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기 문제행동과 부모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손석한,노경선,허묘연,정현옥,이소희,김세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4

        연구목적 : 일반 청소년의 문제행동(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을 평가하고, 그들을 정상 집단과 문제행동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간에 부모 각각의 양육행동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서울 소재의 일반 고등학교 학생 792명을 대상으로 부모 양육행동 척도와 K-YSR을 실시하여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평가하였다.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문제행동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이 보고한 각 문제행동을 상/하위 25% tile을 기준으로 정상 집단과 문제행동 집단으로 나누어 부모의 양육행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다음과 같다. 1) 부모의 애정, 합리적 설명, 감독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은 대부분의 청소년 문제행동들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이 부정적인 양육행동은 문제행동들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2)내재화 문제를 보이는 청소년들은 정상 집단에 비해 부모로부터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의 양육행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받았고, 반면에 애정을 유의하게 더 적게 받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외현화문제를 보이는 청소년들은 정상집단의 청소년들에 비해 부모로부터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의 양육행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받았고, 반면에 감독을 유의하게 더 적게 받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3)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모두 보이는 집단이 내재화 문제만 보이는 집단과 외현화 문제만 보이는 집단에 비해서 양쪽 부모로부터 유의하게 더 많은 과잉간섭을 받을 것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내재화-외현화 집단과 내재화 집단은 외현화 집단에 비해서 어머니로부터 유의하게 더 적은 애정과 더 많은 방임을 받고 있고, 아버지로부터 유의하게 더 많은 학대를 받은 것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청소녕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의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모두와 유의한 연관이 있고, 반면에 부모의 애정, 감독, 합리적 설명의 양육행동은 다양한 청소년기 문제행동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and to discriminate between parenting behaviors of problem behavior groups and those of non-problem behavior group.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92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e administered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and Korean version of Youth Self-Report(K-YSR) to the subjects in order to evaluate the parenting behavior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We anal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problem behaviors. We classified the subjects into problem behavior groups(internalizing group, externalizing group,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and a non-problem behavior(normal) group. We studied the differences of parenting behaviors among the groups. Results :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such as affection, reasoning, and monitoring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By contra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such as physical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2)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parental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than those of normal group. Meanwhile, they perceived significantly less affection than normal adolescents. Adolescents of the externalizing group also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parental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than those of normal group. Also, they perceived significantly less monitoring than normal adolescents. 3)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intrusiveness from both parents than those of either the internalizing or the externalizing groups.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less affection and more neglect from their mothers than those of the internalizing of the externalizing groups. In addition, adolescents of the internalizing-externalizing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physical abuse from their fathers than those of the internalizing or the externalizing groups. Conclusion : Parenting behaviors such as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are associated with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contrast, our results suggest that parenting behaviors such as affection, monitoring, and reasoning might decrease the various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 KCI등재

        양육스트레스, 부모자녀상호작용 및 양육분담이 학령전기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

        한지영(Han Jiyoung),이내영(Lee N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취업모 및 전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부모자녀상호작용, 양육분담이 학령전기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관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령전기 아동 1,620명 및 그 어머니의 일반적 특 성, 양육스트레스, 부모자녀상호작용, 양육분담 및 문제행동을 확인하였다. 층화 다단계 표본추출로 표본을 구성한 데이터이므로 복합표본설계 자료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 양육스트레스, 양육분담,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 었다. 취업모 자녀의 문제행동 총점, 내재화 문제행동,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였다. 전업모 자녀의 문제행동 총점, 내재화 문제행동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머니 및 아버지의 양육스트 레스였다. 결론적으로 학령전기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규명되었다. 아동의 문제행동을 줄이기 위해 부모교육 등을 통해 양육스트레스를 줄이는 프로그램이 적극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양육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나 문제행동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측면이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 이에 대한 종합적 접근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PS), parent-child interaction(PCI), and parenting role-sharing(PRS) of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on the problem behaviors(PBs) in preschoolers and identify of them. Data of 1,620 preschooler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PS, PCI, PRS, and PBs. Complex sampl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4.0 because the data was collected with multistage stratified sampling. There were differences in PS, PRS, and PBs according to the mother s employment status. The mother s PS had an effect on the total score of PBs, internalizing PBs, and externalizing PBs. For non-working mothers, PS of mothers and fathers had an effect on the total scores of PBs, internalizing PBs and externalizing PBs. In conclusion, PS had an effect on the PBs of preschoolers. In order to reduce PBs of children, programs to reduce PS through parent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김지혜 ( Ji Hye Kim ),진미경 ( Mi Kyoung Ji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5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에 있어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가 양육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온정·수용행동은 감소하고, 거부·제재행동과 허용·방임행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가 양육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심리적 안녕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 수록 온정·수용행동은 증가하고, 거부·제재행동과 허용·방임행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스트레스와 온정·수용행동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며,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제재행동과 허용·방임행동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으며,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내적인 요인에 대해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 궁극적으로 발달장애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돕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es were 185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who had high levels of parenting stress displayed lower warmth-acceptance parenting behaviors and higher rejection-restriction and permissive-nonintervention parenting behaviors. Second,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mothers who had high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displayed higher levels of warmth-acceptance parenting behaviors and lower rejection-restriction and permissive-nonintervention parenting behaviors. Fourt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warmth -acceptance parenting behaviors were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Moreov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rejectionrestriction and permissive-nonintervention parenting behavior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텔레코칭을 통한 가정기반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공격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선희,백은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me-based positive behavior support through tele-coaching on aggressive behavior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ir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elf-efficacy. Participants were thre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ing aggressive behavior and their mothers who participated as mediators at home.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provided through tele-coaching by the behavior analysis to reduce aggress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using tele-coaching.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aggressive behavior,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elf-efficacy.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tilized to examine the changes in aggressive behavior. Pre and post-test comparison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parenting stress and self-efficacy has been chang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through tele-coaching was effective reducing aggressive behavior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support was maintained, after two weeks later of intervention. The results were generalized to the school classroom. Secondly, while mothers' parenting stress has been reduced, parenting self-efficacy has improved after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through tele-coaching. In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home-based positive behavior support through tele-coaching was effective for aggressive behavior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 has been suggested. 본 연구는 텔레코칭을 통한 가정기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하여 발달장애 청소년의 공격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공격행동을 보이는 발달장애 청소년 3명과, 중재자로 참여한 어머니 3명이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텔레코칭을 통한 배경사건 및 선행사건 전략, 대체행동 교수 전략, 후속결과 전략을 포함하는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며, 종속변인은 공격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이다. 대상자들의 공격행동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참여자 간 중다 기초선 설계(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를 사용하였다.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은 표준화된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긍정적 행동지원에 의한 공격행동 중재 실험은 기초선, 중재, 유지, 일반화의 단계로 실시하였으며, 기초선, 중재와 유지는 대상자의 가정 거실에서 실시되었고 일반화는 중재가 이루어지지 않은 학교의 교실상황에서 간헐적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텔레코칭을 통한 가정기반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공격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중재 종료 후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었으며, 학교 교실환경으로 일반화되었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감소하였고 양육효능감은 향상되었다. 텔레코칭을 통한 가정기반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공격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눙감에 효과적인 전략임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텔레코칭의 효과성 측면에서 논의하고 그 한계와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

        김세연(Se-Y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0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ADHD의 증상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아정신과 3곳에서 ADHD로 진단받은 만 4∼12세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양육행동, ADHD 증상 척도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ADHD 증상은 각각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축약형 검사, 수정한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부모용 한국형 ADHD Rating Scale(K-ARS)를 사용하였다. 총 59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ADHD 증상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다중회귀분석 결과 양육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F=12.88, p<.0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 중 애정적 태도와 부적상관을, 거부적 태도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F=10.23, p<.001). ADHD 증상은 양육행동 중 거부적 태도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F=5.64, p<.01). ADHD 자녀를 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위해서는 아동의 ADHD 증상에 대한 치료적 접근와 함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직접적인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ADHD symptoms, parenting stress and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The data were provided by 59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who is aged between 4 and 12.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were recruited through 3 departments of child psychiatry.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the Korean version of revised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and ADHD Rating Scale(K-ARS) was used to assess parenting stress,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and ADHD symptoms respec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arental distress and warmth, rejection behavior. Parental distress is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DHD symptom and rejection behavior. ADHD symptom is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is related to ADHD symptom, parental distress. Therefore, it is needed for not only treatment related to ADHD symptom but also interventions for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과 양육행동 매개효과

        배성아(SungA Bae),최혜정(HyeJeong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유아 리더십에 영향요인인가를 파악하고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여 그 중요성과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서 4곳의 유아기관으로부터 어머니와 유아를 통하여 2016년 5월 23일부터 6월 10일까지 516부의 자료 연구를 표집하였으며, 회귀분석 및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양육신념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강조는 정서조절에, 지적성취는 행동조절에 유의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환경주의는 행동조절 및 정서조절에 모두 유의미하였다. 둘째, 어머니 양육신념이 유아의 사회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인성강조는 공동체배려에, 지적성취는 타인존중, 환경주의는 타인존중과 공동체 배려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 양육행동이 유아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온정⋅격려는 행동조절에 유의하였다. 과보호⋅허용은 정서조절에, 거부⋅방임은 행동조절, 정서조절에 유의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넷째, 어머니 양육행동이 유아 사회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온정⋅격려는 타인존중에 유의하였다. 과보호⋅허용은 공동체 배려에, 거부⋅방임은 타인존중, 공동체 배려에 유의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섯째, 어머니 양육신념과 유아 자기조절력 및 사회적 리더십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검정결과는 1단계, 2단계, 3단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어머니 양육신념은 유아발달에 영향요인이며, 양육행동은 부분 매개역할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유아 자기조절력이나 사회적 리더십은 유아의 성장과정 뿐만 아니라 성장 후 사회적응 등 삶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양한 모습의 현대사회가 도래하면서 유아교육은 전통적으로 어머니에게만 의존하기보다는 가정의 부모와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과의 적극적인 소통 자세가 필요하며, 이는 유아들을 위한 바람직한 교육환경 조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whether mothers parenting beliefs and parenting behaviors are factors that influence infants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Methods Through mot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4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516 data were sampled from May 23 to June 10, 2016. Results First, it was predicted that both personality emphasis, and intellectual achievement and maturityism/environmentalism were significant in behavioral 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Second, in the influence of mother-rearing beliefs on the social leadership of young children, it was predicted that personality emphasis/intellectual achievement was significant for respecting others and community consideration, and maturity/environmentalism was significant for respecting others and community consideration. Third, in the influence of mother-rearing behavior on infant self-regulation, warmth, encourage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were significant. It was predicted that overprotection and tolerance were significant in emotional regulation, and rejection and neglect were predicted to be significant in behavioral 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Fifth, as a result of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rear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rearing beliefs and infant self-regula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e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improvement of infant self-regulation or social leadership affects not only the infant s growth process, but also the overall life, such as social adaptation after growth. With the advent of various forms of modern society,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not traditionally depend only on mothers, but rather, parents of families an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or children.

      • KCI등재

        어머니의 부모화 및 과보호 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권정숙,조용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9 인지행동치료 Vol.19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모화 경험 및 과보호 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 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인천, 경기에 거주하며 현재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기혼여성 430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경험, 과보호 경험, 비합리적 신념, 양육행동 척도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 경험, 과보호 경험, 비합리적 신념, 양육행동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 간의 경로분석 결과, 어머니의 부모화 경험과 긍정적 양육행동 간의 경로에서 비합리적 신념은 부 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부모화 경험과 부정적 양육행동 간의 경로에서 비합리적 신념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어머니의 부모화 경험은 긍정적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과 비합리적 신념을 통한 간접 적인 영향을 동시에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부정적 양육행동에는 비합리적 신념을 거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과보호 경험과 긍정적 양육행동 간의 경로, 과보호 경험과 부정적 양 육행동 간의 경로에서 비합리적 신념은 모두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어머니의 과보호 경험은 긍정 적 양육행동과 부정적 양육행동 모두에 비합리적 신념을 거쳐 간접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beliefs on mother's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overprotective experience on paren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430 mothers who live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who are raising their childre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ification experience, overprotective experience, irrational beliefs and parenting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ification experience, overprotective experience, irrational belief, and parenting behavior. Second, in the path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irrational beliefs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path between mother's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irrational beliefs showed complete mediation effect in the path between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mother's parentification experience has a direct influence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an indirect influence through irrational beliefs,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indirectly through irrational beliefs. The pathway between mothers' overprotective experienc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rrational beliefs in path between overprotective experienc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mother's overprotective experience indirectly influenc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rough irrational belief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문화에 따른 양육방식: 한국 어머니와 영아 간의 상호작용에서 주로 나타난 원격 양육행동 패턴

        윤혜령,최영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6 No.4

        부모와 영아 간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양육행동은 영아의 사회화 과정과 자기인식 능력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신체적 거리에 따른 부모의 양육행동은 문화적 가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집단주의 문화권의 경우 근접 양육행동 패턴이 주를 이루고 개인주의 문화권에서는 상대적으로 원격 양육행동 패턴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신체적 거리에 따른 양육행동 패턴을 살펴본 연구가 아직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인주의적 가치관으로 전환되고 있는 한국 문화적 맥락에서 원격과 근접 양육행동 중 어떤 패턴이 주로 나타나는지 검토하고 양육행동과 문화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탐색해보았다. 추가로, 한국 어머니들의 양육행동 패턴과 영아 및 어머니 요인과의 관계성도 살펴보았다. 54명의 어머니-자녀의 자유놀이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어머니들은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주로 관찰된 근접 양육행동보다는 스코틀랜드와 같은 개인주의 문화권에서 나타난 원격 양육행동을 주로 보였다. 또한, 영아의 성별, 연령 및 가구의 연간 소득이 근접 및 원격 양육행동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비록 양육방식의 제한적인 한 측면에서의 관찰이지만, 이러한 결과는 한국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영아의 초기 자기인식 발달뿐만 아니라 다양한 발달영역에도 변화를 유도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Parenting behavior that reflects cultural valu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nfants’ socialization and development of self-recognition. While proximal parenting strategies are used more frequently by caregivers who value social relations, distal parenting strategies are preferred more by caregivers who value individualism. No studies have examined predominant parenting strategies used by Korean caregivers in this respect. The present study employed a time-sampling method to analyze 54 Korean mothers’ parenting strategies during play interactions with their 14 to 20-month-olds. Additionally, our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mothers’ parenting strategies and factors related to infants and mothers.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mothers heavily relied on distal parenting strategies, using mutual eye gaze and verbal contact more frequently than proximal strategies such as body contact or directive 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rrent generations of Korean mothers may value independence and autonomy more than social relations and harmony. Moreover,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mothers’ parenting strategies and infants’ gender, age, and annual parental inco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arenting strategies of Korean mothers may induce various changes in their infants’ development.

      • KCI등재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 구조모형

        윤지원,조헌하 한국아동간호학회 2011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7 No.2

        본 연구는 미취학 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직 · 간접적 관계와 영향력을 검정함으로써 부정적 양육행동을 예방하고 바람직한 양육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간호중재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양육스트레스, 부모역할만족도,양육효능감, 양육행동 4개의 변수를 주요개념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요인으로 아동 관련변인(성별, 연령), 모성 관련변인(연령, 교육수준, 취업여부, 완벽주의), 가정 관련변인(가족월수입)을 포함하여 이러한 개념들과 4개의 주요개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양육행동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미취학 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을 12.5% 설명하였고 그 중 양육효능감의 영향력이 가장 컸고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양육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양육행동 관련 변수들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모성 관련변인 중 자기 지향적 완벽성과 가정 관련변인 중 가족월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미취학 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하는 주요 변인은 양육효눙감임이 확인되었고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자기 지향적 완벽성, 가족월수입도 고려해야 할 영향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육효능감 증진과 양육스트레스 감소 뿐 아니라 어머니의 성격적 특성과 현실적인 보육료 부담을 고려한 양육프로그램이 미취학 아동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양육행동의 병렬다중매개효과

        박정미,홍석영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3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2013년)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만 5세 1,587명 유아의 어머니의 응답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6.0과 ROCESSmacro 4.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변인 간 관계는, 온정적 양육 행동은 양육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부적 상관을 보였고, 문제행동과 양육 스트레스 그리고 온정적 양육 행동과 통제적 양육 행동은 부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연구모형의 직접효과에서는, 양육 스트레스는 온정적 양육 행동에 부적 영향, 문제행동에 정적 영향을 보였다. 온정적 양육 행동은 문제행동에 부적 영향, 통제적 양육 행동은 문제행동에 정적 영향을 보였다. 또한, 연구모형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양육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양육 행동은 정적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온정적 양육 행동이 정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