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재혁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初等敎育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2014년 3, 4학년부터 실시될 예정인 2009 개정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영어과 교과서가 아직 출판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해서 이 연구는 현재 시행중인 2008 개정 교육과정의 정책 연구학교 운영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하였다. 이 정책 연구학교 운영은 2009-2010 기간에 수행되었는데, 본 연구자가 참여한 이 연구는 매우 방대한 자료를 담고 있어서 교실 수업 적용의 측면에서 일부 내용을 선정해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사실 2008,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기본 틀을 공유하고 있다. 이 두 교육과정은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시수, 평가 등에서 핵심 내용이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2008 개정 교육과정 운영으로부터 새로운 개정 교육과정 운영 방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것도 유의미한 일이라고 사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16개 초등학교에서 교사 307명, 학부모 1,916명, 학생 2,087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및 면담 분석으로부터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주제어: 영어과 교육과정, 초등영어
비가인가, 찬가인가? – 릴케의 『두이노의 비가』에 대한 소고
김재혁 한국독어독문학회 2022 獨逸文學 Vol.63 No.2
Dieser Artikel zielt darauf ab, Rilkes <<Duineser Elegien>> aus ihrem biographischen Kontext zu lösen und sie als Bühne mit einem darauf agierenden poetischen Sprecher zu sehen und zu untersuchen, ob es sich bei der Aufführung, die dort präsentiert wird, um eine Elegie, wie der Titel vermuten lässt, oder um eine Hymne handelt. Zuerst werden Haltung und Sprechweise des lyrischen Ichs untersucht, und die verschiedenen Satzzeichen, die der Dichter dem lyrischen Sprecher zuordnet, werden dem Kontext entsprechend als eine Handlungsanweisung interpretiert, um so zwischen der elegischen und der hymnischen Stimmung unterscheiden zu können. Dadurch kann gezeigt werden, dass die Interpunktion einen schön klingenden Akkord erzeugt, indem sie als Träger der Nachricht enge Beziehungen zu elegischen oder hymnischen Tönen hat. Die sogenannte menschliche Vergänglichkeit und das eng begrenzte menschliche Bewusstsein bringen das lyrische Ich dazu, Elegien zu singen. Aber diese menschliche Schwäche wird zur Quelle einer Dynamik, die sich in eine Hymne verwandelt. Dies lässt sich daruf zurückführen, dass das lyrische Ich als ein von der Körperwelt und Zeit abhängendes, also vergängliches Wesen die poetische Fähigkeit besitzt, flüchtige Objekte der Erde sprachlich zu erfassen, sie zu singen und sie in einen unsichtbaren, d.h. geistigen Zustand zu transformieren. Bei diesem Vorgehen unterstützen Satzzeichen die Gedanken des poetischen Sprechers und fügen der Sprache gewissermaßen Fleisch hinzu, die eine elegische Atmosphäre der Vergänglichkeit oder eine hymnische Atmosphäre der Überwindung auf der Seite des lyrischen Ichs schafft. Wenn man alles, was oben erörtert wurde, in Betracht zieht, kann man daraus endgültig folgern, dass Rilkes <<Duineser Elegien>> ‘Elegien, die Hymnen in sich halten’, sind. 이 글은 릴케의 『두이노의 비가』를 전기적 맥락과 분리하여 시적 화자를 주인공으로 하는 하나의 무대로 보고 거기서 벌어지는 공연의 내용이 제목대로 비가인지, 아니면 찬가인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시적 화자의 자세와 언술 방식을 고찰해보고, 시인이 시적 화자에게 제시하는 다양한 문장부호들을 하나의 행동 지시로 보아 맥락에 따라 해석함으로써 비가적 분위기와 찬가적 분위기를 구별해낸다. 이로써 문장부호가 메시지의 전달자로서 비가적 또는 찬가적 음조와 관련되면서 풍부한 화음을 조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적 화자에게 비가를 부르게 하는 인간의 무상성과 의식의 한계가 오히려 찬가로 바뀌는 역동성의 근원이 되는 것은 시적 화자의 깨달음에 있다. 지상의 덧없는 사물들을 노래하여 변용할 수 있는 시적 능력이 자신에게 있음에 대한 깨달음이다. 이때 문장부호는 시적 화자의 생각을 받들어주며 무상성의 비가적 분위기와 극복의 찬가적 분위기를 자아내는 언어에 살을 붙여준다. 흐름과 내용으로 보아 릴케의 『두이노의 비가』는 ‘찬가를 속에 품은 비가’라고 정의할 수 있다.
선박 블럭 내부 도장 전처리작업의 자동화를 위한 기구부 연구
김재혁,신성철,김수영 대한조선학회 2012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2 No.5
선박건조 공정 중 이중선체 블록 내부 작업의 경우, 생산성이 현저하게 낮은 작업구역 중의 하나이다. 특히, 광범위 작업을 해야 하는 도장작업은 매우 어려운 여건 속에서 생산활동을 유지해 나가고 있으나, 조선소 직종 중 가장 자동화가 미흡한 분야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 블록 내부의 도장 전처리작업의 자동화장비 제작을 위한 초기 단계로써 시스템의 지지 및 구동에 관여하는 기구부의 개념설계에 대한 제한조건 탐색, 요구기능 선정, 주요 치수 선정의 절차로 기구부의 개념설계안을 제시하고 추후 연구에 필요한 세부과제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Determination of SCFAs in Food Wastewater using HS-SPME
김재혁,김현욱 한국환경분석학회 2013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Vol.16 No.2
In this study, we identified short chain volatile fatty acids (SCFAs) in wastewater using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HS-SPME) coupled to gas chromatography (GC) analysis. Among three different SPME coatings, (i.e., 85 μm Polyacrylate (PA), 75 μm Carboxen/Polydimethylsiloxane (CAR/PDMS) and 30/50 μm Divinylbenzene/Carboxen/Polydimethylsiloxane (DVB/CAR/PDMS)), 75 μm CAR/PDMS fiber was chosen since it showed the most successful extraction of Acetic acid (AA) and Propionic acid (PA). The optimal extraction and quantification conditions for the fiber such as extraction time and temperature, desorption time and temperature, agitation speed, sample volume and headspace/aqueous ratio also have been determined. The resulting calibration curve for each analyte showed good linearity (R2: 0.997~0.999) over the range from several ppbv to ppmv except for AA (R2: 0.986), low method detection limit, and good reproducibility in the quantification of the SCFAs. The developed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SCFAs in extracted liquid from food waste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developed method were comparable to those from the method using GC with direct liquid injection. However, the distillation method underestimated the total SCFAs (C2~C6 acids)especially when C2~C6 acids were at high levels.
영어로 진행하는 초등영어 수업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신념
김재혁 영상영어교육학회 2007 영상영어교육 (STEM journal) Vol.8 No.1
A substantial body of research has examined how teachers perform when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TETE), but there has been very little research on what beliefs student-teachers who are yet to 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have about TETE. Henc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beliefs student-teachers have about TETE in elementary school. In particular, it attempts to explore what student-teachers think about TETE, how they perform in TETE during their practicum, and what variables affect their beliefs and performance on TETE. To this end, a set of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and distributed to 141 student-teachers, 122 experienced teachers and 420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revealed that half of the student-teacher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ETE. In contrast, experienced teachers were observed to be more reluctant to teach English in English than pre-service teachers, with about 37% responding positively to TETE. The major variables which affect student-teachers's beliefs about TETE were found to be children's weaker-than-expected response to TETE, supervising teachers' reluctance to carry out TETE, and lack of various TETE materials and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