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에 실현된 융합 수업을 통해 본 초등학교 융합 프로젝트의 방향

        김평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9 No.-

        As college admission process shifts emphasis to students’ school record, performing project and R&E(Research and Education) are actively used. The free-learning semester starting in every middle school triggered convergence education in class. Elementary school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for connection to middle and high school. The knowledge of subjects in convergence project should be structured leading to meaningful reception learning. Classroom activity should be designed for fun and learning objectives of many subjects. High school students performs real projects. Middle school students put the project based learning into practi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have wide experience through project method. 융합 교육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계열성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바람직하다. 최근 대입 전형이 학생부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고등학교 현장은프로젝트 중심의 과제 연구와 R&E(Research and Education)가 활성화되고 있다. 2016년부터 모든 중학교에 적용되는 자유학기제는 자생적인 융합 교육을 활성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융합 프로젝트에 적용되는 교과 지식은 철저하게 구조화시켜유의미 학습이 되도록 유도해야 하며, 활동은 재미를 추구하되 되도록 많은 교과의 성취 목표를 엮어 꼼꼼하게 설계해야 한다. 고등학생은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Performing Project Method) 중학생은 자유학기를 통해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 Based Learning)를 실천할 수 있으며, 초등학생은 프로젝트법(Project Method)을 통해 체험의 깊이보다는 체험의 폭을 넓게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 자유학기 교과의 수업 모형 연구

        김평원,Kim, Pyoung Won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7 한국교육논총 Vol.38 No.2

        자유학기제는 과도한 경쟁과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학생의 꿈과 끼를 일깨우는 행복 교육으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추진된 교육 정책으로, 2016년부터 모든 중학교에 자유학기가 적용됨으로써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재량권이 더욱 강화되었다. 자유학기 교육과정은 보통 오전 교과와 오후 자유학기 활동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가 표방하는 독특한 교육과정, 수업 형태, 평가, 운영 등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교과 수업모형을 아우르는 표준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자유학기 수업 경험이 있는 중학교 현장 교사의 의견 수렴을 통해 수정 보완한 표준 수업 모형을 현장에 제공함으로써 자유학기제 운영의 실천적 지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자유학기 교과 수업 모형은 기존의 수업을 학습 - 실행 - 작품화 단계로 변형한 것으로, 이는 각각 학습, 실행, 사회생활 능력과 인성을 강조하는 유네스코의 제안을 반영하여 설계한 것이다. 자유학기 교과 수업을 운영할 때는 그동안 학생들을 공부하게 만드는 기제로 작용했었던 정규고사를 잠시 내려놓고 활동 중심 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지식 중심 수업은 철저하게 구조화된 유의미 수용학습을 추구해야 하며, 활동 중심 수업은 재미를 추구하되 작품화를 지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andardized learning model for a free-learning semester, and to provide a practical framework of its curriculum. This paper is a state-funded study to design an instructional model for the free-learning semester. Instructional models that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practical school were constructed through collecting opinions from school teachers. The instructional model for a free-learning semester in this current study is a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learning model into the Learning (Meaningful reception learning)-Practice-Production stage. These are designed to reflect the UNESCO proposals that emphasize knowledge, skills, and character, respectively. It is not easy to construct the instructional model for the free-learning semester activities. A three-step strategy that encompasses the UNESCO proposals will be a useful framework for teachers to systematically design and implement free-learning semester teaching.

      • KCI등재

        대입 논술 고사 내용의 타당성 분석 - 2001~2011학년도 인문계열 논술 고사를 중심으로 -

        김평원,성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4 No.2

        A number of universities have repeatedly placed and reduced the importance of the essay test for college entrance. People thought that multiple choice exams should be changed and they considered the essay test as a good alternative. However, essay tests attracted criticism for reliability of the test. The two claims have been contradicting each other. Some people regard the test as a proper assessment, while others blame it for the less relevance to the curriculum. The opposite claims lack validity in that both does not inspect all the essay questions. This study has scrutinized essay test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ciety & Culture' curriculum for high school and 398 essay test questions carried on by 13universities from the year of 2001 to 2011. The result shows that the questions related with curriculum account for about 43% of all. Meta-Evaluation, with which the essay questions were checked over, indicates that critical remarks on essay tests are inappropriate, because considerable amount of questions are based on what students have learned. This study has found that essay test for college entrance covers high school curriculum.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입 논술 고사를 평가하는 이른바 메타 평가로서, 지난 11년간 출제된 논술 문항을 분석 대상으로 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논술 고사의 타당성에 대해서는 서로 상반된 주장이 있다.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타당한 평가라고 보는 경우도 있지만 교육과정을 무시하고 출제되는 타당하지 않은 평가라 비판하는 경우도 많다. 논술 고사 옹호론과 무용론 모두 논술 고사 문항을 전수 조사하여 분석한 것이 아니라 일부 대학 몇 개의 문항만을 논거로 제시한 뒤 선언적인 주장을 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1학년도부터 2011학년도까지 11년간 서울시내 13개 종합 대학 인문계 논술 문항 398개를 인문계 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고 있는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육과정과 일일이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문항의 약 43%가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육과정에 포함된 세부 내용을 다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육과정을 프레임으로 설정하여 대입 논술 고사 문항들을 평가한 이른바 메타 평가를 통해 우리는 대입 논술 고사가 교육과정에 기반을 두지 않은 정체불명의 시험이라는 세간의 평가가 타당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입 논술 고사 문항에서 다룬 주제의 상당수는 교과 내용에 해당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대입 논술 고사는 방법적인 측면에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변화를 우리 교육계에 요구하고 있는 평가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언어문화 개선 프로그램의 욕설 현상 개선 효과

        김평원,이선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101

        Teenager’s everyday language use has reached a very serious level, so it could be a potential factor of school-viole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ne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ecent Programs for Improvement of Adolescent Language Use refl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campaigns to improve adolescent abusive language use’, which are already in the process of being implemented in 9 leading schools and 27 leading classrooms with the support MEST. Questionnaire items included changes in language awareness, language performance according to environment variables, the progress of existing programs, and activity type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1) Lower grade programs should focus on the prevention of abusive language use, higher grade programs should concentrate on treatment or reduction of violent verbal communication. 2) Public Broadcasting like KBS, EBS should make various documentary programs which are related with Improvements in Adolescent Language Use. 3) Programs for Improvements in Adolescent Language Use should have systemical linkages to the regular curriculum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이 연구는 학교폭력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언어폭력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곤란하다는 사회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이를 개선하려는 언어 정책을 마련하려는 취지에서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2011년 처음 시행한 언어문화 개선 9개 선도 학교 및 27개 선도 교실의 프로그램을 종합 정리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 그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언어문화 개선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태도를 얼마나 변화시켰는가를 개별 욕설 어휘별로 상세하게 분석하여 정책 마련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분석 결과 단위 학교 중심의 다양한 언어문화 개선 프로그램이 욕설 어휘에 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데는 성공하였으나, 욕설 행위를 감소시키는 데는 큰 효과가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욕설에 입문하는 시기인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예방 교육 차원의 욕설 문화 개선 교육 프로그램을, 이미 욕설에 중독된 중․고등학교 에서는 치료 교육 차원의 언어문화 개선 교육 프로그램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김평원 한국과학사학회 2011 한국과학사학회지 Vol.33 No.3

        This study is to restore 'Fire Vehicle by Byun Eejoong' which was used during the Battle of Haengju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Even though Byun Eejoong designed the Fire Vehicle used at the Haengju battle, Moon Jong Vehicle is displayed in Haengju Victory Memorial Hall. In this research I reached the conclusion that Byun Eejoong used the simple projection method for his fire vehicle design of Mangamjip, so I have tried to restore the fire vehicle based on Byun's drawing instead of making an excessive assumption of it. It is convincing that the fire vehicle design is not ichnography. It makes more sense that the fire vehicle design was drawn in the front view in which the launcher of the vehicle is seen in front, so you can see the 40 crenels. The launcher is laid on the cart to move. We can draw an inference that Byun's fire vehicle is a shield-shaped long spear vehicle and also is a shape variable vehicle, which means the cart and the launcher can be separated. Byun's fire vehicle is a '∩'-shaped close-range weapon similar to claymore mine of today. This design makes reloading process easy and has the gunbarrel cooled rapidly. It is also useful for building an advantageous stronghold using the middle space as a shield.

      • KCI등재

        프로토콜 분석을 활용한 쓰기 과정 지도 및 평가 - 논술 텍스트 생산 과정 모형을 중심으로

        김평원 한국국어교육학회 2011 새국어교육 Vol.0 No.87

        쓰기 교육의 관심이 결과 중심(product-oriented approach)에서 글을 완성하기까지의 과정을 강조하는 과정 중심(process-oriented approach)으로 변화하고 있음에도 현장에서는 과정 중심 글쓰기 학습 모형과 같은 거시적인 전략을 구체화 한 미시적인 방법론이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의 쓰기 지도는 학생이 작성한 텍스트를 첨삭하는 방식으로 피드백을 제공하기 때문에, 실제 쓰기 상황에서 겪는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교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토콜 분석(protocol analysis)을 통해 학생이 생산한 논술 텍스트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나왔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프로토콜 분석은 필자의 의미 구성 과정을 추론한 것으로 한 마디로 글을 쓰는 동안 각 학생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진단 방법이다. 프로토콜 분석의 토대가 되는 ‘논술 텍스트 생산 과정 모형’은 전형적인 논술 과정을 정보처리 모형으로 정리한 것으로 학생의 논술 과정을 분석하는 유용한 교육 모형임은 물론 논술 과정을 명시적으로 정리한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 모형을 토대로 피드백을 제공받은 학생은 기존의 결과 중심의 지면 첨삭 지도가 놓치고 있었던 논술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을 점검하고 수정할 수 있게 된다. This study shows the method of providing feedback to enhance argumentative essay writing skills, diagnos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brain through the protocol analysis in the course of writing argumentative essay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he data of thinking process during the argumentative essay writing and to analyze and theorize problem solving process. Indicating the problems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correct them in real essay writing have been limiting, because in the conventional argumentative essay writing education and assessment, the feedback is provided by checking the details of the exams and calculating the scores. This study developed the exemplary argumentative essay writing process in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and suggested the analysis and feedback model of students' protocol process. The model of argumentative essay writing process through the protocol analysis can be used not only for measuring the argumentative essay writing education but also for training the test takers.

      • KCI등재

        교과 수업과 주제 선택 활동을 연계한 중학교 자유학기의 수업 모형 연구

        김평원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andardized learning model for designing free-learning semester and to provide a practical framework of curriculum. This paper is a policy study to design a free-learning semester’s subjects and project activities. The free-learning semester is usually run with the morning subject and the afternoon free semester activities. The free semester activities consist of career search activity, project activities, arts & sports activities, and club activitie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opose a strategy that connects the subjects with the project activities. Specifically, I proposed a model in which the subject class was divided into learning, practice, and production and the project activities consisted of data selection, information extraction, knowledge generation. The instructional model that connects the subject class and the project activities to the production making s tage through abstracting, elaborating, schematizing, organizing stages repectively can be a useful strategy to integrate the two together. 2016년부터 모든 중학교에 자유학기제가 적용됨으로써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재량권이 강화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 수업을 설계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여 자유학기 운영의 실천적 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자유학기 교육과정은 교과와 자유학기 활동으로 구분되어 있어 오전 교과 수업을 마친 교사는 오후 주제 선택 활동이나 동아리 활동을 담당한다. 진로 탐색 활동은 진로 교사가 담당하고 예술・체육 활동은 음악, 미술, 체육 교사가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교과 교사들은 주제 선택 활동을 활용하여 줄어든 오전 교과 시수를 보완할 수 있도록 활동을 설계해야 한다. 하지만 주제 선택 활동은 일종의 프로젝트 수업으로서 내용과 층위가 다양하여 이론적 토대가 명확한 수업 모형을 구안하는 것이 녹록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 수업을 ‘학습 → 실행 → 작품화’ 단계로 위계화하고, 자유학기 활동 중 주제 선택 프로그램을 ‘자료 수집 → 정보 추출 → 지식 생성’ 단계로 위계화한 자유학기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교과 수업과 주제 선택 활동을 ‘발췌하는 단계’, ‘정교화, 도식화, 조직화 하는 단계’를 거쳐 ‘작품을 만드는 단계’로 묶는 수업 모형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교과와 자유학기 활동을 연계할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