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용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 대학건축물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홍성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3
건축에서의 상징성에 대한 논의는 기호나 의미의 전달이나 과거 문화의 해석 측면 뿐 아니라 그 문화를 구성하는 공동체 구성원의 공동체성의 유지 및 강화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대 건축에서 공동체성의 논의를 시작할 수 있는 대상 건축물로 역사적으로 도시 공동체에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주었던 대학 건축물을 선정하고 대학 건축물의 주사용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 건축물의 상징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고 문제점 및 특성을 도출하여 대학 건축물 계획 시 활용함으로서 상징성의 강화를 통해 공동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사용되고자 한다. 현대 대학 건축물은 전통건축물이나 종교건축물처럼 명확한 형태 상징요소를 가지지 못하므로 상징성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은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어휘로 표현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정량적인 리커트 척도 등의 접근방법으로는 그 다양성을 담아내기 힘들 것으로 보아 본 논문에서는 대학 건축물 사용자의 주관적인 응답을 유도하는 설문을 실시하고, 자연어 어휘 분석을 하는 정성적인 접근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외부 방문객에 대해서는 도서관, 정문 등이 그 자체 용도로 대학을 상징한다고 보고 있으며 첨단 이미지의 멋있고 새로운 모습을 상징성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내부 구성원에 대해서는 광장, 휴게공간, 체육관 등이 대학을 상징한다고 보고 있으며 추억이 있고 친근하고 소속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상징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건축물이 가지는 상징성에 대한 사옹자의 인식을 자연언어를 분석하여 특성을 파악하고 추후 상징성을 고려한 대학 건축물 설계에 참고할 기초자료를 제시한 것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북한의 ‘건축예술론’에 대한 비평적 연구 - 남북한 건축교류에 대비한 북한건축의 이해를 위한 배경 분석 -
신규철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5
건축분야의 남북교류를 위해서는 북한의 건축에 대한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지식과 분석이 필요하며 그 기반으로서 북한건축에 대한 자료의 다양한 비평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건축예술론 책자가 가지는 개념체계와 그 주변의 맥락적인 의미에 대한 비평적 분석을 통하여 북한건축의 개념적 체계를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기존의 문헌을 조사 분석하는 것으로 먼저 접근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북한의 ‘건축예술론’을 중심으로 북한건축의 개념적 흐름을 최근의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보고자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남북한 간의 건축교류 준비는 필수적이다. 2) 북한의 현실에 대한 합리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3) 북한의 ‘건축예술론’이 가지는 의도와 그 결과로서의 건축물에 대한 의미 분석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The knowledge and analysis of North Korean architecture are required in detail to prepare South and North architectural exchange in near future. Therefore, critical review of North Korean architectural philosophy is essentia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erform contextual and background analysis of the book named ‘About the architecture’ to investigate hidden political background of the North Korean architecture. The conclusions are achieved as followings : 1) The preparation of architectural exchange is indispensible. 2) Reasonabl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reality is essential. 3) The book of ‘About the architecture’represents the political propaganda of DPRK’s socialist regime which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conceptually in background.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 요소를 바탕으로 한 건축물 이미지의 조형예술적 표현특성 연구 - 부산다운 건축상 수상작들을 중심으로 -
김동식,김근식,백하영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매년 부산다운 건축상 책자를 통해 문화 홍보의 역할로 부산시에서 실질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부산다운 건축상 수상작들을 중심으로 조형예술적 표현특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3차원 입체적인 건축물들을 2차원적인 이미지로 변화시키는 과정에서의 디자인적 이해 및 접근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아른하임의 시지각 요소를 적용하여 부산다운 건축상 수상작 조형예술적 표현특성의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범위는 부산다운 건축상 심사대상 2013년부터 2016년에 오른 건축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문헌 및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부산다운 건축상 수상작의 심사 기준 및 내용을 포함한 건축물의 특성 및 현황을 정리한다. 둘째,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고찰한 다음 시지각 요소의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조사대상의 선정 및 분석항목을 분류한다. 앞서 도출한 분석항목을 토대로 분석요소를 도출한다. 넷째, 앞서 도출된 분석요소를 부산다운 건축상 수상 건축물에 적용하여 조형예술적 표현요소들을 분석한다. 최종적으로, 부산다운 건축상 수상작에 있어서 년도 별로 건축적 구성요소와 시각적 구성요소의 경향을 파악하고 부산도시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조형예술적 표현특성에 대한 결과를 정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by focusing on actually running award about architectural prize of Busan which is role of cultural promotion through each year’s brochure of architectural prize of Busan. It is a means to present design understanding and approach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original three dimensional architecture into a two dimensional image by analyzing the visual perceptual elements of Arnheim and to understand the trend of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s of architectural prize of Busan. Range of research is architectural prizes of Busan in 2013 to 2016. A study of method is divided five sections. First, arrange the building’s characteristics and status which is including the examination standard of architectural prize of Busan and the contents by focusing on literature and preceding research. Second, consider a Rudolf Arnheim’s visual perceptual element and then derive characteristic of visual perceptual element. Third, select a research subject and categorize an analysis item. Fourth, analyze the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to reflect the architectural prize of Busan by analysis element which is already found. At last, figure out the trend of visual elements and architectural components base on architectural prize of Busan and arrange the result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considering property of city space in Busan.
자연재해에 대비한 건축물 방재계획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김지윤,정숙진,이성화,윤성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1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자연재해 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경제적 손실 및 인적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자연재해에 대응하고 피해규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설계단계부터 방재계획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건축계획 실무자를 대상으로 건축설계 단계에서의 방재계획 실태 및 인식 조사를 통하여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대부분의 응답자가 건축물 설계시 방재계획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약 84.9%의 응답자가 현 건축물 설계 및 관리기준을 다양한 자연재해의 대응 충분성에 대해 보통 이하로 인식하고 있으며, 자연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법규 및 조례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답하였다. 셋째,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재해요인별 건축계획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피해원인 분석 정보를 DB화하여 건축설계 실무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설계 지침 개선 및 대책을 명확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improvement plan for the actual condition and recognition of architecture disaster prevention plan at the design stage.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cent rapid climate change, natural disasters has been increasing every year. The economic losses and the human damage also increasing. In order to correspond to natural disasters, to minimize the extent of the damag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ctively architecture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from the design stage of the building. In this study, the subject experts of architectural planning, through the study of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of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in the architectural design stage, trying to figure out their problems and seek a improvement plan. As a result, First, The most respondents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element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at the design stage. Second, In order to prepare to natural disasters, it is determined that needs an improved design guildline of the building. It must be to improve the relevance of architecture and disaster-related planning. Third, They are recognized that it is necessary to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factors of another disaster so that it can respond to climate change.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above all cooperation of related organization is necessary to use cause analysis information for architectural design practitioners. And It needs to be clearly presented countermeasure and improvement of design guidelines.
시지각 우선순위에 의한 건축물 조형디자인에 관한 연구 - 홍콩지역 건축물을 중심으로 -
김근식,김동식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1
도시 공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로공간은 도로와 대지를 바탕으로 3차원의 물리적 형태로 구성되며, 환경조형물의 형태 및 조형디자인구성에 따라, 그 공간의 특성을 표현한다. 특히 3차원의 환경조형물 중 도시공간의 주된 구성 요소인 건축물은 도시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주요소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물리적 도시성장과 국제주의 양식에 따른 획일화된 건축 디자인 계획으로 인해 정체성을 상실한 도시공간이 되어가고 있다. 즉 전문가, 건축물, 이용자 간의 상호 유기적 작용 및 관계성 또한 약화되고 있는 실증이며, 이를 해결하기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관점에서의 조형디자인표현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주요 도시 중 인지도 높은 건축물들이 집중되어 있는 홍콩 도시공간 건축물을 중심으로, 유형에 따른 각 종 건축물에 대한 조형디자인 구성요소 표현특성을 토대로, 조형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한 피실험자 대상의 조형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한 시지각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이는 전문가 관점에서의 작품성 위주로의 연구수행이 아니라 향후 이용자 관점에서의 업무 및 상업지역내 건축물에 대한 조형디자인표현특성을 이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향후 조형디자인 계획 방향 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 연구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ccording to specific forms of environmental mouldings along with formative design compositions, street spaces which are composed of three dimensionally various physical forms including many different roads and lands are not only occupied lots of portions but expressed as a specific characteristic area in a city. Especially architectural buildings among three dimensional environmental mouldings represent truly as a main element in a city. City has been only physically developed with losing identities by uniformed architectural design planning so we are facing with the time to solving all the issues which currently has been disconnected between architects, buildings, and user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provides with aspects of users’ viewpoints for formative design characteristics. In order to find priority of visual perception regarding formative design components from test subjects, we focused on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city, Hong Kong which has lots of different types of formative design characteristic buildings including specific expression methods for formative design components. This study is to be basic research materials suggesting formative design directions which are not from professionals’ viewpoints for design quality but users’ viewpoints in office and commercial district.
일본 현대건축에 나타난 잠재성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SANAA, Ito Toyo, Maki Fumihiko의 공공시설 작품을 중심으로
김진모,임수영,민영철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4
건축에서의 잠재성 개념 도입은 현대건축에서의 건축가와 철학가의 만남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출발점은 해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계점을 해결하기위한 건축분야의 자구책에서 시작되어진 시대적 산물이었다. 이러한 잠재성의 개념은 건축에 있어 공간 구축의 철학적 의미와 가능성 그리고 공간의 다양한 의미부여와 인문학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갖게 하였다. 최근 디지털 디자인 건축언어로 표현되고 구축되고 있는 잠재성 공간은 철학적 이론과 개념을 바탕이 된 건축의 새로운 시도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공간구성에 있어 철학적 접근의 수단을 현대기술의 하나인 디지털 건축언어로만 해결하려는 움직임은 현실적 구축의 건축을 더욱더 난해하고 힘들게 하였으며 기존의 축적된 건축기술과 역사적 흐름의 단절을 갖게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근현대의 건축 교육을 바탕으로 일본의 지역적 특생이 돋보이는 건축가 SANAA, Ito Toyo, Maki Fumihiko의 공공시설건축물을 선정하여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공간 구성의 기본단위중 수직성분인 벽과 기둥의 정의로서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작품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건축물에 구축된 벽과 기둥의 특성을 추출한다. 그를 바탕으로 잠재성 공간의 형성과 특징을 밝혀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일본 현대건축의 특성으로 세계사적 보편성과 지역적 특성의 조화를 이루었음을 알고, 그것에 나타난 공공시설의 잠재성 공간 구축의 특성을 파악하며 그를 통한 잠재성 공간의 필요성과 표현적 접근방법의 다양성과 새로운 건축 디자인 방법론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디지털 건축 형태생성의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 디지털 물성과 건축 형태생성의 동역학적 기하학을 중심으로
이진석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1
디지털 건축의 패러다임의 전환은 사회적 가치들의 시각적 재현 안에서 건축가의 역할에 대해 새로운 영향력 을 제시하고 있고, 새로운 건축 형식은 생성적 디지털 디자인의 기술을 통해 진보해왔으며, 재현성보다는 오 히려 물질과 공간의 퍼포먼스를 강조하며, 그것을 기반으로 하는 진화의 과정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디지털건축의 형태생성의 탐구 등으로 발현된 동시대의 건축디자인의 움직임들에 대해서 논의해보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디지털 건축의 패러다임이 건축의 물성과 구축성에 어떠한 영향들을 주고 있 는지 분석하고, 디지털 건축의 개념적 가능성들이 나타내는 동역학과 기하학적 개념어휘의 정의를 재해석하 였다. 그 결과, 디지털 건축에서 물성은 가소성 안에서 인지되며, 건축의 진화 과정은 유동적인 생성시스템과 함께 형태생성을 위한 상호작용적 동역학에 기준한 변이적 다양성의 과정이며, 형태 생성적 자기증식의 과정 을 통한 동역학은 탄성적인 기하학 구조상의 유체적인 위상기하학적 연계성을 나타낸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