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윤은영 ( Eun Young Yun ),이정수 ( Jung Soo Lee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8 아동복지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조사함으로써, 향후 자유선택활동의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를 위해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24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선택활동의 목적에 대해 교사는 ‘특정한 개념 소개’에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자유선택활동의 목적에 대한 전반적인 교사의 인식은 기관유형별, 경력, 연령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별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의 역할에 대해서는 ‘자료를 선택하도록 하며 활동을 지시’하는 것에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자유선택활동의 역할에 대한 전반적인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기관유형별, 학력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경력과 연령별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점으로는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적절한 지도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운영실태를 살펴보면 운영시간은 50~60분, 하루 2회 운영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의 계획 방법은‘교사 혼자서 계획’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은 ‘상징물을 걸고 놀이계획표에 표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또한 활동을 결정하는 방법에서는 ‘전체적으로 유아 스스로 선택하게 하는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는 영역은 블럭 영역이며 활발한 이유는 유아들이 ‘영역자체를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인식하였다. 반면 자유선택활동에서 운영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은 수?과학 영역이며 ‘영역자체를 유아가 싫어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자유선택활동을 위한 환경구성 방법은 ‘단원, 계절, 학기에 따라 구성’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고, 한 영역에 몰리는 경우 인원수를 제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 후 대부분의 교사들은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amine child care center teachers` awareness and management of free play activity,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more effective future management of free play activity. For this study, 240 surveys were distributed to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to explore their awareness and management of free play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child care center teachers were positively aware of the purpose of free play activity as introducing specific concepts to children. There were differences in teachers` overall awareness of the purpose of free play activity by a type of center, teaching experiences, and age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y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Most teachers were positively aware of their role in free play activity as solving a problem through intervention in fights between children. There were differences in teachers` overall awareness of their role in free play activity by a type of cent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y teaching experiences and ages. Second, most teachers were highly aware of a problem in free play activity as not knowing how to guide children properly in various problem situations. Third, schedule of free play activity for most child care center teachers was 50~60 minutes and twice a day. Most teachers make an arrangement of free play activity alone, and they don`t choose an area of free play activity in an established way. Most teachers allow children to choose the next activity for themselves in general. Teachers were aware that the most active area in free play activity is the black area because children prefer to the black area itself. On the other hand, teachers were aware that the most inactive area in free play activity is the number/science area because children dislike this area itself. Most teachers set up free play activity according to section, season, and term. And they limit the number of children when a certain area is crowded. After free play activity, most teachers evaluate the activity.

      • KCI등재

        자유학기제 “주제선택 활동” 운영 사례 분석 : 주제선택 활동의 교육적 의미 고찰

        임종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heme Selection Activity, which is a unique curriculum in the free semester, and to explore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of the Theme Selection Activity based on this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operation of the Theme Selection Activities, school document analysis, teacher interview, student interview, and narrative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from A middle school. The findings were derived by classifying the ope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heme Selection Activities into students, teachers, and schools. At the Student level, the feature of the Theme Selection Activities was ‘A break from classes’, and At the Teacher level, the feature of the Theme Selection Activities was ‘Double-sideness of class creation’, The characteristic at School level was 'The key to success in liberal education’. The pedagogical meaning of the Theme Selection Activity revealed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heme Selection Activities is a curriculum linking subject and non-subject in a pedagogical manner. Second, it is a life lesson that deals closely with daily-life contents. Third, the Theme Selection Activity is an example of adopting theme-oriented education in a bottom-up manner is terms of educational policy. Fourth, the Theme Selection Activity suggests that teachers need educational expertise like curriculum creation beyond curriculum restructuring. Finally, the Theme Selection Activity shows the future school lessons as an educational future.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고유의 교육과정인 주제선택 활동의 운영 모습과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주제선택 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자는 주제선택 활동의 운영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 대도시 중규모의 꿈나래중학교를 대상으로 학교 문서 분석, 교원 면담, 학생 면담, 서술형 설문조사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주제선택 활동의 특징은 학생 차원에서 ‘학생: 교과 수업의 일탈’로 나타났으며, ‘색다른 교과 수업’, ‘교과서로부터 자유, 일상으로 밀착’, ‘내가 선택한 수업’, ‘과정 중심 평가로부터의 자유’, ‘반이 뒤섞이는 블록 수업’, ‘엇갈리는 주제선택 활동의 체감 효과’로 구체화되었다. 교사 차원에서는 ‘교사: 수업 창작의 양면성’의 특징이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부담스러운 수업 창작의 자유’, ‘감축 교과로의 제한된 연계’, ‘교사에게도 공부가 되는 수업’, ‘내 교실로 학생들이 찾아오는 수업’, ‘학생 참여도가 높은 수업’의 현상이 나타났다. 학교 차원에서의 특징은 ‘학교: 자유학기 성공의 열쇠’로 나타났으며, ‘수업 변화의 촉진제’, ‘학력 저하 우려에 한 소극적 대응 기제’, ‘딜레마: 운영 기수 확대 vs. 수업 차시 확대’, ‘수업의 질 편차가 큰 수업’, ‘자유학기에만 한정된 교육과정’으로 구체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제선택 활동의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선택 활동은 교육과정적으로 교과와 비교과를 잇는 교육과정이다. 둘째, 주제선택 활동은 교육내용적으로 삶과 밀착한 내용을 다루는 인생 수업이다. 셋째, 주제선택 활동은 교육정책적으로 Bottom-up방식으로 주제 중심 교육을 도입한 사례이다. 넷째, 주제선택 활동은 교원교육적으로 교사가 교육과정 재구성을 넘어 교육과정 창작 전문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주제선택 활동은 미래교육적으로 미래 학교 수업의 상을 보여준다.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인식

        송주영,김낙흥 미래유아교육학회 201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ree choice activitie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metaphor.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identify metaphor for the free choice activitie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In this study, sentence completion type was used and 241 metaphors were collected from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etaphors and the reasons for the expression of the metaphors were categorized and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f each category were calculated. The categories of metaphors and metaphorical reasons indicated that the meaning of free choice activity,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free choice activity, and the role and competency of teachers in free choice activity. First, in the category of the meaning of free choice activity, ‘opportunity for free choice’, ‘space for free and comfortable play’, ‘favorite and pleasant time’, and ‘very important core activity’ were included. Second, in the category of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free choice activity, ‘time of imagination’, ‘time of social relations’, ‘time of development and development’, ‘time of active and spontaneous learning’, ‘time of holistic education’, ‘time of diverse expression’ and ‘time of individualized education’ were included. Finally, in the category of the role and competency of teachers in free choice activity, ‘the roles of teacher’ and ‘the competencies of teacher’ were inclu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changes in the free choice activity and the needs for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toward free choice activity. 본 연구는 은유(metaphor)를 통하여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자유선택활동에 대해 유형화하고 분석하였다. 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은유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4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은유 표현과 은유 표현이유를 묻는 질문지를 통해 유아교사의 응답을 수집하여 범주화하였고, 범주에 따른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인식은 자유선택활동의 교육적 의의, 자유선택활동의 의미, 자유선택활동의 교사의 역할로 범주화되었고, 자유선택활동의 교육적 의의에 대한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은유 유형에 대한 결과를 보면, 첫째, ‘자유선택활동의 의미’는 ‘다양한 놀이 중 원하는 놀이 선택의 기회’, ‘자유롭고 편안한 놀이가 가능한 공간’,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고 즐거워하는 시간’, ‘아이들에게 너무 중요한 핵심활동’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자유선택활동에 교육적 의의’는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시간’,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시간’, ‘성장과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간’, ‘능동적ㆍ자발적으로 학습하는 시간’, ‘전인적 교육을 실현하는 시간’, ‘다양한 생각과 경험을 표현하는 시간’, ‘개인적 특성이 발견되는 시간’으로 구분하였다. 셋째, ‘자유선택활동에서의 교사 역할 및 역량’에서는 ‘자유선택활동에서의 교사 역할’과 ‘자유선택활동에서의 교사 역량’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제 운영의 간극을 줄이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학교현장실습기관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안혜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4

        본 연구는 학교현장실습 기간 동안 예비유아교사들이 관찰한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서울소재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20명은 4주간의 학교현장실습기간에 자유선택활동 계획, 실행, 평가 등 전반적인 자유선택활동 운영, 교사의 유아놀이 개입, 놀이 관찰 등에 대한 과제와 자유선택활동 경험을 중심으로 한 반성적 저널을 작성했다. 또한 실습이 종료된 후 학생들과 개별면담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자유선택활동을 관찰한 후 교사가 다양한 방식으로 자유선택활동을 계획, 실행, 평가를 진행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실습경험을 통해 놀이개입과 관련한 교사의 역할과 자유선택활동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파악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실습기간에 겪은 자유선택활동 경험을 반성적으로 사고하며 실천적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자유선택활동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학교현장실습이 예비유아교사들로 하여금 자유선택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경험하게 하는 기회가 되며, 현장에서 실시하는 자유선택활동의 실제를 돌아보는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free-choice play during a practicum. The participants were 20 university students taking a course entitled Educational Practicum.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participants’ observation notes, assignments during practicum, journals, and individual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teachers’ practices related to free-choice activity. Few teachers followed the plan-do-evaluation guideline. 2) The teacher’s role was critical in playing with children, and helping children who were not able to play with others. However, many teachers were too busy to observe and to support children’s play. 3)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many obstacles in children's free play due to limited play area academic activities. Lack of play time and educational materials were also obstacles of play. Although pre-service teachers have been taught the importance of free play, they perceived a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Desirable learning also happened through practicum.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teacher’s role was critical in implementing and supporting free choice play.

      • KCI등재

        자유선택활동 구성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 이야기

        김경철,정혜승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In this study, the purpose is to see that the preparatory preschool teachers compose their free choice activities during class, and thereby know the meaning of the free choice activities experienc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 undergraduat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colleg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and it was conducted in pre - class, during class, and after class to experience free choice activity. Research results First of all, the preparatory preschool teacher needs to know why free choice activities are needed and what meaning the preschooler has. Second, the preparatory preschool teachers have triggered a change in the teacher's role through the experience of free choice activities. Third, the free choice activities experienced by the preparatory preschool teachers will be the basis for connecting to teaching behavior and performing teaching jobs when faced as preschool teachers in the field of preschool education. Therefore, appropriate free choice activity experience for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ll be able to give competence as a teacher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hen faced with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수업중에 스스로 자유선택활동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경험한 자유선택활동의 의미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S시에 위치한 A대학 유아교육과 대학생 3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총 3단계로 실시되었으며 자유선택활동을 경험하기 위한 수업 전 단계, 수업 중 단계, 수업 후 단계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유선택활동이 왜 필요하고 유아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를 알게 되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유선택활동의 경험을 통해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전환의 계기가 되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자유선택활동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로 직면하게 되었을 때 교수행동으로 연결되어 교사직을 수행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에게 적절한 자유선택활동 경험은 앞으로 유아교육현장에 직면하였을 때 교사로서 유능함을 주고 유아들의 발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과 수업과 주제 선택 활동을 연계한 중학교 자유학기의 수업 모형 연구

        김평원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andardized learning model for designing free-learning semester and to provide a practical framework of curriculum. This paper is a policy study to design a free-learning semester’s subjects and project activities. The free-learning semester is usually run with the morning subject and the afternoon free semester activities. The free semester activities consist of career search activity, project activities, arts & sports activities, and club activitie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opose a strategy that connects the subjects with the project activities. Specifically, I proposed a model in which the subject class was divided into learning, practice, and production and the project activities consisted of data selection, information extraction, knowledge generation. The instructional model that connects the subject class and the project activities to the production making s tage through abstracting, elaborating, schematizing, organizing stages repectively can be a useful strategy to integrate the two together. 2016년부터 모든 중학교에 자유학기제가 적용됨으로써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재량권이 강화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 수업을 설계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여 자유학기 운영의 실천적 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자유학기 교육과정은 교과와 자유학기 활동으로 구분되어 있어 오전 교과 수업을 마친 교사는 오후 주제 선택 활동이나 동아리 활동을 담당한다. 진로 탐색 활동은 진로 교사가 담당하고 예술・체육 활동은 음악, 미술, 체육 교사가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교과 교사들은 주제 선택 활동을 활용하여 줄어든 오전 교과 시수를 보완할 수 있도록 활동을 설계해야 한다. 하지만 주제 선택 활동은 일종의 프로젝트 수업으로서 내용과 층위가 다양하여 이론적 토대가 명확한 수업 모형을 구안하는 것이 녹록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 수업을 ‘학습 → 실행 → 작품화’ 단계로 위계화하고, 자유학기 활동 중 주제 선택 프로그램을 ‘자료 수집 → 정보 추출 → 지식 생성’ 단계로 위계화한 자유학기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교과 수업과 주제 선택 활동을 ‘발췌하는 단계’, ‘정교화, 도식화, 조직화 하는 단계’를 거쳐 ‘작품을 만드는 단계’로 묶는 수업 모형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교과와 자유학기 활동을 연계할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유아교육기관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운영 실태 및 교사인식

        김경희 ( Kim Kyoung-hee ),김세곤 ( Kim Se-gon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운영 실태 및 교사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상북도 K시 어린이집 41개소, 유치원 15개소의 만 3~5세 교사 190명이 연구대상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이 이루어졌다. 첫째, 자유선택활동의 하루 운영 횟수는 1~2회, 하루 2시간이상이 가장 높았다. 교사들이 자유선택활동 계획 시 활용 자료는 `연령별 프로그램과 누리과정프로그램 등을 참고한다`가 많았고, 계획방법은`교육계획안에 의해 계획`하는 경우가 많았다. 자유선택활동 지원방법은`선택한 영역 앞에 상징물을 건다`가 많았다. 잘되는 영역은 `역할, 쌓기영역`이며, 가장 안되는 영역으로는 `수과학영역`이었다. 자유선택활동 계획의 어려움은 `활동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시간이 부족하다`가 가장 많았고, 자유선택활동의 평가는 `대체로 잘 한다`, 평가방법은 `교사가 관찰한 바에 따라 일과 후 혼자 평가`가 많았다. 자유선택활동의 시간은 `충분하다`고 하였고 하루적정시간으로는 `2~3시간 미만`이 많았다. 둘째, 교사인식도 중 교육내용 및 방법에서는 `대체로 높다`이상이었다. 교육적의의 및 교육내용에서는 `자유선택활동시간은 유아들이 선택한 활동을 해봄으로써 스스로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다`라는 응답 빈도가 가장 높았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actual operation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elective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it targeted 190 teachers in charge of 3-5 years old children in 41 daycare centers and 15 kindergartens in K city of Gyeongsangbuk-do.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igures mainly showed that the operating hour is 1-2 times and more than 2 hours a day. Programs of elective activities referred to children`s age and Nuri curriculum the most while showing lots of educational methods systematically reflected to the educational plan. Regarding the elective activity methods, the presentation of symbols such as name tags, pictures in front of the area selected by children was the top rate of the answers. The most activated part is the order of role, building up because kids just like it as playing game,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and science part is the less activated due to the poor interplay between teachers and kids. The hardest point when teachers prepare the activities is the lack of time, and many of them evaluate the activities by themselves after class. According to them, the operation hour is enough and proper time is less than 2-3hours. Second, the awareness level of teachers for educational contents & methods was between `generally high` and `very high` and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depending on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were not significant. In regard of educational significance & educational contents, the response frequency of `The elective activity hour provides children with opportunities to feel satisfaction and accomplishment by practicing their own selected activities` was the highest.

      •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유선택활동 분석: 만 3, 4, 5세를 중심으로

        황인주 ( In Ju Hwang ) 영유아교육학회 2014 영유아교육연구 Vol.17 No.-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유선택활동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교육기관 만3, 4, 5세총 50학급에서 한 달간 작성된 일일교육계획안 1000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내·외 자유선택활동의 운영여부, 운영시간, 흥미 영역별 활동 빈도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 유아교육기관중 실내자유선택활동은 88%, 실외자유선택활동은 48%의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었다. (2) 실내자유선택활동의 평균 운영 시간은 72.5분, 실외자유선택활동의 평균 운영 시간은 46.67분으로 나타났다. (3) 흥미영역 별 활동 빈도는 언어 영역이 가장 많았으며 수·조작, 미술, 쌓기, 과학, 역할, 음률 영역 순이었다. (4) 자유선택활동의 운영시간과 흥미영역 별 활동 빈도에서 연령별, 발달수준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ertain aspects of free-choice activities i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In order to examine the mentioned above, management hours of in-out door free choice activities, and frequency of activities of interest center in 1,000 daily lesson plans written by 50 teachers in charge of 3, 4, 5-year-old clas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1) About 88% of the participants were managed in-door free choice activities, while 48% said they were managed out-door free choice activities. 2) The hours of management were each 72.5 minutes and 46.7minutes in-out door free choice activities. 3) The order of activity frequency in interest center is language, math-manipulative, block, science, role play, and music & movement center. 4) The hours of management and frequency of activities in interest center did not seem to consider children``s age difference and developmental level.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자유선택활동 운영에 대한 반성적 저널 쓰기의 의미 탐구

        박영수,정계숙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1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in the management of free choice activities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eachers’ journal entries. Three participants who wished to improve their management of free choice activit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wrote reflective journals on free choice activities twice a week, and a total of 20 times. The researcher then analyzed their writing and its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on reviewing their writing,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ble to view the free choice activities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this enabled them to approach the activities more flexibly.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carefully intervene in play on the basis of continuous observation. The environments were reconstructed from the viewpoint of children's interest rather than adult convenience. Additionally, teachers and students are both shaped by their environment. Teachers also grow through their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유선택활동 운영에 대한 반성적 저널쓰기가 자유선택활동 운영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자유선택활동 운영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는 연구 참여자 3인을 선정하여 주 2회씩 총 20회기의 자유선택활동 운영에 대한 반성적 저널을 쓰게 하였으며, 연구자가 이를 분석하여 의미를 도출하였다. 반성적 저널쓰기가 자유선택활동 운영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본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반성적 저널 쓰기를 통해 자유선택활동을 다각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었으며, 자유선택활동을 보다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지속적인 관찰을 토대로 유아들의 놀이에 보다 신중하게 개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기존의 교사 편의 위주로 구성되어졌던 환경 구성에서 벗어나 유아들의 흥미를 고려하여 환경을 재구성하게 되는 변화가 나타났고 나아가 유아들과 함께 환경을 구성해가는 모습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동료교사와의 협력관계를 형성하여 동료교사와 함께 성장해나가는 모습도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자유선택활동에 관련된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진로 탐색을 위한 자유학년제 한문교과형 주제선택 활동 사례 연구

        공민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1 漢字 漢文敎育 Vol.50 No.-

        연구자는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앞두고 진로 탐색 역량 및 자기 주도적 학습역량 함양을 위한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한문과가 고교학점제 기반 진로 맞춤형 선택중심 교육과정에서 선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중학교 자유학년제에서 학생 진로 맞춤형 한문과 교육과정 토대를 마련하고, 중학생 수준에 맞는 한문과 교육과정의 집중 운영과 수업 및 평가 내실화를 통한 한문 학습의 질 제고가 필요하다. 또한, 자유학년제와 고교학점제의 공통 목표는 학생들의 미래 핵심역량 신장에 있다.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을 자유학년제 비전에 맞게 수정⋅보완하고, 중학생의 진로 성숙도를 제고하여 고교학점제로 확대⋅이행될 수 있도록 학생의 관심사, 학교 여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재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자유학년제 주제선택 활동 관련 선행연구와 자유학년제 관련 한문과 수업 동향을 분석하여 진로 탐색을 위한 자유학년제 한문교과형 주제선택 활동을 구안하고 수업에 적용 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구안한 진로 탐색을 위한 한문교과형 주제선택 활동 사례를 분석하여 앞으로 자유학년제에서의 한문 수업을 진로활동과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researcher thinks that, with overall introduction of 2025 high school credit system ahead, it is necessary to link middle school Chinese characters educational curriculum to high school Chinese characters educational curriculum for reinforcement of career search ability and self-initiative learning ability. Especially, for Chinese characters to be selected in career-customized selection-centered educational course based on high school credit system, it is required to prepare the foundation for student career-customized Chinese characters curriculum under middle school free grade system and to raise the quality of Chinese characters learning through intensive operation and class and evaluation substantiality suitably with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Also, the common goals of free grade system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to increase the future key ability of students. To achieve such goals, it is necessary to revise and supplement middle school Chinese characters curriculum in line with the vision of free grade system, and to raise and recompose diversely a student’s career maturity degree and recompose in view of the student’s interests, school conditions, etc. so that it can be expanded and executed into high school credit system. Accordingly, this research aims to devise free grade system Chinese characters subject-type theme-selecting activities and apply the devise to a class by analyzing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free grade system theme-selecting activities and Chinese characters class trends. Besides that, by analyzing Chinese characters subject-type theme-selecting activity cases for career search obtained on the basis of analyses of preceding studies, this research intends to provide a solution in effectively operation of Chinese characters class under free grade system in linkage with career activiti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