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Ⅳ

        양계민,윤민종,신현옥,최홍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발달과정을 종단적으로 추적하고 그들의 발달변화 양상을 구분하여 각 발달유형의 특성과 그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다문화청소년들 의 역량을 강화하며, 이로써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정책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중 2016년도의 연구 목적은 세 가지이다. 첫째, 다문화청소년 상 6년차 종단패널자료를 구축하고,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관련 의식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의식제고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다문화청소년 상 진로지원정책을 도출함으로써 다문화청소년과 비(非)다문화청소년간의 진로발달격차를 감소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첫째, 다문화청소년과 어머니를 포함한 1,332가구 및 교사 300여명을 상으로 패널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둘째, 설문에 참여한 가구 중 일부를 지역별로 선정하여 심층면 접을 실시하였으며, 학교교사 및 현장전문가 상 심층면접도 실시하였다. 셋째, 교육부, 여성가족부 및 노동부의 다문화청소년 진로지원정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과 학부모 모두 학습지원과 진로지 원에 한 요구가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적에 한 만족도는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학업포부수준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 다문화청 소년들이 진로와 관련하여 현실적 어려움을 점점 더 느끼게 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의식은 비(非)다문화청소년에 비해 낮고 진로장벽인식의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장벽인식 중 정보부족 및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장벽인식 의 수준이 비(非)다문화청소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청소년들은 진로지 원과 관련하여 학업지원, 직업체험기회 확, 진로상담기회 제공 등을 원하고 있었고, 특히 진로와 관련하여 상담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넷째, 다문화청소년의 학부모들이 진로관련 정보에 한 요구도가 높고, 한국의 교육시스템에 한 정보부족과 언어부족 등으로 자녀지도에 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나 기존의 학교에서 실시하는 학부모교육에 해서는 신뢰도가 낮아서 참여의지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다문화청소년들의 진로지원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and prepare alternative policy, by longitudinally trac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classifying their developmental change patterns and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development. Amongst, there are three research objectives for the year 2016. First objective is to establish the 6thyear of longitudinal panel data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Second objective is to provide the foundation of career awareness improving plan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career-related awaren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Last one is to contribute to reduce the gap of career development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by deriving career support policie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itially conducted a panel survey on 1,332 households including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and over 300 teachers. Second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the 23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school teachers and the field experts. Thirdly, the policies of career support for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Ministry of Labor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both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parents have shown increasing demand for learning support and career education support. By comparison, as the students’ grade goes up, the satisfaction level for the grades significantly decreases while the level of academic aspirations gradually declines. Hence, it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multicultural adolescents may sense more realistic difficulties related to their careers. Secondly, the career consciousn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s lower than that of non - multicultural adolescents, while the level of career barrier awareness is higher. In particular, the research identified that the level of career barrier awareness due to lack of information and economic difficulty is higher than the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Thirdly, multicultural adolescents want to have provision of academic supports, enhancement of career experience opportunities, career-counseling opportunities, and particularly, they need experts who can offer career-path related counseling. Fourthly, paren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elt a high need for career-related information, as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to guide their children due to lack of information and language on Korean education system. Nonetheless, as the reliability of parent education offered by existing schools was low,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was accordingly low. Based on these results, three policy strategies and nine policy agendas are derived and suggested to career suppor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승현,조성희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2 다문화와 평화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career attitud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from a family system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data from 1,017 multicultural adolescents of the 8th wav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arenting attitude of multicultural family parents affects the career attitud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econd, parenting attitudes of multicultural family parents were found to affect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s of multicultural parents and the career attitud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improve th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a way to increase the career attitud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promote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이중문화수용태도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시점에 가족 체계의 관점에서 다문화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청소년패널 8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청소년 1,01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확인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 부모의 양육태도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 부모의 양육태도는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부모의 양육태도와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의 관계에서 이중문화수용태도는 부분매개효과가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를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문화가족 부모의 양육태도를 향상시키고,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대응분석을 통한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문제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김소라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erceptions toward multicultural adolescents' career problems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par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youth and parents in non-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discuss their differences. For this purpose, the data from 825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correspondent analysis. The results follow as: first, multicultural adolescents tended to agree very much with the difficulties of interpersonal relations, distance from appearance, and economic difficulties while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tended to disagree with. Second, both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disagreed with the confusion about identity as Koreans, but parents of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showed a negative perception. Third, in terms of education and institutions, multicultural adolescents recognized the strong need for expanding career education opportunit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supporting employment, strengthening access to career information, and professional help for careers compared to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청소년들의 진로 관련 문제에 관해 다문화 청소년 및 학부모들과 비다문화 가정의 청소년 및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진로문제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차이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응일치분석을 사용하여 총 825명의 응답자들을 네 개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인관계의 어려움과 외모에서의 거리감, 경제적인 어려움에 대한 진술들에 대해 다문화 청소년은 매우 동의하는 편, 비다문화 청소년은 전혀 동의하지 않는 편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들이 가지는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혼란에 대해서는 다문화 청소년과 비다문화 청소년 모두 동의하지 않는 편이었으나, 비다문화 청소년의 학부모들이 매우 부정적인 인식을 보여주었다. 셋째, 다문화 청소년들은 자신의 장단점을 파악할 기회가 드물고, 진로활동 참여에 소극적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비다문화 청소년들은 동의하지 않는 편에 가까웠다. 넷째, 교육 및 제도 측면에서 비다문화 청소년은 상대적으로 다문화 학생 진로를 위한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청소년 뿐 아니라, 비다문화 가정 학부모들이 가지는 부정적인 인식에 대해서 사회통합적 차원에서 인식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중요하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 청소년 지원정책 참여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조승연(Seungyeon Ch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36

        본 연구는 2012~2016년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자료와 코퓰라 함수를 적용한 내생적 회귀전환모형을 이용하여 다문화가족 청소년 지원정책 참여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응도 제고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특히,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거주지역 규모를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농어촌)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가족 청소년 지원정책 참여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응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에서 중소도시, 중소도시에서 읍면(농어촌)지역으로 갈수록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지원정책 참여 확률이 감소하였으나, 지원정책 참여가 사회적응도 제고에 미치는 효과는 더욱 크게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다문화가족 청소년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응도 향상 극대화를 목적으로 정책 프로그램의 전달체계 및 접근성 개선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다문화가족 청소년과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 향상 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I examined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assistance programs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social adaptation by analyzing pooled data drawn from the 2012~2016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using the copula-based endogenous switching regression models. The results suggest that participation in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assistance programs enhances multicultural adolescents’ social adaptation. In particular, as the regional scale in which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located becomes smaller, the program effects markedly increased, while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smaller region a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than those in larger cities. Additionally, I found that social adaptation is associated with Korean proficiency of not only multicultural adolescents’ but also their mothers’.

      • KCI등재

        청소년의 인종간 우정에 미치는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의 효과: 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성결,김현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4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1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their interracial friendship and to find out if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etween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5th and 6th graders in 14 classes in which were spreaded in 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348 students and teachers were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order of the average came diversity the first followed by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the las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average of the sub-factors of the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the highest in diversity followed by universality, and relationships the last. Second,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f the adolescent’s and teacher’s diversity and a negative effect of the teacher’s universality on the interracial friendship.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s muticultural acceptability was analyzed.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and the diversity among sub-factors of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particular, even if the adolescent's diversity was high, interracial friendship was low when teacher’s diversity was low. And even if the adolescent's relationship factor was low, interracial friendship was high when teacher’s relationship is high. These results implies that teacher’s factors are important in the interracial friendship. When we are considering the low effect of the present Korean multicultural policies which provided separately for the group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within the integrated classes should recognize sensitively the problems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also provide the policies that could raise the teachers’diversity and relationship in the sub-factors of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다문화수용성이 인종간 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소재 초등학교 3개교의 5학년과 6학년 14개 반을 대상으로, 교사와 다문화 청소년, 일반 청소년 348명의 응답을 분석했다. 우선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의 하위요인들의 평균은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의 평균은 다양성, 보편성, 관계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종간 우정에 교사와 청소년의 다양성은 정적영향, 교사의 보편성은 부적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다문화수용성의 하위요인 중 다양성과 관계성의 순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조절효과의 방향성 검증에서 청소년의 다양성이 높아도 교사의 다양성이 낮으면 청소년의 인종간 우정의 수준이 낮아짐을 발견했다. 또한 청소년의 관계성 수준이 낮아도 교사의 관계성이 높으면 인종간 우정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문화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우정관계에서 교사요인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는 다문화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들의 인종간 우정에 다문화적 태도가 영향을 미치며,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도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현재 한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문화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이 크게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다문화 청소년을 일반 청소년과 분리하지 않은 통합교실 내에서 교사가 다문화 청소년의 문제를 민감하게 인지하고 다양성과 관계성의 다문화적 역량을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이중언어적응, 사회정체성과 우울

        송영호,최영미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ilingual adaptation and social identi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middle entry status. To do this, we used data from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released in 2015,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Tobit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data from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level of depression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16.8% for general multicultural youths and 22.1% for middle-entry adolescents. In bilingual adaptation, both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middle immigrant adolescents take the largest share of Korean language (76.2% of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46.9% of middle adolescent adolescents) who are better than parents of migrant backgrounds. The level of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was 10% higher than that of middle - aged adolescents in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 number of admitted middle - aged adolescents (18%) was slightly higher than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12%). The effect of social identity was positive in both general self - esteem and self - este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other words, due to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migratory background,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middle adolescent adolescents differed. Based on this, I suggested policy practical implications.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이중언어적응 및 사회정체성과 우울 간의 인과적 관계를 분석하고, 중도입국 여부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부에서 2015년 발표한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자료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우울 수준은 지난 1년 동안 우울을 지속적으로 2주 이상 경험한 비율은 국내출생 다문화청소년이 16.8%, 중도입국청소년 22.1%로 중도입국 청소년이 더욱 열악하다. 이중언어적응은 국내출생 다문화청소년과 중도입국청소년 모두 한국어를 이주배경 부모의 언어보다 잘하는 유형(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 76.2%, 중도입국청소년46.9%)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리고 사회문화적응 수준은 통합형 유형이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이 중도입국 청소년보다 10% 가량 많았고, 주변화는 중도입국청소년(18.%)이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12%)보다 다소 많았다. 사회정체성에 따른 영향은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은 자아존중감과 다문화자부심이 모두 긍정적 효과를 보인 반면 중도입국 청소년은 자아존중감만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즉 이주 배경에 따른 상이한 특성으로 인해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과 중도입국 청소년이 차이를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언어능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정윤 ( Jeong Yun Park ),박현지 ( Hyeon Ji Park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1 다문화와 평화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언어능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6차년도 자료 중 외국 출신 부모를 둔 중학교 3학년 다문화 청소년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의사소통 시 외국 출신 부모 나라 언어보다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다문화 청소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보통 수준의 외국 출신 부모 나라 언어를 구사하고 있었다. 다문화 청소년들은 대부분 자아존중감과 부모 지지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본 결과, 가구 월평균 소득과 외국 출신 부모 나라 언어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부모 지지가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지지는 외국 출신 부모 나라 언어능력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돕기 위한 가족 관계적 측면의 접근을 제시하였고, 연구 의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support on the influences of bilingual abiliti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self-esteem using the data from the sixth wave of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of the collected data are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in Korea living with their foreign paren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more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 use Korean rather than the first language of their foreign parent when communicating with their foreign parent, and most of them could speak a moderate level of their foreign parent’s first language. The perception of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were highly recognized in most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Second, as for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elf-este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higher monthly income of a household is and the better they can speak their foreign parent’s first language, the higher the self-esteem is. Third, parental support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of the first language of their foreign parent and self-esteem. Based on these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study suggests the family-relational approach to help multicultural adolescents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some further studies.

      • KCI등재

        현장전문가가 지각한 다문화 청소년 상담의 특성에 대한 질적분석

        양미진,이동훈,고홍월,김영화,남현주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xperiences of helping professionals who have worked with the culturally diverse adolescents in order to acquire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ly diverse adolescents' experiences after immigration. Additionally, it was also to explore difficulties the professionals perceive when providing helping and counseling services for the adolescents.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for 9 field professionals, who are in ages of thirties and forties(three males and six females) and have field experiences in community support centers for multicultural family for one through 10 years long. The analyses were made by apply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s. The analyses resulted in 7 domains and 21 categories. As for the study question of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ly diverse adolescents, 5 domains were identified: 1) the ones by the immigrant backgrounds. 2) the ones by the age of adolescents, 3) the channel referring to the community support centers for multicultural family, 4) the types of problems with which the culturally diverse adolescents are experiencing, and 5) the ones of the culturally diverse adolescents. As for another question of what are the difficulties they perceive when providing helping and counseling services for the adolescents, 2 domains were identified: 1) the reasons why multicultural famili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requesting for the services, 2) the lacks of readiness and competencies of multicultural helping professionals. Based on the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e findings will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 about supporting for the culturally diverse adolescents and effectively providing multicultural programs.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상담 및 지도를 하고 있는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한 다문화 청소년의 양상과 다문화 청소년 상담의 어려움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 청소년을 지원하고 있는 현장 전문가 9명을 눈덩이 표집방식(snowball sampling)으로 모집하였으며 그들에 대한 심층 면접이 이루어졌다. 면접 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CQR(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을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영역 부호화 결과 13영역이 도출되었다. 영역은 이후 요약과 교차분석 과정을 거치면서 조정이 되었고 최종적으로 7개 영역의 21개 범주가 결정되었다. ‘현장에서 다문화 청소년의 양상은 어떠한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이주배경에 따른 특성’, ‘연령에 따른 특성’, ‘상담기관에 의뢰되는 경로’, ‘다문화 청소년의 문제 유형’, ‘다문화 청소년의 특성’ 5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다문화 청소년 상담의 어려움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다문화 가정 측면에서의 상담의 어려움’과 ‘상담자의 준비 부족’ 2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 상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과 다문화 청소년 상담에 효과적인 상담방법을 위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 상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 상황에서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현장 전문가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실제로 다문화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상담자들의 어려움을 깊이 있게 확인해보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수용성과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윤미리,장유나,홍세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o school adaptation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clarify their relationship. For this analysis, 1,329 multicultural youth from the 5th and 6th survey data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were used to structu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cultural adaptation stres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on school adaptation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by using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As a result of analysis, the higher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felt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lower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Cultural adaptation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Also, all mediation effect paths in the research model were significant. In conclusion, stress of cultural adap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but it was found that the negative effect could be reduced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paths which include both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s mediator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nhancing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is important to increase school adapta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is study suggest that political supports of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re necessary to increase school adaptation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was revealed by examining multicultural adolescents for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bicultural acceptance, which have been mainly studied in non-cultural youth.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 청소년 패널(MAPS) 5차 및 6차 자료를 활용하여 1,329명의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중학교 2학년 시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다문화 수용성,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중학교 3학년 시점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직렬다중매개 모형을 접목하고 구조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청소년이 느끼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 및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낮아졌으며, 다문화 수용성이 높을수록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부적으로, 다문화 수용성 및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모형의 모든 매개효과 경로가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다문화 수용성 및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거치는 매개효과 경로를 통해 그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문화 수용성 및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기르는 것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한 심리·정서적 차원의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그동안 비다문화 청소년에게서 주로 연구되어 온 다문화 수용성 및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대해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다문화 수용성 및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부모의 방임에 따른진로결정성의 변화궤적

        장수빈,노충래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4 학교사회복지 Vol.0 No.65

        본 연구는 진로탐색시기에 놓여있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결정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고,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부모의 방임이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잠재성장모형을 통하여 검증함으로써 다문화 청소년 복지의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1기(MAPS 1)에서 4차년에 걸쳐 조사된 6차(중3), 7차(고1), 8차(고2), 9차(고3)의 자료를 AMOS 2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결정성은 시간의 추이에 따라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중학교 3학년 시기의 부모의 방임적 양육행동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는 진로결정성의 초기값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방임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결정성은 낮아지고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는 진로결정성의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으며 성취동기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성의 변화율은 완만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그들 부모의 청소년 자녀에 대한 방임이 진로탐색시기에 놓여있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미치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진로결정성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결정성과 관련된 학교사회복지의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career deci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 in the career exploration period changes over time and to explore the school social work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parental neglect on career decis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using a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we used data from the 6th to 9th waves of the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urvey 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decision of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ime. Second, parental neglect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areer decisio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parental neglect, the lower the career decision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high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Third,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ffected the rate of change in career decision. And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led to a modest increase in career deci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parental neglect affected the career decision during the career exploration period, and that the career decision changed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school social work implications related to the career decision of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