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의 국제문화교류 현황과 과제 - 경상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

        변철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3

        This thesis aimed to seek for the tasks necessary for the promotion of regional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focusing on the case of Gyeongsangnam-do. For this, this thesis collect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various data such as Gyeongsangnam-do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usiness plan, press release of regional newspaper with public trust, online survey, and untact interview.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regional level could be analyzed as inter-regional cooperative/exchange project, and internationalization & localization project for regional cultural resources. As the tasks for the vitalizations of region-centere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is thesis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mid/long-term pla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y regional subjects, support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nd cultivation of regional specialized manpower in private sector, and vitalizations and specializatio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using regional resources. 본 논문은 경남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의 국제문화교류 진흥을 위해 필요한 과제들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도 국제문화교류 사업 계획서 분석, 공신력있는 지역신문 보도자료 분석, 온라인조사, 비대면 인터뷰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 차원의 국제문화교류는 지역 간 협력 및 교류사업, 지역 문화자원의 국제화 및 지역화 사업으로 분석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역 중심의국제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과제로서 지역 주체의 국제문화교류 중장기 계획 수립, 민간 영역 국제문화교류 지원과 지역의 전문 인력 양성, 지역 자원을 활용한 국제문화교류 다양화 및 특성화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만 한국학 전공자 대상 한국문화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한국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조영미,한혜민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6

        This study explor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Korean cultural textbook targeting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in Taiwan. In doing so, this study analyzed the needs survey of learners as a part of the fundamental research. This study explor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Korean cultural textbook targeting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in Taiwan. In doing so, this study analyzed the needs survey of learners as a part of the fundamental research. To develop the textbook content, the emphasis was placed on assisting learners to study modern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rough Korean pop culture and to grasp the essence of Korean culture by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to understand Korean pop culture properly. As a part of the fundamental research for developing a textbook for Taiwanes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82 learners at two different Taiwanese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e survey was to identify the key elements and topics of Korean culture that the learners were most interested in. The results confirmed that Taiwanese learners lear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popular culture portrayed in the media, and thus the development plan should reflect these survey results by prioritizing topics of learners’ interest. 본 연구는 대만 내 한국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탐색하고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 학습자 요구조사를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교재 내용 구성에 있어서 한국문화 중에서도 특히 대중문화를 통하여 현대 사회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자들이 한국대중문화를 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한국문화의 올바른 이해를 돕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이에 대만 한국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대만 내에서 한국학을 개설한 2개교에서한국학을 전공하고 있는 82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는학습자들이 관심을 갖는 한국문화 요소 및 주제 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대만의 한국학 전공자들은 미디어를 통해 대중문화로 한국어와한국문화를 이해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차후 교재 집필 시에는 위의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한국학 전공자들이 관심을 갖는 주제를 우선적으로 선별할계획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국제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임선일,오영훈,조인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8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7 No.1

        Along with the rapid increase of transnational migration, the Korean society quickly enter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s a result,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suddenly made an increase in schools, which made our society come face to face with educational problems that we had not experienced before. However, the education system that has to deal with these problems has its limitations because most of the curriculum is focused on Korean students. Therefore, a new educational system is in need to overcome the educational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students, while imposing education 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internationalization for mainstream Korean stud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Multicultural International School’ as part of a new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model of multicultural international school in the aspect of integrative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students's characteristics and ideas to bring it in practice by examining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current polic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deviates from the current rigid curriculum focused on mainstream Korean students and mainly focuses on 'customized educ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international education appropriate for a multicultural and international era. Second, an integrative education rather than a separated system is proposed. Third, based on the ideology of integrative education, the multicultural international school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the purpose of students' career path and college entry so that the founding principle of the school is not disturbed. 초국적 이주가 급증하면서 한국사회도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이로인해 일선 학교에는 다문화 배경을 가진 다문화학생들이 급증하였고 다문화학생의 증가는 우리가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교육문제들을 직면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교육시스템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는 현재의 교육과정이 한국 학생들을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문화학생에 대한 교육적 한계를 극복하고, 주류 한국학생들에 대한 ‘다문화 이해교육’과 ‘국제화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육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다문화교육 시스템의 하나로써 ‘다문화국제학교’ 설립과 운영방안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기존 다문화교육 정책 및 다문화대안학교들의 문제와 한계를 찾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통합교육 차원의 다문화국제학교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설립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학교의 주류 한국학생 중심의 경직된교육과정에서 벗어나 ‘다문화학생의 특성에 맞춘 맞춤형교육’, ‘다문화·국제화 시대에대비한 국제화 교육’을 주요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다문화학생만을 위한 분리교육이 아닌 통합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학교상을 제시하였다. 셋째, 다문화국제학교는통합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학생의 진로 및 진학이라는 목적에 맞게 설립하고 운영함으로써 학교설립의 목적이 훼손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낭트-순천 한불 국제문화교류 사례 탐구: 순천만 콘텐츠 중심으로

        전영국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are the process and results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by exploring a case of eco-cultural performance contents while offering a Suncheon conference at the Printemp Coréen (Korean Spring) Festival held in Nantes. The author had tried to explore several aspects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by applying for the KOFICE project fund and providing follow-up activities since the proposal was accepted in March 2019. By borrowing case study techniques, data collection included documents such as reports, photographs, video data as well as personal memo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veral features of this case study were revealed as a successful extension of international exchanges with Nantes city based on adopting the city-university-private sector model. Second, Suncheon city's exemplar eco-tourism contents turned out to contribute to the mutual cultural understandings by exploring historical and creative places in Nantes with festival staffs. Third, the Korean delegation’s successful performance for Suncheon bay contents promoted actively interacting with French people based on the story of hooded cranes as part of representative performance repertoires in Suncheon city, an ecological capital in Korea. Finally, the follow-up efforts based on formative evaluation ended up with producing the improved versions of performance and publishing picture 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낭트에서 개최한 한국의 봄 축제에서 순천시의 생태문화와 관련된 융합형 컨퍼런스를 개최하면서 공연 콘텐츠를 소개한 사례를 통하여 지자체 단위의 국제문화교류에 대한 과정과 결과를 공유하는 것이다. 2019년 3월부터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공모 사업에 신청하기, 선정 후 준비하기 및 사업 진행 후에 후속 연계 활동을 총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국제문화교류에 대한 심층적인 부분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사례 연구 기법을 차용하여 제안서 및 보고서 등 문서와 사진, 동영상 자료 외에도 개인의 메모와 대화 자료 등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질적 자료의 분석을 거친 후에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천시가 기존이 구축한 낭트시와의 국제교류의 연장선에서 한국의 봄 축제의 장에 참가함으로써 민관학 모델 기반의 문화예술에 관한 교류를 활성화시켰다. 둘째, 순천시가 전개한 2019 순천만 방문의 해를 맞이하여 생태관광에 관련된 남도음식, 순천만에 관련된 동영상 및 사진 다큐 등을 소개함으로써 순천시의 홍보 효과를 거두었다. 셋째, 생태도시를 표방하는 순천시의 생태문화를 대표할 만한 공연 콘텐츠로서 흑두루미 이야기를 토대로 창작한 융합형 공연 콘텐츠를 시연함으로써 프랑스인들과 교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 외에 도시재생의 성공 사례로 알려진 낭트시의 다양한 문화자원을 탐방하고 낭트 시민들과 교류함으로써 후속 교류활동에 관한 토대를 쌓는 결실을 거두었다. 마지막으로 이 사업에 대한 향후 개선 방향에 관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협력적 탐구학습형 교수․학습 모형 제안을 중심으로

        권화숙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2

        This study aims to cultivate foreign Korean learners’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and effectively promote Korean culture education, targeting advanced foreign Korean learners, a collaborative inquiry learning type based on integrated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using popular songs. It aims to propose a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ial piety and the necessity of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and to prepare an efficient Korean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plan, the usefulness of Korean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songs and popular songs was evaluated. I looked at it. And based on this, a collaborative inquiry-learn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popular songs based o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ed education was proposed.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and its application, learners can go beyond understand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cooperatively solving problems with self-awareness of problems. By inducing them, you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cultivating your communication skills.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 및 한국문화교육의 효율적 방안으로서, 고급 수준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중가요를 활용한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협력적 탐구학습형 ‘한국의 효 가치문화’ 교수 ․ 학습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효 사상의 특징과 효 가치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효율적인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대중가요의 특징과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의 유용성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대중가요를 활용한 협력적 탐구학습형 ‘한국의 효 가치문화’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수․학습 모형과 이의 적용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문제를 협력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한국의 효 가치문화’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서 자기 성찰, 내면화, 생활화까지 가능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국 거주 한국인 “모”의 자녀와 한국문화 소통(疏通)과 전승(傳承)에 관한 경험연구

        남부현,정은주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8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sharing Korean culture with and transmitting it to their children by Korean mothers living in U. S. Severn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share their stories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demonstrated in two categories. In the part of sharing Korean culture, the participants have used Korean family network and emphasized on using Korean language at home. Sharing Korean dishes and media programs in their family let their children know more about Korean culture and make a connection with friends from other cultures. Having a trip to Korea was for their children to discover their Korean identity and touch to actual Korean culture. To transmit Korean culture, the participants emphasized on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attitude. Then, they sent their children to Korean language school. By doing these, they expected that their children keep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become a bilingual user, and contribute to Korean community and both countries (U.S.- Korea)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government provides more active educational policies for children and familie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oder for them to keep their dural cultural identities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both Korea and their native countries and adjust well in the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다양한 국적과 민족의 이주민 문화와 언어가 공존하는 미국의 다문화사회에서 7인의 재미동포 한국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와 한국문화 소통과 전승에 관한일상의 경험은 무엇이며 어떠한지 살펴보고 그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주요결과로 한국문화 소통의 범주에서 참여자들은 가족 간 한국어 사용과 네트워크를 통해 한국문화 접촉기회를 증진하였다. 한식과 한류문화 접촉은 가족 간 그리고 타문화 사람들과 교류를 넓히며 한국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표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자녀에게 직접 모국방문 기회를 제공하며 정체성의 뿌리를 발견하도록 지원하였다. 한국문화 전승의 범주에서 자녀 한국어와 예절 교육을 문화정체성 함양의 필수요소로 인식하며 자녀가 이중언어 활용을 통해 미래 양국(미국-한국) 간 가교역할, 진로, 한인 공동체 기여 등의 효과를 기대하였다. 참여자들은 미국 내 소수 이주민으로서 이중언어와문화정체성 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한국 내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와문화정체성 형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정책과 교육계 변화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보육교사들의 다문화가정자녀 보육경험에 관한 연구

        채경란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eachers' childcare experience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better understand their perspective and multiculturalism and to use this knowledge to improve multicultural childcar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A total of 13 childcare teachers from “A” City in “G” childcare center for working parents, where 90% of the children come from a multicultural family, suggested improvements to multicultural childcare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Childcare’, when both parents and teachers are satisfied with multicultural childcare the teachers felt gratified and they reported that multicultural programs were not actively promoted in the daily programs. Second, continuous dialogu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ctive parental involvement and education, and full government support for parental education and psychological social support are needed. Third, as for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and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eachers reported experiencing numerous difficulties in maintaining communication with the primary and secondary caretakers of the children. Fourth, as for the ‘Multicultural Childcare Environment Improvement and Support’, the educational program for multiculturalism and cultural diversity need to be much more specific and practical and teachers with expertise in multicultural social education should be preferentially recruited. Fifth, as for the ‘Understanding Multicultural Children with Disability’, teachers and administrators reported facing numerous difficulties. Teachers need to be provided with practical and special training and workshop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and care to multicultural children with disabilit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governments to support and improve multicultural childcare centers, select multicultural childcare support center to develop practical applications and programs and publicize these programs, and to allow teachers time and to share their experiences with their colleagues.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다문화가정자녀 보육경험을 토대로 다문화에 대한 이해를높이고 다문화보육환경개선을 위한 방안과 틀을 모색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영유아의성장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보육환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다문화가정 자녀가 보육정원의 90%이상인 A시의 G직장어린이집교사 13명을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다문화보육에 필요한 요건들과 다문화보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보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부모와 교사가 만족하는 다문화보육이 이루어졌을 때 교사로서 보람을 느끼지만 다문화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은 보육교사들의 일과에서 소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둘째, 부모와 보육교사와의 지속적인의사소통이 중요하고, 부모역할과 부모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며, 정부차원에서 부모교육과 심리적 안정에 대한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와 학부모의 언어발달’에서는 주 양육자와 보조양육자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보육교사들의 전달사항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해 다문화보육의 어려움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다문화 보육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에서는 다문화이해와 문화다양성에 대한 교육과정이 보다 더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게 구성되어져야 하고, 다문화사회전문가와 같은 전문적 지식을 갖춘 교사의 지원이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에서는 교사연수나 교사교육을 통해 다문화전문교육이나 장애아동 특수교육 등 현장에서 실효성 있게 다뤄질 수있는 전문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제언을 하면 다문화보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기관의 지원을 확대하고 우수보육시설을 선별하여 시설개방과 프로그램공유와 같은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보육현장에서의 어려움을 함께 나눌 수 있는 동료 교사들 간의 교류의 시간과 공간이마련되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마음을 나눌 수 있게 되길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디어를 통해 본 우즈베키스탄 청소년들의 한국에 대한 인식 연구

        갈라노바딜노자,박미숙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6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Uzbekistan youth about Korea through media. In this study there wer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Uzbekistan youth. The in-depth interviews were proceeded from June to November in 2016. The dates which a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by Korea, its culture, and Korean peop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Korea was recognized as an economical developed country and a country with beautiful nature by Uzbekistan youth. Second, Korea was regarded as a country with a culture that respects the adults. manners, natural make-up and wears comfortable clothes for everyday life. Third, the Korean people were perceived as diligent, generous and pure love-loving people. Likewise, Uzbekistan youth were gett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Korea through the Korean media and they perceived Korea as a country that they would like to visit. 본 연구의 목적은 우즈베키스탄 청소년들이 미디어를 통해 본 한국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는 2016년 6월부터 11월까지 우즈베키스탄 청소년 7명을 대상으로심층인터뷰였다. 인터뷰자료는 전사하여 한국, 한국문화, 한국사람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즈베키스탄 청소년이 인식한 한국은 경제적으로 발전한 나라이고 아름다운 자연을 가지고 있는 나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한국은 어른들을 존중하고 예절을중시하고 자연스러운 화장과 일상생활에 편한 옷을 즐겨 입는 문화를 가진 나라로 인식하였다. 셋째, 한국사람들은 부지런하고 정이 많으며 순수한 사랑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고 인식하였다. 이처럼 우즈베키스탄 청소년들은 한국 미디어를 통하여 한국에 대한다양한 정보를 얻고 있었고 한국을 꼭 한번 가보고 싶은 나라로 인식하였다.

      • KCI등재후보

        주 카자흐스탄 한국기업 직원들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Aigerim Aigozhayeva,김영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7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how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taking place between Korean and Kazakhstani employees in Korean companies in Kazakhstan. Thus, the study pursu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porate culture of the Korean companies in Kazakhstan?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mong workers of Korean companies in Kazakhst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fessional aspect, Kazakhstan and Korea have a big difference in corporate culture. It has been revealed that Kazakhstani employees have had difficulties in their experiences of Korean corporate culture, which include mess culture, night overtime, difficulty in completing tasks in a quick manner, constant checkup of work in process, and frequent meetings. Second, in the relational aspect, Kazakhstani employees in Korean companies valu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ore than Koreans. It was also found that Korean companies solve problems differently from Kazakhstan companies. Also, it appears that the small problem that arises in Korean companies becomes a big problem. Third, it appeared that there were communication difficulties due to the dialect and accent of the Korean boss in the linguistic aspect. Also, due to the lack of knowledge of professional terms,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Furthermore, when Kazakhstani people worked in Korean companies, they could not concentrate on work because of the loud voices of Koreans. Also, it was revealed that Koreans asked personal questions. Fourth, in the non-verbal aspect, it was difficult for Kazakhstani employees to avoid eye contact when talking to Koreans. Due to the differences in non-verbal communication of Koreans and Kazakhstani people, it was reveal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gestures of the body, hand gestures, the concept of time, which cause misunderstandings in commun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a baseline data in increasing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of those who work in multinational companies 본 연구는 카자흐스탄 소재 한국기업의 한국인 직원과 카자흐스탄인 직원들 간에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첫째, 카자흐스탄 소재 한국기업의 기업문화의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카자흐스탄 소재 한국기업 종사자들의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카자흐스탄내 한국기업에 근무하는 카자흐스탄인 직원 다섯 명을 대상으로 한국인 직원들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와 관련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료 수집을 하고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적인 측면에서 카자흐스탄인 직원들은 한국기업에 근무하면서 한국기업의 회식문화, 야근, 빠른 업무처리, 자주 하는 회의에 대한한국기업문화를 경험하고 어려움을 겪었다고 나타났다. 둘째, 언어적인 측면이 사투리, 악센트, 개인적인 질문 묻기와 한국인의 높은 목소리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언어적인 측면에서 카자흐스탄인 직원들은 눈 맞추기, 시간개념 차이, 몸짓과 손짓 오해들이 있었다고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