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소비자전망지수의 경제예측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조하현,황선웅 한국은행 2009 經濟分析 Vol.15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비자전망지수의 세분화된 자료에 다양한 예측기법을 적용하여 그 중 어떠한 방법이 가장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지를 분석한다. 예측대상 변수로는 산출, 소비, 고용, 물가, 금리 변수를 고려한다. 정보변수로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26개 그룹으로 세분화된 소비자전망지수를 고려한다. 예측기법으로는 전통적인 ARDL 방법뿐만 아니라, 단순 예측결합방법, 할인MSFE 가중평균법, 베이지안 모형평균법, 정보기준 가중평균법, 클러스터 결합방법, 주성분기법 등을 고려한다. 분석 결과 소비자전망지수가 거시경제 변수들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클러스터 기법이 해당 지표의 활용도를 높이는 최선의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클러스터 기법 중에서는 클러스터별 가중치를 OLS로 추정하는 방법과 이를 베이지안 기법으로 수축하는 방법이 가장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Different consumers may form different expectations about future economic conditions. Therefore we need to combine individual forecasts rather than relying a single forecast from a particular consumer group.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relative performances of several combination methods in predicting economic variables such as output, consumption spending, employment, unemployment rate, price level, and interest rate, using disagregated data for the consumer expectations. In addition to the principal component method, we consider forecast combination methods based on simple averaging, discount MSFE, Bayesian shrinkage, information creteria, and clustering. We find that consumers' expectation indexes are useful to predict most of the economic variables we consider. We also find that the combination methods based on clustering outperform other forecasting methods, especially when the weight of each cluster is determined using ordinary least squares estimation or Bayesian shrinkage techniques.

      • 비분리노동모형과 한국의 경기변동

        조하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3 延世論叢 Vol.29 No.1

        Real Business Cycle Models, which put emphasis on the propagation mechanism of exogenous shocks,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U.S. economy. In case of Korea, Ha-Hyun Jo(1991) estimated a Time-to-Build-Technology model of Kydland-Prescott(1982) and had similar results. In K-P model, and economic agent could choose any amount of labor time in order to maximize his life- time utility function subject to resource constraints. But, in reality, people have to work either full time or not at all. This fact results in a non- convexity of the consumption set. In order to apply the Second Welfare Theorem of Debreu(1964), we convexify the consumption possibility set by introducing lotteries which allow people to choose the probability of working rather than working hours, following Rogerson(1984). In order to estimate the Indivisible Labor model of Hansen(1985), I use the quarterly data of 1970 : I -1986 : IV. All time series data are seasonally adjusted, logged and detrended by the Hodrick-Prescott filter. In order to get analytical solution out of the non-linear first- order conditions, I used a quadratic approximation of the objective function around the steady-state values. By performing simulations, I found the mean standard deviations of output, consumption and capital stock from the Indivisible Labor model are comparable to the standard deviations of those series for the Korean economy. But the statistics for the employment and investment worked relatively poorly. Comparing these results with Jo(1991), I concluded that Time-to-Build-Technology model worked better than Indivisible Labor model in case of the Korean economy.

      • KCI등재

        시간분리 효용함수와 한국의 경기변동

        조하현 韓國計量經濟學會 1996 계량경제학보 Vol.7 No.-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과거의 여가와 노동행위가 현재의 효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비분리 효용함수(non-time separable utility function)를 사용하여 한국의 경기변동현상를 설명하는 것이다. 그 결과 산출량, 자본스톡, 소비는 비교적 잘 설명하였으나 노동시간 및 투자에 대한 설명력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볼 때 우리 나라의 경우 time-to build techonlogy 모형, 시간비분리 효용함수모형, 비분리노동보형의 순서오 한국 경기변동에 대한 설명력이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분리노동모형이나 시간비분리 효용함수모형은 미국과 같이 노동시간의 변동성이 큰 나라에서 시도되었으므로, 노동에 대한 현실 설명력을 높일 수 있었다. 반면에 한국의 경우에는 고용의 변동폭이 미국에 비해 크지 않으므로 비분리노동모형이나 시간비분리 효용함수모형의 설명력이 time-to-build모형에 비해 낮을 것을 예상할 수 있고 실증분석의 결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시간비분리적인 효용함수보다 시간 분리적인 효용함수를 한국 경제분석에 사용하는 것이 더욱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에너지빈곤층 추정 방법론 비교・정리 및 국내 에너지복지 정책에 대한 개선방안

        조하현,김해동 국회입법조사처 2020 입법과 정책 Vol.12 No.1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not only to review recent energy povertyindicators including the famous indicators but to provide the policyimplications. The methodologies and energy poverty indicators which havebeen proposed in various literature to measure and define energy povertyare a great deal of variety. There are two main approaches about theenergy poverty indicators, which are objective and subjective. Objectiveindicators are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generation that contributingto defining energy poverty and second generation. Also, in order to providepolicy implications for domestic, the authors review a selection criteriaof energy policies in Korea. This study suggests the ways to improvethe target selection of the energy policies so that narrowing the gap ofthose by including the energy efficiency and the residual income, anddistinguishing the energy poverty from the income poverty. 본 연구는 국내 선행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해외의 최신 에너지빈곤 추정 방법론을 정리하고, 기존 방법론과 비교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에너지바우처사업의수혜대상 기준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한다. 해외의 다양한 에너지빈곤 추정 방법론을 크게 ‘객관적 지표’, ‘주관적 지표’로 구분한다. 객관적 지표는 소득 및 에너지 지출액 등객관적 값을 통해 계산된 지표를, 주관적 지표는 설문응답자의 주관적 판단 기준을 통해계산된 지표를 의미한다. 객관적 지표는 에너지빈곤 지표를 처음으로 정립한 1세대 지표와 이후 거주공간 효율성 등 1세대 지표가 반영하지 못한 측면을 담고자 개발된 2세대지표로 분류한다. 그리고 국내 주요 에너지복지 정책인 에너지바우처사업의 수혜대상에대해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해외 지표를 통한 국내 복지정책의 대상에 대하여 에너지효율성 반영, 소득빈곤과 에너지빈곤의 구별, 잔여소득 반영 등 3가지 시사점을 제안함으로써 에너지복지 정책의 사각지대 완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소비의 시간에 걸친 대체탄력성 추정과 몬테칼로 실험 : 한국의 경우 (1979~1992)

        조하현 延世大學校經濟硏究所 1996 延世經濟硏究 Vol.3 No.2

        본 연구는 시간에 걸쳐 분리적인 CES형태의 효용함수를 사용하여 효용극대화를 시도한 결과로서 오일러방정식을 도출하여 시간선호율과 상대적 위험기피도 및 시간에 걸친 대체탄력도의 크기를 추정하고 몬테칼로 실험을 원래의 모수추적을 사용된 모형의 적합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청정개발체제(CDM)의 기술이전: 장애요인과 정책제언

        조하현,엄이슬 국회입법조사처 2015 입법과 정책 Vol.7 No.2

        본 연구는 청정개발체제(CDM) 기술이전의 촉진요인과 장애요인을 판별하고, 각 주체별 정책적 개선방안과 입법방안을 제시한다. 기술이전을 동반한 CDM사업은 탄소감축효과를 높이고, 개도국의 지속가능발전을 지지하므로 특히 개도국의 탄소배출급증이 문제가 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적절한 해결책이 된다. 그러나 저조한 상업적 활용성, 정보부족, 자본접근성 부족, 빈약한 제도적 기반, 개최국의 낮은 기술수용력 등은 기술이전의 장애요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 개도국 정부는 감세 등 재정적인 인센티브를 통해 친환경기술의 수익성을 높이고, CER발급 모니터링을 통해 발급불확실성을 줄여야한다. 한편, UNFCCC는 최적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보조금정책, CER할증정책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도국 정부의 정치, 경제, 사회, 환경, 기술제도 개선과 UNFCCC의 정보인프라 구축 등이 요망된다. 마지막으로, R&D와 교육을 통해 개도국의 기술수용력을 확충하여 기술이전을 촉진할 수 있다. 개도국은 선진국에서 이전된 기술의 개선 및 활용을 통해 이를 녹색성장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ccelerate or deter the technology transfer of the CDM and suggest the several policy proposals. There are 5 deterrence factors: low commercial viability, lack of information, lack of access to capital, weak institutional framework, low technology capability. To solve these problems, the host country’s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profitability of the environmentally sound technology and reduce the uncertainty of the CER issuing. Also, UNFCCC might use the subsidy policy and CER multiplying scheme to accelerate the technology transfer. Lastly, R&D and education are important to improve the technology capacity of the host country. By using these suitable remedies the technology transfer can be more fostered.

      • KCI등재

        탄소세가 GDP, 에너지사용량, 탄소배출량, 고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중배당가설을 중심으로

        조하현,남영진 한국경제통상학회 2022 경제연구 Vol.40 No.4

        환경세나 탄소세의 도입이 환경개선(1차 배당효과)뿐만 아니라 경제성장에도 긍정적인 효과(2차배당효과)를 준다는 이중배당가설에 대한 성립여부는 현재진행형인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이러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탄소세를 도입 및 시행하고 있는 국가들 중에서 탄소세를 도입한 연도와 탄소세의 수준 그리고 배출권거래제도 병행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9개국을 선정하여 패널분석을진행하였다. 추정과정에서는 2차 배당효과 중 ‘강 배당효과’로 알려진 환경세나 탄소세의 도입이 GDP나 고용을상승시키는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추정결과, 장기식에서는 1차 배당효과는 성립하였으나2차 배당효과는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1차 배당효과와 2차 배당효과가 모두존재하는 이중배당가설은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