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사증후군과 인슐린저항성 평가를 위한 시상복부 직경의 유용성

        이유현,정동욱,이정규,김윤진,이상엽,김영주,손한철,이하린,조영혜 대한가정의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2 No.1

        Background: We studied the association of sagittal abdominal diameter (SAD) and metabolic syndrome and insulin resistance in Korean adults. Methods: This is a cross-sectional study by 190 patient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of National University of Pusan from 11 November to 14 November, 2008. We analyzed the association of anthropometry (waist circumference,BMI, SAD), insulin resistance (homeostatic model assessment-insulin resistance, HOMA-IR), insulin sensitivity (quantitative insulin sensitivity check index, QUICKI),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glucose, insulin, total cholesterol,LDL, HDL, triglyceride. SAD was categorized into quartiles and assessed odds ratio of metabolic syndrome adjusted for age, sex, lifestyle factors. Results: SAD showed significance correlation to HOMA-IR than BMI. Quartiles of SAD showed a positive trend with metabolic risk factors including abdominal obesity, high blood pressure, HOMA-IR and obesity but hypertriglyceridemia,low HDL-cholesterolemia did not show significant association. In men QUICKI was significantly high. A multivariate model, adjusted for age, sex, smoking status, physical activity, heavy drinking, HOMA-IR and QUICKI, revealed a progressively increased odds ratio of metabolic syndrome, 3rd quartile (odds ratio [OR]; 9.467; 95% confidence interval [CI], 3.225 to 27.789; P < 0.001) and 4th quartile (OR, 7.253; 95% CI, 2.437 to 21.586; P < 0.001), with increasing SAD. Conclusion: As shown above, SAD was a strong anthropometric marker of insulin resistanc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decreased insulin sensitivity in Korean adults.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성인에서 시상복부직경의대사증후군 및 인슐린저항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11월 11일부터 11월 14일까지 부산의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190명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시상복부직경과 여러가지 대사요인 및 인슐린저항성(HOMA-IR), 인슐린 감수성(QUICKI) 지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나이, 성별, 생활습관인자를 보정한 후 시상복부직경의 사분위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이환에 대한 교차비를 조사하였다. 결과: 시상복부직경이 체질량지수와 비교하여 인슐린 저항성지표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시상복부직경이 증가할수록 대사위험인자 중 복부비만, 높은 혈압, 인슐린 저항성지표, 비만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중성지방혈증, 저고밀도콜레스테롤혈증은 유의성이 없었다. 남자에서 인슐린감수성 저하의 지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나이, 성별, 흡연, 음주, 운동, HOMA-IR, QUICKI 등을 보정하여 분석하였을 때 시상복부직경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교차비가 3rd quartile (odds ratios, 9.467; 95% confidence interval [CI], 3.225-27.789;P<0.001)과 4th quartile (OR, 7.253; 95% CI, 2.437-21.586;P<0.001)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시상복부직경은 한국인 성인에서 인슐린저항성, 인슐린 감수성 저하를 예측하고 대사증후군 위험을평가하는 강한 예측치임을 알 수 있었다.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위해 채취한 네 가닥 자가 슬괵건의 직경

        최준원,한상호,김유진,김종민,Choi, Jun-Weon,Han, Sang-Ho,Kim, Eu-Gene,Kim, Jong-Min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2

        목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이식물로 흔히 사용하는 네 가닥 자가 슬괵건의 직경의 분포를 조사하고, 직경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2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자가 슬괵건을 채취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66명 6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61명은 남자였고, 나머지 5명은 여자였다. 전 예에서 반건양건과 박건을 모두 채취하였고, 채취한 두 개의 건을 한 번 접어서 네 가닥의 이중 고리를 만든 다음 원통형 직경 측정기구에 통과시켜 직경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성별 나이, 신장, 체중 등의 변수와 슬괵건 이식물의 직경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네 가닥 자가 슬괵건 이식물의 직경은 최소 6 mm에서 최대 10 mm까지 분포하였다 직경이 8 mm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평균값은 $7.85{\pm}0.92mm$였다. 이식물의 직경이 6 mm로 지나치게 가늘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10.6%였다. 나이와 슬괵건 직경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성별, 신장 체중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여성의 경우 이식물의 직경이 작을 가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신장이나 체중이 작을수록 직경이 작은 이식물을 채취할 가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환자의 성별, 신장 그리고 체중은 자가 슬괵건 직경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가진 인자였다. 지나치게 가는 자가 슬괵건을 채취할 위험인자를 수술 전에 미리 인식함으로써,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시 적절한 이식물의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he diameter of four strand autologous hamstring tendon an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diamete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December 2004 and July 2006, 66 patients underwent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autologous hamstring tendon. Sixty one patients were male and the other 5 patients were female. Both semitendinosus and gracilis tendon were harvested in every case. Harvested two tendons were folded once together to create a four strand double loop graft and were passed through cylindrical sizer to measure their diameter. Parameters such as sex, age, height and weight were analyzed for their correlation with the diameter of the graft. Results: The diameter of the graft ranged from 6 mm to 10 mm. The graft with the diameter of 8 mm was most common and the average diameter of all the grafts was $7.85{\pm}0.92mm$. Seven patients (10.6%) had a graft with the diameter of 6 mm, which is considered too thin to be ideal on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ge of the patient and the diameter of the graft. However, the diameter of the graf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x, height and weight of the patient. Female patients had a significant tendency to have thinner hamstring tendons. Both small height and light weight of the patients were correlated with thinner hamstring tendons significantly. Conclusion: Sex, height and weight of the patients were the factors tha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iameter of the graft. Being aware of the risk factors related with harvesting exceedingly thin hamstring tendon prior to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one can utilize wide range of options in selecting an optimal graft.

      • SCOPUSKCI등재

        Computer System을 이용한 정상 관상동맥 조영 사진의 양적분석

        윤양구,박계현,최용수,김관민,전태국,김진국,심영목,박표원,채헌,Yun, Yang-Koo,Park, Kay-Hyun,Choi, Young-Soo,Kim, Kwhan-mien,Jun, Tae-Gook,Kim, Jhin-gook,Shim, Young-Mog,Park, Pyo-Won,Chae, Hur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5

        관상동맥 질환은 최근 발생빈도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고 사회적 관심이 많은 대표적 질환이다. 이와 동반하여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수술의 시술도 90년대들어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관상동맥 질환에 대한 외과적 시술시 수술의 시행 유무와 범위를 결정하는데 술전에 관상동맥의 상태를 검사하고 평가함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술전 관상동맥의 형태학적 검사 방법으로 관상동맥 조영술은 현재 매우 유용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관상동맥 조영사진을 분석함에 있어 객관적이고 양적인 자료를 얻는 측정 방법이 임상에 널리 이용되고 있지는 않다. 이에 저자 등은 computerized system(Arripro 35)을 이용하여 관상동맥 조영사진을 관상동맥의 분지, 우세성 및 직경등 형태학적으로 연구 분석하여 보고한다. 연구 대상은 본 삼성 서울 병원에서 1994년 9월부터 1996년 6월까지 22개월간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던 환자 경우중 형태학적으로 정상구조를 보인 174례의 관상동맥 조영사진을 대상으로 Arripro 35 system을 이용한 양적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좌주관상동맥의 직경은 4.45$\pm$0.79 mm이고, 분지는 2분지가 117례, 3분지가 50례, 4분지가 7례이다. 2) 좌전행지의 근위부 직경은 3.47$\pm$0.62 mm이고 중위부 직경은 2.79$\pm$0.52 mm이며 원위부 직경은 2.16$\pm$0.39 mm이다. 사행지는 평균 1.99$\pm$0.88개가 분지되었고 2개가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범위는 0에서 4개였다. 3) 좌선회지의 근위부 직경은 3.17$\pm$0.61 mm이며 원위부 직경은 2.19$\pm$0.55 mm이다. 둔각 변연지는 평균 2.16$\pm$1.10개가 분지되었고 2개가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범위는 0에서 6개였다. 4) 우관상동맥의 근위부 직경은 3.51$\pm$0.69 mm이고 원위부 직경은 2.93$\pm$0.68mm이며, 후측분지의 직경은 2.30$\pm$0.48 mm이고 후하행지의 직경은 2.09$\pm$0.48 mm이다. 5) 우측 우세성이 163례(93.68%)이고 좌측 우세성은 11례(6.23%)로 우측 우세가 절대적으로 많았다. 우관상동맥에서 분지되는 예각 변연지는 직경이 1.5 mm 이상으로 유의할만한 크기로 분지되는 경우가 89례(51.15%)였다. 관상동맥 우회로술시 완전 재관류을 위해서는 우측 예각 변연지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preoperative evaluation before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review of the coronary arteriogram is the most important step. Expected "normal" lumen diameter at a given coronary anatomic location is a basis for quantative estimation of coronary disease severity that could be more useful than the traditional "percent stenosis". The distribution and number of major coronary artery branches are determinants of number of bypass grafts needed. We reviewed the coronary artery anatomy in 174 adult patients who revealed no coronary pathology in angiographic studies done from September 1994 to June 1996. Quantative analysis was done in all cases by a single person using a Computerized System (Arripro 35ⓡ). The results were follows; 1) The mean diametre of left main coronary artery was 4.45 mm(range 2.74~6.72). The pattern of branching was bifurcation in 67.24%, trifurcation in 28.74% and quadrifurcation in 4.02% of the patients. 2) The mean diametre of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was 3.17 mm(range 2.10~5.85), 2.79 (range 1.55~5.59) and 2.17 mm(range 1.37~3.81) in the proximal, mid, and the distal portions, respectively. The number of diagonal branches of left anterior artery was from one to four(mode=2). 3) The mean diametre of proximal and distal left circumflex artery were 3.17mm(range 1.74~4.89) and 2.19 mm(range 1.21~4.46). The number of obtuse marginal branches of left circumflex artery is from one to six(mode 2). 4) The mean diametre of proximal and distal right coronary artery, the posterior descending artery and the largest posterolateral branch were mean 3.51 mm(range 2.07~5.67), 2.09 mm (range 1.42~3.60), 2.09 mm(range 1.02~3.60) and 2.30 mm(range 1.39~4.39). 5) The right coronary artery dominant was 163 cases(93.68%) of the total 174 cases. 6) The large significant acute marginal artery was visualized in more than half of the people. half of the people.

      •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의 소나무 내 분포와 우화

        유황빈,이동운,정영학,추호렬,박정규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0

        본 연구는 2006년과 2007년에 경남 진주의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임지 내에 있는 고사목을 대상으로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의 기초 생태를 연구한 결과이다.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유충의 소나무 내 분포와 소나무의 직경에 따른 솔수염하늘소 유충의 침입공수, 우화수, 우화율, 자연치사율을 조사하였다. 소나무 직경별에 따른 솔수염하늘소 유충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최소직경은 2.0 ㎝이었으며 최대 직경은 31.5 ㎝였다. 5~10 ㎝ 사이의 직경에서 가장 많은 수의 침입공이 분포하였고, 가장 적은 수가 분포하는 직경은 30 ㎝ 이상이었으며, 솔수염하늘소가 가장 많이 우화한 직경도 5~10이었다. 각 직경별 솔수염하늘소 우화율은 직경 5~10 ㎝에서 13.5%로 가장 높았다. 조류에 의해 유충이 포식 된 수가 가장 많은 소나무의 직경은 10~15 ㎝로 14.4%의 유충이 소실되었고, 조류에 의해 피해를 입지도 않고 우화하지도 않은 자연 치사된 비율은 71.3%였다. 소나무 수고에 따른 솔수염하늘소 유충의 침입공 분포는 6~7m에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직경에 따라 수고와 상관없이 소나무전체에 분포하기도 하였다.

      • 코어 직경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의 부착강도 변동성 분석

        정윤석 ( Chung Yoonseok ),정우탁 ( Jung Woota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코어직경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의 부착강도 변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코어직경 50mm 부착강도 13개 데이터와 코어직경 75mm 부착강도 17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부착강도의 평균값을 비교하면 코어직경 75mm의 값이 코어직경 50mm의 값에 비해 10.5% 정도 크게 나타났으며, 코어직경에 따른 부착강도의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값을 비교·분석한 결과 코어직경 75mm의 변동계수가 모든 시험 회차에서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코어 직경에 따른 부착강도의 변동성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코어직경 75mm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교정용 선재의 직경 증가를 위한 전기도금법과 무전해도금법의 비교연구

        김재남,조진형,성영은,이기헌,황현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는 교정용 선재의 직경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무전해도금법의 이용 가능성 여부를 전기도금법과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0.016 인치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용 선재에 도금을 위한 전처리를 시행한 후, 시중에 판매되는 무전해니켈도금액(Hessonic-Gr, 신풍금속, 한국)을 사용하여 90℃ 온도에서 0.018 인치 직경이 될 때까지 도금을 시행하였다. 무전해도금 과정 중 시간에 따른 직경증가율을 구하는 한편, 도금 후 세 지점의 직경을 계측하여 균일성을 평가하였다. 도금 금속의 정성분석을 위하여 X-선 회절분석을 시행하는 한편, 물성검사를 시행한 후 전기도금한 경우와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무전해도금한 군이 전기도금을 시행한 군보다 강성, 항복강도, 극한강도 모두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강성과 극한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 < 0.05). 또한 무전해도금한 군의 직경증가율은 0.00461 ± 0.00003mm/5min (0.00092mm/min)로, 전기도금한 군의 직경증가율 0.00821 ± 0.00015mm/min와 차이를 보였다. 도금 후 세 지점의 직경을 계측하여 균일성을 평가한 결과, 두가지 도금법 모두에서 균일한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무전해도금법을 통해 직경이 증가된 선재가 전기도금법에 의해 직경이 증가된 선재보다 기존의 선재와 가까운 물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의 임상적 적용을 위해서는 도금시간의 감소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lectroless plating as a method of increasing the diameter of an orthodontic wire in comparison with eletroplating. After pretreatment plating of the 0.016 inch stainless steel orthodontic wire, electroless plating was performed at 90℃ until the diameter of the wire was increased to 0.018 inch. During the 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the diameter of the wire was measured every 5 minutes to examine the increasing ratio of the wire's diameter per time unit. And to examine the uniformity, the diameter at 3 points on the electroless-plated orthodontic wire was measured. An X-ray diffraction test for analyzing the nature of the plated metal and a 3-point bending test for analyzing the physical property were performed. The electroless-plated wire group showed a increased tendency for stiffness, yield strength, and ultimate strength than the electroplated wire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r stiffness and ultimate strength. In the electroless-plated wire group, the increasing ratio of the diameter was 0.00461 ± 0.00003 mm/5 min (0.00092 mm/min). In the electroplated wire group, ti was 0.00821 ± 0.00015 mm/min. The results of the uniformity test showed a tendency for uniformity in both the plating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lectroless plating of the wire is closer to the ready-made wire than electroplating wire in terms of the physical property. However, the length of plating time needs further consideration for the clinical application of electroless plating.

      • KCI등재후보

        전기도금을 이용한 스테인레스 스틸 선재의 직경 증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조진형,성영은,이기헌,황현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전기도금을 이용하여 교정용 선재의 직경을 증가시킨 후 그 물성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이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0.016 인치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용 선재에 전기도금을 위한 적절한 전처리를 시행한 후, 황상 니켈 100g/L, 염화니켈 60g/L, 붕산 30g/L, 염화나트륨 50g/L의 조성을 가지는 전해액을 제조하여 1.7V의 전압과 25∼29℃의 온도 3.1∼3.3pH의 조건 하에서 직경을 0.002 인치 증가시켜 0.018 인치 직경의 선재로 만들었다. 전기도금 과정 중 1분 단위로 직경을 측정하여 시간에 따른 직경 증가율을 구하였고, 도금 후 서로 다른 세 지점의 직경을 계측하여 균일성을 평가하였으며, 도금 금속의 정성분석을 위하여 X-선 회절감사를 시행하였다. 도금층의 밀착성 증진을 위해 400℃의 전기로에서 10분간 열처리를 시행한 후 도금 전후와 열처리 전후의 물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3점 굴곡 실험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반적인 하중-변형을 곡선을 보면 0.016 인치 군과 0.018 인치 군 사이에 도금 처리한 군이 존재하였으며 열처리한 경우가 0.018 인치 군에 더욱 가까워지는 양상을 보였다. 2. 도금에 의해 직경은 0.002 인치 증가시킨 군이 기존의 0.016 인치 군에 비하여 강성과 항복상도, 극한강도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 중 강성과 극한 강도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0.016 인치에서 도금에 의해 직경을 0.002 인치 증가시킨 준이 기존의 0.018 인치 군보다 강성과 항복강도 극한강도 모두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차를 보았다. 4. 도금 후 열처리를 시행한 군이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강성, 항복강도, 극한강도 모두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극한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5. 전기도금 후 서로 다른 세 지점의 직경차이는 0.1∼0.3%로 균일하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차가 존재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e clinical application of electroplating to increase diameter of an orthodontic wire, through examining the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The diameter of stainless steel orthodontic wire was increased from 0.016 inch to 0.018 inch by electroplating in a bath of nickel sulfate 100g/L, nickel chloride 60g/L, boric acid 30g/L, and sodium chloride 50g/L, under the conditions of 1.7V, 25∼29℃, and 3.1∼3.3pH. During the electroplating, the rate of diameter increase was measured every minute. To investigate uniformity, the diameter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nature of the electroplated metal. Following heat treatment to improve adhesion between the wire and electroplated metal, a three-point bending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stiffness, yield strength, and ultimate strength among four wire groups; 0.016 inch, electroplated 016, electroplated and heat-treated 016, and 0.018 inch wires. Through the comparison of each wire group,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the load-deflection graph, the curve of the electroplated group was places between that of the 0.016 inch group and the 0.018 inch group, and the curve was closer to the 0.018 inch group by heat treatment. 2. In the electroplated and heat-treated 016 wire group, the values of stiffness, yield strength and ultimate strength showed higher tendency than in the original 0.016 inch group. Stiffness and ultimate strengt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3. Stiffness, yield strength, and ultimate strength of electroplated wire presented lower values than those of 0.018 inch wire group. 4. Stiffness, yield strength, and ultimate strength of electroplated and heat-treated wire showed higher tendency than those of electroplated wire group, and ultimate strengt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5. After electroplating, the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three locations was within 0.1∼0.3% variation, and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 KCI등재

        금강소나무 1영급 천연임분과 인공임분의 직경별 뿌리발달

        나성준,김정환,이도형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root diameter class between natural and planted stands of one-age class in Pinus densiflora for. eracta in Gangwon. Root development presented that 0.5-2.0 mm diameter class was large part in total root number and length but 0.5-2.0 mm diameter class have a low distribution in each stand. Below 5.0 mm diameter class between natural and planted stands observed outstanding natural stand more than planted stand, but reverse over 5.0 mm diameter class. Root development depending on soil level of vertical and horizontal was presented various natural stand more than planted stand because root distribution of planted stand was concentrated low soil level in 10 cm of soil depth and 20 cm of soil horizontal layer. We can understand that the root distribution presented different between natural and planted stand, therefore this result can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correct of outplanting. 본 연구는 강원지역 1영급 금강소나무를 대상으로 천연임분과 인공임분간의 직경별 뿌리의 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직경별 뿌리분포는 두 임분 모두 0.5-2.0 mm 직경급의 뿌리가 가장 많았고, 10.0-20.0 mm 직경급의 뿌리가 가장 적었다. 두 임분간 직경별 뿌리발달에서 5.0 mm 이하의 직경급은 인공임분이 천연임분보다 우수하였지만, 5.0 mm 이상의 직경급 발달은 천연임분이 더 우수하였다. 토양층위별 뿌리의 직경별 발달은 천연임분이 인공임분보다 다양한 토양층위에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인공임분은 5.0 mm 이하의 직경급이 토심 10 cm, 토양 수평층위 20 cm 범위 내에 편중되어 발달하였다. 따라서 임분 성립방법의 차이는 뿌리발달의 현저한 구조적 차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인공조림 시 올바른 식재방법과 조림지침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고려 왕릉의 봉분 형태

        권두규(Kwon Du - Gyu) 한국중세고고학회 2019 한국중세고고학 Vol.- No.5

        고려시대 왕릉의 봉분 형태를 파악하고자 능의 직경을 분석하였다. 능은 왕릉과 왕후릉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재위왕릉·추존왕릉·폐위왕릉으로 구분하였으며, 능주(綾州)가 확인된 왕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재위왕릉의 봉분의 형태 중에 가장 특징적인 것은 병풍석으로, 높이는 3단 양식이며 평면 형태는 12각이다. 그 면석에 왕을 상징하는 십이지신상을 새기고, 난간석을 둘렀다. 추존왕릉은 후대의 붕괴나 훼손으로 인해 크기가 줄었지만 직경이나 형태가 왕릉과 거의 같다. 폐위된 왕릉은 직격이 5.3~6.3m로 재위왕릉에 비해 작고, 3단 병풍석이 없는 8각 1단 장대석 호석이거나, 호석이 없는 원형분이다. 난간석은 설치되었지만 후대에 산실된 것으로 보이며 십이지신상은 없었다. 왕후릉과 추존왕후릉은 왕릉과 형태상 차이가 없다. 폐위된 왕후릉은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지만 폐위된 왕릉과 같은 형태로 추정된다. 폐위 왕릉과 왕후릉은 난간석을 둘렀지만 호석은 8각형으로 왕을 상징하는 12지신상은 새기지 않았다. 그리고 세자빈의 능인 가릉(嘉陵)의 경우 병풍석이 8각형의 1단 장대석으로 폐위된 왕과 같은 형태이지만, 봉분의 직경이 폐위된 왕보다 더 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로보아 호석은 왕이 12각, 폐위왕과 세자빈이 8각, 관인이 4각으로, 신분에 따라 서열화 된 것을 확인하였다. 봉분의 직경 크기를 기준으로 4기로 구분할 수 있다. I기는 태조부터 현종 시기로 직경이 대부분 10m이다. II기는 문종 경릉에서 신종 양릉 시기이다. 문종 경릉부터직경이 8m로 작아지는데, 이는 현종 이전에는 제1비가 부왕(夫王)과 합장되어 능호가 없었으나, 현종의 모친부터 단독장이 되고 능호가 부여되기 시작한 것을 하나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 III기는 강화도에 천도한 시기로, 희종 석릉에서 고종 홍릉까지이다. 능의 형태는 개경의 능과 차이가 없지만 병풍석은 I단 장대석으로 작아졌으며, 능의 직경도 또한 3.7m로 작아졌다. IV기는 개경으로 환도한 이후로, 원종 소릉부터 공민왕 현릉 시기이다. 왕릉이 점차 커져 공민왕 현릉에 이르러서는 직경이 13.7m가 되었다. In this article, we identify the form of the royal tombs of the Goryeo Dynasty and period was distinguished based on diameter(直徑) of burial mound(封墳). The royal tomb is divided into king and queen, and honored and dethroned. The research was focused on the clearly confirmed royal tomb. The form of burial mound of the royal tombs belongs to reigned is a twelve-sided screen slabs(屛風石), which was engraved with a Twelve Animal Deities(十二支神像), and stone railing(欄于石) around it. The diameter of reigned and honored royal tomb are 10m, shape and size are equal too. But some of honored royal tomb collapsed or destructed by later generations. Royal tomb of dethroned king has 5.3 to 6.3m diameter which is smaller than reigned royal tomb. There is only one or zero large 8-sided stone slabs(around the base of a large tumulus) instead of twelve-sided screen slabs which shaped as circle tomb. Stone railing was constructed but there are no twelve animal gods. And the Royal tomb of the queen and honored queen has same size and form. Royal tomb of dethroned queen is presumed to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s te royal tomb of dethroned king which has not been confirmed yet. And the shape of the Gaeneung(嘉陵) which is the name of royal tomb for crown princess is the same form as the dethroned king that has 8-sided stone slabs, but the difference is bigger diameter of the tomb for crown princ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royal tombs has shown as the numbers of the sided surface of the stone slabs 12 for reigned king, 8 for dethroned king and crown prince, 4 for government of officer according to rank. The royal tombs of the Goryeo Dynasty can b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diameter of the burial mound. The period I is from the Taejo(太祖) to the Hyeonjong(顯宗) period, and the diameter of the royal tomb is 10m. Period Ⅱ is from Munjong(文宗) to Sinjong(神宗), and from Gyeongneung(慶陵) of Munjeong, the diameter of royal tomb for king is reduced to 8m, the reason can be find in that before the pre-Hyeongjong period the royal tomb of first queen was merged with the her own king, but from the royal tomb for the mother of Hyeongjong got the name of it. The Ⅲ period is a period when Ganghwa-do(江華島) is the capital city, and it is the time of Kojong(高宗) Hongneung(홍릉) in the Seokneung(碩陵) of Huijong(熙宗). The form of the royal tomb is not different from the capital city kaekyung(開京), but the only differences are one big stone slab and diameter which was reduced to 3.7m. Period IV is from the Wonjong(元宗) to the Gongminwang(恭愍王) period, return to capita city kaekyung. As the royal tomb gradually grew, it reached a diameter of 13.7m when it reached the Gongmin King period.

      • KCI등재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한 흉부대동맥의 직경

        이건,임창영,이헌재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1

        Background: Background: Computed tomography (CT) is the main tool for detecting abnormalities of the thoracic aorta, but conventional CT only shows the cross-sectional images. These CT images have some limitations fo accuratly measuring the thoracic aortic diameters at various levels.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overcomes these limitations. We measured the thoracic aortic diameter perpendicular to the loop-shaped thoracic aortic course and this was studied in relation to age, gender, height, weight, the body surface area, the body mass index and the presence of hypertension. Material and Method: Thirty hundred thirty one patients (males: 141 patients and females: 190 patients) who had no abnormalities of the thoracic aorta were investigated using MDCT aortography.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age categories: 20∼39 years old, 40∼59 years old and over age 60. The image was reformed with multiplanar reconstruction and the diameter of the aorta was measured perpendicular to the aortic course at 5 anatomic segments. Level A was the mid-ascending aorta, level B was the distal ascending aorta, level C was the aortic arch, level D was the aortic isthmus and level E was the mid-descending aorta. Result: The mean age was 49.5 years old for males and 54.9 years old for females (p<0.05). The mean diameter of the thoracic aorta at level A was 31.1 mm, that at level B was 30.2 mm, that at level C was 26.5 mm, that at level D was 24.0 mm and that at level E was 22.6 mm. The diameters at all the levels were gradually increased with age. Hypertensive patients had larger diameters than did the non-hypertensive popula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scending aortic diameter (levels A&B) and height and the body surface area,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at the aortic arch (level C) and the descending aorta (levels D&E).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the weight and body mass index at all levels. Conclusion: The diameters of the thoracic aortas were directly correlated with gender, age and hypertension. Height and the body surface area were only correlated with the ascending aorta. Weight and the body mass index have no statistical difference at all levels. We measured the age related thoracic aortic diameters and the upper normal limits and we provide this data as reference values for the thoracic aortic diameter in the Korean population. 배경: 전산화 단층촬영은 흉부대동맥의 이상소견을 진단하는데 매우 중요한 수단이다. 그러나 재래의 전산화 단층좔영은 단면적인 영상만을 볼 수 있어 여러 부위의 대동맥 직경을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촬영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진단기기로 이를 이용하여 곡선으로 된 흉부대동맥의 직경을 주행방향과 직각으로 측정하여 연령, 성별, 키와 몸무게, 체표면적과 체질량지수, 고혈압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촬영 장비를 이용하여 대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환자 중 특별한 대동맥 질환이 없는 것으로 판독된 환자 3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가 141명이고 여자가 190명이었다. 이들을 연령별로 20∼39세, 40∼59세, 60세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대동맥의 직경은 다면상으로 재구성한 단면에서 대동맥 주행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측정하였으며 상행대동맥의 중간(level A), 원위부 상행대동맥(level B), 대동맥궁(level C), 대동맥 협부(level D), 하행대동맥의 중간(level E)의 다섯 군데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환자의 평균연령은 남자가 49.5세이고 여자가 54.9세였다. 대동맥의 평균직경은 level A가 31.1 mm, level B가30.2 mm, level C가 26.5 mm, level D가 24.0 mm, level E가 22.6 mm였다. 대동맥의 직경은 나이에 비례해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고혈압 환자가 정상인보다 대동맥의 직경이 크게 나타났다. 키와 체표면적에 따른 차이는 상행대동맥에서 유의하게 나타났고 대동맥궁과 하행대동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모든 부위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흉부대동맥의 직경은 성별과 나이, 고혈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키와 체표면적은 상행대동맥에만 차이를 보였고 하행대동맥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모든 부위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이 없는 정상인에서 연령별 대동맥 직경의 표준값과 정상한계값을 측정하였고 이를 한국인의 흉부대동맥 직경의 참고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