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역할 및 지원방향에 관한 연구

        박성남(Park, Sungnam),서수정(Seo, Soojeoung),임강륜(Lim, Kangry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6 No.4

        2014년 2월에 도시재생지원기구가 복수로 지정되어 운영중에 있으나 현재 세부적 기능 및 역할 설정은 미흡한 상황이므로, 향후 도시재생 제도의 발전과 도시재생 사업의 효율적 지원을 위해서는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세부적 역할 설정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련 전문가 그룹의 인식 분석을 토대로 도시재생지원기구의 기능 및 역할과 도시재생사업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도시재생지원기구의 향후 지원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지역 역량 및 지원 수요에 대한 맞춤형 지원방안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특히 도시재생 기반 구축이 미비한 시군을 중점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음이 강조되었다. 주민 및 공무원 대상 교육의 중요성이 지적되었으며, 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유형별 지원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아울러 도시재생지원기구 실무자 협의체, 사업 총괄코디네이터, 센터담당자 등 지역별 도시재생 담당자간 네트워크 구축 및 발전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지원기구의 향후 기능 발전을 위한 방향으로서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전문성, 권한, 역량 증대, 향후 사회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기능 발전, 현장과 연계한 지속적 제도 발전을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tailed functions and roles of the National Urban Regeneration Assistance Agencies. It also seek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al strategies for the agencies in the short- and also long-term perspectives. In-depth interviews with urban regeneration specialists, grouped into four, were conducted to collect various opinions on the future roles of the agencies. Interviewed specialists highlighted a partnership among the three current agencies established in the system. They also argued that supports from the agencies should be focused on local governments which lacks of urban regeneration capacity.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residents and on public officials was highlighted in the interviews, too.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agreed that there is a need to differentiate assistance strategy between “city center regeneration projects”, and “urban neighbourhood regeneration projects”. In addition, it was highlighted that there is a need to create and enhance a cooperative network among stockholders and participants including the team staff members from the three agencies.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future: 1) enhancing the agencies’ specialties, authorities and capacity, 2) developing its functions responding to future socio-economic changes, and 3) developing its sustainable supporting system responding to local demands properly.

      • KCI등재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도시농업조례 항목별 중요도와 참여 만족도 및 지속가능성의 관계 분석

        최은영(Choi, Eunyoung),정윤남(Jeong, Yunnam),김세용(Kim, Seiyo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6

        본 연구는 도시농업의 제도적 측면에서 도시농업의 지속적인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세부적으로는 도시농업 조례 항목별 중요도가 도시농업의 참여 만족도와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그 관계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사점을 정리하면 첫째, 참여자들의 ‘도시농업 참여 지속성’이 나타남에 있어서 의식적인 단계를 거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제 참여자 관점에서 도시농업 조례항목별 중요도 요소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부의 간접적인 지원보다는 개개인에 대한 교육적 지원, 직접적 지원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도시농업 조례 항목별 중요도에 대한 전문가와 참여자 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sustainable vitalization plan for urban farming in. Also, it examines the importance of urban agriculture ordinance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sustainability. Based on the importance of urban farming facto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20 urban farmers living among 23 districts within the city of Seoul. In addition,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of the importance of itemized urban agriculture ordinance and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the sustainability among the urban agriculture was conducted in accordance. Implication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stainability of urban farming participation" processed through the conscious level. Second,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itemized urban agriculture ordinance elements from the actual participants’ perspective, direct supports such as individual educational support were thought to be more important to them rather than government"s indirect support. Third,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urban agriculture ordinance factors between the experts and participants could be confirmed. In this study, the flo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of itemized urban agriculture ordinance and the participants" effective factors has been proposed.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in terms of current urban farming ordinance has not been actively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on providing the theoretical basis of it.

      • KCI등재

        도시재생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쇠퇴진단 고찰 - 정책 및 학술연구와 도시재생전략계획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이정은(Lee, Jung-Eun),박윤미(Park, Yunmi)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4

        효율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위해 정부는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및 관련 조례 등을 제정을 하였고, 이를 통해 각 지방자치단체가 도시재생전략계획(이하 “전략계획”)을 수립하게 하였다. 전략계획 수립의 첫 단계인 도시쇠퇴진단에 관해 국토교통부 가이드라인은 물론 다수의 정책·학술연구에서도 다양한 쇠퇴진단 방법과 지표개발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 수립된 전략계획 19개와 정책ㆍ학술연구 11개를 비교ㆍ분석하여, 정책·학술연구에서 제시된 진단지표 및 방법이 실제 계획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1) 물리적 환경개선이 도시재생 전략의 핵심목표임에도 물리적 환경지표의 수가 적게 나타났고, 2) 대도시가 중·소도시보다 더 많은 수의 지표를 사용하고 있으며, 3) 정책·학술연구에서 제시된 다양한 지수표준화·지수등급화·가중치부여 방법 등이 실제 계획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한 방법들이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향후 전략계획의 수립 및 수정에 정책·학술연구의 기여도를 높이기 위해 각 지자체 및 계획 수립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교육이 요구되고, 실제로 활용 가능한 플랫폼 구축의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 Special Act on Promotion and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enacted in 2013, requires every municipality to develop its own Urban Regeneration Strategy Plan (URSP). The initial step of the development of a URSP is to measure urban decline. Many studies and policy documents, including the guideline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ve introduced various measures to diagnose the urban decline effectively.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existing 19 URSPs and 11 policy documents and academic studies to examine how those methods and measures are used. The outcomes indicate that 1) few indicator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even though they are one of the main goals of urban regeneration; 2) large cities adopted more detailed and complex indicators than mid-/small-sized cities; and 3) the various indices, standardizations, ratings, and weighting methods suggested by academic research tend not to be used in the plans and the majority of URSPs adopt relatively simple methods on a limited basi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n education program for municipalities and the planning practitioners involved in developing and modifying the URSPs and the development of a working platform to heighten the relevance of policy and academic researches in the field.

      • KCI등재

        3기 신도시 계획과제와 남양주 왕숙2지구 마스터플랜

        조영주(Cho, Youngju)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1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주관한 3기 신도시 설계공모는 1 · 2기 신도시의 교훈과 사회적 통합을 기대하며 도시 · 건축통합계획이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되었다. 남양주 왕숙2지구의 당선안인 『유유자족(悠悠自足) 도시』는 보편적인 신도시 개발방식에서 벗어나 자연과 도시가 공존하고, 소로 중심의 휴먼스케일의 도시를 지향하며, 다양한 유형의 도시주거가 대안적 라이프스타일을 가능토록 하는 도시를 제안하고 있다. 3기 신도시의 계획과제를 바탕으로 당선안이 갖는 1 · 2기 신도시와의 계획적 차별성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여 자연과 공존하는 도시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공공서비스의 분산과 녹지의 균질한 배분은 자족적 정주여건을 제공하여 언택트 시대에 대응한다. 둘째, 단지식 개발에서 벗어나, 열린 중정을 중심으로 여러 유형의 도시주거와 다양한 용도가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왕숙형 중정’을 제안하고 있다. 셋째, 지형과 수계를 고려한 도로망 배치와 자율주행 시대에 대비한 세심하고 스마트한 교통체계를 도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미래 도시 구성원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예측과 지역산업밀착형 신성장동력 발굴을 통해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고 있다. The master plan competitions for the 3<SUP>rd</SUP> generation new towns hosted by LH were to require three-dimensional urban space planning for an integrated plan for urban and architecture, with the lessons learned from the 1st and 2nd generation new towns and the goal of social integration. ‘The Slothophical City’, the winning proposal for Namyangju Wangsuk2 District, created a human-scale and street-oriented city in which the city and nature can coexist, and provided a variety of housing types with alternative lifestyles. The significances and distinctions of the winning proposal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new type of city model for the post-Covid19 era, by adjusting the natural terrain to good use in a small city, and providing a self-sufficient city environment through redefined public services and open space throughout the entire city. Second, it proposes the ‘Wangsuk Courtyard’, places for socializing and community activities surrounded by different housing typologies and programs. Third, the road network is sensitive to the topography and accommodated to smart traffic system customized for the era of self-driving vehicles. Last but not least, the master plan focused on urban sustainability by promoting the individual’s lifestyle, creating the community-driven industry and bring back natural environment.

      • KCI등재

        탄소 중립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계획전략 연구

        김정곤(Kim, Jongkon),최정은(Choi, Joung-e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기후변화 및 에너지 시대의 대안으로 도입된 탄소 중립도시의 계획이론 및 조성전략을 분석함에 그 목적이 있다. 탄소 중립도시는 생태도시와 지속 가능한 도시 모델의 통합적 개념인 순환적 도시 신진대사의 이론을 따르고 있으며 이는 도시 내부적 요소들의 면밀한 결속에 의해 나타난다. 탄소 중립도시의 실현을 위해서는 세 가지 조성전략 - 에너지 수요의 저감, 에너지 공급 및 관리의 효율화, 재생에너지의 이용 - 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전략은 디자인 및 기술이 구체화 되어 여섯 가지 분야에 적용되고 기후변화 및 에너지 시대에 대응한 완화 및 대응 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탄소 중립도시 계획내용은 독일, 스웨덴, 덴마크 등 유럽 국가들의 사례를 심도 있게 분석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탄소 중립도시의 계획은 단순히 평면적이고 계획요소들의 나열이 아닌, 순환적 신진대사의 원칙을 준수하며 효율성이 극대화된 도시 내부의 연계성이 강화된 다각적인 계획방법을 요구한다. 탄소 중립도시를 계획하는 것은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고 그 미래를 위해 현재의 도시개발 방향을 검토하는 백 캐스팅 기법과 같은 방법으로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proposing a urban planning model for making Carbon Neutral City, which is a emerging concept in the climate and energy era. Carbon Neutral City follows the principles of circular metabolism, which is emerged from eco-city and sustainable city concepts. Circular metabolism is established on inter-connectedness among a variety of planning elements. To realize carbon-neutrality, the Carbon Neutral City model incorporates three action strategies : reduced energy demand, efficient energy supply and management, and renewable energy use. As planning and design elements in the six sectors are checked if they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terms of mitigation and adaptation, the Carbon Neutral City model is proposed to tackle both climate change and energy crisis. The Carbon Neutral City model is derived from the in-depth study of outstanding cases in European countries such as Germany, Sweden and Denmark. The planning of ‘Carbon Neutral City’ is not planning on a flat ground or planning conforming to linear metabolism any more, but rather a multi-faceted planning which maximizes efficiency by inter-connectedness and planning obeying circular metabolism. It should not be a standardized application of technical elements, but rather a serial and iterative process of selection, elaboration, application and prediction of plann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potential of renewable energy sources and the locational or geographical conditions. Planning ‘Carbon Neutral City’ is planning for the future of city through setting future visions and examining present directions for change.

      • KCI등재

        도시규모와 사회 질(Social Quality) 지표가 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안용진(Ahn, Yong-Ji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는 도시규모와 사회 질 지표가 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건강도시와 여성친화도시 개념을 연계한 공간적 정책 함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실증모형은 여성가족패널조사와 전국 230개 지자체별 사회 질 지표 자료를 기반으로 구축되었으며, 주요 설명변수는 개인/가구특성과 거주지 사회/공간 환경특성을 반영한 사회 질 (제도역량/시민역량/건전성) 지표로 구성되었다. 순서화 된 종속변수의 이산성 및 다항 선택성을 고려하고 설명변수의 영향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순서형 로짓 모형을 적용한 결과, 사회 질 지표 모두 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사회 질 지표가 여성 건강에 미친 영향은 도시규모에 상관없이 일관된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통계적 유의성과 하위지표의 영향정도는 도시규모별로 차별화 된 결과를 보였다. 특히, 사회 질 관련 지표 중 건전성 지표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여성친화도시의 구체적인 성능지표로서 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효과적으로 증진하기 위해서는 도시규모의 차이를 고려하고 건전성 지표(범죄등 사회안전망) 향상에 초점을 둔 공간 정책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describes policy implications for designing healthy communities and female-friendly environments by exploring the influence of urban size and social quality on self-rated health status of women in Korea. An empirical test was conducted by combining disaggregated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and aggregate data, including the Census and Social Quality Index. Explanatory variables consisted of individu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vironments (soundness, citizenship, and system). To quantify the specific roles of such factors, I applied an ordered logit model to address the nature of ordered responses: multiple, discrete choices. As a result, I found that urban size and social qual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lf-rated women’s health. While three indicators for social quality consistently and positively affect women regardless of urban size, both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impact differ with urban size. Notably, the relative importance of soundness is higher than others. To effectively enhance self-rated health of women, policy priority should be given to improving the level of social security while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urban size.

      • KCI등재

        「도시미화법」을 통해 본 김정은 체제 도시공간정책 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강연주,권영상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6

        Kim Jong-un’s regime emphasizes the construction of a city to forge the Socialism-Fairyland, but the landscape of Pyongyang under the reign of Kim Jong-un is very similar to what we see in the capitalist c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urban spatial policy based on the Socialism-Fairyland envisioned by the Kim Jong-un regime. This study analyzes the composition of the Urban Beautification Act, which was enacted when the reign of Kim Jong-un commenced, and confirmed that Kim Il-sung’s instruction emphasizes on the importance of urban management led to the enactment of the Urban Beautification Act. The Act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city’s visual image, the green spaces, and entertainment facilities, and related urban spatial policies actively carried out. Kim Jong-un’s regime also seems to be using the Socialism-Fairyland as political propaganda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alist city. This study has limitations when it comes to discussing the changes of urban spatial policy in Kim Jong-un regime, as they are based solely on laws.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Kim Jong-un’s regime has identified some features of urban spatial policy through the Urban Beautification Act, which was enacted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this Socialism-Fairyland. 김정은 체제는 사회주의선경을 만들기 위한 도시 건설을 강조하고 있으나, 김정은 집권 이후의 평양은 자본주의 도시의 경관과 크게 다르지 않다. 본 연구는 김정은 체제가 강조하는 ‘사회주의선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토대로 김정은 체제 도시공간정책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정은 집권 직후에 채택된 「도시미화법」을 중심으로 관련 법령의 흐름과 구성, 내용을 분석하고, 도시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한 김일성의 교시가 「도시미화법」을 포함한 관련 법령의 채택으로 이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각 법령은 특히 도시미관, 원림화, 공원과유원지를 중복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도시공간정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김정은 체제는 김일성과 김정일 시대를 계승하면서 체제의 유지ㆍ강화를 위해 ‘사회주의선경’을 정치적으로 선전ㆍ선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법이라는 문헌자료만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한 한계가 있으나, 사회주의선경의 조성을 목적으로 제정된 「도시미화법」을 통해 김정은 체제 도시공간정책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녹색성장 생생도시 정책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조영태(Cho, Young-Tae),이미홍(Lee, Mi-Hong),박신원(Park, Shin-Won),조규만(Cho, Kyu-Ma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정부에서 추진하였던 녹색성장 생생도시 정책이 기초자치단체에 어느 정도 효과를 나타냈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부는 2009년부터 생생도시 평가를 통해 중앙정부의 패러다임인 녹색성장 정책을 실현하는 우수 도시로 44개 자치단체를 선정ㆍ지원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위주의 기존 정성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공식적 통계자료를 활용한 정량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생생도시의 7개 분야별 대표지표로 전력사용량, 자전거도로 길이, 우수중수처리시설 용량, 생활폐기물 배출량, ESCO 등록업체 수, 도시공원 면적, 탄소포인트제 가입세대 수 등을 선정하였으며, 생생도시 정책이 추진된 시점을 기준으로 2008년에서 2011년까지의 시계열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생생도시로 선정된 44개 자치단체의 녹색성장 분야 전반적인 현황이 기타 자치단체에 비해 우수하며, 생생도시 정책 시행전후 변화량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생생도시 평가, 선정으로 인해 지자체의 녹색성장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어 자치단체 정책에 반영된 결과이며, 녹색생활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much green growth ECORICH policy, promo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f Korea, has affected municipalities empirically. By evaluating ECORICH policy from 2009, the central government selected 44 municipalities practicing green growth policy and supported this new paradigm.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qualitative study with questionnaire analysis, this paper attempts a quantitative study with official statistical data. Followings are 7 selected indicators ; electric power usage, length of bicycle road, capacity of rainwater restoration facility, volume of discharged waste, number of registered ESCO company, area of urban park, and number of households registered in CO2 point system. Time series analyses are processed from 2008 to 2011 based on the starting points of ECORICH policy. A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the present condition of 44 selected ECORICH municipalities are superior than other unselected municipalities, and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pre and post ECORICH policy are ameliorated in a desirable direction. As reflected in the local governments’ policies, ECORICH policy has enhanced awareness of green growth of municipalities as well as understanding by citizens.

      • KCI등재

        GTX 역세권의 도시설계 원칙과 맥락적 변용에 관한 연구 - 도시모빌리티 스튜디오의 GTX 역세권 도시설계 계획안을 중심으로

        김충호,이다빈,이해빈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GTX의 건설이 초래할 도시의 물리적 변화에 대한 미래지향적 대응을 목표로 GTX 역세권의 도시설계 및 도시개발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도시모빌리티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GTX 역세권 도시설계의 보편적 원칙을 도출하고, 이를 실제 대상지에 적용하며 도시적 맥락에 따른 계획안의 변용을 고찰하였다. GTX 역세권 도시설계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과정에 따라 수행되었다. 첫째, GTX와 GTX 건설 사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GTX의현황 및 특징에 대해 정리하였다. 둘째, 도시모빌리티 스튜디오의 운영과정 및 운영내용의 분석을 통해 GTX 역세권의 도시설계 과정과 보편적 원칙을 도출하였다. 셋째, GTX 역세권 도시설계 원칙을 여의도, 청량리, 용산, 망우 역세권을 대상지로 실제 적용하면서 도시적 맥락에 따른변용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GTX 역세권 도시설계의 방법과 원칙을 밀도, 용도, 교통수단 차원에서 제시하고, 실질적 구현은 대상지의 도시적 맥락에 따라야 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새로운 도시의 제(NUA)’ 간 비교연구

        이유경(Lee, Yookyung),이승호(Lee, Seungho),조영태(Cho, Youngtae) 한국도시설계학회 2018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9 No.3

        2015년 유엔 정상회의에서 최종 확정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2016년 10월 유엔 해비타트 III 회의에서 채택된 ‘새로운 도시의제(NUA)’는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을 지향하는 국제사회의 대표적인 움직임이다. 본 연구는 SDGs와 NUA가 향후 15~20년간 국제사회의 도시발전 목표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두 국제담론의 주요 내용과 이행방안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의 도시정책에 반영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SDGs의 도시의제(SDG 11)와 NUA는 모두 도시와 정주환경의 포용성, 공정성, 회복력, 지속가능성 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해비타트 III의 NUA는 모든 방면에서 빈곤과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고 환경·사회·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하며 포용적인 도시를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그동안의 성과들을 계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한국은 SDG 11과 NUA에 대응하여 1) 포용도시 의제의 적극적 수용과 실천, 2) 부처 간 협력 네트워크 도모, 3) SDG 11과 NUA 실천을 위한 이행방안 촉구 등의 보다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established at the 2015 UN Summit, and New Urban Agenda (NUA), adopted by UN Habitat III in October 2016, are the most outstanding movement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Given that SDGs and NUA is to lead the sustainable paradigm for the next 15-20 years in terms of urban developmen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main agendas and implementation plans of the two international discourses.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Korea’s urban policy. Both SDGs and NUA emphasize the properties of inclusiveness, justice, resilience and sustainability of the cities and human settlements. In particular, Habitat III’s NUA which is developed from the previous achievements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to tackle against poverty and inequality urban issues, and to promote environmentally, socially, and economically sustainable and inclusive cities in many aspects. In response to SDGs and NUA, Korean governments are expected a) to embrace more inclusive city agenda, b) to establish cooperative networks, and c) to pay more attention to implement the Goal of SDGs and NU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