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기 위암에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의 적응증에 관한 설문 조사

        이창균,정일권,조주영,김재준,전훈재,정현용,설상영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9 No.2

        Background/Aim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has become a widely accepted method for treating early gastric cancer (EGC) in Korea. However, there is not an established guideline for indications of ES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and practice patterns regarding indications for ESD in Korea. Methods: A 17-item questionnaire about indications for ESD in EGC was presented to the participants of the 2nd joint symposium of the Gastrointestinal Pathology Study Group of the Korean Society of pathologists. Keypad-based anonymous voting was carried out and the entire process was recorded. Result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for EGC fulfilling the classical indications was widely accepted as an effective therapeutic strategy comparable to surgery (114/115, agreement 99.5%). In our survey, Japanese extended criteria for ESD was still debated (70/111, 63.6%), but most respondents had performed ESD selectively in EGC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criteria (105/109, 96.3%). They agreed that the current criteria for ESD would possibly require a revision considering various clinical indicators. Conclusions: Our survey shows that there is still no consensus about indications for ESD in EGC. Therefore, more clinical outcome data with a long-term follow-up are needed to establish evidence-based consensus and guidelines for ESD indications in Korea. 목적: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ndos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은 조기 위암의 새로운 치료방법으로 자리잡고 있으나 시술의 적응증에 관한 지침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조기 위암의 치료에서 ESD의 적응증에 관한 국내 내시경의사들의 인식과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2월 7일 개최된 대한 소화기내시경학회-대한 병리학회 소화기병리 연구회 합동 심포지엄에 참석한 내시경의사들을 대상으로 ESD의 적응증에 관한 설문을 제시하고, 키 입력방식으로 취합된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115명의 응답자 중 남자는 87명(75.6%)이고, 30대가 72명(62.6%)로 가장 많았으며, 내과전문의가 110명(95.6%), 3차 의료기관의 근무자는 81명(70.4%)이었다. ESD의 총 시술횟수는 50회 미만이 62명(53.9%), 50회 이상이 53명(46.1%)이었다. 응답자들은 절대 적응증에 해당하는 조기 위암의 치료에서 ESD를 수술과 동등한 치료로 동의하고 있었다(일치율 99.5%). 확대 적응증의 포괄적인 채택에 대한 의견 일치율은 절대 적응증에 비하여 낮지만(63.6%), ESD시술 횟수가 많을수록 적응증 확대에 동의하고 있으며(44.8% vs. 83.0% p=0.003), 임상에서는 환자의 선호도와 임상적 위험요인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시술하고 있었다(96.3%). 확대 적응증의 세부항목에 대한 일치율은 크기(71.5%), 궤양형 병변(53.5%), 점막하 침윤병변(48.6%), 미분화형 병변(25.2%) 순이었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기존 적응증을 보완한 국내의 ESD적응증 수립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98.1%). 결론: 조기 위암의 치료에서 기존의 절대 적응증에 해당하는 병변의 내시경 절제술은 보편적 치료로 인정받고 있으나, 적응증 확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향후 장기 추적관찰결과를 바탕으로 한 국내 합의안 도출 및 지침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장내시경 적응증의 적절성 및 진단율과의 연관성 조사

        이춘영,이충현,김영호,이종우,박동일,성인경,김신연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6

        Background/Aims: We wanted to evaluate if the guidelines for appropriately performing colonoscopy by the American Society for Gastrointestinal Endoscopy (ASGE) yield good diagnostic efficacy, and we wanted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referrals. Methods: A total of 2,412 consecutive patients (1,605 men and 807 women) who were undergoing colonoscopy from September 2006 to February 2007 were prospectively enrolled in the study. The diagnostic yield was defined as the percentage of relevant colonic pathologies of the total number of performed colonoscopies. The 2000 ASGE guidelines were used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dications for the procedure. Results: The large majority (64.2%) of patients had colonoscopy for an indication that was considered ‘generally indicated’, while the procedure was considered ‘generally not indicated’ for 22.4% of the patients. The diagnostic yield of colonoscopy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appropriate colonoscopies (59.1%) than for the inappropriate colonoscopies (23.2%). On the multivariable analysis, the diagnostic yield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dication that was “generally indicated” (odds ratio=9.5) and with the referrals by a gastroenterologist (odds ratio=1.7). Conclusions: The ASGE guidelines have shown a good diagnostic yield. Further steps are required to update and standardize the guidelines to increase the diagnostic yield. 목적: 지난 수년간 대장암과 대장용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가지 선별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이는 경우에 시행되는 대장내시경의 건수도 증가하였지만, 증상이 없고 대장암의 위험요인이 없는 경우에도 대장내시경을 받길 원하는 사람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00년 미국 소화기내시경 학회에서 제정한 대장내시경 적응증의 유용성을 전향적 연구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삼성서울병원, 건국대학교병원, 강북삼성병원에서 2006년 9월부터 2007년 2월까지 대장내시경 검사가 의뢰된 2,412명의 환자들을 사전 설문조사 후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장내시경 적응증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2000년에 발표된 미국 소화기내시경학회의 진료지침이 사용되었고, 진단율은 각각의 적응증으로 시행된 전체 대장내시경 건수 분의 유의한 소견을 보인 건수로 정의 하였다. 결과: 64.2%의 환자군은 미국 소화기내시경 학회 진료지침의 ‘generally indicated’군에 해당하는 적응증으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고, 22.4%의 환자는 ‘generally not indicated’, 13.4%의 환자에서는 ‘not listed’군에 해당하는 적응증으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다. 진단율은 ‘generally indicated’군에서 59.1%, ‘generally not indicated’군에서 23.2%, ‘not listed’군에서 21.9%를 보였으며 다변량분석 시행결과, 진단율은 대장내시경 적응증의 적절성 여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Odds ratio=9.5, p<0.001), 소화기내과 의사에 의해 의뢰된 대장내시경 검사의 진단율이 타과의사에 의해 의뢰된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은 진단율을 보였다(Odds ratio=1.7, p<0.01). 결론: 대장내시경 검사의 진단율은 의뢰된 적응증의 적절성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고 내시경 처방의의 전공과목과도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 KCI등재

        단일 센터에서 캡슐내시경 검사의 적응증과 성적의 변화

        이태희,김진오,김현건,최현숙,김완중,조영관,조원영,고봉민,조주영,이준성,이문성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0 No.6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with time in indications for capsule endoscopy examinations (CEs) and diagnostic rat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425 CEs (417 patients), which were done for several different indications between March 2003 and May 2009. Indications, bowel cleansing, complete CEs, and diagnostic rates were compared between the first half (2003∼2005) and the second half (2006∼2009) of the study period. Results: Overt bleeding and occult bleeding, respectively, accounted for 31% and 5.8% in the first half; and 45.4% and 12.4% in the second half.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p<0.05). Other indicati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econd half compared to the first half (29.6% and 7.7% respectively). Bowel cleansing was considered “adequate” in 48% in the first half vs. 61.6% in the second half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omplete CE rat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iagnostic rates betwee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23.8% and 43.9%, respectively). Conclusions: Cumulative experience and knowledge with CEs has led to an increased number of CEs for obscure bleeding and a decreased number of CEs for other indications in which the role of CEs was unclear. Improved diagnostic rates of CEs were accompanied by these changes in CEs indications. 목적: 단일 센터에서 6년간 시행한 캡슐내시경 검사의 시간에 따른 적응증과 진단율의 변화를 알아보기로 했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3월부터 2009년 5월까지 다양한 이유로 시행된 425예의 캡슐내시경 결과(417명 환자)를 의무기록과 캡슐내시경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반기(2003년∼2005년)와 후반기(2006년∼2009년)로 나누어 캡슐내시경 검사의 적응증, 소장 정결도, 완전 검사율 및 양성 진단율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 후반기간의 캡슐내시경의 적응증에서 유의한 변화는 현성 출혈과 잠복 출혈이 전반기에 각각 31%, 5.8%에서 후반기에 45.4%, 12%로 증가한 반면 기타 적응증은 전반기의 29.6%에서 후반기의 7.7%로 감소하였다. 소장 정결도는 전반기에는 48%에서 양호한 반면 후반기에는 61.6%에서 양호하여 후반기에 소장 정결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전, 후반기간에 완전 검사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캡슐내시경 검사의 양성 진단율은 전반기에는 23.8%이었고 후반기에는 43.9%로 후반기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캡슐내시경 검사의 시간에 따른 적응증 변화로는 유용성과 타당성이 확실하지 않은 기타 적응증은 감소한 반면 유용성과 타당성이 입증된 원인불명의 위장관 출혈은 증가하였다. 또한 소장 정결도는 향상되어 시간에 따른 캡슐내시경 검사의 진단율이 향상되었다.

      • KCI등재

        학술 정보 기반 한의학 처방을 위한 확장 적응증 데이터베이스 구축

        이소민(So-Min Lee),백연희(Yeon-Hee Baek),송상호(Sang-Ho Song),RETITI DIOP EMANE CHRISTOPHER,함선중(Xuan-Zhong Han),홍성연(Seong-Yeon Hong),김익수(Ik-Su Kim),임종태(Jong-Tea Lim),복경수(Kyoung-Soo Bok),MINH NHAT TRAN,QUYNH H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8

        의료의 질은 효과, 효율, 적절성, 과학적-기술적 측면 등과 같은 4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과학적-기술적 측면의 질 관리를 위해 의료기관에서는 매년 보수교육의 형태로 최신 지견을 현장에 보급하고 있다. 하지만 최신 지견이 가장 빠르게 보급되는 연구 결과들을 단발성인 보수교육만으로 임상 현장에 충분히 보급하는 것에는 명백한 한계가 존재한다.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같은 지능정보처리 기술이 의료 분야에 적용될 경우 기존에 문헌 조사 등으로 연구되어 적은 정보만으로 연구를 수행해야 했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기존 약재 처방 적응증을 확장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한의학 관련 국내외 논문 정보를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약재 처방전의 확장 적응증 콘텐츠 구축을 위한 한의학 근거문헌 데이터의 처리 및 분석 기법을 설계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의학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서 근거기반 약재처방 주치 정보의 기본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quality of medical care can be defined as four types such as effectiveness, efficiency, adequacy, and scientific-technical quality. For the management of scientific-technical aspects, medical institutions annually disseminate the latest knowledge in the form of conservative education. However, there is an obvious limit to the fact that the latest knowledge is distributed quickly enough to the clinical site with only one-time conservative education. If intelligent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applied to the medical field, they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aving to conduct research with only a small amount of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construct databases on which the existing medicine prescription adaptations can be extended. To do this, we collect, store, manage, and analyze information related to oriental medicine at domestic and abroad Journals. We design a processing and analysis technique for oriental medicine evidence research data for the construction of a database of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extended adaption.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content of evidence-based medicine prescription information in the oriental medicine-related decision support services.

      • KCI등재

        고관절 관절경의 최신 지견

        김필성(Pil-Sung Kim),황득수(Deuk-Soo H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6

        고관절의 해부학적 구조 및 접근의 어려움으로 인해 비교적 늦게 시작된 골관절 관절경은 설명되지 않았던 고관절 통증의 원인을 해결하면서 수술적 적응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수술 기법이 개발되면서 정상 구조로의 수복과 기능 회복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대퇴비구 충돌, 비구순 파열, 관절내 유리체, 활액막성 골연골종 등의 고식적 적응증뿐 아니라 심부 둔부 증후군, 좌골대퇴 충돌, 전하방 장골 극하 충돌, 장요근 충돌의 새로운 관절외 병변이 소개되고 있으며, 치료 방법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저자들은 고관절의 관절경의 다양한 적응증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수술 전 고려 사항, 관절경 수술 기법 및 재활 등에 대해 보고한다. Hip arthroscopy has been useful for resolving unexplained pains of the hip joint, despite its clinical applicability came after many other joints. Surgical indications have been increasing recently. Moreover, additional surgical techniques allow both the anatomy and function to return to its normal state. Recently, the concepts and treatments for extra-articular pathologies, such as deep gluteal syndrome, ischiofemoral impingement, subspinal impingement and iliopsoas impingement as well as classic indication, such as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acetabular labral tear, loose bodies, and synovial osteochondromatosis have been introduced. We present a diagnosis and treatment for diverse indications of hip arthroscopy, preoperative considerations, surgical technique and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 KCI등재후보

        부모됨 적응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맞벌이 부모의 초기양육경험의 내러티브 탐색

        노은하(Eun Ha Roh),송주은(Ju Eun Song),김문선(Moon Sun Kim)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9 교류분석상담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양육경험을 내러티브 질적 연구 분석방법을 통해 탐색하여, 그 경험의 의미를 기초로 저출산 극복을 위한 맞벌이 부모됨 적응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2018년 7월부터 12월까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 7쌍의 인터뷰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맞벌이 부모의 양육경험의 의미는, 1) 상호보완적인 의사소통으로 결속력 있는 부모로 성장 중, 2) 조부모 의존적인 양육으로 부모는 경제적인 역할에 치우쳐감, 3) 부부 대화 능력 및 시간 부족으로 가정불화가 커지고 자녀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협함, 4) 부모로 준비되지 못해 전문적인 부모교육을 필요로 함 등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맞벌이 부모의 성공적인 부모됨과 긍정적인 양육경험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에 의한 부모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특별히 자녀돌봄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교육뿐 아니라 부부간의 의사소통증진을 도모하는 부모됨 적응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parenting experiences of dual-income parents of infants and toddlers through narra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meaning of experience, it was carried out to develop dual-income parental adaptation program to cope with low birthrate in Kore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July to December 2018 from 7 pairs of dual-income parents of children aged 6 years or under. The Followings are the meaning of early-parenting experience of dual-income parents, 1) Dual-income parents grow to cohesive parents through complementary communication, 2) Grandparent-dependent parenting causes parents inclined toward providing economic support primarily, 3) The lack of talks and time between husband and wife exacerbates family disagreement and threatens the healthy growth of children, 4) They require professional parent education and resources because they have become aware of their lack of preparedness as par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arental education by experts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parenting of dual-income parents and positive early-parenting experience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education that provides integra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child care, the parental adaptation promotion program to promote productive and mature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is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

        미용성형의료 - 우리 판결례와 독일 판결례의 비교 · 분석적 소고 -

        안법영 대한의료법학회 2015 의료법학 Vol.16 No.1

        이 논문에서는 미용성형의료관계에서 설명의무의 위반과 시술상 오류로 인한 민사책임에 관한 판결(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다94865 판결, 서울중앙지방법원 2014. 12. 5. 선고 2013가소865646 판결)의 평석적 분석을 통해 설명의무만를 강화하여 책임귀속을 판단한 논지의 법리적 문제점을 지적하고, 다음과 같은 논점을 전개한다. 미용성형도 현행 의료법상 의료행위에 해당한다는 판례(대법원 1974. 11. 26. 선고 74도1114 전원합의체 판결)와 학계의 통용되는 견해는 공법적 관점에서만 타당하며, 적응증이 없는, 즉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순수한 미용성형시술은 의술적으로 신체, 건강 등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의료법상 의료행위에 해당하지만, 민사책임법에서는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진료행위와 구별되어야 한다. 그리고 오늘날 의료생활에서 의료보험의 불가결성에 비추어, - 방법적으로 사회법상 개념 및 규준을 곧바로 민사책임법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견지하면서 -, 성형시술에 대한 보험급여에 관한 독일 연방사회법원 판결(BSGE 63, 83, BSGE 72, 96, BSGE, 82, 158, BSGE 93, 252 etc.)을 소개하여 비교한다. 또한 진료계약의 법적 성질에 관한 교조적 논점과 관련하여 독일 연방법원의 판결(BGHZ 63, 306)도 비교적으로 검토한다. 소결적으로 성형의료를 (1) 신체의 물리적 기능의 침해의 교정, (2) 기형(畸形)의 교정, (3) 심인적 침해의 교정, (3) 정상적 체형(體型)의 미화(美化)로 유형적으로 분류하는 관점에서, 적응증 있는 진료계약(수단채무)에 적용하는 책임귀속법리와 달리, (4)의 유형에 해당하는 미용성형시술에는 예외적으로 도급계약의 법리 적용을 긍정적으로 재검토할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is concerned in the theme of the liability for the breach of duty to inform(Haftungszurechnung der Aufklärungspflichtverletzung) and the malpractice of cosmetic surgery. Here, the terms, treatments for healing purposes and purely medical-technical cosmetic operations are well integrated in the category of “medical conduct(medizinische Handlung)” within the meaning of the public and administrative ‘Medical Law’. In the judgment of 6. 13. 2013 Az. 2012DA94865 provides the KHGH(Korean Highest Court of Justice) to inform the patient about the prospects and risks of cosmetic surgery(Infrabrow Excision Blepharoplasty) stringent requirements, similar to the judicature of BGH(cf. BGH, Urt. v. 6. 11. 1990, Az.: VI ZR 8/90). Even in the judgment of 5. 12. 2014 Az. 2013GASO865646 the SZLG(Seoul Central Regional Court) recognizes the physician contract for 'cosmetic septoplasty' as a sort of contract for work. The medical treatment(ärztliche Heilbehandlung) is still regarded as a prototype of the medical activity, therefore in the meaning of the ‘Civil Law(KBGB)’, its term needs to be used immediately for healing purposes. The cosmetic operation, desired by a patient, differs from the healing treatment by the element of indication and the fact that the healing purpose(Heilzweck) itself is missing. In comparative context - methodically fully aware that the unreflective term transfer between different laws might contradict their legal purposes - a series of judgments BSG(BSGE 63, 83, BSGE 72, 96, BSGE, 82, 158, BSGE 93, 252 etc.) and some judgments of LSG are reviewed. In addition, also the dogmatic topic for the legal natur of a medical treatment contract is to reconsider by comparative introducing BGHZ 63, 306. Now in view of the current state of greater popularity of artificial cosmetic surgery still indeed is the sentences: The doctor is minister naturae, a helper of nature. A doctor promises regularly only the proper treatment of the patient, but the contractual liability for work should not be excluded in medical conditions for cosmetic surgeries altogether. “With cosmetic operations, seeking to eliminate the external deformities, the doctor may miss the medical profession entirely.” - A. Laufs, Medical Law, 5th ed. P. 18.

      • KCI등재

        학령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부모적응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노은하(Eun Ha, Roh),송주은(Ju Eun, Song),우한나(Han Na, Woo)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0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 부모를 위한 맞춤형 부모적응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를 활용한 유사실험연구로, 36개월 ~ 72개월 이하 학령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 중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대상자를 편의 표집하였다. 대조군의 연구대상자는 2019년 6월 이후 연구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맞벌이 부부 20쌍, 총 40명이 될 때까지 모집하고 3차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실험군의 대상자는 2019년 8월부터 선착순 20쌍(40명)의 부모를 모집하여, 맞춤형 부모적응증진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 2주후(2차 조사), 4주후(3차 조사) 반복측정 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맞벌이 부모의 적응증진프로그램 제공여부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부모양육효능감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맞벌이 부모를 위한 교류분석 이론의 정서적 중재를 강화한 효능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stomized parental adaptation promotion program for working parent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he study design is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quasi-experimental research. Among dual-income parents with children betweeen 36 and 72 months old, who met th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ampled for convenience. The study subjects of the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from 3 data collection institutions to 20 pairs(40 people) since June 2019, and conducted 3 surveys. After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cruited from August 2019 to the experimental group. Off-line and online customized parent adaptation promotion education was provided, and repeated measurements were made after 2 weeks (2nd survey) and 4 weeks (3rd survey) after training. As a result of the study analysis, parenting efficacy was analyzed by ANOVA, and parent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timing of education (F=8.032, p=.00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nhancement program that strengthens the emotional intervention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

      • KCI등재

        쇄골 골절 치료의 최근 경향

        오주한(Joo Han Oh),최혜연(Hye Yeun Choi)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2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5 No.1

        목적: 쇄골 골절의 치료에 관한 광범위한 자료 검토를 통해 현 시점에서의 적절한 쇄골 골절 치료방법을 찾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성인에서 발생한 쇄골 골절과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 즉 쇄골 골절의 역학, 분류, 수술 적응증, 최근 도입된 치료 방법의 현황 및 결과를 문헌 고찰을 통해 정리하였다. 또한, 쇄골중간 부위 골절의 수술 적응증의 확대와, 새로운 치료법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anatomically precontoured plate의 도입을 비롯한 최신 지견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과 및 결론: 지금까지 쇄골 골절은 비수술적 방법으로 대부분 치료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기존에 추산되었던 것 보다 많은 수의 불유합, 부정유합 발생이 보고되면서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이 점점 확대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쇄골 골절에 대한 이상적인 치료 방침이 확립되지 않았음을 고려할 때, 환자 개개인의 임상 정보와 선호도를 세심히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Purpose: We sought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management modality for clavicle fracture through the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Materials and Method: 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knowledge regarding clavicular fracture in adults, including epidemiology, classification, surgical indication, current technique, and results. We also addressed recent debates: the range of the surgical indication for mid-clavicular fracture and the introduction of anatomically precontoured plate as a new treatment modality. Result and Conclusion: Nonsurgical treatment has been regarded as the first choice in the management of clavicle fractures. Quite recently, mounting evidence has shown that adverse outcomes, after a nonsurgical treatment, such as nonunion and malunion, were more prevalent than previously assumed. Accordingly, the indications for surgical fixation appear to be broadening. However, given that the ideal treatment option remains to be determined, the appropriate treatment of clavicle fractures should be tailored based on careful assessment of individual patient’s data and preference.

      • KCI등재후보

        단일기관에서 시행된 30년간의 신생검 결과와 임상상 분석

        배홍진 ( Hong Jin Bae ),문강륜 ( Kang Ryun Moon ),김예진 ( Ye Jin Kim ),최대은 ( Dae Eun Choi ),나기량 ( Ki Ryang Na ),이강욱 ( Kang Wook Lee ),신영태 ( Young Tai Shin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4 No.3

        목적: 경피적 신생검은 사구체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필수적인 검사 방법이다. 그러나 인구와 시기별에 따른 사구체 질환의 변화에 대한 대규모 연구는 많지 않다. 경피적 신생검을 시행받은 환자들에서 임상적 적응증과 조직병리 진단의 시대별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1981년부터 2010년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경피적 신생검을 시행받은 15세 이상의 총 3,052명 중 의무기록 검토와 조직진단이 가능했던 2,412명을 대상으로 연령, 성별, 적응증, 신생검 결과 등에 대해서 I기(1981-1990년), II기(1991-2000년), III기(2001-2010년)로 나누어 시기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Background/Aims: This study evalu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underwent kidney biopsies, and the relative changes in pathological diagnosis, according to time periods over the last 30 years (1981-2010).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051 patients who were older than 15 years and underwent kidney biopsies at Chungnam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81 and December 2010. For analysis, the patients were grouped into three time periods: I (1981-1990), II (1991-2000), and III (2001-2010). We reviewed the available medical records of 2,450 patients and analyzed the changes in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over time.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35.9 (range 15-91) years and the male-to-female ratio was 1.3:1.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a kidney biopsy was an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y (64.2%) and the proportion with this indic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ime (p < 0.001). Primary glomerular diseases comprised 65.4% of all pathological diagnoses, followed by secondary (13.6%) and hereditary (12.5%) glomerular diseases. The proportion of primary glomerular diseas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ime (p < 0.001), while the proportions of secondary and hereditary glomerular diseases increased correspondingly (p < 0.001). IgA nephropathy was the most common pathological diagnosis (36.7%) overall. The proportion of IgA nephropathy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ime (p < 0.001), while minimal change disease and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decreased significantly (p < 0.001 and p = 0.013,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linical indications and pathological diagnoses in patients who underwent kidney biopsies changed significantly over the last 30 years. (Korean J Med 2013;84:379-38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