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중세고고학 연구와 문헌사료의 활용

        김광철(Kim, Gwangcheol) 한국중세고고학회 2017 한국중세고고학 Vol.- No.2

        중세고고학이라는 용어와 그에 대한 이해도 이제 한국 고고학계와 역사학계에서는 어느 정도 익숙해진 것 같다. 그동안 중세고고학이라는 이름으로 그 연구의 필요성, 중세사학과 고고학의 소통과 융합을 강조해온 결과이다. 더욱이 한국 중세고고학 기초자료가 데이터베이스화되고 관련 연구 성과를 정리한 『한국 중세고고학 자료집성』이 간행됨으로써 중세고고학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다. 분묘유적, 성곽유적, 사원유적, 도자 연구 중심으로 고고학적 연구에서 문헌사료 활용의 양상을 검토한 결과, 전체적으로 문헌 사료 활용의 빈도가 높지만, 성곽유적 연구에서 사료의 활용 빈도가 가장 높고, 분묘연구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물론 연구 분야에 따라 문헌사료 확보량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중세고고학 연구에서 문헌사료의 활용방법은 사료를 먼저 제시하고 유적, 유물의 분석에 들어가는 유형과 분석과 해석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사료를 제시하는 유형이 있다. 문헌사료의 활용은 고고학 연구 분야에 따라 그 방법이 다르겠지만, 현황과 배경 서술에서 많이 활용되고, 해석의 단계에 해당하는 성격과 특징, 그리고 변화상을 조명하는 데에 관련 사료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중세고고학 연구에서 문헌 사료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며, 역사학과 서로 소통하고 융합하는 것은 연구 성과의 질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문헌사료의 활용과 중세사학과의 통섭이 본래의 고고학적 연구방법에서 벗어나거나 왜곡하는 것으로 되어서는 안 된다. 문헌사료를 폭넓게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라 하더라도, 문헌사료의 입을 빌어 말하는 것이 아니라 유적 유물 등 물질자료 스스로 말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문헌사료의 역할은 물질자료 스스로 말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조언하는 선에서 그쳐야 한다. The term and understanding of medieval archeology is now somewhat familiar to Korean archaeologists and historians. It is the result of the emphasis on medieval archeology, the necessity of its research, mediation of medieval history and archeology, and its convergence. Furthermore, the Korean medieval archaeological data collection has been published and the results of the related research results have been published, thus creating the conditions for the medieval archaeological research to be revitalized. The number of medieval archaeological research results in Korea is 1,095 by 2011, and the number of research results for 6 years from 2012 to 2017 is 596.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medieval archeology seems to be led by the study of porcelain only by quantity. The next active area of research is the study of tombs. In the archaeological study, the utilization of th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was examined in the research of tombs, castle ruins, temple ruins, and ceramics. Although the us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as a whole is high, the study of castle ruins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nd the us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in the study of Grave Relies is relatively low.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are often used to describe current status and background, and are actively using related diets to analyz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order to utiliz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effectively, it is first required to secure a large amount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of the Goryeo period, and to classify and sort them by field. Next, when using th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criticize the historical materials. In medieval archaeological research, the utilization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is very important, and communicating and converging with history is a way to enhance the quality of research results. However, the use of medieval texts and the mediation of medieval studies should not be deviated from or distorted from the original archaeological methods. Medieval archeology is not a medieval history but an archeology, and the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as archeology must always be maintained. Even if it is desirable to utilize a wide rang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it should be possible to talk about material artifacts of the relics, not the mouths of documents. The rol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abandoned in a line that guides and advises the material data on its own.

      • KCI등재

        호남지역 고려사지의 가람배치와 조영적 특징

        조원창 한국중세고고학회 2022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2

        In the Honam area, while there are temples that have continued since its foundation, such as Gurye Hwaeomsa Temple, Yeongoksa Temple, Haenam Daeheungsa Temple, Namwon Silsangsa Temple, and Gimje, Geumsansa Temple but there are also considerably temple sites that have been handed down. Among them, the Goryeo temple sites representing the Honam area are Hwasun Unjusa Temple Site, Namwon Manboksa Temple Site and Silsangsa Temple Site, Gangjin Wolnamsa Temple Site and Wando Beophwasa Temple Site. Also, The traces of Goryeo Temple Site can be seen in various places in Iksan, Mireuksa Temple Site, but it was excluded from the paper in that it was found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re are various characteristics in the layout of Buddhist temple of Goryeo temple site in Honam area. The first is diversity. In other words, there are Pattern of Single Pagoda-Image Hall (one pagoda with one image hall), Two Pagoda- Image Hall (two pagodas with one image hall), Single Pagoda-Two Image Hall(one pagoda with two image halls), Single Pagoda- Three Image Hall (one pagoda with thee image halls) and No pagoda. In addition, the change of status through the location of the stone lantern, and among the three main temples, the use of the western part of the temple as a main Buddhist Temple, rather than the middle of the three temples, are characteristic elements that can not be foun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 Unification Silla period. Second, it is a large fence that can be seen in Wando Buddhist temple site. This can be judged by the fact that the outskirts of the temple is surrounded by a perfect square, which implies the history, functionality, and religiosity of the Goryeo Dynasty's War against the Mongolian Invasion, which can not be seen in the Buddhist temple site of the previous period. In particular, the fence, which is about 120-150cm, is so large that it is difficult to see it in other Goryeo temple sites.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 Temple Site in Honam area can be seen in Hwasun Unjusa Temple Site (Yonggang-ri Building site). This was identified as a Won<chamber院> in the late Goryeo Dynasty compared to the previously excavated ruins of Oeseonmi-ri in Uljin. In addition, there are considerably Goryeo temple sites in Honam area. However, most of them are limited to only a few part of the investigation, such as Yeongam Saja Temple Site, so it is not possible to examine the detailed the layout of Buddhist temple. Therefore, it is not easy to grasp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uddhist temple site, there are many things to think about at the excavation site than other ruins. In this regard, architectural archaeological participation is urgently required. 호남지역에는 구례 화엄사나 연곡사, 해남 대흥사, 남원 실상사, 김제 금산사 등과 같이 창건 이후 법등이 이어져 내려오는 경우가 있는 반면, 사지로 전해오는 것들도 적지 않다. 그 중에서 호남지역을 대표하는 고려사지로는 화순 운주사지, 남원 만복사지·실상사지, 강진 월남사지, 완도 법화사지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익산 미륵사지의 경우도 고려사지의 형적을 여러 곳에서 볼 수 있지만 이의 창건이 삼국시기라는 점에서 본고의 대상에서는 제외하였다. 호남지역 고려사지는 가람배치에서 여러 특징이 간취되는 데 첫 번째로 들 수 있는 것이 바로 다양성이다. 즉 일탑일금당식을 비롯한 쌍탑일금당식, 일탑쌍금당식, 일탑삼금당식, 무탑식 등을 살필 수 있다. 이 외에도 석등의 위치를 통한 위상 변화와 삼금당 중 중금당이 아닌 서금당을 주불전 등으로 사용하는 사례는 삼국∼통일신라시기 사지에서 볼 수 없는 특징적인 요소로 파악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완도 법화사지에서 볼 수 있는 대형의 담장시설이다. 이는 사찰 외곽을 완전 방형으로 감싸고 있는데 이전 시기의 사지에서 볼 수 없는 대몽항쟁이라는 역사성과 기능성, 종교성 등이 함축된 유구로 판단해 볼 수 있다. 특히 120∼150cm 정도 되는 담장체는 다른 고려사지에서 보기 힘들 정도의 넓은 규모에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호남지역 고려사지에서 살필 수 있는 특징은 화순 운주사지(용강리 건물지)에서 볼 수 있다. 이는 기존에 발굴된 울진의 외선미리유적과 비교하여 고려 후기의 원(院)으로 파악하였다. 이외에도 호남지역에는 고려사지가 적지 않게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영암 사자사지와 같이 일부분에만 조사가 국한되어 자세한 가람배치를 살필 수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축조기법이나 특징들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아울러 사지는 여느 유적보다 현장에서 고민할 것이 매우 많다. 그런 점에서 건축고고학적 참여가 시급히 요구되는 바이다.

      • KCI등재

        고려시대 강화의 고고 유적과 공간 구조

        이희인(Lee, Hee In) 한국중세고고학회 2018 한국중세고고학 Vol.- No.4

        고려시대 강화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유일하게 수도 개경을 공식적으로 대체한 또 하나의 도읍지였다. 그래서 오늘날 개성에 대한 출입과 연구가 어려운 현실에서 강화는 고려 도성을 이해하는데 가치가 높다. 한편 고려시대 강화는 강도시기를 제외하고 일반 군현의 공간으로서 도성과 지방의 이중적인 위상을 지니고 있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강화에서 확인된 고려시대 고고 유적과 지리적 공간의 검토를 통해 강도시기를 포함한 고려시대 강화의 전반적인 공간 구조에 대한 초보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강화에서 고려시대에 조영된 것으로 파악되는 유적은 약 80여 개소다. 강도가 자리했던 강화읍 일원에서 도성 성벽과 건물지 유적 수 개소가 발굴되었고, 도성 바깥에는 왕릉, 산성, 분묘, 건물지, 사지, 요지 등이 다수 분포한다. 오늘날 강도의 공간구조는 아직 확실치 않다. 현재까지 자료로 보면 강도의 궁궐은 ‘고려궁지’가 아닌 궁지 서남쪽 궁골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강도는 개경을 모방해 건설된 것으로 전하는데 큰 틀에서 개경의 공간 구조가 강도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도성안쪽으로 바닷물이 들어왔던 강도의 지리와 면적이 작은 점을 고려할 때 세부적인 도시 구조는 개경과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시대 강화에는 주현인 강화현과 진강 · 하음 · 교동 등 3개의 속현이 있었다. 이중 강화현은 오늘날 강화읍 일대, 하음현은 봉천산, 진강현은 진강산 일대에 있었다. 이 가운데 하음산 중턱에서 확인된 신봉리 · 장정리 유적의 건물지는 하음현의 치소와 관련된 흔적일 가능성이 있다. 이 밖에 강화에는 하음산성, 정족산성, 고려산성, 화개산성 등 산성이 분포한다. 강화의 산성은 대부분 천도 이전부터 운영된 것으로 파악되며 분포 위치가 군현의 공간 범위와 부합된다. 고려시대 군현의 치소가 일반적으로 산성에 위치했던 것을 감안하면 강화의 산성은 강화도 군현의 운영과 직 · 간접적으로 연관될 것으로 여겨진다. Gaegyeong was the capital city of Goryeo Dynasty for more than 470 years. Gangdo was the only city in Goryeo Dynasty to officially replace the Gaegyeong. Because we cannot visit to Gaegyeong, freely. Ganghwa isla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laces to study for the capital city of Goryeo Dynasty. Meanwhile, Ganghwa show us not only the capital city of Goryeo Dynasty, but also the local appearance as well. In this study, I attempt to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of Ganghwa in the Goryeo Dynasty in terms of archaeological sites and geographical spaces. So far, we have discovered about 80 archaeological sites of Goryeo Dynasty, in Ganghwa; Royal tombs, fortresses, tombs, buildings, kiln sites were found. According to archaeological data, it is considered that the palace of Gangdo was located not in the "Goryeogung Palace Site," but in the area of the palace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is site. And it seems that the spatial structure of Gangdo is built after Gaegyeong in the large scale.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spatial structure between two cities due to the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city.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re were three main counties: Ganghwa-hyeon, Jingang-hyeon, and Haum-hyeon. The sites of Shinbong-ri and Jangjeong-ri, which were discovered at Mt. Haum-san, are likely to be related to the local government office of Haum-hyeon. Meanwhile, in Ganghwa, mountain castles such as Haumsanseong, Jeongjoksanseung, Goryeosanseung and Hwagaesanseung are distributed. Most of mountain castles in Ganghwa are seemed to have been operated before Gangdo period, and the location of mountain castles coincide with the spatial boundary of county in Ganghwa. Considering that government office of local county, during the Goryeo Dynasty, were generally located in mountain castle. It is considered that mountain castles of Ganghwa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local counties in Ganghwa Island.

      • KCI등재

        신라 통일기 왕경의 횡혈식석실묘 전개양상

        황종현 한국중세고고학회 2022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2

        The stone chamber tombs that are intensely distributed in the mountain ridges around Wanggyeong(capital) in the late middle ancient period to early middle period of Silla have gradually declined. For the result of such decline in stone tomb construction, it could be attributable to the facts of mutual interactions with the unification war, rearrangement of the legal system and strengthening of social strata, change of view on after-life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massive construction of royal palace and its capital and so forth. The stone tombs were constructed for the royal ways during the unification period, along with royal tombs, for extremely small part that was built by certain noble class due to the effect of Tang Dynasty’s emperors that King Taejong Muyeol initiated to accommodate as well as even more stringent social status of order compared to the middle ancient period. For the case of stone tombs built by the noble classes after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the was constructed in the plane location around Daereungwon District and Yonggang-dong and Hwangseong-dong area by upholding the Confucius Ancestor Upholding Ideals led by King Muyeol and royal tombs. From the late 7th century to the 8th century, with the stable political situation and advanced cultural competency, the royal tombs of Silla became even more splendid with the arrangement of diverse plants and Sipejijangsang (twelve zodiac animal signs). Also, the Royal Family Tomb System of the tomb of emperors in the Tang Dynasty was actively accommodated, and because of this, the location of the royal tombs moved to the mountain ridges of the king’s way. The tombs for some noble classes that imitated such royal family tomb system of royal tombs became even more extravaganza to show the tendency to independently built in the mountainous outskirt ridges. Through this finding, the Silla society in the middle era was the noble class-oriented society with stringent personal identity system. 신라 중고기 후반에서 중대 초 왕경의 주변 산지에 군집하여 분포하던 횡혈식석실묘는 점차 감소한다. 왕경의 횡혈식석실묘 감소요인으로는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된 통일전쟁, 율령체제의 정비와 신분제의 강화, 불교의 대중화로 인한 내세관의 변화, 대대적인 왕궁과 왕경의 조성 등이 서로 맞물려 작용한 결과로 추론하였다. 통일기가 되면서 왕도의 석실묘는 태종 무열왕이 주도적으로 수용한 당제의 영향과 중고기에 비해 한층 엄격해진 신분질서로 인해 왕릉과 일부 귀족들이 조성한 극히 일부만 축조된다. 통일 후 귀족들이 조성한 횡혈식석실묘의 경우 무열왕이 주도한 유교적 숭조사상(崇朝思想)과 왕릉의 입지를 본받아 대릉원지구와 용강동·황성동 일대 평지에 축조된다. 평지형 석실묘의 경우 대릉원지구 마립간기 마립간의 능으로 추정되고 있는 황남동 119호, 황남대총, 서봉총 등 초대형 적석목곽묘 주변에 입지하는 ‘평지 복귀형 횡혈식석실묘’와 북천 이북 황남동․용강동 일대 평지에 단독으로 입지하는 ‘평지 단독형 횡혈식석실묘’로 분류할 수 있다.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이후에는 안정된 정치 상황과 발전된 문화적 역량으로 신라의 왕릉은 다양한 석물과 십이지신상을 배치하는 등 더욱 화려해진다. 또 당 황제릉의 능원제도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그로 인해 왕릉의 입지는 왕도 외곽 산지로 이동한다. 이러한 왕릉의 능원제도를 모방한 일부 귀족들의 무덤 또한 더욱 화려해지며 외곽 산지에 독립적으로 축조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통일기 횡혈식석실묘의 감소, 입지의 변화, 내부구조와 외표시설 등의 양상은 중대 신라사회를 이해하는데 유의미한 고고학적 자료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와당 연구 - 수원 화성을 중심으로

        최문환(Choi, mun hwan) 한국중세고고학회 2020 한국중세고고학 Vol.- No.8

        조선 후기 기와는 건축과 고고학 양쪽 분야에서 그동안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한 채 이어져 오고 있으나, 각종 의궤를 비롯한 문헌 기록이 잘 남아있다. 이 중 조선 후기 건축을 대표할 만한 문헌은 단연코 『화성성역의궤』일 것이다. 이 문헌에는 기와와 벽돌의 생산부터 사용까지 전 공정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를 담고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지금까지 수원 화성의 기와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 글은 연구가 시급한 기와 가마, 평기와와 막새, 복원 지붕의 3분야를 우선 살펴보았다. 기와 가마는 최근 입요(立窯)가 새롭게 확인됨으로써, 기존의 입요가마의 도입이 일본에 의해서라는 가설을 뒤집을 수 있는 근거가 확인되었고, 그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기록이 『화성성역의궤』의 벽돌가마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었다. 평기와와 막새는 의궤의 규격에 대한 기록과 실제 출토된 유물의 비교를 통해 날기와 상태의 규격이며, 구운 후 수축률에 의해 크기가 줄어 기록과 차이가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또한 격이 높은 주요 건물에는 겉면에 광택이 나는 아련((牙)兒鍊)기와를 사용하여, 장식성과 기능성을 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막새는 기존의 출토유물이 적고, 복원된 지붕의 기와를 자세히 살필 수 없어 초기 막새 또는 변화상을 뚜렷하게 알 수 없었다. 다만, 수막새는 달걀형 중에 끝이 뾰족한 물방울 모양이 18세기에 이미 전반적으로 쓰였고, 암막새는 다각형이 주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동장대와 화서문 마루기와의 복원된 지붕의 모습을 옛 모습과 비교 검토하여 보았다. 동장대와 화서문은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된 건축물로 이해되고 있으나. 기와만은 원형의 모습이라고 하기 어려웠다. 19세기에는 수리과정에서 대다수 마루기와의 교체가 있었고,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사이 방치 훼손되었다. 그리고 당시 이를 수리하는 과정에서 위치와 수량 등이 왜곡되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후 복원된 지붕은 원래의 모습을 고증하기 보단 기존의 현상을 유지하는데 중점을 두고 이루어져 지금에 이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향후 이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진행되길 바란다. In the late Joseon Dynasty, tile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both architecture and archaeology, but there are well-known records including various Euigweo. The literature that can represent the architec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is by far the 『Hwaseong-Seongyeok-Euigweo』, which contains data that can look at the entire process from the production to use of tiles and bricks. Surprisingly,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found on the tiles of Suwon Hwaseong until now. This article first examined the three areas of tile kilns, tiles, and restoration roofs that are urgent for research. The kiln was confirmed to have a basis for overturning the hypothesis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existing kiln was by Japan, and it was very encouraging that the record to support it was found in the brick kiln of 『Hwaseong-Seongyeok-Euigweo』. The tiles are the specifications of the unbaked state through the comparison of records of the standard of the Euigweo and the actual excavated artifacts, and the size is reduced by the shrinkage rate after baking, which can be revealed to be different from the record. Also, it was found that the main buildings with high heights were added with decorative and functional features using Aryen-tiles. The end roof-tiles were not able to clearly identify the initial or changes because they had few existing excavated artifacts and could not closely examine the tiles of the restored roof. However, it was estimated that the tilel with a pointed tip of the egg type was already used in the 18th century. Finally, the restored roof with the floor was compared with the old one through the Dongjangdae and Hwaseomun, although the Dongjangdae and Hwaseomun are understood to be relatively well preserved buildings.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the tile was a circular shape. In the 19th century, there was a replacement with most of the floor during the repair process, and it was neglec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t was found that the location and quantity were distorted in the process of repairing it at that time. In addition, the restored roof was focused on maintaining the existing phenomenon rather than the original appearance, and it was found that it is now reached.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철장(鐵場)의 운영과 제철(製鐵)기술에 대한 문헌적 검토

        정해득 한국중세고고학회 2020 한국중세고고학 Vol.- No.7

        This study confirmed the operation method of steel and the technique of manufacturing steel in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In Joseon, iron was operated, and craftsmen from various fields produced various hardware. It was found that Joseon had a different steelmaking method from China and tried to acquire Japanese and Chinese technology after the 16th century.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literature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ethod of production of iron used by the state and the private sector, and that there were two production methods in the private sector. The state agency made finer iron than the private use, and four steel strengths were produced to make steel by mixing iron and hot iron.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technology has improved since Hwaseong Station, creating stronger steel.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interpretation of ancient materials and the traditional steel test in the future. 이 연구는 조선시대 문헌자료에 나타난 제철에 대한 조업 방식과 강철을 제조하는 기술을 확인하였다. 조선에서는 철장을 운영하였고, 여러 분야의 장인들이 각종 철물을 생산하였다. 조선은 중국과 다른 제철방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16세기 이후 일본과 중국의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노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종 문헌자료의 분석을 통해 국가와 민간에서 사용하는 정철 생산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것과 민간에서 2가지의 생산 방식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가기관에서는 민간에서 사용하는 것보다 고급한 정철을 만들었고, 정철과 열철을 혼합하여 강철을 만드는데 4가지 강도의 강철이 생산되었다. 또한 화성성역 이후 제작기술이 향상되어 보다 강한 강철을 만들어낸 것으로 확인된다. 이 연구는 향후 고고자료의 해석과 전통제철실험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강화 고려왕릉의 조사성과와 과제

        정해득(Hai Deuk Chung) 한국중세고고학회 2018 한국중세고고학 Vol.- No.4

        강화도로 천도한 기간 중에 조성된 고려왕릉은 진강산(鎭江山) 일대에 모여 있는데, 이것은 고려 왕릉조성의 전통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려 왕릉은 검약하게 조성하던 전통이 있었으며, 북한학계의 연구에 따르면 3~4단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강화도에는 석릉(碩陵), 홍릉(洪陵), 가릉(嘉陵), 곤릉(坤陵) 등의 왕릉이 조성되어 있으며, 피장자가 밝혀지지 않은 왕릉급 고분이 위치하고 있다. 석릉과 가릉이 8각의 봉분인데 비해 곤릉과 능내리석실분은 12각으로 조성되어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강화도에는 세조 창릉(昌陵)과 태조 현릉(顯陵)터가 있고, 희종 왕비 소릉(紹陵)이 있었다. 이와 함게 무신집정자 묘와 예장(禮葬) 대상자의 묘 등도 앞으로 확인되어야 한다. 강화도에 조성된 고려 왕릉은 봉분의 규모를 상당히 줄였고, 병풍석에 12지신상을 장식하지도 않았다. 이는 개경 환도(還都) 이후에 천장(遷葬)할 것을 고려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역사시대 유적의 해석은 역사기록물에 대한 면밀한 분석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고려사』 「배릉의」는 고려 왕릉의 공간구성과 관련하여 몇 가지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왕릉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광연은 고려 왕릉에 대한 도상학적 분석을 통해 황금비와 금강비가 계획적으로 적용되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향후 고려 왕릉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방법에 더하여 보다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Goryeo royal tomb, which was built during the Ganghwa period, is gathered around Jinjeong Mountain. This is related to the tradition of Koryo royal tomb formation. The royal tombs of Koryeo had a tradition of making scarce. The royal tombs of Koryo consist of three or four spaces. In Ganghwa-do, royal tombs such as Seog-reung, Hong-reung, Ga-reung, and Gon-reung are built. There is a burial tomb burial mound where the trainee is unknown. In contrast to the 8-angles of the Seog-reung and Ga-reung, the number of dolmens in Gon-reung and ReungNaeLy tomb are 12 angles, which requires a careful analysis. In Ganghwa-do, there are the temples of Seo-gong Chang-reung and Taejo Hyun-reung, and there is the So-reung of Queen Heejong, and the tombs of Musin rulers and the Grave of a senior bureaucrat should be identified. The royal tombs of Goryeo, which was built in Ganghwa Island, greatly reduced the size of the temple and did not decorate the 12-ji sinsang. This is thought to be due to considering the ceiling after the opening of the capital. Interpretation of historic relics necessarily requires careful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GoryeoSa』「Bae-reung ui」 provide some important clues abou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Koryeo Royal Palace. A standard should be established to judge whether it is a royal tomb. Lee Kwang-yun revealed that the Golden Ratio and the Geumgang Ratio were applied in a planned way through the iconographic analysis of the royal tombs of Goryeo. More scientific research is needed in addition to the archeological survey method of the royal tombs.

      • KCI등재후보

        하남 동사지(河南 桐寺址) 가람배치에 관한 일고

        이승연(Lee, Seung-Yeon) 한국중세고고학회 2020 한국중세고고학 Vol.- No.8

        하남 동사지는 고려시대 절터로 사원의 창건배경이나 성격, 종파, 중창 및 폐사시기 등에 관한 기록이 확인되지 않았다. 1917년에 이루어진 고적조사를 통해 두 탑이 처음으로 보고 되면서 오랫동안 춘궁리사지로 불리다가, 1980년대 초반 석탑을 중심으로 ‘桐寺’명 기와가 수습되고, 1988년 일부 지역에 한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어 ‘同寺’, ‘桐寺’명 기와가 출토됨에 따라 광주 동사지로 밝혀지게 되었다. 본 글은 하남 동사지와 관련된 조사·수리내용과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절터에 남아있는 석탑과 연관하여 고려 초기 오층석탑이 건립된 다른 유적의 탑 일원 가람배치를 비교해 봄으로써 기존에 제시되었던 동사지의 가람 배치안을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사원은 시간이 흐르면서 중심사역이 이동하기도 하고 , 새로운 전각이 건립되거나 중창·수리되는 등 다양한 변화를 겪게 되는데, 석조물 역시 이와 함께 위치를 이동해 가면서 새로운 가람배치 내에 중요한 구성요소로써 역할을 담당했음을 알 수 있다. 하남 동사지 중심사역의 배치는 오층석탑 건립 당시에는 단탑식 가람배치일 가능성이 높으며, 삼층석탑은 하층에 선대유구와 함께 존재했거나 후대에 이전해 왔을 가능성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러나 간략한 조사정보만으로 추론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므로, 향후 본격적인 정밀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사역의 범위, 초창시기, 석탑의 원위치 여부와 가람변천, 건물지의 성격과 구조에 관한 해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Dongsa temple site in Hanam is a temple site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no historical materials have been identified, such as the background of the temple"s foundation, characteristics, religious sects, and the period of death. As the two pagodas were first reported in 1917, the temple site was long called the Chungung-ri Temple Site. In the early 1980s, roof tiles with the name of "Dongsa" were recovered around the stone pagoda. In 1988, excavation surveys were conducted in some areas, and roof tiles with the name ‘Dongsa’ were excavated, and it was discovered as the Dongsa Temple Site in Gwangju. This article examined the precedent research of the investigation and repair related to the Dongsa temple site in Hanam, and examined the layout of Buddhist temple in the early Goryeo Dynasty by comparing the layout of other sites where the five-story stone pagoda was built. As a result, the temple undergoes various changes over time, such as the relocation of the central area, the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or the renovation of buildings. In addition, stone structures as well as important components within the new move, the position of the buiding layout. The layout of the central temple of the Dongsa Temple Site is likely to be a Single-Pagoda-Image Hall layout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and the three-story stone pagoda can be estimated to have existed previous period or been relocated to later period.

      • KCI등재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의 편년과 변화 양상

        남진주(Nam jin-ju) 한국중세고고학회 2017 한국중세고고학 Vol.- No.2

        이 글은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를 중심으로 고려전기 도자의 편년과 양상의 변화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은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 41개 유적의 분묘 166기에서 출토된 청자와 백자 등 자기 274점, 도기 118점이다. 분묘의 형태는 석실묘 2기, 석곽묘 126기, 토광묘 38기로 석곽묘가 80% 정도를 차지하나 석곽묘는 충청권에 집중되는 등 지역적인 편차가 존재한다. 유물은 기종과 특징에 따라 형식 분류를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순서배열법을 적용하여 편년과 특징을 좀 더 구체화 하였다. 그 결과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는 두 시기로 구분되었다. 먼저 1기는 고려 건국에서 전축요가 소멸되는 11세기 초로 편년하였고, 석실을 비롯한 석곽묘와 토광묘 등 다양한 형태의 묘제가 공존한다. 1기 분묘 출토 유물은 선해무리굽완과 과도기식 해무리굽완을 포함한 전축요 단계에서 제작된 접시, 잔, 유병 등 한정적이고 제한된 형태의 초보적인 청자류가 중심이 된다. 도기는 통일신라시대 토기와 금속기의 영향을 받은 병과 발 등 비교적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즉 1기의 도자는 통일신라시대 영향을 받은 도기와 중국 월주요의 영향으로 제작되기 시작한 자기가 완전한 기능 분화가 되지 않은 채 서로 공존하였고, 비교적 많은 양의 중국 청자류가 수입되어 사용되었다. 2기는 11세기 전반에서 후반까지로 한국식 해무리굽완과 변형 해무리굽완을 중심으로 좀 더 다양한 형태의 완, 접시, 잔이 제작되었고, 잔탁이나 주자 등 茶具의 생산량도 증가한다. 반면 도기류는 병과 같이 단순한 기종에 제한된다. 이것으로 보아 2기는 도기와 자기의 기능분화가 어느 정도 정립되었고, 자기의 생산량이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문양이 시문되는 예가 증가하는데 예를 들면 상단에 음각의 반원문을 돌린 후 하단을 깎은 연판문과 단순한 형태의 당초문이나 연판문이 음각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제도의 정비, 수공업의 안정과 함께 다양한 도자의 소비층이 형성된 것에서 기인하였으며, 차문화의 확대 또한 다구의 소비를 촉진시키며 청자 생산의 원동력을 제공하였다. 국산 도자의 생산 증가는 자연스럽게 중국 도자의 수입을 줄어들게 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를 통해 고려전기 도자의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the ceramic in the early Goryeo based on the ceramic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subjects are 274 pieces of porcelain and 118 pieces of pottery such as celadon and white porcelain excavated from the 166th tomb of 41 ruins in Gyeongi-do,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There are 2 stone chamber tombs, 126 stone outer coffin tombs, 126 pit tombs. The stone outer coffin tombs showed the local standard deviation, accounting for approx. 80% in Chungcheong area. The artifacts were classified by type and feature, based on which, the sequence revealed by seriation method was applied more specifically to chronological forms and features. As a result, it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period is chronologically estimated between the foundation of Goryeo and the early 11th century, and various types of tombs coexist, including a stone outer coffin tomb and pit tomb along with the stone chamber.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tombs in the first period are limited to a certain type of basic celadons such as plate, cup, and Yu-byeong(oil bottle), all of which were produced at the stage of brick-built kiln including the pre Haemuri-gup and transitional Haemuri-gup. Pottery shows a variety of forms such as bottle and feet affected by the earthenware and metalware of the Unified Shilla era. In other words, the porcelain of the first period coexisted with the pottery influenced by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porcelain by Yuezhouyao in China, not fully divided. Also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hinese celadon were imported and used in such period. In the second period from the early 11th century to late Goryeo, a more variety of ceramics such as bowl, plate and cup were produced in form of Korean style Haemuri-gup and modified Haemuri-gup while the production of tea utensil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pottery is limited to a simple model like bottle. Referring to this trend, during the second period it is found that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pottery and porcelain was established to some extent and the production of porcelain increased. In addition, various patterns increasingly were engraved on the porcelain, e.g., the semicircle pattern engraved on the upper part, and lotus carved on the bottom, simple form of vine pattern or engraved lotus petal pattern. These changes stemmed from establishment of the new manufacturing system and a broad range of consumers, promoting the expansion of the tea culture as well as the consumption of tea utensils, and providing the driving force for celadon production. The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domestic ceramics has naturally reduced the import of Chinese ceramics. It was an opportunity to observe the changes of ceramics in the early Goryeo through the ceramic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early Goryeo.

      • KCI등재

        統一新羅 傳統의 高麗 初期 숟가락 硏究

        정의도(Jung Euido) 한국중세고고학회 2017 한국중세고고학 Vol.- No.2

        고려의 숟가락은 중국북방과의 교류를 통하여 변화하게 되는데 이번 글은 중국북방과의 교류 이전의 숟가락 사용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었는지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고려 전기-적어도 11세기 전반 이전- 석곽묘에 해무리굽청자완과 함께 부장되는 숟가락이 어떤 배경에서 비롯되었는가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그 숟가락은 다양한 기물과 함께 토광묘에서 주로 출토되는 단면 『S』자 형의 숟가락과는 분명히 양식적으로 구분되는 것이었다. 필자는 석곽묘는 통일신라의 전통 묘제로 판단하였고 아울러 숟가락 또는 식도구가 부장되는 전통이 이미 통일신라사회에 일부 계층에서나마 유행하고 있었음을 청주 용정동 통일신라시대 석곽묘에서 청동제국자가 출토되는 것이 반증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런데 이러한 전통은 결국 통일신라가 한화정책을 시행하면서 묘제의 변화와 함께 부장품의 변화도 일부 일어나고 있었고 이러한 변화의 진원지는 당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말하자면 당나라의 전축분과 그 내부에 생활도구 일체를 부장하던 전통이 신라사회에 전래되어 박장으로 대표되던 장법이 일부 변화하게 된 것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변화가 11세기경 까지는 고려사회에 통일신라의 전통이 계승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통일신라의 전통은 고려와 거란과의 갈등이 해소되고 거란사람들이 고려로 다수 유입되면서 11세기 중반 이후는 요의 영향을 강하게 받게 되어 숟가락의 형태도 변하게 되고 부장품의 내용도 변하게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생각해보면 요의 숟가락도 당의 숟가락을 계승한 것이고 통일신라의 숟가락도 당의 숟가락을 받아들인 것이지만 고려 초기의 숟가락은 당의 숟가락을 계승하여 요 스타일로 변화된 것이 아니라 통일신라 이래의 숟가락으로 보는 것이 고고자료를 검토한 결과이다. 이것은 고려 개국 이후 통일신라 이후 일부 계층에서 사용되던 숟가락이 그 사용 계층이 확장되고 사용하던 숟가락이 중국 북방과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통일신라 전통에서 북방 스타일의 숟가락으로 변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고려는 개국 초기에 발해의 멸망으로 요를 금수의 나라로 지목하면서 강한 적대심을 키워가고 있었고 또한 자국의 문화에 대한 정통성을 내세우던 상황으로 외부와의 교류에 의해서 자신들의 문화를 쉽사리 바꾸려고 하지 않았을 것이므로 이와 같은 숟가락 형태의 변화는 당시의 상황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Spoon of Koryeo era was changed through exchange with northern region of China and in this study, how spoon before such exchange was used was observed. For this objective, in what background spoon buried in stone-lined tomb together with Haemurigub Cheongjawan in early Koryeo - at latest before early 11c - was derived was reviewed. Such spoon was discriminated in pattern from cross sectional "S"-shaped spoon being mainly excavated from pit tomb together with diversified things. The writer considered that stone-lined tomb was a traditional tomb ritual in unified Shilla and a tradition of burying spoon or feeding product was popularized in some class of unified Shilla society was proved by bronze ladle excavated from stone-lined tomb during unified Shilla era at Yongjeong-dong, Cheongju. By the way, as unified Shilla implemented Hanwa policy, this tradition was eventually changed together with partial change of tomb ritual and grave goods and this change was presumed to be derived from Tang dynasty. So to speak, as a tradition of burying whole living things in brick-layered tomb of Tang was passed down to Shilla society, graving method being represented by Bakjang was considered to be partially changed and this change was handed down to unified Shilla as a tradition up to around 11c. However, as conflict between Koryeo and Georan was eliminated and a lot of Georan people was migrated to Koryeo and tradition of unified Shilla was strongly influenced by Yo from middle of 11c, shape of spoon and contents of buried goods were considered to be changed. Looking back,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reviewing archaeological data, it was learned that spoon of Yo and unified Shilla succeeded that of Tang but spoon of early Koryeo was not changed to Yo style by succeeding Tang spoon but remained as spoon since unified Shilla. This result is understood that since foundation of Koryeo, spoon being used in some class of unified Shilla was changed to northern region style from the tradition of unified Shilla as its using class was extended and exchange with northern region of China was increased. As an early stage of its foundation, as Koryeo harbored strong hostility against Yo by called it brutal kingdom due to fall of Balhae and they were hesitant in changing their own culture through exchange with outside world while claiming legitimacy for their own culture, change of spoon shape like this is considered to fully reflect the situation at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