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모델 중심의 학교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학교 작업치료의 발전방안

        이지연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2 No.-

        ◉ 서론 : 본 연구는 교육적 모델을 중심으로 한 학교 작업치료의 목적과 학교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 본론 : 학교에서의 작업치료는 장애 학생들이 특수교육을 통해 적합한 성과를 얻기 위해 지원하는 관련서비스이다.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들이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도록 지원해주는 것이고 교실과 학교 상황 내에서 중재가 이뤄질 때 가장 최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학교 작업치료사는 개별화교육평가프로그램의 팀으로 참여해야 하고 목적 달성을 위해 교사와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학교 작업치료사는 교육적 모델을 충분히 이해한 상태에서 장애 학생을 위한 평가, 중재, 권고 등을 하여야 하고 관련 법에 대해서도 인지하여야 한다. ◉ 결론 : 학교 작업치료의 발전을 위해 작업치료사들이 학교상황에서의 치료 목적과 역할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며 학교 내에 작업치료사들이 근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치료지원서비스에 대한 중간점검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posal for Development of School 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School for Students with Disability. According the Education of All Handicapped children Act of 1975(P.L. 94-142)in the United Stat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received education in the public school. In 1990 the Act was re-titled,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 P.L. 101-476. In the korea, The Special Education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Act of 2007 was mandated to provide special, or related, services as necessary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 Occupational Therapy is defined as a related service and occupational therapists in school system designed to enhance a student’s abilities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al process. OT evaluation in the school focuses on a student’s ability to participates in functional school activities and performance of specific school activities. The IEP is necessary for improvement of students and occupational therapist contributes to participate as a member of a student’s IEP team. So,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korea was participate in IEP team. The role of the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is to support the child’s effort within the academic environments and is to understand educational model. Working within the classroom benefits the therapists gains a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behavioral and achievement expectations of its students. We have to recognize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school setting. It is necessary to create policy for the improvement of related service.

      • 한국 아동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 동향에 관한 연구

        조은미,정윤주,최윤미,유은영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6 No.-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아동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평가도구의 사용 실태 및 동향을 파악하여 임상적으로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1년 9월부터 11월까지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대한작업치료학회에서 주최한 교육에 참석한 아동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연구대상자의 평가관련 정보, 각 영역별 평가도구의 사용 빈도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137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평가도구 사용동향을 분석하였다. ◉ 결과 : 연구결과에 따르면 아동작업치료사는 초기 평가시간으로 20∼40분(32.5%)을 할애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재평가 주기는 6개월(47.5%), 평가 시 가장 어려운 점은 기관 내 보유한 검사도구의 부족(52.5%)으로 나타났다. 영역별 검사도구의 사용빈도는 발달 평가영역에서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Ⅱ (DDST-Ⅱ, 86.3%), 감각통합 평가영역은 Sensory Profile (76.3%), 지각 평가영역은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DTVP, 75%), 인지 평가영역은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15%), 심리사회·놀이평가영역에서는 Preschool Play Scale, Revised(PPS/PPS-K)(22.5%), 작업수행 평가영역에서는 사회성숙도검사(46.3%)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아동작업치료사들의 평가도구 사용에 관한 정보와 평가도구 사용을 영역별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추후 작업치료사들의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ssessment tools Korea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commonly used to provide clinically useful data. ◉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2011. Data was collected by survey from 137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articipated in an education(training/conference) which was held by Korean academy of children · School Occupational therapy,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and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rom the data, commonly have been using assessment tools were identified. ◉ Results : The length of time for initial evaluation was 20∼40 minutes (32.5%) per one patient was the most frequent response, reevaluation periods were every 6 months(47.5%), Difficult points during the evaluation was lack of assessment tools (52.5%). In areal frequency of use, the most frequently be used in developmental area was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Ⅱ(DDST-Ⅱ, 86.3%), Sensory Profile(76.3%) in Sensory Integration area,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DTVP, 75%) in Perception,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 15%) in Cognitive area, and Preschool Play Scale, Revised(PPS/PPS-K, 22.5%) in Psychosocial, Play Assessment area. ◉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 it were recognized by area that assessment tools Korea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use. Moreover, for further stud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eline data.

      • 학령기 장애 아동의 병원 치료 캠프(또래 끼리 캠프)

        박유진,문용선,박주선,부경희,서상민,민경철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3 No.-

        ◉ 목적 : 본 연구는 병원이라는 환경에서 작업치료사가 타 의료진(의사, 물리치료사)과의 다학제적 접근으로 개발하고 진행된 병원 치료 캠프를 소개하고자 하며, 이차적으로 보호자, 자원봉사자들의 병원 캠프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방법 : 또래 끼리 캠프에 참여한 대상은 총 21명으로(남 14명, 여 7명)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재활의학과에 내원하고 있는 학령기 아동 중 의료진과의 회의를 거쳐 일반 통합 학교에 다니며, 간단한 지시따르기, 일상 생활활동, 독립적인 이동(보조도구 사용)이 가능한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주 진행자로 작업치료사 6명, 물리치료사 2명, 보조진행자로 작업치료, 물리치료학과 학생 26명이 참여하였다. 기간은 2012년 8월 24일∼25일 1박 2일의 일정으로 파티라는 주제로, 춤 배우기, 파티 플래그 만들기, 파티 소품 만들기, 파티 요리하기, 파티에 맞는 역할 수행하기와 야외활동에 참여하였다. ◉ 결과 : 캠프 참여 후 설문지 조사결과 (1) 보호자는 안전, 병원이라는 공간, 치료사 주최, 치료사의 프로그램 진행, 치료학과 학생의 자원봉사 참여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가 높았으며, (2) 자원봉사자는 치료사들이 진행하는 캠프에 참여하고, 아동들과 직접 생활할 수 있는 점에 만족하였다. ◉ 결론 : 1박 2일의 병원 치료 캠프를 통하여 아동들은 다양한 여가와 목적 있는 활동, 역할참여 기회가 되었으며, 보호자와 자원봉사자들의 인식 및 만족도 또한 높았다. 향후 작업치료사들이 개별 치료실에서만의 치료 서비스 제공 뿐 아니라 아동과 관련된 작업 치료 영역(놀이, 여가, 일상생활활동, 사회참여 등)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치료 캠프를 개발 및 실시함으로 다양한 치료 서비스 제공을 제언하는 바이다. ◉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give informations of the Hospital therapy Camp designed and held by Occupational therapist with multidiscipline team(doctor, physical therapist) and to investigat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parents and volunteers. ◉ Method : Children who attend to the Camp was 21(boy 14, girl 7), outpatients of the Hospital. After multidiscipline team meeting, children were selected by those who go to school, over moderate in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over moderate in Socal Maturation Scales, can walk independently(with walker, wheelchair). 6 Occupational therapists and 2 physical therapists hosted the Camp, and 26 college students major in Occupational therapy, physical therapy were volunteers. Camp’s theme was ‘Invite our PARTY’, programs were making party flags, learning dance, making party stuffs, cooking for party, and taking a role of cook, waiter et al. during 24∼25, August, 2012. ◉ Result : (1) Parents were satisfied with all components of the Camp, especially in safety, hospital, programs, therapists and volunteers. (2) Volunteers were inspired by the therapists who held and made the camp and satisfied with being together with children. ◉ Conclusion : Children can get a chance to have various leisures, activities, and roles in 1 night Hospital Therapy Camp, and th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parents and volunteers were high. Occupational therapists should focus on various occupational areas including leisure, ADL, Camp as well as therapies in individual, hospital settings.

      • 자폐범주성장애를 대상으로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작업수행의 훈련효과: 예비연구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3 No.-

        ◉ 목적 :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작업수행 향상을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훈련과 이용하지 않은 작업수행 훈련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연구디자인은 개별실험 연구 설계인 교차중재설계(alternating treatment design)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자폐범주성장애 진단을 받고 경기도 소재 정신건강의학과 의원에서 작업치료를 받는 만 16세 남아였다. 중재방법으로 회기 당 시각단서의 유무별로 운동화 끈묶기 훈련을 교차로 실시하였다. 종속 변인의 측정은 운동화 끈으로 리본을 묶는 작업수행 과정을 비디오로 촬영한 후, 기간기록(duration recording)으로 교차중 재과정 5회, 일반화 과정 4회 동안 수행시간과 수행의 질을 측정하였다. ◉ 결과 : 모든 중재 후 대상자는 작업수행시간이 단축되었고, 시각적 단서가 있는 중재가 시각적 단서가 없는 중재 보다 적은 시간이 걸렸다. 수행의 질 역시 시각적 단서가 있는 중재점수가 더 높았다. 그러나 과제수행률이 증가하는 중재후반에는 시각적 단서가 없는 중재가 더 적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대상자는 중재가 끝난 후에도 수행기술을 유지하였다. ◉ 결론 :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치료가 시각적 단서를 이용하지 않은 치료에 비해 자폐범주성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작업수행 질의 향상과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치료는 초기중재 기간이 지난 후엔 오히려 방해요인으로 작용하여 이러한 중재는 초기에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urpose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whether visual cue affected occupational performance of adolescent who had diagnosed autistic spectrum disorder. ◉ Method : This research implemented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as single experimental research study. The subject was 16-year-old adolescent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visiting psychiatric hospital of Gyunggi-do. Therapeutic intervention to improve occupational performance was to tie his shoelaces with using visual cue and without by turns. To measure dependent variable, sessions tying his shoelaces was taken by video and was done with duration recording to evaluate accomplishment time and quality of performance during 5 sessions of alternating treatment and 4 sessions of generalization. ◉ Result : After intervention, the subject reduced occupational performance time and specially sessions using visual cue cut more time than not using visual cue. Futhermore, when being with visual cue, quality of performance intervention score was higher. However, from fifth session intervention with no visual cue took less time. The subject maintained performance skill after intervention. ◉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reatment with visual cue for adolescent diagnosed autistic spectrum disorder makes reduce performance time and improve quality of performance than without. However, intervention with visual cue affected as disturbance factor after early sessions so, this intervention is more effective at beginning stages.

      • 그룹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의 작업수행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박미래,박윤이,이지연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8 No.1

        목적 : 본 연구는 그룹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의 작업수행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그룹감각통합치료를 경험한 적 없는 만3세의 발달지연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주 1회 70분씩 5주 동안 진행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는 대근육과 소근육 증진, 또래와의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오감놀이 활동과 미술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결과측정은 중재 전, 후의 작업수행과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과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PIPPS)를 실시하였다. 또한, 사전/사후설문지를 사용하여 그룹감 각통합치료에 대한 보호자의 요구 및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측정결과는 윌콕슨 순위 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ask)을 사용하여 그룹감각통합치료 중재 전, 후의 변화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그룹감각통합치료 중재 후, 대상자의 작업수행과 또래와의 상호작용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또한, 전 반적으로 그룹감각통합치료에 만족하며 추후 진행될 중재에 참여할 것이라는 보호자의 평가가 있었다. 결론 : 그룹감각통합치료는 작업수행과 또래와의 상호작용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장기간 동안 많은 대상자에게 그룹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ith regard to occupational performance, peer interactions for infant developmental disorder.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ree-year-ol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who had never experienced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for five weeks, 70 minutes a week.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consisted of five senses activities and art activities to promote gross motor, fine motor and peer interactions. Outcome measures were used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and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PIPPS) to assess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peer interaction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pre/post questionnaire was used to evaluate the needs and satisfaction of caregivers about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Results of changes before and after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were compared using 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ask. Results : After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intervention,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peer interactions (p<.05). In addition, there were assessment of caregiver who were overall satisfied with the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and would participate in further interventions. Conclusion :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peer interaction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apply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to many subjec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 가상현실 게임이 운동성저하 아동의 운동성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강성훈,김여정,손수현,오혜인,이지연,박윤이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3 No.-

        ◉ 목적 :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운동성 저하아동의 운동성,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연구방법 : BOTMP II(Bruininks-Osers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II)와 활동성평정척도(Werry-Weiss-Perter’s Activity Rating Scale ;WWPARS ;이하 WWP) 검사를 통하여 운동성의 결함, 주의집중력 결함을 가진 2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부모의 동의를 얻어 5주 동안 A아동 6회, B아동 8회에 걸친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아동마다 연구자 2명씩 개입하여 약 50분씩(Wii-fit, Wii-sports resort) 실시하였고, 초기 평가 후 각 6, 8회에 걸친 연구를 진행하여, 마지막 차에 최종평가를 실시하였다. 최종평가는 BOTMP II, 활동성평정척도(WWP)를 사용하였다. ◉ 결과 : 각 아동마다 BOTMP II, 활동성평정척도(WWP) 평가결과 A 아동은 BOTMP II, 활성평정척도(WWP) 모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A아동은 BOTMP II 결과 총점 63점에서 71점으로 증가하여 운동성이 향상되었고, 활동성평정척도(WWP) 검사결과 총점 11점에서 6점으로 감소하여 집중력이 향상되었다. B아동은 BOTMP II 결과 총점 52점에서 55점으로 증가하여 운동성이 향상되었고, 활성평정척도(WWP) 검사결과 총점 16점에서 19점으로 점수가 증가하여 집중력이 향상되지 못했다. ◉ 결론 :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운동성과 주의집중력에 문제를 가진 아동에게 적용되었을 때 운동성을 향상시키고, 주의집중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대상자들의 수를 늘리고 장기간에 걸쳐 아동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가상현실 프로그램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urpose :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otor skill and attention of the children after the virtual realty game, Wii-Fit. ◉ Method : The subjects are two children with atteneion and motor skill problems. Children had partcipated in 6 and 8 sessions of virtual realty game. The Bruininks-Osers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BOT-2) and the Werry-Weiss-Perter’s Activity Rating Scale were used so as to evaluate the motor skill and attention. ◉ Result : After intervention, In Werry-Weiss-Peter’s Activity Rating Scale(WWP) total score of participant A decreased from 11 to 6 bu participant B increased 16 to 19. The Bruininks-Osers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BOT-2) total score of participants A and B, increased from 63 to 71 and 52 to 55. ◉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virtual realty game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otor skill and atten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conclusion because the number of subjects was limited and the environmental confounding factors had not been considered.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it shoud supplement the aspect these limitations.

      •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처리기능과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황선정,정희승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4 No.-

        ◉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처리기능과 내현화, 외현화 문제행동 특성을 파악하여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처리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을 사용하였고,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유아용 행동평가척도-부모용(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뇌성마비로 진단받은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보호자에게 설문조사에 대한 동의를 얻어 총 32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일반적 특성과 감각처리기능과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특성을 기술통계분석 하였다. ◉ 연구결과 : 학령전기(만 1.5∼5세)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프로파일 검사결과 전정감각처리 항목이 의심범주, 지구력/근 긴장도 조절이 문제 범주, 신체자세/움직임 조절 항목이 의심범주에 속하였고, 감정반응에 대한 감각입력 항목과 감각처리 행동 항목에서 각각 의심범주에 속하였다. 감각요소 하위항목에서는 낮은 지구력/근 긴장도 항목이 문제범주, 감각등록의 저하, 미세동작/지각력 항목이 각각 의심범주에 속하였다. 유아용 행동평가척도 검사결과로는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서 준임상 범주에 속하는 결과를 보였다. ◉ 결론 :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은 감각처리기능의 문제와 내재화, 외현화의 문제행동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는 감각처리기능과 문제행동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연구를 통해서 뇌성마비 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원인을 파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Objective : This study of preschoo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y processing function,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o provid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 Method : Of preschoo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order to identify sensory processing sensory profile function was used a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in order to identify K-CBCL 1.5-5 were used. The subjects were diagnosed with cerebral palsy in children, parenting and parental consent for a survey of 32 people was used for data analysis. Data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cess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in internalization characteristic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nalyzed. ◉ Result : Preschool 1.5-5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est results of sensory profile vestibular processing probable difference, sensory processing related to endurance/tone definite difference, modulation related to body position and movement probable difference, modulation of sensory input affecting emotional response, behavior outcomes of sensory processing probable difference. A sensory factor low endurance/tone definite difference, poor registration, fine motor/perceptual probable difference. K-CBCL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the category of quasi-clinical results. ◉ Conclusion : Preschoo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the function of sensory processing, with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ere confirmed. Sensory processing and behavioral problems in the future and see the relevance of research to get through to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ich can reduce the problem behaviors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cause shall be feed.

      • 청각장애 아동의 감각통합과 작업치료의 역할: 주제에 대한 비평

        이유나,김정란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6 No.-

        ◉ 목적 : 청각장애 아동의 감각통합 문제에 관한 문헌을 종합하여 작업치료적 관점에서 감각통합에 대한 평가 및 중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2006년 1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출판된 청각장애가 있는 아동의 감각통합에 대한 문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온라인 검색엔진은 PubMed, Scupus, Web of science 그리고 학술지검색은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를사용하여문헌을수집하였다. 검색에사용된용어는“children”, “deaf”, “hard of hearing”,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s”, “hard of hearing”, “hearing impairments”, “sensory integration”, “Sensory processing”와 “occupational therapy”이다. 선정된 문헌은 각 연구의 특성과 근거의 강점을 평가하여 근거수준에 따라 요약하였다. ◉ 결과 : 선정된 연구는 총 4편이며 연구참여자는 91명이었다. 청력손상이 있는 아동은 청각과 전정감각의 손상 외에도 구강감각, 촉각, 시각에서의 제한이 있어 감각통합의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의 어려움이 초래되었다. ◉ 결론 : 청각장애 아동의 감각통합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함께 작업치료적 관점에서 청각장애 아동의 감각통합에 관한 정확한 평가 및 중재의 시행이 요구된다.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is to analyze the study on sensory integration in children who are hard of hearing to determine the role for occupational therapy. ◉ Methods : The reviewer researched studies on sensory integration for children with hearing loss from January 2006 to May 2015. Information was found using PubMed, Scupus, Web of science an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with search terms “children”, “deaf”, “hard of hearing”,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s”, “hard of hearing”, “hearing impairments”, “sensory integration”, “sensory processing” and “occupational therapy”. The reviewer each assessed study characteristics and rated study indicationwide strength of evidence. ◉ Result : There were a total of 91 participants in the 4 selected articles. The data showed that atypical behaviors were present in all domains but were most prevalent in auditory and vestibular processing, followed by oral and tactile processing and least prevalent in visual processing. ◉ Conclusion : This literature review highlights the essential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be beneficial for planning both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hearing loss.

      • 지적장애 특수학급을 대상으로 전화사용하기 교육 및 훈련에 대한 연구수업안 사례 보고서

        박강현,이재신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0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1 No.-

        ◉ 서론: 특수학교의 지적장애 1개 학급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수준평가를 통하여 수준에 따라 3그룹으로 나눈 후 일상생활활동 중 의사소통에 관한 활동과제를 수행하고자 지역사회 상점에 전화로 음식 주문하기에 관한 연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사례안 소개를 통하여 수업안에 대한 이해와 국내 학교작업치료분야에서 장애를 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특수학급에서의 일상생활교육 및 훈련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 본론: 대상자는 서울지역의 D특수학교 고등부의 한 학급에 재학 중인 만 16세에서 20세의 지적장애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생들의 학교와 사회생활에의 참여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School Function Assessment(SFA)와 사회 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였고 이 결과들을 토대로 3그룹으로 분류하여 지역사회 상점에 전화로 음식주문하기에 대한 연구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수업 진행 후 학생들의 반응과 응답결과는 자신의 수준에 맞는 다양한 제재와 학습도구를 사용하여 전화를 사용하는 방법을 교육받고 훈련 받았다는 것에 만족하였고, 비슷한 수준을 가진 또래 사이에서의 학습과정을 통해 성취감과 독립성을 느꼈음을 나타내었다. ◉ 결론: 지적장애 학급을 대상으로 전화로 음식 주문하기와 같은 일상생활활동 훈련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고 이는 곧 학생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하도록 준비하는데 도움이 된다. ◉ Introduction : After split the class into groups of three according to students level test that target one of the special clas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perform activity task of communication among ADL, we conduct research class for ordering food by telephone to the community store. Through the Case, We attempt to share information about ADL and training in the special clas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domain of internal school-based occupation therapy for future. ◉ Body : This is intended for elev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ttend special-education high school in Seoul Area, aged between 17 and 20. To find out participation standard and social maturity standard, School Function Assessment and Social Maturity Scale was used. By used of this results, we split the class into groups of three and conduct research class for ordering food by telephone to the community store. After progress research class, let’s have a look at student’s response and reply, They are contented with training and teaching an method for using phone with various learning tool and subject within their level. ◉ Conclusion : ADL training such as ordering food by telephone for aimed at a special class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effect positively, that means it’s of help to prepare for active participation with community and increase their self-esteem.

      • 청소년의 작업수행과 우울, 불안 및 삶의 질과의 상관성 연구

        곽순민,김진경,이택영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7 No.1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의 작업수행능력을 알아보고 작업의 참여와 우울, 불안 및 삶의 질, 그리고 수면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14세∼19세의 중·고등학생 청소년으로 본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청소년 202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였다. 설문지는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과 작업활동분류, 청소년 우울, 불안검사와 삶의 질 검사로 구성되었다. 결과 : 청소년의 휴식, 사교활동에 높은 흥미점수를 보였으나 수행을 나타내는 빈도에서 는 낮은 점수를 보였다. 청소년의 작업활동 결과 휴식활동의 흥미, 빈도, 즐김점수가 높을수록 불안점수는 높게 나타났다. 지식활동의 빈도와 잘함점수가 높을수록 우울과 불안점수는 낮았고, 삶의 질 점수는 높았다. 사교활동의 잘함, 즐김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점수는 낮았고 삶의 질은 높았다. 수면시간과 우울, 불안 및 삶의 질과의 상관성 결과 휴일 수면시간이 길수록 불안점 수는 높았고 삶의 질 점수는 낮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작업참여에 대한 흥미, 빈도, 잘함, 즐김 정도를 알아 볼 수 있었고, 휴식과 사교활동이 다른 활동에 비해 중요한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휴식과 사교활동, 수면은 청소년의 우울 및 삶의 질과 상관성이 있음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청소년의 우울, 불안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활동 요인분석과 적극적인 작업 참여를 유도한 다양한 중재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Objective : This research studies domestic adolescents occupation performance ability and intends to look at the relationships among occupation participation in depression, anxiety, quality of life and sleep. Methods : The research subjects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age range of 14 to 19. The survey period was from 1st of August to 31st of August in 2014. The survey was composed of adolescents general characteristic, occupation activity category, adolescent depression, anxiety test, and quality of life test. Results : As a result, they showed high interest record for adolescents rest and social activity but showed low rate in showing their performance. As a result of adolescents occupation, the higher the mark for resting activity's interest, frequency, and enjoying rate, the higher the anxiety score.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sleep time and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the longer the sleep time in holiday, the higher the anxiety score, and quality of life score was low. Conclusion :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learn adolescents interest, frequency, goodness, and joy in occupation participation. We could also learn that resting and social activity are relatively important parts of their lives compared to other things. Furthermore, we could also study that resting, social activity, and sleep all have relationship with adolescen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