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폐범주성장애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공동주의 반응행동 비교연구

        이소라(Lee So Ra),김수지(Kim Soo Ji)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3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언어, 노래, 악기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공동주의 반응행동 차이를 알아보고 비교해보고자 실시되였다. 장애전담어린이집에 다니는 미취학 연령 5∼8세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 10명과 지적장애아동 10명을 대상으로 3가지 종류의 자극인 언어자극, 노래자극, 악기자극을 제시하여 자극에 따른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공동주의 반응행중 시선 따르기 행동의 반응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언어, 노래, 악기 자극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지적장애아동은 세 자극간 반응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세 자극 모두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에 비해 반응수준이 높았으며,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의 경우 악기>노래>언어 순서의 반응을 보였을 뿐 아니라 세 자극간의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특히, 언어자극에 가장 낮은 반응을 보인 반면 악기자극에는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지적장애아동과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은 자극간의 유의미한 차이와 함께 악기자극이 가장 높은 반응을 유도하는 자극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음악자극이 자폐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공동주의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그 중 악기자극을 사용한 중재는 다른 사람에게 주의를 갖도록 하는 중재도구로 효과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joint attention behaviors betwe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when they are exposed to stimuli including language, songs, and musical instrument. The subjects were two groups of preschool children- 10 of each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respectively- who attended a special nursery school in Busan. All children attended the experimental procedures of three different stimulus: 1) verbal stimulus, 2) song (short melodic verbal stimulus), and 3) rhythmic instrument stimulu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presented high response of 50% for all three stimuli while children with ASD responded with more variance among stimuli, and the impact of the stimulus for both groups was presented as stronger in the following order: musical instrument> songs> language. Overall, musical stimulus (melodic song, musical instrument) have a positive results on responses to joint attention, and it implies that integration of musical elements including instruments and songs could enhance the efficiency of joint attention training.

      • KCI등재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심박수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

        손성민(Sung-Min Son),강진호(Jin-Ho Kang),박아름(Ah-Ream Ba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심박수, 손 기능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인 16명이다. 청각자극 중가는 음악의 볼륨을 통해 조절되었고, 60dB, 65dB, 70dB로 자극의 강도를 증가시켜 적용하였다. 청각자극 증가에 따라 Xeno 손목형 심박수와 혈압 측정기(LHY Health, Co., China)를 활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손 기능의 측정은 퍼듀 페그보드를 활용하여 손 기능을 측정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Short-form 8 health survey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청각자극 증가에 따라 심박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손 기능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건강관련 살의 질은 청각자극 적용 후 감소하였다. 이에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심막수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여, 청각자극 증가는 지적장애인의 심리적 불편감으로 작용하게 되어 심박수를 증가시키며, 손 기능과 건강관련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데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지적장애인의 심박수의 감소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 환경자극에서 청각자극 강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the heart rate, hand func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the increase of the auditory stimulation. The subjects were 16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increase of the auditory stimulation was modulated through the music sound and the intensity was consisted of 60dB, 65dB and 70dB. The wist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monitor was used to measure the heart rate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auditory stimulation increase. The hand function of right and left hand was measured by the Purdue pegboard. Health related of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the short form-8 health survey. As the results, the increase of the heart rate was showed by the increase of the auditory stimulation and the decrease of the hand func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was showed. For these, the increase of the auditory stimulation acts as a psychological distress, thereby the increase of the heart rate and the reduction of the hand function and health relate quality of life showed. Thus, to decrease of the heart rate and increase the hand function and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intensity of the auditory stimul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nvironmental stimulation.

      • KCI등재

        감각자극 심리운동이 지적장애 아동 뇌파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윤정 ( Yun-jung Kim ),유연호 ( Yeon-ho You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감각자극 심리운동을 지적장애 아동에게 적용하여 나타나는 뇌파를 측정 및 분석하여 지적장애아동의 뇌파에 대한 기준이 되는 기본정보를 제공하고, 감각운동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감각자극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현장에서 지적장애아동들에게 적합한 감각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 총 20명으로 서울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8-13세의 초등학생 지적장애 3급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 동의를 한 인원 중 무선배치 방식으로 실험군 9명, 대조군 9명을 선정하였다. 감각자극 심리운동은 12주간, 주 2회, 매 50분으로 진행하였으며, 뇌파 측정은 전두엽, 중심부, 두정엽에서 5분간 감각자극 심리운동 적용 전·후에 실시하였다. 측정된 뇌파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 FFT)을 실시하고 spss 18.0을 통하여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sample t-test)와 실험군의 대응표본 T-test (Paired sample t-tests)를 시행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뇌파 파장별 결과는 베타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두 번째, 실험군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평균적으로 알파파는 우뇌에서 평균적으로 상승하였으며, 베타파는 좌뇌에서 평균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감마파는 전두엽과 두정엽에서 평균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SMR파는 전두엽과 중심부에서 평균적으로 상승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감각자극 심리운동 적용이 지적장애 아동의 뇌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s a criterion on electroencephalogram(EEG)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measuring and analyzing EEG generated by applying sensory stimulation psychomotor to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provide suitable sensorimotor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field by forming a sensory stimulation psychomotor program that can improve sensorimotor 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ged 8 to 13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3rd degre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eoul. The total number of 20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then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f 9 and the comparison group of 9 among thos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Sensory stimulation psychomotor was completed for 12 weeks, twice a week, and 50minutes each session. EEG measurement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sensory stimulation psychomotor for 5 minutes in the frontal, central and parietal lobes. The measured EEG were converted to Fast Fourier Transform(FFT) and then conducted to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 sample 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through spss18.0.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s were set as .05.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ch EEG wavelength produc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eta waves. Second, although the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pha waves rose in the right brain on average, beta waves decreased in the left brain on average, and gamma waves decreased in the frontal and parietal lobes on average. Also, SMR waves rose in the frontal and central lobes on average. To sum up the above results, sensory stimulation psychomotor is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EG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동료로부터의 지식수혜 및 상사의 지적자극의 조절효과

        이현기(Hyun Ki Lee),이은진(Eun Jin Lee),정인호(In Ho Jeong)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6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1 No.4

        최근 비인격적 감독의 정도가 심각해지면서 비인격적 감독의 부정적 영향과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변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동료로부터의 지식수혜와 상사의 지적자극이 조절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창의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동료로부터의 지식수혜와 상사의 지적 자극이 완화시키는지 살펴보았다. 주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근로자 247명이 응답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비인격적 감독을 강하게 인식할수록 부하의 창의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료로부터의 지식수혜, 상사의 지적자극은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료로부터의 지식수혜와 상사의 지적자극이 높을수록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창의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감소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re is a rising interest in the negativ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and other variables that would decrease its negative effects as the level of abusive supervision is getting serious recently.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the employee’s creativity and suggest it could act as a regulating force between coworker’s knowledge sharing and superior intellectual stimulation in this relationship. In other words, we tested whether the negativ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the employee’s creativity would decrease as a result of coworker’s knowledge sharing and superior intellectual stimulation. A total of 247 work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ir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dividual perception of abusive supervision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employee s creativity. In addition, coworker s knowledge sharing and superior intellectual stimulation did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the employee s crea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gativ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has less impact on the employee’s creativity by increasing coworker’s knowledge sharing and superior intellectual stimul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suggest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 지적장애인의 문제행동에 다감각 자극이 미치는 영향

        최동운,유주상,김초롱,이재신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0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1 No.-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감각 자극이 지적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빈도수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여부를 알아보는 것이다. ◉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지적장애 아동 4명을 대상으로 다감각 자극을 중재하였다. 아동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해 기초선과 유지기에LOTCA-II를 시행하였다.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 subject experiment research design) 중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multiple-baseline across subjects)의 ABA'를 사용하였다. 연구는 기초선, 중재기, 유지기에 걸쳐 총 14회 동안 이루어졌으며 각 회기는 30분씩 시행되었다. 문제행동 빈도수는 20분 동안 측정되었다. ◉ 결과: 본 연구 결과 대상자 1의 평균 문제행동 빈도수는 기초선과 비교하여 다감각 자극 중재기 동안 증가하였으나, 대상자 2, 대상자 3, 대상자 4의 중재기 동안 평균 문제행동 빈도수는 감소하였다. 대상자 1, 대상자 3, 대상자 4의 유지기 동안 문제행동은 중재기 보다 증가하였으나, 대상자 2는 감소하였다. 기초선과 비교하여 유지기 동안 대상자 1의 문제행동은 증가하였으나, 대상자 2의 문제행동 빈도수는 감소하였다. 대상자 3과 대상자 4의 평균 문제행동 빈도수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결론: 본 연구는 다감각 자극이 지적장애인의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는 치료적 효과를 보였다. 대상자 2는 기초 선과 중재기보다 유지기에 더 많은 감소를 나타냈으나 대상자 1, 대상자 3, 대상자 4는 지속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ultisensory environments on challenging behavior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 of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ren who had challenging behavior. We use LOTCA-II in baseline and follow-up for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 Multiple-baseline across subjects ABA' of single subject experiment research design was used. 14 sessions were include baseline, intervention, follow-up. Each sessions lasted 30 minutes. Challenging behavior frequence measured for 20 minutes. ◉ Results : The measured result shows challenging behavior of subject 1 increased during intervention comparison of the average challenging behavior during baseline but subject 2, subject 3, subject 4 were reduced during intervention. Challenging behavior in follow-up of subject 1, subject 3, subject 4 were increased while subject 2 was reduced. Comparing with baseline challenging behavior of subject 1 was increased during the follow-up, on the other hand subject 2 decreased. Subject 3 and subject 4 did not show the average difference of challenging behavior in follow-up. ◉ Conclusion : Finding from the study suggest that multisensory environments has positive effects to reduce the challenging behavior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bject 2 showed reduce challenging behavior in follow-up comparing with baseline and follow-up, but subject 1, subject 3, subject 4 had no positive effect in follow-up.

      • KCI등재후보

        지적자극이 역할 내 행동과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일에 대한 희망과 리더와의 친밀감을 중심으로-

        허남철,서재현 한국기업경영학회 2009 기업경영연구 Vol.16 No.3

        This study started with an ideas that a leader could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its subordinates and their attitude and behaviors.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s could be formed by leader’s behaviors with intention to make employees move toward a direction an organization insisted.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intellectual stimulation on the in-role behavi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intimacy and hope for work. Hope for work and intimacy were used as positive psychological state of employees which mediated the influence of intellectual stimulation on employee behaviors. Variables used for the study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role of a leader in developing positive psychological states of employees. Hypotheses were constructed based on literatures in the area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Following 10 hypotheses were constructed: H1: Intellectual stimulation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on intimacy. H2: Intellectual stimulation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on hope for work H3: Hope for work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H4: Hope for work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on in-role behavior. H5: Intimacy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H6: Intimacy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on in-role behavior. H7:Intellectual stimulation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hope for work. H8:Intellectual stimulation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on in-role behavior through hope for work. H9:Intellectual stimulation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intimacy. H10: Intellectual stimulation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on in-role behavior through intimacy. The date used for empirical analyses were collected by using a questionnaire which contained measurements with proven psychological properties. An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own decision and were given specific guidelines about the study. The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telecommunication industry in Korea. Among 448 employees participated in the study, 367 employees were male and 81 were female. On the average, they have been working with their leader about 19.9 months when they answered a questionnair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To test hypotheses, regression analyses and mediating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were as followers: First, intellectual stimulat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 on hope for work, while it has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timacy. Second, hope for work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in-role behavior and i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ntimacy had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intellectual stimulation had significant indirect impact on in-role behavi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hope for work, while they had significant indirect influences on in-role behavi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intimacy.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ories in areas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development of employee attitudes in an organization. Intimacy and hope for work were found to have the role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This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proved that a sub-dimens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indirect influences on employee attitude and behavior lik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role behavior through intimacy and hope for work. This result extend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search to areas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Practically,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applied to the employees’ motivational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Employees... 본 연구의 목적은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인인 지적자극이 구성원의 심리적 상태를 통해 구성원의 행동으로 이어지는 간접적인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구성원의 심리적 상태로서 구성원의 일에 대한 희망과 친밀감을 활용하였으며, 구성원의 조직 내 행동으로 구성원의 심리적 웰빙과 역할 내 행동을 이용하였다. 통신산업에 종사하는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자발적인 참여를 원칙으로 하였으며, 많은 연구를 통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된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사용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매개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검증하였으며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자극은 구성원의 친밀감 및 일에 대한 희망 형성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둘째, 일에 대한 희망은 역할 내 행동과 심리적 웰빙에 중요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친밀감은 구성원의 심리적 웰빙에 중요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넷째, 지적작극은 일에 대한 희망과 친밀감을 통해 역할 내 행동 및 심리적 웰빙에 각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성원들이 조직 내 경험이 구성원의 심리적 상태를 거쳐 구성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 볼 수 있으며, 구성원의 긍정적인 심리적 상태로서 역할 내 희망 및 친밀감을 조직행동분야에 응용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토론 및 결론을 통하여 본연구의 이론적 기여도 및 실무적인 기여도에 대하여 심도 있는 논의를 제공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에 대하여서도 언급하였다.

      • 동물매개활동을 통한 감각자극이 지적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현주,김정연,이현아,김명하,김민수,김소영,배승범,이수영,이지선,장은진,최윤지,김옥진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2019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지 Vol.7 No.2

        지적장애아동은 낮은 지적능력으로 인해 주의집중력의 지속시간이 짧으며 정상적인 언어습득과 발달이 어렵다. 그러므로 사회성이 떨어지고 사람과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지적장애아동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에는 동물을 통한 매개 활동이 있다. 동물은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언어능력을 향상 시키고, 인지발달을 촉진시킨다. 그리고 의사소통이나 상호작용이 미숙한 아동에게 동물매개활동은 의사소통 및 자기표현 기술을 습득하는 데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물매개활동 프로그 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J도 I시 특수 장애 학교에 다니고 있는 만 14세에서 16세인 지적장애아동 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주 1회, 8주간, 총 16회기 동안 진행하였다. 사전ㆍ사후 검사 도구로는 Harris & Harris(1984)의 집중력 격자판 검사와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주의집중력과 수용·표현 어휘력의 비교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동물매개활동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수용·표현 어휘력을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시켜 주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상동행동 관련 중재 연구 동향 : 최근 10년간(1997-2006)의 국외 연구를 중심으로

        김정효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8 특수교육 Vol.7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심각한 행동문제로 부각될 수 있는 ‘상동행동’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위한 중재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최근 10년간 상동행동 감소를 목적으로 행해진 국외 중재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두 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논문 80편 중 중도의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자기자극행동과 상동행동 감소를 위한 중재를 실시한 실험연구로 범위를 좁혔을 때 모두 18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상동행동 중재 논문은 총 5개 저널에서 출간되고 있었으며, 최근 5년 동안 그 이전 5년간에 비해 출간편수가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지적장애만 있는 경우보다 자폐를 겸한 지적장애 대상 연구가 2배 이상 많았고, 유아기와 아동기 대상 연구를 합하면 성인기과 청소년기 논문보다 3배가 많았다. 통계적 방법보다 단일대상연구방법이 선호되고 있었으며 중재방법으로는 대부분 ABA를 사용하여 특정한 ‘기술지도’를 하고 있었다. 상동행동 한 가지만을 중재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다양한 행동을 종속변인으로 하였으며, 분석된 모든 논문들은 중재결과가 효과적이었음을 보고하였다. 상동행동 중재 연구 결과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paper reviewed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stereotyped behavior published from 1997 to 2006 in two major databases. 18 experimental articles of the researches on the stereotyped behavior were analyzed in detail on the characteristic of subjects, settings, measuring methods, dependent variables, and intervention methods.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researches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stereotyped behavior were published more than twice as many as researches in the first half of the ten years. Autism spectrum disord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ccupied the subjects of the researches tha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ly. Most of the researchers preferred the single subject design which used applied behavior analysis(ABA) to the group design. And they used multiple variables included stereotyped behavior. All of the articles reporte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for the purpose of decreasing the appearance of the rates of the stereotyped behavior. Finally, discussion of these analyse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n the field were presented.

      • KCI등재

        청소년수련시설 운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박수일(朴守一),이희선(李熙善) 한국공공관리학회 2019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3 No.1

        본 연구는 청소년수련시설 운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인 카리스마, 지적자극, 동기부여 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리더신뢰가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그리고 이들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서울지역 청소년수련시설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카리스마는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리더신뢰를 통하여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적자극도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리더신뢰를 통하여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동기부여는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하고 리더신뢰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쳐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매개변수인 리더신뢰는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청소년수련시설 운영책임자들이 향후 청소년수련시설의 조직효과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정책 수립에 있어서 지적자극, 카리스마, 리더신뢰, 동기부여 등의 변수들을 효율적인 관리수단으로 채택함과 동시에 이들 변수들 간의 영향력 크기를 고려하여 반영해야 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연구 : 안산지역 공단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김문준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4 경영컨설팅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중소기업관리자들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에 대한 실증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에 안산지역(시화 및 반월공단)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진단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의 SPSS 20.0 프로그램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 내 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3단계 절차에 따른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학자들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리더십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요인으로 추출하여 조직 신뢰와 조직몰입에 대한 관계를 실증분석 결과와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 신뢰 사이의 관계를 실증 분석한 결과 개별적 배려와 지적자극의 변인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둘째, 조직 신뢰와 조직몰입사이의 관계를 검증한 분석결과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신뢰와 동료신뢰를 높게 지각할수록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조직 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직신뢰와 상사신뢰는 정서적 몰입을 증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적자극의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관계에서 조직신뢰가 규범적 몰입에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지적자극에 있어 조직신뢰 없이는 조직몰입을 기대할 수 없음을 의미하고 있다. This study was trying to do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regarding how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ME managers affects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Thus, SPSS 20.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tilized for the collect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diagnosis targeting the SMEs in Anshan area (Sihwa and Banwol Industrial Complex) and when it comes to analytical method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and th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three-step procedure of Baron & Kenny (1986)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within the organization regarding on how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s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Meanwhile, in this study, the factor analysis results for the leadership that previous researcher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nd empirical results and major implic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extracting a facto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factors of intellectual stimulation have been effectively made per th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and second, the analysis result which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shown that when organizational members highly perceive the organizational trust and trusted colleague,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hird, organizational trust and trusted supervisor were shown as important factors in proving affective commitment per the analysis result of the organizational trust’s mediating effect in effect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astly, as organizational trust is showing the full mediating effect in normative commitment in effect relationship of intellectual stimul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means organization commitment cannot be expected without organizational trust in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