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약물남용 성인의 정신과적 증상과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김용석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2 No.-

        본 연구는 약물남용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그들의 정신과적 증상의 수준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있는 요인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약물사용으로 인해 보호관찰하에 있는 총 104명의 약물남용 클라이언트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정신과적 증상을 일반인과 비교한 결과 SCL-90-R의 9가지 증상차원 중 거의 모든 차원에서 조사대상자의 평균값이 높게 나와 약물남용 클라이언트가 보다 심한 정신과적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국내외에서 실시된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약물남용 클라이언트들이 약물사용의 문제와 더불어 정신건강상의 문제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약물남용 클라이언트의 정신과적 증상과 관련있는 요인들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목적이었으며 관련 문헌에 기초하여 성, 음주행위, 심리ㆍ사회적 자원을 고려하였다. 대부분의 요인들이 조사대상자의 정신과적 증상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는데, 여성이 남성보다 더 심한 정신과적 증상을 경험하고 있었고 음주행위가 활발할수록 더 많은 정신과적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가 그들의 가족, 친구, 주변인들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제공받았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그들의 정신과적 증상은 감소하여 사회적 지지는 정신과적 증상과 부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후속연구를 위한 두 가지 제안을 하고 있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약물사용 동기 중 주위의 권유로 인해서 약물을 사용하게 되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약물남용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관계는 열악하며 주변으로부터 양질의 사회적 지지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 고려한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측면과 더불어 후속연구를 통해서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측면을 연구하여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약물남용 클라이언트의 사회관계망을 탐색하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시도라고 생각한다. 둘째, 대처기술은 회귀분석에서 정신건강문제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대처기술을 다른 요인들과 함께 고려하여 대처기술이 약물남용 클라이언트의 정신과적 증상의 감소에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검증하는 것도 후속연구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중심단어 :약물남용, 정신과적 증상, 사회적 지지, 대처기술, 음주행위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levels of psychiatric symptoms among substance abusing adults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symptoms. A total of 104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low we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respondents in this study suffered from more psychiatric symptoms than a community sample. Second, among factors included in this study, respondents' gender, drinking frequencie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psychiatric symptoms. To be specific, female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han male respondents to suffer from more symptoms,respondents who drank more frequently suffered from more symptoms than those who drank less, and respondents high in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less likely than those low in perceived social support to suffer from psychiatric symptom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studies explore the structural aspects of respondents' social support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ir social relations with others and that the effectiveness of coping skills which were not found to be related to psychiatric symptoms be investigated in depth. Key Words : substance abuse, psychiatric symptoms, social support, coping skills, drinking behaviors

      • KCI등재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주관적 음성증상경험의 임상적 의의

        김지웅,김찬형,구민성,손석한,박진철,최문종,이은철,윤도준,이홍식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1

        연구목적 : 현재까지 정신분열증의 음성증상평가는 주로 객관적인 평가에만 의존해왔기 때문에, 환자들이 주관적으로 직접 경험하는 음성증상의 평가는 경시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실제 많은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음성증상을 자가하고 있다. 특히, 개관적인 양성 및 음성증상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도 환자 본인은 음성증상으로 괴로워한다는 이전의 연구보고들이 있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주관적인 음성증상경험과 개관적인 양성증상 및 음성 증상, 우울증상, 불안증상, 추세외로증상과의 상관성을 알아봄으로써 정신분열증의 정신병리에 있어 주관적 음성증상의 존재를 규명하고, 정신분열증 정신병리의 발생기전을 유추해보며 이차적 음성증상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가 정신분열증 정신병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환자를 공감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DSM-Ⅳ 진단기준의 정신분열증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주관적인 음성증상의 평가를 위해서 Scale for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Negative Symptoms : Korean version(KSENS)을 이용하였고, 개관적인 정신분열증 정신병리의 평가는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NASS)를 이용하였다. 우울증상, 불안증상, 추세외로증상의 평가를 위해서 각각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AM-D),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HAM-A), Extrapyramidal Symptoms Rating Scale(ESRS)을 이용하였다. 각 정신병리척도 점수간의 상관성은 Spearma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K-SENS 24항목 중에서 환자가 이를 불편한 것으로 경험하고 있는 항목의 비율과 PANSS 양성척도점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점이 있었으며 (r=-0.40, p〈0.05), 양성증상 중에서도 특히 과대성(r=-0.46, p〈0.05), 의심/피해(r=-0.34, p〈0.05), 적개심(r=-0.52, p〈0.05) 등의 증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K-SENS 24 항목 중에서 환자가 이를 불편한 것으로 경험하고 있는 항목의 비율과 PANSS 전체점수(r=-0.25, p〉0.05), PANSS 음성척도점수(r=-0.20, p〉0.05), PANSS 일반정신병리척도(r=-0.08, p〉0.05),와는 각각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K-SENS 24항목 중에서 환자가 이를 불편한 것으로 경험하고 있는 항목의 비율과 HAM-D 점수(r=-0.01, p〉0.05), HAM-A 점수(r=-0.11, p〉0.05), ESRS 총점(r=0.34, p〉0.05)은 각각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결과에서,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불편한 것으로 경험하는 주관적 음성증상과 과대성, 의심/피해, 적개심 같은 양성증상은 역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양성증상이 주관적으로 불편하게 느끼는 음성증상에 대한 가능성과, 혹은 양성증상이 심할 경우, 이에 압도되어 음성증상을 주관적으로 느끼지 못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시사되었으며, 향후 종적인 연구를 통해 이를 규명해 볼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주관적인 음성증상경험과 우울증상, 불안증상, 추세외로 증상과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서 이들 증상과는 독립적인 증상임을 시사한다. Objective : Since the evaluation of negative symptoms has depended on the clinician's objective observation, the patients subjective experience of negative symptoms has been neglected. However, in fact, a lot of patients are aware of their negative symptoms. There are several reported suggesting that patients suffer from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their deficit symptoms, even though the objectiv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cannot be observed. Under these circumstances, we have attempted this study with the idea that it would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psychopathology of schizophrenia. Also it would help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experience of negative symptoms and objectives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depression anxiety symptoms, and extrapyramidal symptoms. Method : All the 37 patients satisfied the diagnostic criteria of DSM-Ⅵ for schizophrenia.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negative symptoms were evaluated using Scale for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Negative Symptoms : Korean version(KSENS), and for the depression, anxiety, extrapyramidal symptoms, we used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AM-D),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HAM-A), and Extrapyramidal Symptoms Rating Scale(ESRS).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psychopathology was tested by calculating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items experienced as uncomfortable symptoms among 24 items of K-SENS, and the score of PANSS positive subscale(γ=-0.40, p〈0.05), Among the positive symptoms, grandiosity(γ=-0.46, p〈0.05), suspiciousnes/persecution(γ=-0.34, p〈0.05), and hostility(γ=-0.52, p〈0.05)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atio of items experienced as uncomfortable symptoms among 24 items of K-SEN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items experienced as uncomfortable symptoms among 24 items of K-SENS, and PANSS total score(γ=-0.25, p〉0.05), or negative subscale score(γ=-0.20, p〉0.05), or general psychology subscale score(γ=-0.08, p〉0.05),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atio of items experienced as uncomfortable symptoms among 24 items of K-SENS, and HAM-D(γ=-0.01, p〉0.05), or HAM-A(γ=-0.11, p〉0.05), ESRS(γ=0.34, p〉0.05),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revealed that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negative symptoms experienced as an uncomfortable ones and the objective symptoms such as grandiosity, suspiciousness/persecution, and hostility. From these results, the possibility that positive symptoms are used as a defense to hide from the negative symptoms because they are overwhelmed by their positive symptoms, is suggested.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subjective experiences of negative symptoms are independent from depression, anxiety and extrapyramidal symptoms.

      • KCI등재

        우울 증상을 수반한 만성 정신분열병 입원환자에서의 Paroxetine 효과 : 이중맹검 위약대조 연구

        한평주,백영석,오상우,전현태,김지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4

        연구목적: 우울 증상이 있는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항정신병약물과 항우울제인 paroxetine 20mg을 병합 투여하여 우울 증상, 양성 증상, 음성 증상 및 일반적인 정신병리의 호전 여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DSM-IV 기준상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입원환자 중 우울 증상이 있는 49명을 대상으로 parox-etine과 위약을 이중맹검을 대조한 전향적 임상 연구로서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RSD),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ESRS), UKU side effect rating scale(UKU), Clinical Global Impression(CGI)을 기저선과 1주, 2주, 4주, 6주의 시점에서 다섯 번 반복 측정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36명의 환자가 6주간의 실험을 마쳤다. Paroxetine군과 위약군을 비교해볼 때 HRSD 총점은 양군에서 의미있게 감소되어(p<.01) 우울 증상이 호전되었으나,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시간경과에 따라 항우울 효과는 paroxetine 군에서는 2주, 위약군에서는 4주 후부터 관찰되었다. 그리고 paroxetine군과 위약군 모두 PANSS 총점(p<.01)과 CGI 점수(p<.05)가 감소되어 전반적인 정신병리의 감소와 전체적인 임상적 호전을 보였으나, 두 군에서 양성 증상, 음성 증상, 일반적인 정신병리 그리고 약물 부작용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Paroxetine군에서 반응군고 비반응군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반응군이 비반응군보다 HRSD의 총점(p<.01)과 우울한 기분, 자살, 정신적 불안, 죄채감의 세부 항목에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고(p</01),일과 활동, 초기 불면증, 건강염려증의 세부 항목이 호전되어(p<.05) 현저한 우울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또한 반응군이 비반응군보다 BPRS 총점(p</01)과 PANSS의 일반적인 정신병리 점수(p<.05)가 낮게 나와, 일반 정신병리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Paroxetine군과 위약군 모두에서 우울 증상의 감소가 있었지만, paroxetine군에서 항우울 효과가 빠르게 나타났다. 두 군간에 양성 증상, 음성 증상, 일반적인 정신병리와 부작용에 대한 차이는 없었다. Paroxetine군에서 반응군은 비반응군보다 우을 증상과 일반적인 정신병리에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즉 우울한 기분, 자살, 정신적 불안, 죄책감, 일과 활동, 초기 불면증, 건강염려증이 심한 정신분열병 환자에게 우울 증상을 회복시키는데 paroxetine 20mg의 병용 투여가 효과가 있었다. Objectives: This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improvement of depressiv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and general psychopatholgy in depressed chronic schizophrenic inpatients with adjunctive paroxetine 20mg therapy in the morning. Methods: Forty nine chronic schizophrenic inpati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were randomly received adjunctive paroxetine of placebo for 6 week study period. Therapeutic effect and side dffects were evaluated by means of the Hamiltom Rating Scale for Depression(HRSD),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the 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ESRS), the UKU side effect rating scale(UKU), and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CGI) at baseline, first, second, forth, and sixth week of treatment in a controlled double-blind design. Results: 18 patients completed six weeks of paroxetine therapy, and 18 patients placebo therapy. 1) Comparison between paroxetine and placebo groups: (1) HRSD total scores in both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 groups. This study showed that significant effect in paroxetine group appeared at 2nd week of treatment(p<.01), while in placebo group at 4th week of treatment(p<.01). (2) PANSS, BPRS< CGI, ESRS, and UKU : In both groups, PANSS total scores and CGI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respectively(p<.01, p<.05) and thus indicated th im-provement of global psychopathology and entire effec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2 groups in positive, negative symptoms, general psychopathology, and drug side effects. 2) Comparison between responding and nonresponding groups in paroxetine adjunctive therapy : (1) Compared with nonresponding group, responding group had significant decrease in HRSD total score(p<.01), in HRSD subitems such as depressed mood, suicide, psychic anxiety, and feelings of guilt(p<.01), and in other subitems such as work and activity, early insomnia, and hypochondriasis(p<.05). (2) Compared with nonresponding group, responding group had significantly decrease in BPRS total score(p<.01) and in general subscale of PANSS(p<.05).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both paroxetine and placebo groups were improved in depressive symptoms, but paroxetine group had more rapid improvement than placebo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ve symptoms, negative symptoms, general psychopathology, and drug side effects between two groups. Compared with nonresponding group in paroxetine adjunctive therapy, responding group had significant improvement in depressive symptoms and general psychopathology.

      • KCI등재

        지역정신보건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분열병환자의 성별 증상차이와 사회복지실천의 과제

        허만세(Maan Se Hoe),김민석(Min Suk Ki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7 No.-

        이 연구는 정신분열병의 성별 증상차이에 근거한 실천방안 적용시 나타날 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간이증상검사도구의 측정불변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은 정신분열병의 성별증상차이는 비교적 명확한 것으로 보고하였지만 증상 측정시 남녀집단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되는지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결과들은 비교가능하지 않은 증상을 비교하거나 특정집단을 과대·과소 측정하는 등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실천방안 역시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이 연구는 간이증상검사도구의 측정불변성이 정신분열병 남녀집단에서 유지되는지를 검토하고 이에 근거하여 성별증상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6개 지역사회보건기관에 참여하고 있는 230명의 정신분열병환자였다. 간이증상검사도구의 측정불변성은 다집단 확증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토되었고 성별증상차이는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비교되었다. 다집단 확증적 요인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증상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간이증상검사도구의 전체기준지표와 간이증상검사도구의 하위측정영역인 신체화, 강박, 불안, 공포불안의 경우 평균비교가 가능한 측정불변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우울, 적대감, 정신증의 경우 구성불변성이 유지되지 못하여 증상비교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기발병한 정신분열병 남자집단과 후기발병한 정신분열병 여자집단 간 증상차이를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전체기준지표, 신체화, 강박, 대인예민성, 불안증상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을 알려준다. 첫째, 성별증상차이에 대한 실천방안 적용시 발병연령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남녀집단간 증상유형의 차이와 관련된 실천방안의 내용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정신분열병환자가 획일적 적응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지역정신보건프로그램의 가정은 재검토되어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실천연구에서 집단간 비교를 할 경우 측정불변성검증을 수행한다면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보다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Brief Symptom Inventory(BSI) in order to examine possible practical fallacies in implementing intervention approach based on symptom differences across gender in community 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for people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re seems to be the symptom difference across gender in people with schizophrenia, but they did not examine measurement invariance of symptom scales used which led to limitation in the validity of their findings. Thus, previous findings of symptom difference across gender might not be valid or biased caused by lack of construct validity of scales so that might mislead clinicians to apply knowledge of gender difference in schizophrenia.

      • KCI등재

        편집형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뇌의 구조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 : 뇌자기공명영상소견, 신경인지기능 및 정신증상간의 상관관계

        강철민,이영호,정영조,이정흠,김수지,박현진,Kang, Cheol-Min,Lee, Young-Ho,Jung, Young-Jo,Lee, Jung-Heum,Kim, Su-Ji,Park, Hyun-Jin 대한수면의학회 1998 수면·정신생리 Vol.5 No.1

        연구배경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에서 뇌의 해부학적 변화가 있는가를 관찰하고 이런 변화와 인지기능, 신경학적변화, 임상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하였다. 방법 : 편집형 정신분열병 환자군 20명(남15, 여5)과 성별, 연령을 조합한 정상대조군 23명(남15, 여8)을 대상으로하여 뇌자기공명촬영의 면적측정을 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신경심리학적검사, 연성신경학적 증후, 그리고 임상증상을 평가하여 뇌자기 공명 촬영 측정치와 상관관계를 보았다. 결과 : 1)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모든 뇌설계와 기저핵의 크기가 유의하게 커져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우측 전두엽이 작아져 있는 경향을 보였고(p=0.057), 좌측 측두엽의 크기가 환자군에서 작아져 있는 경향을 보였다(p=0.089). 2) 뇌실의 크기 증가가 이전의 입원 횟수의 증가와 정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이외에 다른 구조물에 대한 측정치와 임상적 요인들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 위스콘신 카드 분류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인 구조물은 좌측 측두엽과 좌측 피각이었다. 이중 좌측 측두엽의 크기와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의 보속 오류검사 점수사이에는 정상관관계를 보였고(r=0.5636, p<0.05), 피각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r=-0.5733, p<0.01). 대조군과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구조물 중 웩슬러 지능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구조물은 하나도 없었고, 좌측 편도(r=0.5727, p<0.05)와 좌측 피각(r=0.4686, p<0.05) 이 각각 언어성 지능 점수와 정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벤톤 신경심리검사의 유의한 상관을 보여 주었던 구조물은 우측 전두엽과 좌측 편도이었다. 이외에 좌우측 측두엽은 촉각형태 지각 검사 점수(각각 r=0.4998, p<0.05; r=0.5018, p<0.05)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고 좌우측 미상핵(각각 r=0.4611, p<0.05; r=0.4726, p<0.05) 및 좌측 피각(r=0.5370, p<0.05)은 직선지남력 검사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에서 뇌실 측정치는 어떠한 신경심리 검사와도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4) 우측 전두엽의 크기가 작을수록 연성 신경학적 징후 총점수도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r=-0.6174, p<0.01), 복합적 연성 신경학적 징후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구조물은 좌우측 편도(r=-0.4548, p<0.05; r=-0.4597, p<0.05)와 우측 담창구(r=- 0.4646, p<0.05) 이었다. 뇌실 측정치는 연성 신경학적 징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5) 우측 측두엽은 간이정신상태 검사상의 양성 증상 척도 점수와 역 상관관계를(r=-0.4483, p<0.05) 보였고 좌측 해마는 양성 및 음성 증상척도의 양성 증상점수(r=0.5028, p<0.05)와 일반증상점수(r= 0.5696, p<0.01) 및 간이 정신상태 검사의 총점수(r=0.6050, p<0.01)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외에 우측 측뇌실의 측두각은 간이 정신상태 검사 상의 양성증상과 유의한 정상관관계를(r=0.4729, p<0.05) 를 보였다. 기저핵중에서는 우측 담창구가 양성 및 음성 증상 척도의 음성 증상 점수(r=-0.6062, p<0.01), 간이 정신상태 검사상의 음성 증상 척도(r=-0.5016, p<0.05) 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좌측 담창구가 간이 정신상태 검사상의 음성 증상 척도 (r=-0.4683, p<0.05) 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뇌의 구조 변화는 임상적 경과에 따른 변화인 뇌실 확장 및 뇌의 신경발달학적 이상에 기인하는 기저핵의 증가, 우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ole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of the brain in the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Methods : The authors measured the regions of interest on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brain in 20 patients with paranoid schizophrenia(15 men and 5 women) and 23 control subjects(15 men and 8 women). We also assessed the neurocognitive functions with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the Benton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and the Weschler IQ test-Korean version, soft neurologic signs, and psychiatric symptoms in the patient group. Results : In the patient group, all ventricles and basal ganglia including caudate nucleus and globus pallidus were significantly enlarged.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values of right frontal lobe and left temporal lobe, there was a tendency of decrease in the values of right frontal lobe and left temporal lob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values of ventricles and the frequency of previous hospitaliza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ther values of regions of interest and clinical data. The value of the right frontal lob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soft neurologic signs, which is suggestive of the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value of frontal lobe and the scores of the various subscales of Benton Neuropsychiatric Inventory. In contrast, the value of left amygdala and putam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verbal IQ on the Weschler IQ test. Structural changes of the temporal lobe areas were related with the positive and general symptom scores on PANSS, while those of the basal ganglia were related with the negative symptom scor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brain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 the dual process, which is suggestive that the enlarged ventricle show the neurodegenerative process, while enlarged basal ganglia, and shrinked right frontal and left temporal lobe show the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Among these changes, structural changes of the frontal lobe related with various neuropsychological deficits, while those of left temporal lobe related with language abnormality. Relative to the relation between structural changes and psychiatric symptoms, structural changes of the temporal lobe areas were related with the positive and general symptoms, while those of the basal ganglia were related with the negative symptoms.

      • SSRI와 항정신병약물의 병합 투여가 정신분열병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연구

        정인원,이상익,신철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7 忠北醫大學術誌 Vol.7 No.1

        항정신병약물은 망상, 환청, 정신병적 흥분 등의 증상에는 효과적인 것이 사실이지만 감정둔마, 감정적, 사회적 위축 등의 음성증상은 여전히 환자들의 지역사회로의 복귀와 성공적인 재활에 커다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항정신병약물과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의 병합 투여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음성 증상 호전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6년 3월 1일부터 1997년 2월 28일까지 충북대학교 병원 신경정신과에 폐쇄병동에 입원한 정신분열병 환자 중 본 연구에 동의한 총 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항정신병약물과 SSRI 투여군, 항정신병약물 단독 투여군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은 입원후, 항정신병약물은 chlorpromazine 해당용량으로 400-800mg/d를 투여하였으며, SSRI 병합 투여군은 paroxetine은 20mg/d로, sertraline은 50mg/d로 투여하여 같은 용량을 6주간 유지하였으며 약물투여전 및 투여후 1, 2, 4, 6주째에 PANSS를 통하여 정신병리를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항정신병약물 단독 투여와 SSRI 병합 투여시 모두에게 PANSS 총점수는 시간에 따른 의미 있는 호전을 보여주고 있었으나(p<0.01) 집단간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증상에 따른 하위 척도별 점수의 변화 양상은 두 집단간에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즉 항정신병약물 단독 투여시에 양성증상의 보전이 SSRI 병합 투여시보다 현저하였으며(p<0.01) 음성증상은 이와 반대로 SSRI 병합 투여시에 더욱 두드러졌다(p<0.05).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SSRI 병합요법이 음성증상을 주로 나타내는 환자들 및 정신병후 우울 환자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Antipsychotics is effective drugs to reduce delusions, hallucinations, and psychotic excitement, but negative symptoms such as blunted affect, emotional and social withdrawal still interfere the successful rehabilitation and reinsertion into active community lif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SRI and antipsychotics combined therapy on the schizophrenic symptoms especially negative symptoms. Total 26 schizophrenic patients who admitted i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R 1996 to FEB 1997 were divided randomly into two groups to have antipsychotics only of SSRI combined therapy. All subject was medicated with antipsychotics of chlorpromazine equivalent dosage of 400-800mg/d, and SSRI combined therapy group was medicated with paroxetine 20mg/d or sertraline 50mg/d. The psychopathology was assessed by PANSS in baseline, first, second forth, and sixth weeks after admission. After the treatment, total PANSS scores of both group decrease significantly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However, positive and negative subscale score had different pattern of the decrement according to the treatment. Antipsychotics only therapy was more effective to reduce positive symptoms and SSRI combined therapy had greater effect on negative symptoms. This results suggest that SSRI combined therapy is effective on the schizophrenics with mainly negative symptoms and postpsychotic depression.

      • KCI등재

        코로나19 감염과 그 이후의 정신신체증상

        박선영,류신혜,임우영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3 정신신체의학 Vol.31 No.2

        연구목적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다양한 정신과적 증상, 정신신체증상을 파악하고 장기적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 법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문을 선정하고, “COVID-19”, “psychosomatic” 등의검색어를 활용하였다. 정신신체증상에 대한 구조화된 측정도구를 사용한 연구를 포함하여, 총 16편의 논문이최종 분석 대상으로 포함되었다. 결 과코로나19 급성 감염과 관련된 정신증상으로는 불안, 우울, 신체증상 등이 보고되고 있다. 장기간 지속되는포스트 코로나증후군의 증상으로는 흉통, 피로 등이 보고되었고, 이와 관련된 정신신체증상의 발생 빈도는10%-20%로 파악되었다. 감염병으로 인한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여성, 노인, 정신과적 기왕력이나 동반 정신질환 등의 요인이 관련을 미친다. 전신염증, 자가면역, 자율신경계의 이상반응 등이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결 론코로나19 감염 이후 발생하는 정신신체증상은 삶의 질과 심리사회적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증상에 대한 정신과적 이해와 접근은 예방과 치료에도 중요하다 Objectives:This study aims to identify various psychiatric symptoms and psychosomatic symptoms caused by COVID-19 infection and investigate their long-term impact. Methods: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selecting paper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s using keywords such as “COVID-19” and “psychosomatic.” A total of 16 papers, including those using structured measurement tools for psychosomatic symptom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Psychiatric symptoms such as anxiety,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have been reported in acute COVID-19 infection, while long-term post-COVID symptoms include chest pain and fatigue. The frequency of long-term psychosomatic symptoms has been estimated to be 10%-20%. Factors contributing to these symptoms include psychological and social stres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gender, elderly age, a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comorbid mental illnesses. It is suggested that systemic inflammation, autoimmune responses, and dysregulation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may be involved. Conclusions:Psychosomatic symptoms arising after COVID-19 infection have a nega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and psychosocial functioning.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psychiatric aspects are crucial for symptom prevention and treatment.

      • KCI등재

        입원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우울 증상과 음성 증상, 추체외로 증상간의 관련성

        김창수,박종한,정진원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정신분열병에서 나타나는 우울 증상에 대한 음성 증상, 추세외로 증상, 약물 용량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구정신병원에 입원한 정신분열병 환자 81명을 대상으로 HRSD, BPRS, PANSS, ESRS, 항정신병 약물 용량을 평가하여 우울 증상과 음성 증상, 추체외로 증상, 항정신병 약물 용량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1) HRSD 점수와 BPRS 우울 척도 점수는 PANSS 음성 척도 점수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2) HRSD 점수와 ESRS 총점수, ESRS 주관적 평가 점수, ESRS 객관적 평가 점수 사이에는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Spearman p=0.3289, 0.2791, 0.2351, P=0.003, 0.012, 0.035). BPRS 우울 척도 점수와 ESRS 총점수 사이에는 Spearman 상관계수 0.2432(P=0.029)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고, BPRS 우울 척도 점수와 ESRS 주관적 평가 점수 사이에는 Spearman상관계수 0.2787(P=0.012)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지만ERRS 객관적 평가 점수와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3) HRSD 점수와 BPRS 우울 척도 점수는 복용중인 항정신병 약물의 용량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항정신병 약물의 사용이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우울 증상의 발현과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며 또한 약물에 의한 추체외로 증상을 우울 증상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이러한 시사점을 설명할 수 있는 요소로 보인다. Object : The aim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symptoms to negative symptoms, extrapyramidal symptoms and dose of antipsychotics in schizophrenic inpatients. Method : The authors evaluated 81 schizophrenic inpatients using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RSD),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Scale(PANSS), 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ESRS).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these clinical and drug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ve symptom scores(HRSD score, BPRS depressive mood score) and negative symptom score(PANSS negative scor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HRSD score and ESRS scores(total score, subjective score, objective score) and between BPRS depressive mood score and ESRS subjective score, where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PRS depressive mood score and ESRS objective score was found. No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depressive symptom scores(HRSD, BPRS depressive mood score) and dose of antipsychotic drug. Conclusion : Antipsychotic medication may be a factor related to the depressive symptoms found in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e results also support the view that drug-induced extrapyramidal symptoms such as akinesia may be a factor that could account for depressive features seen in schizophrenic patients.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을 위한 한 정신교육적 가족치료 모형의 효과

        이영호,심주철,이상경,서영수,김용관,김규수,김영훈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3

        연구목적 : 본 교실에서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장기 정신교육적 가족치료모형을 소개하고, 이모형이 가족의 대처방식과 우울증상, 환자가 자각하는 가족의 정서적 지지와 우울증상, 재입원율 및 사회재활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방 법 : 연구대상은 DSM-IV 진단기준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받고 외래 통원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와 그 보호자였다. 교육군은 전체 19회 교육 중 최소 ⅔이상 참여한 11명의 환자와 가족이었고 비교육군은 부산소재의 종합병원에서 가족교육을 받지 않고 통원치료만을 받았던 11명의 환자와 가족이었다. 정신교육적 가족치료 모형의 효과는 가족의 대처방식과 우울증상, 환자가 자각하는 가족의 정서적 지지와 우울증상, 재입원율, 사호재활 실태로 나누어 평가했다. 평가도구는 The Ways of Coping Checklist의 국내번안용, Family Emotional Support Questionnaire for Transaction. 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이용했다. 재입원율 및 사회재활 실태에 대한 평가는 환자 및 가족과의 면담을 통해 조사했다. 결 과 : 본 연구의 정신교육적 가족치료 모형 실시 후 가족의 대처방식 중 적극적 대처는 교육군운 의미있게 증가한 반면 비교육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소극적 대처 교육군은 의미있게 감소했으나 비교육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가족치료모형 실시 전 가족들은 양군 모두 심한 우울증상을 갖고 있었다. 가족치료모형 실시 후 가족의 우울증상은 교육군에서 감소, 비교육군은 증가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의 정서적 지지 평가척도점수는 교육군은 의미있는 증가를 보였으나 비교육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환자의 우울증상의 교육군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인 반면 비교육군은 상반되게 증가했다. 가족의 적극적 대처가 환자가 자각하는 정서적 지지의 증가 및 우울증상 감소와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교육군의 환자들이 비교육군의 환자들보다 장기가족교육 종료시점과 9개월 경과 후의 추적 평가에서 재입원율이 현저히 낮았고, 사회재활상태도 좋았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실시된 장기 가족교육모형은 가족의 대처방식을 향상시키고, 우울증상의 감소를 가져오며, 환자가 자각하는 가족의 정서적 지지 향상 및 우울증상의 호전을 가져오고, 재입원율의 저하 및 사회재활의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troduce a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model for the families of schizophrenic patien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is model on the changes in coping style and depressive symptoms of the family members, and in perception of emotional support by families and depressive symptoms of patients. Methods : Subjects were schizophrenic out-patients, who fufilled DSM-IV diagnostic criteria, and their families. The members of "education group" were 11 families and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more than two thirds of 19 sessions of the program. The members of "non-education group" were 11 families and patients who had no experience of family education and were treated in a general hospital in Pusan. Clinical ratings were performed using by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Family Emotional Support Questionnaire for Transaction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Results : Coping style was changed positively, in education group but not in non-education group. The depressive symptoms of families were decreased in educated group and increased in non-educated group,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ducation group, patients felt much better emotional support by their families than patients in non-education group did. At the same time, their depressive symptoms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e patients from education group were on more successful rehabilitation than those from non-education group were.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this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model would be helpful to induce the positive changes in coping styles and reduce the depressive symptoms of family members, and it could also induce the reduction of depressive symptoms of schizophrenic patients and help their rehabilitation.

      • 지역사회 정신사회 재활프로그램이 만성정신질환자의 증상에 미치는 영향

        김이영(Yi-young Kim),배성우(Sung-Woo Ba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2 No.2

        연구목적 : 우리나라에서 지역사회 정신보건법이 시행된 지 10여년이 지났지만 지역사회의 정신재활 프로그램이 어떠한 효과를 지니고 있는지를 장기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는 매우 미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약 3년에 걸쳐 제공된 지역사회 정신재활 프로그램이 만성정신질환자의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대구지역 1개 사회복귀시설에 등록한 만성정신질환자 31명(대상집단 18명, 비교집단 13명)을 대상으로 2002년 5월부터 2007년 8월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대상집단의 경우에는 시설에 신규로 등록을 한 후,초기측정을 실시하였고,1년 간격으로 총 3회(초기 측정치 포함, 총 4회)에 걸쳐 반복측정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정신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는 집단을 대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황태연 등(2000)이 개발한 한국판 정신사회적 기능-증상 평가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 은 반복측정 분산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 1) 증상의 총점과 충동 및 탐닉행동에서 대상집단의 증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우울 및 불안 증상과 정신병적 증상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대상집단의 증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증상총점과 하위영역의 분석에서 나타난 대상집단의 공통적인 변화의 형태는 최초 1년간은 기능이 가파르게 감소하지만,2년차 및 3년차에는 그 감소세가 하락하거나 유지되는 형태를 보이면서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사회복귀시설에서 제공하는 정신재활 프로그램은 만성정신질환자의 증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Objectives :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the community mental health law was enforced in Korea. However, little efforts have been made to examine the long-term effect of the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progra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nd report the long-term effectiveness of a communityㅡbased psychiatric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symptom levels of the severely mentally ill. Method :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31(18 for the study group and 13 for the comparison group) patients who were enrolled at a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 in Daegu metropolitan area in between May 2002 and August 2007. For the study group, the newly enrolled patients were contacted and baseline data were collected within 6 months after their enrollment. Then, they were followed up every 12 months for 3 years. The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services from the agency. The data for the comparison group were collected using the same procedures mentioned above. We employed the Korean version of psychosocial function and symptom evaluation scale developed by Hwang et al. (2002) in order to measure psychiatric symptoms. The mai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employing the repeated measure of ANOVA. Results : 1) It was revealed that the study group"s symptom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over time in the domains of overall symptoms and impulse & indulgence behavior. 2) In the analyses of depression & anxiety domain and psychotic symptom domain, it was found that the study group"s symptoms tended to decrease over time although they did not reach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3) The study group"s common longitudinal change pattern over time was as follows. The level of symptoms decreased very rapidly in the first year period. Then, the decrease rate was either diminished very much over time or remained unchanged after one tear period. Conclusion : Taken together,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provided by a community-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 influenced positively in reducing patients" psychiatric symptoms. It can be also concluded that th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positive impact tended to last over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