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역의 국제문화교류 현황과 과제 - 경상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
변철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3
This thesis aimed to seek for the tasks necessary for the promotion of regional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focusing on the case of Gyeongsangnam-do. For this, this thesis collect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various data such as Gyeongsangnam-do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usiness plan, press release of regional newspaper with public trust, online survey, and untact interview.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regional level could be analyzed as inter-regional cooperative/exchange project, and internationalization & localization project for regional cultural resources. As the tasks for the vitalizations of region-centere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is thesis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mid/long-term pla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y regional subjects, support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nd cultivation of regional specialized manpower in private sector, and vitalizations and specializatio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using regional resources. 본 논문은 경남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의 국제문화교류 진흥을 위해 필요한 과제들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도 국제문화교류 사업 계획서 분석, 공신력있는 지역신문 보도자료 분석, 온라인조사, 비대면 인터뷰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 차원의 국제문화교류는 지역 간 협력 및 교류사업, 지역 문화자원의 국제화 및 지역화 사업으로 분석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역 중심의국제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과제로서 지역 주체의 국제문화교류 중장기 계획 수립, 민간 영역 국제문화교류 지원과 지역의 전문 인력 양성, 지역 자원을 활용한 국제문화교류 다양화 및 특성화를 제언하였다.
한국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협력적 탐구학습형 교수․학습 모형 제안을 중심으로
권화숙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2
This study aims to cultivate foreign Korean learners’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and effectively promote Korean culture education, targeting advanced foreign Korean learners, a collaborative inquiry learning type based on integrated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using popular songs. It aims to propose a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ial piety and the necessity of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and to prepare an efficient Korean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plan, the usefulness of Korean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songs and popular songs was evaluated. I looked at it. And based on this, a collaborative inquiry-learn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popular songs based o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ed education was proposed.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and its application, learners can go beyond understand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cooperatively solving problems with self-awareness of problems. By inducing them, you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cultivating your communication skills.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 및 한국문화교육의 효율적 방안으로서, 고급 수준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중가요를 활용한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협력적 탐구학습형 ‘한국의 효 가치문화’ 교수 ․ 학습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효 사상의 특징과 효 가치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효율적인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대중가요의 특징과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의 유용성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대중가요를 활용한 협력적 탐구학습형 ‘한국의 효 가치문화’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수․학습 모형과 이의 적용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문제를 협력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한국의 효 가치문화’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서 자기 성찰, 내면화, 생활화까지 가능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낭트-순천 한불 국제문화교류 사례 탐구: 순천만 콘텐츠 중심으로
전영국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are the process and results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by exploring a case of eco-cultural performance contents while offering a Suncheon conference at the Printemp Coréen (Korean Spring) Festival held in Nantes. The author had tried to explore several aspects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by applying for the KOFICE project fund and providing follow-up activities since the proposal was accepted in March 2019. By borrowing case study techniques, data collection included documents such as reports, photographs, video data as well as personal memo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veral features of this case study were revealed as a successful extension of international exchanges with Nantes city based on adopting the city-university-private sector model. Second, Suncheon city's exemplar eco-tourism contents turned out to contribute to the mutual cultural understandings by exploring historical and creative places in Nantes with festival staffs. Third, the Korean delegation’s successful performance for Suncheon bay contents promoted actively interacting with French people based on the story of hooded cranes as part of representative performance repertoires in Suncheon city, an ecological capital in Korea. Finally, the follow-up efforts based on formative evaluation ended up with producing the improved versions of performance and publishing picture 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낭트에서 개최한 한국의 봄 축제에서 순천시의 생태문화와 관련된 융합형 컨퍼런스를 개최하면서 공연 콘텐츠를 소개한 사례를 통하여 지자체 단위의 국제문화교류에 대한 과정과 결과를 공유하는 것이다. 2019년 3월부터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공모 사업에 신청하기, 선정 후 준비하기 및 사업 진행 후에 후속 연계 활동을 총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국제문화교류에 대한 심층적인 부분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사례 연구 기법을 차용하여 제안서 및 보고서 등 문서와 사진, 동영상 자료 외에도 개인의 메모와 대화 자료 등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질적 자료의 분석을 거친 후에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천시가 기존이 구축한 낭트시와의 국제교류의 연장선에서 한국의 봄 축제의 장에 참가함으로써 민관학 모델 기반의 문화예술에 관한 교류를 활성화시켰다. 둘째, 순천시가 전개한 2019 순천만 방문의 해를 맞이하여 생태관광에 관련된 남도음식, 순천만에 관련된 동영상 및 사진 다큐 등을 소개함으로써 순천시의 홍보 효과를 거두었다. 셋째, 생태도시를 표방하는 순천시의 생태문화를 대표할 만한 공연 콘텐츠로서 흑두루미 이야기를 토대로 창작한 융합형 공연 콘텐츠를 시연함으로써 프랑스인들과 교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 외에 도시재생의 성공 사례로 알려진 낭트시의 다양한 문화자원을 탐방하고 낭트 시민들과 교류함으로써 후속 교류활동에 관한 토대를 쌓는 결실을 거두었다. 마지막으로 이 사업에 대한 향후 개선 방향에 관하여 제안하였다.
임선일,오영훈,조인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8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7 No.1
Along with the rapid increase of transnational migration, the Korean society quickly enter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s a result,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suddenly made an increase in schools, which made our society come face to face with educational problems that we had not experienced before. However, the education system that has to deal with these problems has its limitations because most of the curriculum is focused on Korean students. Therefore, a new educational system is in need to overcome the educational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students, while imposing education 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internationalization for mainstream Korean stud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Multicultural International School’ as part of a new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model of multicultural international school in the aspect of integrative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students's characteristics and ideas to bring it in practice by examining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current polic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deviates from the current rigid curriculum focused on mainstream Korean students and mainly focuses on 'customized educ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international education appropriate for a multicultural and international era. Second, an integrative education rather than a separated system is proposed. Third, based on the ideology of integrative education, the multicultural international school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the purpose of students' career path and college entry so that the founding principle of the school is not disturbed. 초국적 이주가 급증하면서 한국사회도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이로인해 일선 학교에는 다문화 배경을 가진 다문화학생들이 급증하였고 다문화학생의 증가는 우리가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교육문제들을 직면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교육시스템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는 현재의 교육과정이 한국 학생들을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문화학생에 대한 교육적 한계를 극복하고, 주류 한국학생들에 대한 ‘다문화 이해교육’과 ‘국제화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육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다문화교육 시스템의 하나로써 ‘다문화국제학교’ 설립과 운영방안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기존 다문화교육 정책 및 다문화대안학교들의 문제와 한계를 찾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통합교육 차원의 다문화국제학교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설립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학교의 주류 한국학생 중심의 경직된교육과정에서 벗어나 ‘다문화학생의 특성에 맞춘 맞춤형교육’, ‘다문화·국제화 시대에대비한 국제화 교육’을 주요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다문화학생만을 위한 분리교육이 아닌 통합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학교상을 제시하였다. 셋째, 다문화국제학교는통합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학생의 진로 및 진학이라는 목적에 맞게 설립하고 운영함으로써 학교설립의 목적이 훼손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미국 거주 한국인 “모”의 자녀와 한국문화 소통(疏通)과 전승(傳承)에 관한 경험연구
남부현,정은주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8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sharing Korean culture with and transmitting it to their children by Korean mothers living in U. S. Severn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share their stories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demonstrated in two categories. In the part of sharing Korean culture, the participants have used Korean family network and emphasized on using Korean language at home. Sharing Korean dishes and media programs in their family let their children know more about Korean culture and make a connection with friends from other cultures. Having a trip to Korea was for their children to discover their Korean identity and touch to actual Korean culture. To transmit Korean culture, the participants emphasized on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attitude. Then, they sent their children to Korean language school. By doing these, they expected that their children keep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become a bilingual user, and contribute to Korean community and both countries (U.S.- Korea)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government provides more active educational policies for children and familie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oder for them to keep their dural cultural identities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both Korea and their native countries and adjust well in the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다양한 국적과 민족의 이주민 문화와 언어가 공존하는 미국의 다문화사회에서 7인의 재미동포 한국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와 한국문화 소통과 전승에 관한일상의 경험은 무엇이며 어떠한지 살펴보고 그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주요결과로 한국문화 소통의 범주에서 참여자들은 가족 간 한국어 사용과 네트워크를 통해 한국문화 접촉기회를 증진하였다. 한식과 한류문화 접촉은 가족 간 그리고 타문화 사람들과 교류를 넓히며 한국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표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자녀에게 직접 모국방문 기회를 제공하며 정체성의 뿌리를 발견하도록 지원하였다. 한국문화 전승의 범주에서 자녀 한국어와 예절 교육을 문화정체성 함양의 필수요소로 인식하며 자녀가 이중언어 활용을 통해 미래 양국(미국-한국) 간 가교역할, 진로, 한인 공동체 기여 등의 효과를 기대하였다. 참여자들은 미국 내 소수 이주민으로서 이중언어와문화정체성 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한국 내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와문화정체성 형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정책과 교육계 변화를 제안하였다.
대만 한국학 전공자 대상 한국문화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한국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조영미,한혜민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6
This study explor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Korean cultural textbook targeting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in Taiwan. In doing so, this study analyzed the needs survey of learners as a part of the fundamental research. This study explor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Korean cultural textbook targeting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in Taiwan. In doing so, this study analyzed the needs survey of learners as a part of the fundamental research. To develop the textbook content, the emphasis was placed on assisting learners to study modern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rough Korean pop culture and to grasp the essence of Korean culture by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to understand Korean pop culture properly. As a part of the fundamental research for developing a textbook for Taiwanes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82 learners at two different Taiwanese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e survey was to identify the key elements and topics of Korean culture that the learners were most interested in. The results confirmed that Taiwanese learners lear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popular culture portrayed in the media, and thus the development plan should reflect these survey results by prioritizing topics of learners’ interest. 본 연구는 대만 내 한국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탐색하고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 학습자 요구조사를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교재 내용 구성에 있어서 한국문화 중에서도 특히 대중문화를 통하여 현대 사회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자들이 한국대중문화를 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한국문화의 올바른 이해를 돕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이에 대만 한국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대만 내에서 한국학을 개설한 2개교에서한국학을 전공하고 있는 82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는학습자들이 관심을 갖는 한국문화 요소 및 주제 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대만의 한국학 전공자들은 미디어를 통해 대중문화로 한국어와한국문화를 이해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차후 교재 집필 시에는 위의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한국학 전공자들이 관심을 갖는 주제를 우선적으로 선별할계획이다.
결혼이주여성강사의 교육경험을 통한 다문화리터러시 의미 탐색
이정금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인식개선 체험프로그램 교육경험 연구로 결혼이주여성강사의 교육 경험의 본질적 의미와 구조를 분석하여 미래 다문화교육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인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다문화인식개선 체험프로그램 강사의직무를 수행하는 4명의 결혼이주여성으로 자료 수집은 심층면접 및 전화면담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 강사의 교육경험은 첫째 7개의 주제와 18개의 중심의미로분류되었다. 둘째, 주제와 중심의미를 통해 찾을 수 있는 교육경험의 본질은 ‘문화차이를 극복하고 다문화인식개선 체험프로그램 강사 되기’, ‘다양한 문화의 중재자 역할하기’, ‘문화적 정체성을 찾아 진정한 한국인으로 거듭나기’ 과정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경험의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은 다문화 강사를 ‘문화자본’의 시점에서 볼 필요가 있고, 문화통합을 위한 문화학습과정이며, 다문화체험 교육을 통해 습득한 문화지식은 ‘문화정체성’으로 귀결되어 ‘외국계 한국인’으로 통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다문화체험프로그램 교육경험의 의미는 결혼이주여성강사의 다문화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활용, 개발, 지원 등 환경조성의 필요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rinsic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married migrant women lecturers in a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experience program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future multicultural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Colaizz’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four married migrant women who perform the duties of instructors of a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experience program,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elephon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the migrant women instructor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themes and 18 central meanings. Second, the essence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s found through the themes and central meanings were ‘overcoming cultural differences and becoming an instructor of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experience program’, ‘acting as a mediator between different cultures’, and ‘finding cultural identity and becoming a true Korean’. Thir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were that multicultural instructors need to b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capital’, it is a cultural learning process for cultural integration, and cultural knowledge acquired through multicultural experience education leads to ‘cultural identity’ and integration into ‘foreign Koreans’. The implication of these educational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xperience programs is the need to create an environment such as utilization, development, and support to strengthen the multicultural literacy competencies of female lecturers.
구하라,김지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장의 문화 감응적 리더십과 교사의 다문화적 전문성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화 다양성 교육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교사 949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교사의 다문화적 전문성은 다문화적 교사 태도(학교환경, 교사역할)로 살펴보았는데, 분석 결과 ‘문화 감응적 학교장 리더십’은 교사의 ‘다문화적 학교환경 태도’와 ‘다문화적 교사역할 태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문화적 배경이 점차 다양해지는 학교 맥락에서 ‘학교장의 문화 감응적 리더십’의 중요성에대해 논의하였다.
김상섭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7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6 No.1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oretical development aspects of inter-cultural relations, moved to the center of the Cultural Studies on in the age of migration unprecedented in history, through the framework of Acculturation by literature review methods. This study attempts a differentiated analyses in some respects. First, the relation of Globalization to Acculturation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Anthropological and Sociological context is included. Second, Multiculturalism is backdated to Cultural Relastivism as the philosophical origin of it and is expanded to the possibilities of Interculturalism as a futuristic alternative. Third, Cultural Hybridity is traced as a criticism of the perspectives of Western oriented modernity. Research findings are as belows. First, theories of Globalization, Multiculturalism, and Interculturalism are evaluated as theoretically useful tools for strategic, practical tools advocating antiracism, the recognition of the coexistence of cultures, the emphasis on active interactions among cultures, respectively. Second, theories mentioned, however, have limitations that they are peculiar ways of self-understanding of the crisis of Western culture which enjoyed the dominant position of cultural identity for a long time, and that they hold the framework of modern imagination resolutely. Third, Hybrid culture, from the different space-time context stated above, is regarded as a possible theoretical tool explaining the peculiar types of acculturation in non-western societies. The author, from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society calls for broadening its multicultural discourse and looking deep into its cultural hybridity. 이 연구의 목적은 역사상 유례없는 이주의 시대에 문화연구의 중심부로 옮겨온 문화의 뒤섞임 혹은 문화 간(間) 관계에 관한 이론적 전개 양상을 문화변용(acculturation)론이라는 큰 틀에서 문헌적 연구를 통해 정리하였다. 첫째, 종래 통용되던 문화인류학적, 사회학적 맥락에 더하여 국제관계론적 관점에서 세계화와 문화변용을 살폈다. 둘째, 다문화주의론에서는 그 철학적 연원인 문화상대주의로 논의를 소급하는 한편 상호문화주의의 미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셋째, 문화변용론을 저류하는 근대 서구 중심적 관점에대한 문제제기로서 등장한 혼종문화론에서 탈근대적 가능성을 찾는 독자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세계화론과 다문화주의론, 상호문화주의론은 각각 반인종주의, 문화 간 공존의 승인, 능동적 상호작용에 대한 강조를 통해 인류의 자유와 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유용한 전략적, 실천적 가치를 갖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이론들은 근대 이후 지금까지 서구가 누려온 문화적 정체성의 중심적 지위의 약화 혹은해체의 위기에 대응하여 스스로를 납득시키기 위해 만들어낸 독특한 이해방식이면서 근대적 상상력의 틀 안에 완고하게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시공간적 맥락과다른 관점에서 문화변용을 접근하는 혼종문화론은 비서구사회의 독특한 역사적 경험이만들어낸 문화변용을 설명하는 이론적 도구이자 탈근대의 가능성을 내포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 글에서 살펴본 문화변용의 이론들은 비서구적 역사 경험을 가진 우리사회의 다문화담론이 좀 더 폭을 넓히고 우리 문화 안의 혼종적 요소를 좀 더 깊이 들여다보게 하는 시사점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