적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질적 접근을 통한 한반도 통일관광에 대한 인식 연구

        노희경 한국호텔관광학회 2019 호텔관광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한반도 통일관광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한반도 통일관광 정책의 방향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정책적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통일관광 인식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설문 문항을 통한 양적연구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민들의 한반도 통일관광에 대한 다양한 인식 측면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어 질적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 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통일관광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한반도 통일관광 정책의 방향성 설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Nvivo10을 사용하여 범주를 분류하였으며, 노드별 가중치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참가자들이 인식하는 한반도 통일관광 요인은 자원요인, 인프라요인, 문화요인, 여가요인, 안전성요인, 경제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국민들이 한반도 통일관광에 대해 경제적, 문화적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강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북한관광에 대한 논의 시 금강산, 개성에만 국한 될 것이 아니라 한반도 관광을 광범위하게 다루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북한의 인프라 구축에 있어 남한의 참여에 대한 기대감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북한이 법을 개정 하여 외국자본과 남한 자본을 차별하지 않도록 요구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문화갈등과 경제격차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안전성 문제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다. 경제 격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갈등에 대해 미리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사전에 자본주의에 대한 교육이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안전성 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해 신변 안전에 대한 남북 간의 합의와 제도적 장치가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통일 시대에 대비한 한반도 통일 관광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반영한 정책이 요구된다.

      • KCI등재

        생태관광축제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감정반응(PAD), 만족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 분석: S-O-R 모델 적용 및 2022 무주반딧불축제를 중심으로

        정다은,이계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3 호텔경영학연구 Vol.32 No.3

        This study addressed the research gap regarding ecotourism festival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sponses, satisfaction, and loyalty towards the festival servicescape. Ecotourism festivals have gained popularity and are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ourism market, yet research in this area has been limited. The study focused on the 2022 Muju Firefly Festival, a domestic ecotourism festival. A total of 390 valid responses from an onlin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4.0. The study utilized the Pleasure-Arousal-Dominance (PAD) framework, which is underrepresented in tourism research. The analysis revealed important findings. First, the festival servicescape's attractiveness, suitability, and inform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participants' pleasure. Second, suitability and information positively impacted participants' arousal. Third, cleanliness and suitability had a notable effect on participants' perception of dominance. Last, satisfaction played a vital role in fostering loyalty towards the festival.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various servicescape aspects, including attractiveness, suitability, information, and cleanliness, in shaping tourists' emotional experiences. Furthermore, the study emphasizes the role of satisfaction in generating loyalty among festival participants. Overall, these insight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ecotourism festivals. By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emotional responses and satisfaction, festival organizers can enhance the overall tourist experience, thereby promoting loyalty and positively impacting the tourism marke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dvancement of knowledge in tourism research,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최근 사회적 흐름과 도시화 경향 속에서,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는 생태관광이 빠르게 성장하고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생태관광 축제가 등장하면서, 기존 축제와는 다른 관심과 호응을 얻고 있으며, 앞으로 생태관광 축제는 관광시장에서 더욱 큰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러한 영향력에 비해 생태관광축제에 대한 확장된 연구가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생태관광축제인 2022 무주반딧불축제를 참여한 관광객이 인지한 축제 서비스스케이프가 감정반응, 만족도, 충성도 간의 영향관계를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앞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였고 이를 검증하기위해 SPSS 25.0와 AMOS 24.0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설검증을 위해 무주반딧불축제를 참여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90부의 유효표본을 수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스케이프의 매력성, 적합성, 정보성은 즐거움에 유의한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합성과 정보성은 각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결성, 적합성은 지배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만족도는 충성도에 유의한영향이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관광분야 연구에서 많이 다루지 않았던S-O-R 모델 틀에서 생태관광축제를 서비스스케이프라는 외부환경에서 감정반응인 PAD(즐거움, 각성, 지배)를 자극하고 마지막 단계인 만족도 및 충성도를 각각 적용하여 검증한 차별화된 연구이며, 이러한 결과로향후 생태관광축제관계자 및 실무자에게 도움이 되는 선행연구로서 이바지하는 연구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개별관광객(FIT) 유치 인센티브 지원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허양례 한국호텔관광학회 2022 호텔관광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개별관광시장의 동향, 각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관광객 유치보상제도, 개별관광객의 행태특성 분석 등을 통하여 개별관광객 유치 증대를 위한 전략적 대안을 마련하고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 개별관광객의 연평균 여행횟수, 방문목적, 평균여행기간, 여행시기, 이용 숙박시설, 정보입수 경로, 여행시 동반자, 이용교통수단, 선호하는 관광지, 1인당 여행비용, 목적지 선택시 중요시하는 속성 등에서 일반여행객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도시행 현황에 대한 조사결과 관광객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는 전국 광역자치단체(17개)와 기초자치단체(226개) 중 16개 광역자치단체와 123개 기초자치단체에서 도입하고 있으며, 조례를 제정하여 지원하고 있는 곳은 12개 광역자치단체, 92개 기초자치단체에 이르렀다. 현재의 관광객 유치 인센티브제도는 첫째, 제도의 실효성 문제, 둘째, 외래관광객과 단체관광 위주의 제도. 셋째, 개별관광객에 대한 기준의 모호성, 넷째, 관련 조례의 제정 미비 등, 다섯째, 가변적이고 부족한 예산으로 정책의 일관성과 신뢰성 훼손, 여섯째, 여행사나 단체 지원으로 개별관광객 유치와 연관성 저하, 일곱째, 지원의 중복성 등의 문제 등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개별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제도의 도입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단체관광은 중간 매개체가 있으므로 유치에 공헌한 매개체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을 통해 유치 촉진을 도모할 수 있지만, 개별관광은 직거래 개념과 유사하므로 엄밀하게 인센티브 지급 대상 자체가 없는 것이다. 양자의 차이로 인해 통합운영 시 무리가 따를 수 밖에 없으며, 기존의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지원제도를 확장하여 개별관광객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로 사용하는 데는 한계가 노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질적으로 제도에 대한 인식과 운영방식 자체를 바꿀 필요가 있다. 두 가지를 완전히 분리하여 별도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호텔 기업 복리후생제도가 인지적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호텔 경영형태의 조절효과

        조한진,이규태 한국호텔관광학회 2019 호텔관광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호텔 기업의 복리후생제도가 인지적 경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복리후생제도의 선행요인 및 호텔 경영형태에 따라 이들 영향관계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국내 호텔과 관련하여 복리후생제도 요인, 인지적 경영성과, 호텔 경영형태에 해당되는 속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속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6개 서울 시내 5성급 호텔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총 261부의 유효 설문지가 빈도 분석, 신뢰도 및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 복리후생제도의 하위요인인 자금지원, 시설운영지원, 생활지원, 문화지원 모두 인지적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금지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호텔경영형태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독립경영호텔은 시설운영지원과 인지적 경영성과 간 영향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호텔 기업은 경영성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구성원들의 복리후생제도의 적극적인 도입에 주안을 두어야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인지적 경영성과 향상을 위한 다양한 복리후생제도의 활용방안, 호텔 경영형태에 따른 복리후생제도의 활용을 다르게 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