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침습적 관상동맥 중재술[PCI]후 불편감 완화에 대한 운동요법과 냉요법의 효과
김명하,한미정,이정은,이정무 병원간호사회 2007 임상간호연구 Vol.13 No.1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therapy and ice pack therapy in reducing discomfort after the PCI procedure. Method: A total of 33 patients admitted to a university hospital were selected for the study. Patients were divided equally into 3 groups (excercise group(11), ice pack group(11), control group(11)) The subjects in excercise group underwent exercise therapy and the patients in the ice pack group underwent ice pack therapy and the other 11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n=11) received no treatment. Result: Patients in the excercise group and ice pack group reported significant relief of discomfort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o didn't undergo any treatment. Conclusion: The study proved that ice pack therapy was more effective in relieving discomfort, back pain, urinary discomfort than providing no care, and exercise therapy was more effective in relieving urinary discomfort than providing ice pack therapy.
김명하 충북연구원 2017 충북 FOCUS Vol.- No.140
□ 충북 무형문화재 연구 필요성 • 문화재청의 국가무형문화재 통계자료에 따르면 충북도는 125개 지정종목중 3개의 종목이 지정되어 타 지역에 비해 지정 종목 수가 매우 적음 • 충북지역의 무형문화재는 충북의 지리적, 역사적 사회적 환경과 도민들의 삶 등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고 있어 도와 시 · 군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됨 • 특히 충북 북부권(충주 · 제천 · 단양)의 경우 타 시군에 비하여 국가지정문화재와 도지정문화재 지정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문화시설 지원이 매우 열악한 상황임 □ 무형문화재 개념 정의 • 무형문화재는 인간이 재현할 수 있는 기 · 예능으로써 오랜시간 동안 전해 내려오는 무형의 문화적 가치임 • 형체가 있는 유형의 문화재와 대칭되는 개념으로 사람(보유자)에 의해서 실현될 때 그 모습을 볼 수 있거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함 □ 충북도 무형문화재 현황 • 국가무형문화재 지정종목별 지역별 현황에 따르면, 서울이 28개로 가장 많으며 전남 13개, 경기 · 경남 11개, 경북 7개 순으로 나타남 • 충북은 충남과 함께 3개가 지정되었으며, 광주(1개)와 강원(2개) 다음으로 지정종목이 가장 낮은 지역임 • 지역별 보유자 현황 또한 광주(1명) 다음으로 대구와 함께 충북도는 총 168명의 전국 보유자 중 3명만 지정되어 있음 □ 북부권 무형문화재 현황 • 북부권에서는 충주시의 택견이 국가무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충청북도 무형문하재는 충주시 4개, 제천시 1개, 단양군 3개임 • 국가무형문화재 택견(충주)을 비롯하여 비교적 많은 무형문화재가 북부권에 지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연장, 전수회관, 미술관 등 문화시설은 매우 부족한 상항임 □ 무형문화재 정책 방안 • 잠재적 가치를 가진 무형문화재 발굴 - 문화재 종목을 확대하여 지정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적인 현장실사를 통해 잠재적 가치를 가진 무형문화재 종목들을 집중적으로 발굴해야 함 • 무형문화재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 전승자들의 자립을 위한 판로 개척과 메세나를 통한 기업과의 연계가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지역 단체와의 연계를 통한 사회교육 참여 등 고용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 함 • 지역축제 등 관광산업과의 연계 - 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잠재적 가치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관광산업과의 연계 방향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 • 지역공동체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 장기적인 관점에서 무형문화재 정책은 지역 주민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무형문화재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스스로 관리하고 보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 •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 - 시 · 군 또는 도차원에서 다양한 참여자들이 관련 정보를 쉽게 수집하고 지역의 무형문화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
맛을 디자인하는 쇼콜라티에 쟈크 벨랑제(Jacques Bellanger)
김명하,Kim, Myeong-Ha 대한제과협회 2006 베이커리 Vol.6 No.-
프랑스는 지방의 각 도시마다 지역을 대표하는 파티스리나 쇼콜라트리가 있어 굳이 파리에 가지 않고도 수준높은 제품을 맛볼 수 있다. 파리에서 고속열차 'TGV'를 타고 1시간 걸려 도착한 도시 '르망'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쇼콜라티에 쟈크 벨랑제(Jacques Bellanger)쉐프의 쇼콜라트리가 파리의 어느 유명 제과점 못지않게 르망 사람들의 눈과 입을 즐겁게 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