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비스러닝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K대학교 서비스러닝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윤혜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cases of operating service learning at K University and suggest ways to vitalize service learning based on the cases of its operation in order to realize qualitative improvement in the future operation of service learning-related courses. Methods To address the goal,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service learning operated by K University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for case study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assessment on satisfaction and operation perform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1. To solve operational problems found in the operation of service learning, this author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sought ways to solve the problems and vitalize it. Results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cases of operating the courses of service learning at K University, four limitations were discovered. Based on that, this researcher suggests four ways to vitalize service learning. First, it is needed to establish community infrastructure. Second, instructors for service learning should be trained. Third, it is necessary to train students taking the courses of service learning. Fourth, universities should get support to extend the operation of service learning. Conclusion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limitations of service learning with the cases at K University and sought various ways to extend and vitalize the operation of service learning afterwards based on the ways of its vitalization. This study seems to be significant because grounded on that, it provides foundational material for follow-up research to be done multilaterally regarding effectiveness in the actual operation of service learning, results of learning, and the operation of service learning, too. 목적 본 연구에서는 K대학교의 서비스러닝 운영 사례를 살펴보고, 운영 사례 기반으로 서비스러닝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서비스러닝 교과목 운영을 위한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례조사를 위해 B광역시에 위치한 K대학교가 운영한 서비스러닝 현황과 2021학년도 2학기에실시한 만족도, 운영 평가 내용들을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서비스러닝 운영 중 발견된 운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해결하고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결과 K대학교의 서비스러닝 교과목 운영 사례를 통하여 4가지의 한계점을 발견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4가지의 서비스러닝 활성화방안으로 첫째, 지역사회 인프라 구축, 둘째, 서비스러닝 담당 교수자 교육, 셋째, 서비스러닝 수강 학생 교육, 넷째, 서비스러닝 운영확대를 위한 대학의 지원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K대학교의 사례를 통해 서비스러닝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활성화 방안을 통하여 향후 서비스러닝 확대 운영과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향후 서비스러닝의 실제 운영을 통한 효과성과 학습 성과와 서비스러닝 운영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음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서비스경제 시대의 서비스학습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러닝 활동의 서비스학습경험 연구

        이혜진,정기오 한국상업교육학회 2015 상업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서비스-러닝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서비스학습경험을 밝히고 이와 관련된 서비스대상(고객) 대면방법 특성을 분석하여 서비스-러닝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서비스경제에 부합되는 서비스 학습방법으로서의 서비스-러닝 연구에 기여하는 것이다. 연구는 서비스와 서비스-러닝, 분석틀인 활동이론에 대한 문헌 연구, Q 방법론을 활용한 서비스-러닝 학습경험의 발견, 서베이를 통한 학습경험 유형의 대표본 분포와 고객대면 특성 확인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서비스 활동 전반의 학습을 통해 자신과 고객에 대해 학습할 수 있었던 ‘서비스활동 학습’, 서비스제공자로서 기술적 요소만을 학습하였던 ‘서비스기술 학습’, 서비스제공과 관련된 학습이 아닌 예비사회경험을 학습한 ‘사회경험 학습’의 세 가지 서비스학습경험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들 간에는 서비스의 핵심인 ‘고객’ 학습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그러한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객과의 안정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대면 방식과 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서비스-러닝 설계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과 서비스경제시대에 부합하는 서비스-러닝의 직업교육적 측면, 특히 상업교육에서의 직업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Service-Learning which is a service learning method in accord with service economy by determining the service learning experience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Service-Learning, and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based on the method of dealing with service objects(customer). The Study began with literature reviews on the service, Service-Learning and activity theory as an analytical framework and followed by discovering Service-Learning experience through Q methodology and identifying distribution of representative sample and characteristics of customer meeting through survey. The three learning experience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learning of service activity’ in which learners study about themselves and customer by learning overall service activity; ‘learning of service skill’ in which the only technical elements related service provider is studied and ‘learning of social experience’ in which preliminary social experiences but not service learning experiences are studie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ose experiences in learning ‘customer’, a key of service. It was shown that the factors making those differences were whether the type of and the amount of time of customer meeting allowed stable interaction between learner and customers. In conclusion, the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Service-Learning and the vocational educational aspect of Service-Learning, especially of business education, that suitable for service economy era, based on those results, were presented.

      • 방송대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콘텐츠 서비스 중장기 전략 개발

        김보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정책과제 Vol.14 No.-

        본 연구는 방송대에 적합한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규명된 성인학습자를 위한 스마트러닝의 가치와 특성이 어떻게 콘텐츠에 반영되어야 하는 지, 즉 스마트러닝 콘텐츠가 어떻게 설계, 개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되는 1)스마트러닝 콘텐츠 설계모델을 개발하고, DMC와 전산원이 이를 효과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하여 필요한 2)스마트러닝 콘텐츠 서비스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분석,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콘텐츠 모델 개발, 모델에 따른 교과목 적용 시나리오 개발, 그리고 시나리오 구현을 위한 개발/서비스 전략 도출의 네 가지 주요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위해 선행연구분석, 사례연구, 현황분석, 전문가 자문, 교수 간담회, 학생설문, 개발자 간담회, 그리고 연구진 논의 등의 방법이 활용되었다. 각각의 방법들은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진행되었으며 매 단계에 관련 분야의 전문가 및 담당자들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첫 번째,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분석 단계에서는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실시하여 지금까지의 이러닝 콘텐츠의 유형과 콘텐츠 관련 모델이 어떤 것이 있었는지, 그리고 이러한 모델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확인하여 본 연구의 모델개발을 위한 이해를 도왔으며, 담당자 인터뷰 및 자료리뷰를 통한 현황분석을 통해 우리대학의 콘텐츠 활용 현황 및 모바일러닝 서비스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4개의 사이버대학 사례분석을 통해 각 대학의 스마트러닝 추진현황, 모바일 러닝 서비스 현황, 그리고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같은 스마트테크놀로지 활용현황 등이 분석되었다. 이처럼 기초분석 단계에서는 스마트 콘텐츠 관련 문헌과, 우리대학 현황, 타 대학 사례를 통해 우리대학 스마트 콘텐츠 모델의 방향에 대한 기초 논의가 이루어졌다. 두 번째,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콘텐츠 모델 개발단계에서는 앞서 진행된 기초분석 단계의 결과를 기반으로 대규모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방송대 특성을 고려하여 단계적 접근을 취하고 교수자가 쉽게 다양한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유형을 중심으로 하는 모델 개발 구성(안)이 도출되고 이를 기반으로 3단계를 거쳐 점진적으로 스마트러닝을 추진하는 모델 초안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초안은 교수간담회, 학생설문, 그리고 전문가 자문 질문지와 인터뷰를 통한 검증 및 보완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1단계는 학습자들의 접근 용이성에, 2단계는 인간적 소통 및 학습네트워크 형성에, 마지막으로 3단계는 맞춤형 및 지식의 실제화 추구에 중점을 두고 점진적으로 진화 발전하는 스마트 콘텐츠 최종모델이 개발되었다. 세 번째, 모델에 따른 교과목 적용 시나리오 개발단계에서는 실제 콘텐츠가 어떤 모습으로 단계별로 개발, 서비스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를 제공하고, 중장기 서비스 전략 개발의 기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제 2015년 개발을 앞둔 교과목을 대상으로 단계별 모델의 내용이 반영된 강의계획서 및 구체적인 학습활동에 대한 시나리오를 교과목 담당 교수와 함께 개발하였다. 네 번째, 시나리오 구현을 위한 개발/서비스 전략 도출의 단계에서는 개발된 교과목 시나리오에 따라 콘텐츠를 개발,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한 개발전략 및 서비스 전략이 연구진, DMC 담당팀, 전산원 담당자와 함께 하는 10여 차례의 논의와 부서별 간담회를 통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친 연구결과 2015년 반응형 웹을 적용한 모바일 콘텐츠 시범 개발, 2016년 전 교과에 확대 적용(2016년 2학기부터는 PC에서 제공하는 동일한 콘텐츠-연습문제, 웹페이지 등 포함-를 모바일을 통해서도 학습할 수 있음), 2017년 모바일 LMS 개발/활용, 2018년 이후 학사시스템 연계, 학습자 프로파일 데이터 활용 등을 통한 맞춤형 학습 제공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방송대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콘텐츠 모델의 각 단계별 구체적 개발, 서비스 전략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스마트 콘텐츠 모델을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 정책적으로 고려해 보아야 할 사항들이 1) 모델 적용 및 확장을 위한 시범연구 실시, 2) DMC 콘텐츠 모델의 변화, 3) 평가제도와 정책의 변화를 포함한 총체적 접근, 4) 선택적 적용, 그리고 5)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대한 상시적 연구 및 활용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 KCI등재

        대학에서의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조용개,김혜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xtended integrated service-learning operating model based on service-learning operation that links the course and the community centered on the case of service-learning activity conducted for 3 years in S university. We suggested plans to revitalize service-learning in university. Types are service-learning was operated in the form of credit-linked type and service time-linked type, and these activities and operation process was presented. The model of service-learning operation was presented by preparatory and planning stage, execution and management stage, evaluation and improvement stage. And this is an extended service-learning operating model that can be integrated and applied when developing and operating service-learning as a regular course or a program. Therefore, it can be applied and used stages when it wants to operate service-learning according to education goal of un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 and course. In addition, plans to revitalize service-learning were proposed centered on practical problems. 본 연구는 S대학교에서 3년간 실시한 서비스러닝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교과목과 지역사회를 연계한 서비스러닝 운영을 기반으로 확장된 통합형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대학에서의 서비스러닝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비스러닝의 유형은 학점연계형과 봉사시수연계형으로 운영되며, 이에 따른 활동 및 운영 과정을 제시하였다. 서비스러닝 운영의 모델은 준비 및 계획 단계, 실행 및 관리 단계, 평가 및 개선 단계별로 제시되었으며, 본 단계별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은 서비스러닝을 정규교과목으로 개발, 운영하거나 주관 부서에서 프로그램으로 개발, 운영하고자 할 때 통합, 적용할 수 있는 확장형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의 교육목표, 학과 및 교과목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러닝을 운영하고자 할 때 단계별로 적용, 활용 가능하다. 이와 함께 서비스러닝 운영을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실질적인 문제점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서비스 러닝: 환경문제를 다루기 위한 과학교육의 새로운 접근

        박병열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2 科學敎育硏究誌 Vol.46 No.3

        Researchers in science education have recently focused on service learning as an important educational approach to address environmental challenges including climate change. However, there are a limited number of studies focused on service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in Korea. In this study, based on existing related literatur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ervice learning is introduced and a conceptual framework that can be applied in the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in Korea as a new approach to address environmental challenges is proposed. Given this, 112 relevant academic documents collected by searching a global database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ervice learning rooted in Dewey's experiential learning is introduced. Specifically, service learning is defined as a form of experiential learning that supports students in helping communities with structured services related to learning content, while at the same time fostering their in-depth understanding of content and engaging in civic and social responsibility as members of their community. In additi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service learning to address environmental challeng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in Korea is proposed. The proposed framework classifies the members of service learning into schools, students, and communities, and presents knowledge, experience, and learning through critical reflection as its core elements. It is important to actively implement service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to address various environmental challenges including climate change, biodiversity loss, air pollution, and deforestation, as just a few pressing challenges. Therefore, based on the proposed conceptual framework for service learning, studies that apply and verify diverse forms of educational approaches to addressing environmental challenges in local communities at school sites are needed. 서비스 러닝(service learning)은 최근 환경문제를 동반한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교육적 접근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 과학교육에서는 서비스 러닝에 대한 연구들이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관련 문헌들을 바탕으로 서비스 러닝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고, 환경문제에 대한 과학교육의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서 국내 과학교육 환경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비스 러닝과 관련하여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수집된 112편의 문헌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Dewey의 경험학습에 뿌리를 둔 서비스 러닝의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고, 서비스 러닝을 학생들이 학습 내용과 관련된 구조화된 서비스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도움을 제공하고, 그와 동시에 학문적 이해의 깊이를 더하며, 나아가 사회 구성원으로서 공동체 의식과 책임감을 함양하는 형태의 경험학습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과학교육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서비스 러닝의 개념적 틀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틀은 서비스 러닝의 구성원을 학교, 학생, 지역사회로 구분하고, 지식, 경험, 그리고 비판적 성찰(critical reflection)을 통한 학습을 그 핵심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기후변화, 생물 다양성, 대기오염, 산림황폐화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문제를 다루기 위한 방안으로 우리나라 과학교육에서도 서비스 러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안된 서비스 러닝의 개념적 틀을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지역사회 환경문제를 다루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적용하고 검증하는 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이 의대생의 세계시민의식과 지속가능발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윤소정(Yune So-Jung),박귀화(Park Kwi-Hwa)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1

        연구목적: 최근 의과대학에 맞는 봉사 학습의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인 ‘서비스러닝(service learning)’의 개념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의과대학 서비스러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탐색해 보고자 하는 목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러닝 교육에 대한 의과대학생들의 요구는 어떠한가? 둘째, 의과대학 서비스 러닝 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개발될 수 있는가? 셋째, 서비스 러닝 교육 프로그램은 의과대학 학생의 세계시민의식과 지속가능발전 인식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방법: 의과대학 학생의 서비스 러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의학과 3학년 학생 9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의과대학생의 인식조사 결과와 문헌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의과대학에 맞는 서비스러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전문가의 타당성 검증을 받은 후, 2017년 일개 의과대학의 의예과 2학년 88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에 걸쳐 시행되었다. 학생들이 직접 주제를 선정하고 탐구한 후 6주간의 프로젝트식 봉사활동을 진행 하도록 하였다. 연구에 동의한 최종 78명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조사연구 결과와 서비스러닝 교육 사전 사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실시된 세계시민의식, 지속가능발전 인식 검사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서비스러닝 사전 검사 점수보다 사후 검사 점수가 높았다. 논의 및 결론: 의과대학생의 전문직업성 증진을 위해서는 반드시 사회적 기여와 봉사의식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서비스러닝 교육을 통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Purpose: Recently, the concept of service learning , which is a curriculum and a program of service learning suitable for medical college, has begun to be introdu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service learning program for medical school and to explore its effects. The research problem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emand of medical students for service learning education? Second, how does the service learning education program affect students perception of global citizenship and awareness of sustainable development? Metho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mand for service training of medical students, 99 students in a third grade department of medicine were survey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and literature review, we developed a service learning program suitable for medical schools. The developed program was validated by a specialist and then conducted in 2017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a medical school and 88 second grade students at a medical school. The final 78 post - test resul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The service learning education in this study was developed and operated as a course of 1 credit for the major in the second grade. After selecting and exploring the topics, they were asked to perform 6-week project-based volunteer activities. As a result, the service learn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medical students perception of global citizenship,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medica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educate social contribution and service consciousness, which is expected to be possible through service learning education.

      • 프랑스어 전공 교육과 서비스-러닝

        서정연(Jungyeon Suh)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논총 Vol.32 No.-

        본 연구는 대학의 외국어 전공 교육에서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동기를 유발하며, 미래지식사회에서 전공 지식을 내재화하고 필요한 시민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으로 서비스-러닝 활용을 제안하였다. ‘서비스-러닝’은 기존의 ‘이론-현장실습 연계’ 방식의 수업과 ‘지역 사회로의 전공 지식 나눔’의 사회봉사 프로그램의 성격을 더불어 갖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지역 및 공동체 사회의 필요 성에 대한 인식, 사회의 시민으로서의 의무, 유연성 있는 의사소통 기술 습득, 성찰 학습 등등의 사회학적 교육효과를 전공교육과 함께 기대해 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러닝 교육방법론에 대해 소개하고, 이 방법론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고등교육의 틀 안에서 기존의 현장실습 프로그램과 다른 이 프로그램의 차별화된 위상을 다시 재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4년간 진행된 대학 전공 프랑스어 수업의 서비스-러닝 적용의 타당성을 논하고 그 개선 안을 제안하였다. We propose the pedagogical methode of service-learning as an alternative one which permits students to developing their motivation for studying and also their competences and skills suited for the future society as competitive citizens. Our education should enable students to be eligible to live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se competences and skills should be practiced in the field rather than being taught in class. And these real experiences must be connected to schooling along with the renovation of curriculum. For this reason, we introduce service- learning program as the best way to foster students’ abilities because this program invites students to participate in community at first hand with their knowledge learned in the class. This study provides the example of how to apply service-learning to French language classes showing their gains and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4 years practices.

      • KCI등재

        서비스-러닝과 장소 기반 지역 협력을 통한 대학교육의 변화 지향

        권상철(Kwon, Sangcheol),오정훈(Oh, Johnny)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23 No.4

        대학은 교육과 연구 그리고 비교적 늦게 미국 주립대학의 공공서비스 전통에서 시작한 봉사를 핵심 이념으로 하고 있다. 세계화와 더불어 경쟁 심화와 경제 변화 상황에서 대학은 순위와 취업 경쟁에 치중하며 본연의 역할과 거리를 두었다. 그러나 대학은 최근 교육의 내실을 기하며 사회 공헌도 확대하는 서비스-러닝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서비스-러닝은 1990년대 미국에서 대학교육이 사회 문제에는 무관심한 체 학생들의 개인 역량에만 주력하는 상황에서 대학의 자성적 노력과 정부, 사회기관의 지원으로 확대 되었다. 대학의 사회적 책무와 관련하여 서비스-러닝은 사회문제에 대해 비판적 안목으로 지역사회와의 호혜적 관계를 강조하고, 한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대학과 지역사회가 종합적인 협업을 강조하는 장소 기반의 지역 협력으로 발전하고 있다. 한국도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봉사활동을 강조하며 최근 일부 대학에서 서비스-러닝을 현장과 연계한 지역기반학습으로 진행하는데 아직 특정 지역, 학과에 한정되어 있다. 대학은 보편적으로 지역사회와 특정 문제를 중심으로 협력하는데, 지역사회의 협회, 기관, 기반시설 등 자산에서 잠재력을 찾는 새로운 안목과 시도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대학의 서비스-러닝과 연계한 지역의 수요와 자산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학습 효과를 높이고 지역 변화를 이끌어 내는 또 다른 방법이 될 수 있다. 서비스-러닝과 대학-지역 협력은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한 대학의 변화 노력이다. Universities pursue teaching, research and service as central roles in which the service was added lately from the public service tradition in US state university. As university education became popular, students devoted their time to individual capacity building, and increased competition with globalization put universities into ranking and employment pressure. In the 1990s, universities distanced from social issues began service-learning and community engagement to emphasize practical experience and service to communities. Governments and social organizations supported such change to take place in numerous universities. With regard to the university social responsibility, service-learning emphasizes critical approach to social issues and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community. Place-based community engagement is another approach university cooperates with specified place diverse activities with long-term commitment. Korea has emphasized volunteering activities for education, but service-learning has been adopted by only a few universities and majors. Community engagement often has taken problem-focused approach. New perspectives and efforts are needed to find the potential in the assets of the community such as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A research activity of local assets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the service-learning would increase the effects of learning and regional change. Service-learning with university-community collaboration is a transformational efforts at universities for a better world.

      • KCI등재

        대학생의 비대면 서비스-러닝에서 학습 경험과 성장의 탐색

        유숙영,김선경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f non-face-to-face Service-Learning (S-L) environment can effectively provide the learning experience needed to advance the participating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ting students will apply their learned knowledge of serving the community not just within campus grounds but also outside in the real live environment.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se students were able to apply their learned knowledge in this COVID-19 pandemic situation where face-to-face community services are limited, and what kind of growth and experience they were able to gain from that environment. First, what kind of learning experiences did the students have from the non-face-to-face S-L? Second, what kind of advancement were the students able to make in the non-face-to-face S-L?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articipating students were very satisfied in their learning experiences and felt that the process of thinking outside the box to meet the needs of non-face-to-face community and applying these ideas gave them a better experience and achievement feeling.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unlimited applications that can be made with non-face-to-face S-L, and that unexpected better results may be received by further challenging the students when they are put in a difficult situation. This study shows that non-face-to-face learning can be just as effective as face-to-face learning in the S-L field, and most important we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VID-19’s pandemic sense of disconnection and alienation felt by the community. In addition, through the service-learning, students had advanced to the point of show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life, improvement of learning motivation and self- confidence, independent thoughts and wills in career setting. This study will be the base for drawing mor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non-face-to-face S-L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비대면 서비스-러닝에서 가지는 학습 경험과 성장을 탐색하는 것이다. 서비스-러닝에서 학생들은 대학 울타리를 벗어난 실제 현장에서 봉사하면서 수업에서 배운 지식을 적용하고 성찰하며 의미 있는 지식을 구성한다. 코로나19로 실제 현장에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에 대응하여 비대면 서비스-러닝에 참여할 때 대학생들은 어떤 학습 경험과 성장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첫째, 비대면 서비스-러닝에서 학생들은 어떤 학습 경험을 하였는가? 둘째, 비대면 서비스-러닝에서 학생들은 어떤 성장을 하였는가? 연구결과, 대학생들은 비대면 서비스-러닝을 통해서 자신의 성장과 변화, 봉사의 보람, 봉사대상자의 눈높이에 맞춘 준비와 노력, 환경의 제약에서 벗어난 관계 맺음의 즐거움을 경험하며 코로나19로 겪고 있는 소외와 단절감을 극복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서비스-러닝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삶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학습동기와 자신감의 향상, 진로 설정에 있어서 주체적인 생각과 의지를 보여줄 정도로 성장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면 서비스-러닝에서의 학습 경험을 탐색하며 교육적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향후 비대면 서비스-러닝에 보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서비스-러닝의 의미와 유아교사 교육자에게 주는 시사점

        한선아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Service-learning is a method of teaching based on the philosophy of experience learning to learn through service. In this stud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learners in the cours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applying service-learning, presented what the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 suggest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or. To this end, the service-learning was applied to the children's literature clas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nalyzed the meaning of service-learning they experienced through reflection journals and activity evaluations, and the implications given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o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positive effects such as knowledge of major, practical application ability, improved self-esteem and contribution through service-learning. Based on this, it is proposed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service-learning curriculums, ranging from subjects of major to courses of liberal arts and comparative and educational courses,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서비스-러닝은 봉사를 통해 학습한다는 경험학습 철학에 근거한 교수학습방법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러닝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에서 학습자인 예비유아교사가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가 유아교사 교육자에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아동문학 수업에 서비스-러닝을 적용하고, 성찰일지 및 활동평가지 등을 통해 이들이 경험한 서비스-러닝의 의미와 유아교사 교육자에게 주는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서비스-러닝을 통해 전공 지식과 실천적 적용 능력, 자존감 및 기여감 향상 등의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근거로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에 전공 교과목은 물론, 교양 교과목 및 비교과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비스-러닝 교육과정을 개발・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