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와 우울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정원(Jeongwon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외모 만족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G시 소재의 일개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1학년에서 4학년 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외모 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는 t-test,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SPSS PROCESS Macro 모델 6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의 상관관계에서 외모 만족도와 우울과 스트레스는 역 상관관계, 자아존중감은 외모만족도와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었으나,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외모 만족도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 검증 결과, 외모 만족도외모 만족도와 우울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는 이중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간호대학생이 인지하고 있는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자신의 외모에 대한 긍정적인 신체상을 갖도록 하는 내용과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심리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survey of 179 first- to fourth-grade students enrolled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one university in G City. Data analysis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using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ppearance satisfa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stres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PSS PROCESS macro model 6.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stress showed an inverse correlation, and self-esteem showed a net correlation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stress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ut self-esteem had no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stress had no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Conclusions In order to reduce the depression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find an intervention method through various programs that can reduce the depression of nursing students psychologically and content to have a positive physical image of their appearance.

      • 여대생의 외모 스트레스와 관련된 식품군별 섭취 정도

        김지민,유슬기,박형숙,박근영,신지현,허민지 대한보건협회 2011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Vol.2011 No.-

        [연구배경] 사회적으로 외모 지상주의가 만연함에 따라 여학생들의 외모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늘어나고 있다. 스트레스를 과도하게 느끼게 되면 행동적인 측면에서도 말씨가 거칠어지고 공격적인 행동을 취하게 되며 과식이나 소식, 불면증, 흡연량과 음주량의 증가, 약물남용 등의 결과가 나타났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스트레스와 영양소 섭취와의 밀접한 연관성이 보고되어 있다. 외모에 대한 극한 스트레스는 이상 식이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들은 많은 양의 음식을 단시간 내에 먹고 제거행동을 하거나 의식적으로 음식을 먹지 않는 증상을 보인다. 극단적으로 거식증이나 폭식증을 앓고 있지 않는 여학생들도 외모에 대한 스트레스를 상당히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습관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이화여자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외모스트레스의 수준과 음식섭취 형태를 확인하고 외모스트레스와 음식 섭취 사이에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외모스트레스 수준의 현 상태와 그것이 음식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화여자대학교 학생들의 건강한 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화여자대학교에 현재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10개 단과대학별 정원수에 비례하여 할당 표본 추출을 시행하였다(인문과학대학 45명, 사회과학대학 43명, 자연과학대학 30명, 공과대학 27명, 음악대학 24명, 조형예술대학 34명, 사범대학 47명, 경영대학 16명, 건강과학대학 22명, 스크랜튼 대학 22명). 외모 스트레스의 수준은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14개 문항의 5점 Likert식 문항을 사용하였다(양계민 1993). 식품군별 섭취빈도의 측정은 ``스트레스 시 증가하는 종류별 식품을 알아보기 위해 식품 섭취빈도조사의 타당성``을 연구한 기존 자료(심지선, 2002)를 일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이선경, 2008)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한 외모스트레스와 식품군별 섭취 빈도 관계에서 8가지 식품군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외모 스트레스 외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한 전반적인 스트레스 및 다이어트 여부와의 관계에서도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소득수준과 유의한 결과를 보인 식품군으로는 ``고기, 생선, 계란, 콩류``(p=0.038), ``간식류``(p=0.006), ``차류``(p=0.004), ``주류``(p=0.036)가 있었다. 또한 영양지식과 유의한 결과를 보인 식품군으로는 ``곡류 및 전분류``(p=0.001), ``간식류``(p=0.012)가 있었다.

      • KCI등재후보

        외모 스트레스에 따른 화장 행동과 외모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지용(Lee, Ji-Yong) 한국모델콘텐츠학회 2023 한국모델콘텐츠학회지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20∼40대 여성 340명을 대상으로 연령 별로 외모 관리실태를 살펴보고 외모 스트레스가 화장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화장 행동이 외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뷰티 시장의 제품 개발과 브랜드 이미지, 개성 등 다양한 뷰티 시장의 기초자료로 활용함과 동시에 마케팅 개발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검정,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별로 외모 관리실태를 살펴본 결과, 피부 타입은 전체적으로 복합성이 가장 많았고, 피부 상태는 전체적으로는 보통이 가장 많았다. 화장과 관련하여 질문한 결과, 화장횟수는 전체적으로 1주일에 3∼4회가 가장 많았고, 화장하는 이유로 20대는 결점을 커버하기 위해서 30대는 민낯으로 보 이기 싫어서 40대는 민낯으로 보이기 싫어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화장하는 이유를 연령별 차이를 살펴보면 피 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40대, 자신의 이미지나 개성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와 이미지 변신을 위해서는 20대, 친 구들이 다 하니까는 30대, 결점을 커버하기 위해와 이미지 변신을 위해서는 20대, 민낯으로 보이기 싫어서는 40 대가 많이 나타났다. 둘째, 외모 스트레스가 화장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외모 스트레스는 유향지향, 동조지향, 관계지향, 과시지향에 정(+)의 영향을 개성지향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변화지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화장 행동이 외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변화지향과 개성지향, 과시지향 화장 행동은 자존적 외모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유행지향 화장 행동은 자립적 외모 만족에 부(-)의 영향을 변화지향, 개성지향, 과시지향 화장 행동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유행지향, 관계지향 화장 행동은 비하적 외모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개성지향 화장 행동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연령과 성별에 대한 범위를넓혀 화장실태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 경로 분석을 통해 영향 관계를 살펴 좀 더 구체적이고 보편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바란다. In this study, 340 women in their 20s and 40s tried to examine the appearance management status by age and the effect of appearance stress on makeup behavior and the effect of makeup behavior on appearance satisfaction. This was intended to help marketing development while using it as basic data for various beauty markets such as product development, brand image, and personality in the future beauty market,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18.0 to achiev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ppearance management status by age, the overall skin type was the most complex, and the overall skin condition was the most common. When asked about makeup, the number of makeup was the highest three to four times a week overall, and the reason for makeup was that people in their 20s did not want to look bare, and those in their 40s did not want to look bare, to look bare-faced. If you look at the age difference, there are many people in their 40s to protect their skin, 20s to show off their image or personality, 30s to cover their flaws and image transformation, and 40s to not look bar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appearance stress on makeup behavior, it was found that appearance str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flow-oriented, sympathy-oriented, relationship-oriented, and show-off-oriented, and a negative (-) effect on personality-oriented. And it was found that it did not affect the direction of chang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makeup behavior on appearance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change-oriented, personality-oriented, and show-oriented makeup behavior had a positive (+) effect on self-esteem appearance satisfaction. Finally, trend-oriented and relationship-oriented makeup behavior had a positive (+) effect on demeaning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ersonality-oriented makeup behavior had a negative (-)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hoped that future studies will expand the scope of age and gender to examine differences in cremation status and to derive more specific and universal research results by examin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through route analysis.

      • KCI등재

        남자대학생의 외모 스트레스와 외모관리행동이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강현주,최혜정,김주현,채영란,강소연,이선희,김원희 한국학교보건학회 2018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3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earance stress and appearance managementbehavior on job-seeking stress among 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cross-sectionaland descriptive study were 158 mal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K Province who completed a self-report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urvey period was from September 19th to November 9th, 2017. Data were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analyses with the SPSS statistics 23 program. Results: Job-seeking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according to BMI (F=2.55, p=.042) and pocket money (F=3.08, p=.049).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showed that grade (β=8.93, p=.008), pocket money (β=-5.11, p=.029), appearance stress (β=.52, p<.001),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β=.25, p=.001)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jog search stres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ariables such as grade, pocket money, appearance stress,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ignificantly explain job-seeking stress among male students in colle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reduce job-seeking stress for senior male students who arepreparing for employment before graduation. In addition, when organizing a program to reduce job-seeking formale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help them have a more positive evaluation of their appearance andpursue prope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승희,박선화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ppearance satisfaction, self efficacy, readiness for employment, employment stress, and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employment stress of nursing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195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1 universities in Jeollanam-do, November 2018. Data wa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20.0.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 efficacy(r=.209, p<.01)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readiness for employment(r=.196, p<.01) and readiness for employment self efficacy(r=.303, p<.001), negative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appearance satisfaction(r=-.167, p<.05) and employment stress and self efficacy(r=-.318, p<.001). As a regression analysis, factors that effect on employment stress were self efficacy. Theses factors explain 25.0% of the variance in employment stress. Therefore, to decrease employment stress and to increase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 for improving the employment stress of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자기효능감, 취업준비도,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S에 있는 4년제 대학에 다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2018년 4월부터 한 달간 조사하여 195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를 SPSS WIN 20.0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대상자의 외모만족도, 자기효능감, 취업준비도, 취업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r=.209, p<.01), 외모만족도와 취업준비도(r=.196, p<.01), 취업준비도와 자기효능감(r=.303,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외모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r=-.167, p<.05),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r=-.318, p<.001)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상자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 설명력은 25%였고, 자기효능감(β=-.407, p<.001)으로 나타났으며, 외모만족도, 취업준비도는 취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복부비만관리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및 우울감에 대한 연구

        김영선,이현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lf–esteem, appearance stress, obesity stress and depression of women receiving abdominal obesity control through a hospital. Methods: The subjects were 146 women who underwent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at K hospital in Yangsan. The questionnaire period was from June 1, 2017 to June 31, 2017. Results: The subjects' self - esteem was high, appearance stress and obesity stress were intermediate, depression was low. Depression of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quality, who managed a period of ages, birth number of body experience, the average sleep time, the quality of sleep. Self - esteem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appearance stress, obesity stress and depression, appearance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obesity stress and depression, obesity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Depression influenced the appearance stress and self esteem by 49.3%. Conclusion: Therefore, management of abdominal obesity should be encouraged by psychological needs as well as external management purposes. 본 연구는 일 병원을 통해 복부비만관리를 받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아존중감, 외모스트레스, 비만스트레스 및 우울감을 알아보고자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양산소재 K병원에서 복부비만관리를 받는 여성 1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기간은 2017년 6월 1일부터 2017년 6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높은 정도, 외모 스트레스와 비만 스트레스는 중간 정도, 우울감은 낮은 정도의 점수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감의 차이는 연령대, 출산횟수 체형만족도, 평균수면시간, 수면의 질, 관리 받은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외모스트레스, 비만스트레스, 우울감과는 역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외모스트레스는 비만스트레스, 우울감과는 정 상관관계, 비만스트레스는 우울감과 정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외모스트레스가 49.3%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외적인 관리목적뿐만 아니라 심리적 정신적인 필요에 의해 복부비만관리가 더욱 권장 될 거라 사료된다.

      • KCI등재

        창원지역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최수경(Choi, Soo K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1

        최근 창원지역 산업체는 고용과 내수가 크게 위축되어, 창원지역 대학생의 취업은 어려운 현실에 직면해 있다. 대학생은 취업 면접 준비를 위해 다양한 스펙과 더불어 외모관리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금까지 선행연구들에서도 외모와 취업 간의 관계를 인정하고 있지만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원지역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자료 수집은 창원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11-12월에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에 의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변량분석, Duncan-test, 상관분석,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모관리행동의 요인은 체형, 패션, 성형수술, 피부, 건강, 헤어, 메이크업의 7개 차원으로 구성되었고, 취업스트레스의 요인은 취업불안, 학교환경, 가정환경, 학업의 4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외모관리행동과 취업스트레스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외모관리행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는 부분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외모관리행동은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외모관리행동은 취업스트레스의 취업불안에 두드러진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올바른 외모관리 상식이나 기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취업에 대한 불안을 해소시킬 수 있는 역할을 일정 부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원지역 대학생을 위한 진로 및 취업 프로그램 기획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industrial companies in Changwon face difficulties in finding employment for college students in Changwon due to a significant contraction in employment and domestic demand. College student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manage their appearance along with various specifications to prepare for job interviews. So far, prior studies have acknowledged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and employment, but no specific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job-seeking stress of college students in Changwon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in November to December 2020 from college students in Changwon. The data have been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The methods of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Duncan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adop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The 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onsisted of seven dimensions of form, fashion, cosmetic surgery, skin, health, hair, and makeup. The factors of job-seeking stress consisted of four dimensions of job insecurity, school environment, home environment, and stud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job-seeking stress were showed par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job-seeking stress has shown partial correlati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made influences on job-seeking stress. Especially,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exerted a noticeable influence on the job insecurity of job-seeking stress. So, it is believed that programs on proper appearance management common sense or techniques may play a certain role in relieving anxiety about employ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is used as the useful basic sources of career and employment program plans for college students in Changwon province.

      • KCI등재

        항공서비스 전공 여대생의 외모스트레스, 섭식태도에 관한 연구

        주경숙(Kyung-Sook Jo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3

        자기 가치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에 놓여 있는 항공 서비스 전공 여대생은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현상 속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마른 체형으로의 관리를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 전공 여대생의 체형인식, 외모스트레스, 섭식태도의 정도와 변수들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근거로 심리적, 정신적 문제점 해결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23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통해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외모스트레스의 평균 33.31±10.61점, 섭식태도의 평균 18.82±10.38점이었다. 체형인식에 따른 외모스트레스와 섭식태도의 차이 정도를 살펴보면, 외모스트레스 정도는 체형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섭식태도 정도는 체형의 주관적 인식, 이상적 인식, 체형만족도, 체형의 비교모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상관관계는 외모스트레스와 섭식태도 간 순 상관관계(r=.359, p<.001)가 있었으며, 섭식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체형의 주관적 인식, 이상적 인식, 외모스트레스로 2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자신의 체형을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며 부정적 섭식태도로의 이행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 방안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ppearance stress and eating attitude of college femal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The data collected from 223 research subjects was analyzed through SPSS 20.0,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ppearance stress and eating attitude were average 33.31±10.61 and 18.82±10.38 respectively. Regarding the differences of appearance stress and eating attitude in accordance with the perception of body image, the appearance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dy image satisfaction while the eat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body image, ideal perception of body image, body image satisfaction, and comparative model of body imag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ppearance stress and eating attitude(r=.359, p<.001), and such variable like subjective perception of body image, ideal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appearance stress had effects on the eating attitude, which showed 23% explanatory power. Such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importance of the correct perception of her own body image, and also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measures for preventing the negative eating attitude.

      • KCI등재

        일부 치위생전공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자아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지민경,이미라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조절하고자 외모만족도,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교육적 방향 구축과 심리적 자원을 탐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 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1월 25일부터 12월 13일까지 충청·전라도 치위생학과에 재학 중인 연구 에 동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법을 작성하였다. 외모만족도는 자아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취업스트레스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자아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는 음의 상관관 계를 나타내었다. 취업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은 자아효능감, 외모만족도, 전공만족도로 나타났다. 이에 치위생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역량 집중강화를 위해 올바른 미적 가치관에 기반한 긍정적인 외모 수용과 자아효능감 증진을 융합한 실제적인 상담프로그램이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is descriptive research aimed at determining the relations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 controlling job-seeking stress and at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to decide on an education direction for better career maturity and explore psychological resources. For data collection, convenience sampling was performed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consenting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to complet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November 25 to December 13, 2019. Appearanc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seeking stress; self-effica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seeking stress. The factors affecting job-seeking stress were self-efficacy, appearanc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counseling program targeting the combination of positive appearance acceptance and improvement in self-efficacy on the basis of correct aesthetic values with the objective of reinforcing job-seeking competence intensively among dental hygiene maj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