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문조사와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열환경 분석 방법 비교 연구 - 열쾌적성을 중심으로 -

        김주은,손정민,민진규,성욱제,엄정희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2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6 No.4

        본 연구는 정확한 열환경 평가를 위해 옥외 공간에서 체감하는 열쾌적성과 미기후 모델링을 통해 산출된 열쾌적지수의 차이점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대학 캠퍼스 두 곳을 대상으로 하여 열쾌적성을 평가하는 두 가지 방법론을 적용하고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현장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시민들의 열쾌적성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며, 두 번째 방법은 미기후 모델인 ENVI-met을 활용하여 열쾌적지수(PMV)를 수집하는 것이다. 또한, 열쾌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그늘의 특성과 토지피복특성을 기준으로 캠퍼스 내 상세 대상지를 선정하고 이러한 요인이 열쾌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대학의 분석 일시와 장소가 달랐으나 방법론별 유사한 양상이 나타났다. 먼저, 설문조사 결과 그늘의 양이 증가할수록 쾌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지피복의 종류별 특성과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모델링 결과 전반적으로 설문조사 결과와 비슷한 양상이 나타나지만 동일한 그늘의 특성을 가지는 세부 대상지에서 토지피복이 열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피복일 경우 열쾌적지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설문조사 결과와 미기후 모델링 결과 간에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 반영을 위한 열쾌적성 정보의 수집 시 현장기반의 체감 더위 정보의 수집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건물 열적 성능 수준별 실내 복사환경에 따른 재실자의 열적 쾌적성의 변화를 고려한 건물에너지 소비량 산출

        박소현,송두삼 대한설비공학회 2020 설비공학 논문집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건물 열적 성능수준별 외주부의 복사환경 및 온열 쾌적감의 차이, 그리고 재실자가 열적 쾌적감을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는 적응행동(실내 설정온도 조절)을 반영하는 시뮬레이션과 종래의 시뮬레이션과 같이 일정 설정온도만을 기준으로 실시하는 경우의 냉난방에너지 소비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물 열적 성능이 취약할 경우에는 공기(건구)온도만으로 실내 온열환경을 제어하는 기존의 제어방법은 재실자의 온열쾌적감을 대변할 수 없다. 즉, 건구온도가 내주부, 외부주 모두 동일하게 유지된다고 하더라도, 건물 열적 성능 수준에 따라 외주부의 복사환경이 달라 외주부의 재실자는 열적으로 불쾌한 상황에 노출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2)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 시, 외주부의 복사환경에 따른 재실자의 온열쾌적감 차이를 반영하여 이를 보상하는 작용온도제어(OT control)를 실시한다면 건물 준공연도별 건물 열적 성능수준에 따라 건물 냉난방에너지 소비량은 기존 대비 최소 6%에서 최대 30%까지의 차이를 보였다. 즉, 건물 열적 성능이 취약한 경우, 기존의 시뮬레이션 방법인 설정(건구)온도제어(DBT control)를 실시하는 경우, 실제 이러한 건물에서 발생하는 외주부의 열악한 복사환경에 따른 재실자의 온열쾌적감(행동적 적응) 및 그에 따른 추가적인 냉난방에너지 소비의 결과를 잘 묘사하지 못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에서 일반적으로 채용하고 있는 설정온도(건구온도)제어는 건물 열적성능에 따른 외주부 복사환경의 차이 및 그에 따른 재실자의 온열쾌적감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며, 이는 실제 건물의 냉난방에너지 소비량의 결과와 시뮬레이션 결과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의 하나라고 판단된다. 추후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 시, 실제 건물 내 사람들의 열적 적응행동을 고려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In Korea, the building thermal performance such as thermal insulation and airtightness has been enhanced to reduc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The enhanced building thermal performance reduces cooling and heating load as well as improves indoor radiant temperature and occupants’ thermal comfort. The radiant temperature between the perimeter zone and the interior zone in buildings can differ depending on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building. The radiant temperature of the perimeter zone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interior zone if the building insulation and air-tightness level is low. In this case, the occupants in the perimeter zone will adjust the indoor set-point temperature or use personal fans to preserve their thermal comfort. These behavioral adaptations are related to building energy consumption. However, when predicting building energy consumption through simulation, there are limitations that do not reflect the occupants’ behavioral adaptations because of poor radiant environment in actual situation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indoor radiant temperature and occupants’ thermal comfort on cooling and heating energy consumption by building thermal performance was analyzed.

      • KCI등재

        복개하천 주차장의 피복 및 식재 변화를 통한 열환경 및 열쾌적성 개선 방안 -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복개천 공영주차장을 중심으로

        김은환(Kim, Eunhwan),김형규(Kim, Hyungkyoo)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사업비용, 대체부지 및 도로의 확보, 자연수원 확보 등의 문제로 복원되지 못한 채남아있는 다수 복개하천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복개천 주차장의 피복과 식재 계획에 따른 열환경 및 열쾌적성 수준을 평가하였다.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만수복개천 공영주차장을 대상으로 피복의 종류와 식재 배치의 유·무에 따른 6가지 계획안을 구상하고 ENVI-met을 이용하여 도시 열환경 및 열쾌적성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피복의 종류를 아스팔트로 구성하고 수목의 식재를 한 계획안이 열쾌적성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점토바닥벽돌이 온도 저감에는 효과적이었으나, 열쾌적성 향상에는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온도 및 풍속에 의존하는 결과와 열쾌적성 지표에 의한 평가 결과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도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계획기법을 마련하고자 할 때 열쾌적성에 대한 고려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복개하천의 복원을 대체할 새로운 대안적 개선 기법을 제시했으며, 인공 피복으로 구성된 대표적인 공간인 공영주차장을 중심으로 연구가 미흡한 도시 공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ssessed the thermal environment and comfort according to change in paving and planting conditions of a covered parking lot to discuss improvement of many of culverted streams. Six alternative plans with differing paving and planting conditions for Mansu public parking lot located in Incheon were analyzed by using ENVI-met. Results show that the plan with asphalt and trees was the most effective in improving thermal comfort. Brick road was effective in reducing temperature but not in improving thermal comfort. These indicates that the result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wind speed may differ from the results by the thermal comfort index, and when planning a method for improving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It suggests that consideration for thermal comfort should be give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ound in presenting a new alternative method for culverted streams, and conducted an analysis of urban spaces that were poorly studied centering on parking lot, which is a typical space composed of artificial paving.

      • KCI등재

        도심 가로 녹음의 습구흑구온도(WBGT) 측정을 통한 보행자 열쾌적성 효과 분석

        안동만,이재원,김보람,윤호선,손승우,최유,이나래,이지영,김혜령,Ahn, Tong-Mahn,Lee, Jae-Won,Kim, Bo-Ram,Yoon, Ho-Seon,Son, Seung-Woo,Choi, Yoo,Lee, Na-Rae,Lee, Ji-Young,Kim, Hae-Ryung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3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심보행공간에서가로수녹음이보행자열쾌적성에미치는영향을WBGT(Wet Bulb Globe Temperature-습구흑구온도) 분석을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일사 영향을 많이 받아 열쾌적성이 저하되는 여름철(8월)에 측정하였으며, 보행공간 WBGT 지수는 한국표준협회 "KS A ISO 7243: 고온환경 WBGT 지수에 의한 열 스트레스 추정"과 일본국립환경연구소의 작업환경, 일상생활 및 운동 WBGT 지침을 활용하여 결과를 해석하였다. 강남구 테헤란로 4개 구간에 대해 측정한 결과, 가로수에 의해 일사가 차단된 녹음(shade)지점 WBGT 지수는 최저 $27.40^{\circ}C$~최고 $30.60^{\circ}C$로 나타났으며, 일사(sun)지점은 최저 $28.45^{\circ}C$~최고 $34.2^{\circ}C$로 나타났다. 모든 녹음 지점에서 보행환경에 적합한 열쾌적성을 보였으며, 구간 최고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녹음(shade)지점이 일사(sun)지점에 비해 $4^{\circ}C$ 낮은 WBGT 지수를 나타내 가로수 녹음의 열쾌적성 개선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행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및 행태조사 결과, 대부분 보행자는 일사를 피해 수목 하부 그늘 쪽 보행공간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늘을 이용하는 보행자의 75% 이상 녹음의 쾌적함을 보통 이상 쾌적하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로수 녹음의 열쾌적성 향상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가로수 식재시 열환경을 고려하여 연속적인 녹음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정책적 변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thermal comfort effects of urban street trees. As the usual dry bulb air temperature does not indicate properly how the average pedestrian feels the heat of a typical summer day under the strong sunshine, we adopted the Wet Bulb Globe Temperature(WBGT). WBGT involves black globe temperature to measure the direct radiation of sun beams on our bodies, for example our heads. We measured temperatures on very sunny and hot summer days, August 3, 4, and 7, 2012, on the urban streets of Seoul, Korea. Wet bulb, globe, and dry bulb temperatures were measured under direct sunlight from 1 O'clock to 5 O'clock pm. Globe and dry bulb temperatures were measured under street tree shades nearby during the same hours. Then the WBGTs were calculated with the formulae, one for sunny outdoor spaces, and the other for shaded outdoor spaces or indoor.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KS A ISO 7243). The major findings were: 1) On very sunny and hot summer days in Seoul, street tree shades lower the WBGT about 1 to 4 degrees, 2) during the hours of 3 and 4 O'clock in the afternoon, the WBGT under the tree shades are about 3 to 4 degrees lower compared to those under sunshines(approx. 29 to 32 degrees respectively), 3) This difference makes a major thermal comfort for urban pedestrians because senior citizens or weak persons are recommended to move indoor, and even healthy people are recommended stop outdoor sports and take rests in the shades when WBGT is about 32. On the other hand, if the WBGT is around 29, or 3 degrees lower, slower walking, light works or sports are allowable, 4) On site questionnaire survey confirms the thermal comforts under the tree shades, and we even could not get survey subjects on the sunny parts of the sidewalks, 5) We strongly recommend change of guidelines for urban street trees from "one row of street trees on 6m~8m intervals" to "street trees to make continuous shades".

      • KCI등재

        학교 운동장과 녹지공간의 UTCI, PMV, WBGT 비교 분석

        윤용한 ( Young Han Yoon ),박승환 ( Seung Hwan Park ),김원태 ( Won Tae Kim ),김정호 ( Jeong Ho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는 학교의 옥외공간 중 학생들의 휴식 및 활동량이 가장 많고, 높은 열과 낮은 열을 가지는 운동장 및 녹지공간을 대상으로 열적 쾌적성 지표 중 UTCI, PMV, WBGT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느끼는 열적 쾌적성을 비교 ·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인천광역시 학교시설(3개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3년 7 ~ 8월까지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으로 열적 쾌적성 지표의 경우 UTCI, PMV, WBGT를, 녹지구조는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를 측정하였다. 학교별 녹지용적계수는 A학교(4.71㎥/㎡) > B학교(3.34㎥/㎡) > C학교(0.38㎥/㎡)의 순이었으며 학교별 열적 쾌적성 지표를 살펴보면, UTCI는 녹지공간 32.30~35.68℃, 운동장 40.66~42.94℃, PMV수치는 녹지공간 1.76~2.66이었으며 운동장은 모두 3으로 나타났다. WBGT는 녹지공간 26.15~31.38℃, 운동장 31.67~34.53℃이었다. 3개 지표 모두 녹지공간 대비 운동장에서 매우 불쾌적한 수준이었다. 열적 쾌적성 및 녹지와의 상관분석결과, 열적 쾌적성 지표인 UTCI, PMV, WBGT 모두 일사, 흑구온도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녹피율 및 녹지용적계수와는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This study of the school`s outdoor space for relaxing and activity of the two most numerous students, high heat and low heat with a green space, playground targets of thermal comfort indicators UTCI, PMV, WBGT using the thermal comfort students feeling compare the analyzed. The destination of this study, school facilities of Nam-gu, Namdong- gu, Incheon were studied and the investigation period was conducted from July to August. List of measurement, in the case of thermal comfort indicators, UTCI, PMV, WBGT was measured in the case of green, ratio of green coverage and GVZ was measured. GVZ analysis were as follows: A school (4.71 ㎥/㎡) B school (3.34㎥/㎡) C school (0.38㎥/㎡).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rmal comfort indicators by schools, UTCI was Green space 26.15~31.38℃ and playground 40.66~42.94℃, PMV values were 1.76 to 2.66 as a green space. WBGT was Green space 26.15~31.38℃, playground 31.67~34.53℃.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rmal comfort indicators UTCI, PMV, WBGT all A school, B school, C school, on the green space was comfortable levels more than playground. The results of the school type thermal comfort and green correlation analysis of thermal comfort UTCI, PMV, WBGT all solar radiation, globe temperature, and a positive correlation shown solar radiation, globe temperature is not comfortable, the higher was considered. UTCI, PMV, WBGT of thermal comfort indicator all ratio of green coverage, GVZ and negative correlation appears ratio of green coverage, GVZ was increased due to the lowering of the value of thermal comfort indicators was considered to be comfortable.

      • PALM-4U 모델을 활용한 건물 반사효과가 보행자 열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선,박순영,이순환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세계적인 도시 인구 증가와 도시 개발로 도시 환경 개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2010년 기준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54%가 도시에서 살고 있다. 특히 도시는 밀집한 건물과 포장재 등에 의해 폭염에 취약한 조건이 되기 쉬운데, 주간의 건물과 도로 포장재의 열 흡수, 적은 식생 면적, 고층 건물에서 도시 협곡 구조 내부로 전달되는 다중 열 반사 등이 여름철 보행자의 열쾌적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도시의 밀집된 건물 구조 또한 열쾌적성에 영향을 주는 바람 조건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시 구조에서 고층 건물에 의한 도시 협곡 내부의 풍속 변화와 반사효과가 보행자의 열쾌적성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ES(large-eddy simulation) 기반의 전산유체역학 모델인 PALM(PArallelized Large-eddy simulation Model)을 활용하여 보행자 규모의 열쾌적성을 수치실험으로 분석하였다. PALM의 최근 버전인 PALM-4U(PALM for Urban applications)는 도시 규모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을 위해 건물의 표면과 토지 피복에 대한 복사 계산, 실내 모델링, 기체 및 입자상 오염물질 모의 등을 포함하였다. 특히, 열쾌적성과 자외선 노출 등의 보건기상의 관점을 연구할 수 있는 다양한 분석 툴도 함께 제공한다. 연구 대상 지역은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부산의 해운대 마린시티로 설정하였다. 이 지역은 건물의 외벽이 대부분 유리로 되어있어 반사된 햇빛에 의한 불편이 계속되고 있어 건물 외벽의 특징에 따라 도시 열환경을 분석하였다. 건물에 의한 태양광의 반사와 재복사가 도시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PT(perceived temperature), UTCI(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 PET(physiologically equivalent temperature)등을 산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 KCI등재

        캠퍼스 건물 유형에 따른 중간기 실내 열쾌적성 분석

        정창헌,황석호,박병용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간기 동안 대학캠퍼스 건축물 실내의 열적 쾌적성을 팡악하는 것이다.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은 재실자의 열적인 감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EHP시스템은 캠퍼스 내 건축물에서 실내온도 조절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실내 공기온도가 적정수준에 있더라고 실내의 열쾌적성은 벽체나 구조체의 표면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실내 열쾌적성의 변화와 잠재적인 난방 수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PMV가 열쾌적의 대표적인 지표로 사용되었다. 총 9개 실의 열적 조건이 측정되고 분석되었다. 그 결과로 축열체의 과도한 노출이 있거나 북향인 몇몇실은 실내의 쾌적성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캠퍼스 내 건물의 특징에 따라 불필요한 잠재적 난방 수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hermal comfort of the buildings in campus during intermediate season.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 can be affected by the thermal sensation of the occupants. Electric heat pump that is recently used in campus buildings controls indoor temperature. However, thermal comfort can be vary by the effects of space conditions such as surface temperature of wall and other construction even though indoor air temperature is appropriate. This study focuses on the variation of the indoor thermal comfort and resulting potential of heating requirement. We determined indoor thermal comfort of building in campus during the intermediate season. PMV is used as the representative indicator. Indoor thermal condition of totally 9 rooms are determin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field measurements, several rooms with inadequate thermal comfort status are found where the exposure to thermal mass is excessively high or the orientation of the room is north. The potential of unnecessary heating requirement by the building properties in campus is identified by this study.

      • KCI우수등재

        여름철 해변지역의 인간 열환경지수 및 열쾌적성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 해변 -

        박수국,신지환,조상만,현철지,강훈,Park, Sookuk,Sin, Jihwan,Jo, Sangman,Hyun, Cheolji,Kang, Hoo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4

        최근에 관광기후지수가 생리등가온도(PET)와 범용열기후지수(UTCI)와 같은 완전한 인간 에너지 균형 모델들을 포함함으로써 발전되어 오고 있다. 이 연구는 해변에서의 조경계획 및 설계를 위해, 2015년 봄과 여름에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월정리해변에서 인간 열환경지수 및 열쾌적성을 조사하였다. 미기후 측정과 국제표준화기구 10551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설문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였으며, 성인 869명이 참가하였다. 그 결과, 생리적인 요소만 고려된 '열환경 지각'과 '열환경 선호도'가 선형 회귀 분석에서 생리등가온도와 92.8과 87.6%의 높은 결정계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생리적 요소와 심리적 요소 둘 다 고려된 '열환경 평가', '열환경 수용도'와 '열환경 부담도'에서는 60.0, 21.1, 46.4%로 낮은 결정계수를 보였다. 그렇지만, 생리등가온도와의 상관성 분석에서는 모두 0.01 레벨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 열환경 지수를 나타내는 '열환경 지각'에서 덥지도 춥지도 않는 '중간'의 생리등가온도의 범위는 $25{\sim}27^{\circ}C$로 나타났으나, 미국의 냉온난방협회 표준 55에서 추천한 20% 이하의 불만족성 범위는 없었다. 다만, '열환경 평가'와 '열환경 부담도'에서 $21{\sim}32^{\circ}C$와 $17{\sim}37^{\circ}C$의 생리등가온도 범위들이 그 추천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21{\sim}32^{\circ}C$의 생리등가온도를 해변지역의 조경계획 및 디자인뿐만 아니라 관광 및 레크리에이션 계획을 위한 인간 열쾌적성 범위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해변에서의 열 스트레스 레벨들은 한국의 내륙들보다 $2{\sim}5^{\circ}C$ 높게 나타났으며, 대만과 나이지리아와 같은 열대지역과 유사한 높은 결과들을 보였고, 서 중유럽과 이스라엘의 텔아비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climatic index for tourism(CIT) has recently been advanced, which includes complete human energy balance models such as 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PET) and 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UTCI). This study investigated human thermal sensation and comfort at Woljung-ri Beach, Jeju, Republic of Korea, in spring and summer 2015 for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in beach areas. Microclimatic data measurements and human thermal sensation/comfort surveys from ISO 10551 were conducted together. There were 869 adults that participated. As a result, perceptual and thermal preference that consider only physiological aspects had high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r^2$) with PET in linear regression analyses: 92.8% and 87.6%, respectively. However, affective evaluation, personal acceptability and personal tolerance, which consider both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had low $r^2s$: 60.0%, 21.1% and 46.4%, respectively. However, the correlations between them and PET were all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The neutral PET range in perceptual for human thermal sensation was $25{\sim}27^{\circ}C$, but a PET range less or equal to 20% dissatisfaction, which was recommended by ASHRAE Standard 55, could not be achieved in perceptual. Only PET ranges in affective evaluation and personal tolerance affected by both aspects were qualified for the recommendation as $21{\sim}32^{\circ}C$ and $17{\sim}37^{\circ}C$, respectively. Therefore, the PET range of $21{\sim}32^{\circ}C$ is recommended to be used for the human thermal comfort zone of beach areas in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as well as tourism and recreational planning. PET heat stress level ranges on the beach were $2{\sim}5^{\circ}C$ higher than those in inland urban areas of the Republic of Korea. Also, they were similar to high results of tropical areas such as Taiwan and Nigeria, and higher than those of western and middle Europe and Tel Aviv, Israel.

      • KCI등재

        복개하천 주차장의 피복 및 식재 변화를 통한 열환 경 및 열쾌적성 개선 방안 -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복개천 공영주차장을 중심으로

        김은환,김형규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assessed the thermal environment and comfort according to change in paving and planting conditions of a covered parking lot to discuss improvement of many of culverted streams. Six alternative plans with differing paving and planting conditions for Mansu public parking lot located in Incheon were analyzed by using ENVI-met. Results show that the plan with asphalt and trees was the most effective in improving thermal comfort. Brick road was effective in reducing temperature but not in improving thermal comfort. These indicates that the result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wind speed may differ from the results by the thermal comfort index, and when planning a method for improving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It suggests that consideration for thermal comfort should be give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ound in presenting a new alternative method for culverted streams, and conducted an analysis of urban spaces that were poorly studied centering on parking lot, which is a typical space composed of artificial paving. 본 연구는 사업비용, 대체부지 및 도로의 확보, 자연수원 확보 등의 문제로 복원되지 못한 채남아있는 다수 복개하천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복개천 주차장의 피복과 식재 계획에따른 열환경 및 열쾌적성 수준을 평가하였다.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만수복개천 공영주차장을 대상으로 피복의 종류와 식재 배치의 유ㆍ무에 따른 6가지 계획안을 구상하고 ENVI-met을 이용하여 도시 열환경 및 열쾌적성의 변화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피복의 종류를 아스팔트로 구성하고 수목의 식재를 한 계획안이 열쾌적성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점토바닥벽돌이 온도 저감에는 효과적이었으나, 열쾌적성 향상에는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밝혀졌다. 이는 온도 및 풍속에 의존하는 결과와 열쾌적성 지표에 의한 평가 결과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도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계획기법을 마련하고자 할 때 열쾌적성에 대한고려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복개하천의 복원을 대체할 새로운 대안적 개선 기법을 제시했으며, 인공 피복으로 구성된 대표적인 공간인 공영주차장을 중심으로연구가 미흡한 도시 공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여름철 계룡산국립공원 탐방로의 열쾌적성 및 어메니티 관리 연구

        안시옥(Siok An),송도윤(Doyun Song),정다워(Dawou Joung),박범진(Bum-Jin Park),심규원(Kyu-Won Sim),박준효(Jun-Hyo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는 산악환경의 기상 특징과 계룡산국립공원 탐방로의 열쾌적성을 파악하고 열쾌적성이 높은 활동 시간 정보, 활동 공간 정보, 활동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탐방로의 열쾌적성 분석을 위해 여름철 도심 기온, 국립공원 방재기상관측장비(AWS, Automatic Weather System), 탐방로인 숲길의 평균 기온을 비교하였다. 또한, 계룡산 국립공원의 주요 탐방로 4개 구간의 미기후 요소와 수관울폐도 측정을 위해 총 240개 지점을 조사 후 열쾌적성을 파악 하였다. 도심과 국립공원AWS, 탐방로의 평균 기온을 비교하였을 때, 도심, 갑사AWS, 동학사AWS, 갑사 탐방로, 동학사 탐방로 순으로 평균 기온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 탐방객이 직접 체감하는 탐방로의 열쾌적성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주요 탐방로 4개 구간 조사 결과, 평균 수관울폐도는 동학사~남매탑 구간, 동학사~관음봉 구간, 갑사~연천봉 구간, 갑사~금잔디고개 구간 순으로 높았다. PMV(예상평균온열감)는 활동량이 2.8MET 일 때, 갑사~금잔디고개 구간, 갑사~연천봉 구간, 동학사~남매탑, 동학사~관음봉구간 순으로 높았다. 조사를 통하여, 열쾌적성이 높은 시간 정보, 공간 정보, 활동량 정보를 제시할 수 있었다. 탐방로의 열쾌적성 특성을 파악하여, 탐방로의 어메니티를 높일 수 있는 숲길 관리 방안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weather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 environment and the thermal comfort of Gyeryongsan National Park trail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activity time, activity space, and activity amount. For the analysis of the thermal comfort of the trail, the temperature of the city center in summer,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National Park Disaster Prevention Weather System (AWS), and the trail. Also, Microclimate elements and canopy closure were also measured in four major trails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After investigating a total of 240 points, thermal comfort was identified. When comparing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city center, National Park AWS, and trail, the average temperature was higher in the order of the city center, Gabsa AWS, Donghaksa AWS, Gabsa Trail, and Donghaksa Trail. As a result, it means that the thermal pleasure experienced by visitor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a survey of four major trails, the average canopy closure is Donghaksa~nammaetop route was high in the order of Donghaksa~Gwaneumbong route, Gabsa~Yeoncheonbong route and Gabsa~Geumjandigogae route. When PMV(Predicted Mean Vote) is 2.8MET, The PMV was highter in the order of Gabsa~Geumjandigogae route, Gabsa~ Yeoncheonbong route, Donghaksa~nammaetop route, Donghaksa~Gwaneumbong route. Through the survey, time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with high thermal comfort could be presented. By grasping the thermal comfort characteristics of the trail, we intend to lay the foundation for forest trail management measures that can increase the amenity of the tr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