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교육이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친 영향 조사

        강진구(姜鎭求)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08 다문화콘텐츠연구 Vol.4 No.-

        본 연구는 교양 수업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이 대학생들의 다인종 · 다문화 인식에 끼친 영향을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필자는 2008학년도 제2학기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에서 교양수업을 듣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에 대한 인지여부,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다문화에 대한 이해 정도, 다문화교육과 다문화 이해의 상관성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논의 지점을 발견을 할 수 있었다. 첫째, 대학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지여부는 대체로 양호했으나 다문화에 관한 정보 습득이 특정 매체에 집중되고 있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둘째, 교양 과정으로서의 다문화교육뿐만 아니라, 전공 영역에서의 다양한 다문화 강좌 또한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셋째, 다인종, 다문화에 대한 편견 극복을 위해서는 한국인 스스로의 변화가 요구되고, 사회적 영역에서의 다문화교육은 이 부분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 대학생들은 한국 사회는 다문화(외국인)에 대한 편견이 심한 데 반해 자신들은 상대적으로 다문화에 대해 개방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 현대시조의 다문화 수용 양상 고찰

        김성문(金成紋)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6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학술대회 Vol.2016 No.08

        21세기의 시작과 함께 세계는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다문화사회’ 로의 진입은 문학적으로도 주목할 만한 변화라 할 수 있다. 새로운 사회로의 재편과 함께 오늘날 우리가 마주한 정치 · 외교 · 사회 · 경제 ·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기존의 패러다임에 대한 교체가 진행되었거나 진행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우리의 문학 또한 예외가 아니다. 시 · 소설 · 희곡 · 시나리오 등의 현대문학은 물론, 상대적으로 보수성과 전통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는 고전문학, 특히 시조문학에서도 다문화는 작품의 주제와 제재로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즈음하여 본고는 2015년에 다문화를 대상으로 창작된 현대시조를 중심으로 현대시조의 다문화 수용 양상을 살펴본 연구이다. 본론에서는 모두 5편의 연시조 작품에 수록되어 있는 15수의 시조를 분석하여 현대시조의 다문화 수용 양상을 크게 둘로 나누어 보았다. 먼저 하나는 대체로 다문화를 변화하는 시대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인식하여 수용의 주체와 함께 살아나가야 할 공존의 대상으로 보는 경우로, 그 수용의 양상을 ‘우리로서의 다문화’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다문화를 기존의 전통성과 순수성을 저해하는 부정적인 현상으로 인식, 차별의 관점을 통해서 다문화(의 대상) 를 타자화 하는 경우로, ‘너희로서의 다문화’에 해당하는 것으로 살펴보았다. 위와 같이 서로 다른 양상은 다문화에 대한 시인의 인식을 일컫는 것이라 아니라 텍스트에 수용된 다문화의 모습을 의미하는 것이다. ‘우리로서의 다문화’든, ‘너희로서의 다문화’든 다문화가 글로벌 시대의 보편적인 현상임을 인식하고, 모두가 소통하고 공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말하고 있다는 것은 서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지금은 다문화를 수용할지 그렇지 않고 배척할지를 선택하는 시기가 아니다. 본고처럼 문학이 다문화를 어떠한 양상으로 수용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근본적인 목적은 바로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기 위한 소통과 공존의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기다. 그리고 그것은 궁극적으로 인류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하는데 기여하는 문학의 목적에도 부합하는 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교육이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친 영향 조사

        강진구(姜鎭求)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08 다문화콘텐츠연구 Vol.5 No.-

        본 연구는 교양 수업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이 대학생들의 다인종ㆍ다문화 인식에 끼친 영향을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필자는 2008학년도 제2학기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에서 교양수업을 듣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에 대한 인지여부,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다문화에 대한 이해 정도, 다문화교육과 다문화 이해의 상관성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논의 지점을 발견을 할 수 있었다. 첫째, 대학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지여부는 대체로 양호했으나 다문화에 관한 정보 습득이 특정 매체에 집중되고 있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둘째, 교양 과정으로서의 다문화교육뿐만 아니라, 전공 영역에서의 다양한 다문화 강좌 또한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셋째, 다인종, 다문화에 대한 편견 극복을 위해서는 한국인 스스로의 변화가 요구되고, 사회적 영역에서의 다문화교육은 이 부분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 대학생들은 한국 사회는 다문화(외국인)에 대한 편견이 심한 데 반해 자신들은 상대적으로 다문화에 대해 개방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 교육의 미래 전략

        박기수(Gi-Su Park)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08 다문화콘텐츠연구 Vol.4 No.-

        문화콘텐츠는 21세기와 함께 시작된 거대한 흐름이다. 이 흐름은 이미 거스를 수 없는 거대한 물결이 되어 세계를 하나의 덩어리로 만들어 가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이 거대한 흐름에 편승해서 세계의 중앙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문화콘텐츠가 무엇인지 똑바로 알고 이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함은 물론이다. 문화콘텐츠가 지금 우리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보다 성숙한 형태의 학문과 산업과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우리가 문화콘텐츠에 유인되었던 ‘창의성’과 ‘고부가가치’라는 두 요소에서 답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고부가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을 때 문화콘텐츠는 기형적 출현에도 불구하고 의연히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다시 교육으로 이어져 선순환의 고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창의적인 교육 시스템의 개선과 제시를 통하여 이러한 작업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cultural content is a huge flow that was started along with the 21st century. This flow already became an enormous wave that can not be opposed, thereby proceeding with making the world as one lump. Accordingly, in order to leap to the center of the world by taking a ride in this tremendous flow, we need to know straightly what the cultural content is, and, of course, to implement a system that can educate this continuously and stably. In order for the cultural contents to satisfy our expectation now and to be the learning, industry, and education in the more matured form, we need to be able to find a solution in two elements called 'creativity' and 'high value-added' that we were tempted by cultural contents. When being able to continue to create the high value-added, the cultural content will be able to survive resolutely in the face of the freakish appearance. And, this is again led to education, thereby being likely to make a ring of a virtuous circle. These works are thought to be probably achieved through improving and presenting the creative educational system.

      • KCI등재

        한국의 다문화콘텐츠 개발 및 활용방향에 대한 연구

        홍기원(Ki-won, Hong),윤소영(So-young, Yoon)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0

        1996년 이후 각종 제도와 사회적 수요에 따라 이주민이 유입되면서 한국사회의 이주인구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러한 변화에 따라 이들의 안정적이고도 성공적인 사회통합을 위한 다양한 정책 사업들이 개발되어 왔다. 한국의 다문화정책은 형식적으로는 다문화정책이라는 이름으로 실행되고 있지만 그 내용을 들여다보았을 때에는 이주민의 한국사회에 대한 동질화정책의 성격이 강하다. 또한 이민정책 차원에서의 프로그램과 다문화정책 차원에서의 프로그램의 차이에 대한 인식이나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다문화와 관련된 각종 사업의 프로그램들이 차별화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본 논문은 다문화정책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다문화콘텐츠’로 명명되어 활용되는 각종 사업의 내용이나 프로그램들이 어떻게 정의될 수 있는가 그 가능성을 탐색하여 이로부터 문화예술분야에서 기능할 수 있는 ‘다문화콘텐츠’의 개념적 특성과 범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 정의를 바탕으로 다문화콘텐츠가 실제로 적정하게 활용되기 위한 환경은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문화예술 분야에서의 다문화콘텐츠는 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하는 ‘다문화적 관점’을 견지하는 문화예술활동 혹은 예술창작물이어야 하는데 이는 다문화에 대한 개념적 분석과 콘텐츠에 대한 정의에 기초한다. 다문화콘텐츠를 소비 및 활용하는 대상은 이주민뿐만이 아니라 정주민까지 포괄하는 전 국민이 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점에서 다문화 콘텐츠의 확산 및 보급체계로서의 문화기반시설과 온라인 환경은 중요한 분석 대상이 된다. 현재 개발ㆍ보급되고 있는 다문화콘텐츠의 확산과 보급에 있어 문화기반시설과 온라인 환경은 미래에 더욱 적극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Societal changes due to exponential inflow of migrant workers and migrant women has induced various governmental policy prescriptions under the nominal term of multicultural policy. Many government programs has been labeled with ‘mu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social service, ‘multicultural’ human resource and the forth. These ‘multicultural’ something has often been identified with ‘multicultural content’ in Korea since there had been confusion that implementing multicultural policy would require different package of program contents only targeting the migrant population.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overwhelmingly used ‘multicultural content’ by dissecting the term from both its theoretical base and practical usage of implementation. Definition of ‘multicultural content’ is circumsribed to arts and cultural production as well as distributive process in this study. The role and value of cultural products and cultural facilties are has been emphasized with some evidence of the demand and environment to collaborate both from multicultural perspective.

      • 日本と多文化共生社會

        Pauline Kent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3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학술대회 Vol.2013 No.6

        아시는 바와 같이, 일본을 흔히 「단일민족사회」라 한다. 전 총리인 나카소네 야스히로가 일본사회를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하나의 언어’라고 한 발언은 유명하다. 다시 말해 대부분의 일본인은 동일한 「일본적」인 문화배경을 공유하고 있는 「일본인끼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하나의 진리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인종적으로 보면, 조몬인은 남방(동남아시아)에, 야요이시대 이후의 도래인은 아시아대륙에 기원을 두고 있다. 이들과 일본열도의 재래집단이 다양한 비율로 피가 섞였다고 전해진다. 또 문화적으로 보더라도, 한반도, 중국, 그리고 실크로드가 일본문화에 준 영향은 지대하고, 일본문화 그 자체가 잡종문화라고 불릴 정도로 다양한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여서 일본의 하이브리드(hybrid)문화를 구축하는 데에 한 몫을 하고 있다. 즉, 일본사회는 여러 가지 의미에서 다문화가 만들어낸 결과이며, 현실로서는 일본인 「프로퍼(proper)」와 그 이외의 사람들이 같은 사회를 공유해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다문화공생」이라는 용어가 처음 주요 신문에서 사용된 해는 1993년이다. 가와사키의 외국인단체가 주최한 포럼에 관한 신문기사에서 해외에서 사용되는 「다문화주의」와, 이전부터 일본에서 사용하고 있던 「공생」이 결합한 「일본식 조어」로서 탄생한다. 그리고 1995년의 한신ㆍ아와지 대지진 후에 다시 이 용어가 퍼지고, 동시에 이해가 「볼런티어 원년」이라 불리게 되었다. (「다문화공생」과 「볼런티어」의 활동은 실은 끊을래야 끊을 수 없는 관계이며, 일본 지역에 뿌리내린 다문화공생은 볼런티어활동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대지진 시, 외국인을 위한, 특히 재해 관계에 관한 정보가 부족한 것이 문제가 되어, 고베에 설립된 NPO 다문화공생센터가 활약했다. 외국인에게 정보를 발신할 필요성이 인식되어 센터 이외에는, 예를 들면 FM라디오 Cocoro의 다언어방송도 시작했다. 한편, 1990년에 「출입국관리 및 난민인정법」(90년의 개정입관법이라고도 한다)의 개정에 의해, 특히 남미로부터 온 일계인 주민이 증가하고, 지역생활에서 문화적 배경을 달리하는 주민과 일본인 사이에 다양한 문제가 생겨났기 때문에 로컬적(rocal)인 수준에서 대응할 필요성이 생겼다. 이들을 배경으로 2005년에 총무성에서 「다문화공생에 관한 연구회」가 발족하고, 2006년에 공식적으로 「다문화공생을 추진하는 방침」이 제시되었다. 이 후, 일본에서는 「다문화공생사회」가 글로벌(global)화의 영향을 상징하는 키 워드(key word)가 되어 현재까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는 개념이다. 본고에서는 「외국인」의 유입에 관한 역사적 배경을 언급한 후, 일본의 「다문화공생사회」정책의 배경에 있는 노동부족에 의한 단순 노동자의 이민과 그 후의 일계인 유입에 관해서 설명한다. 그 다음으로 다문화공생사회의 정책이 만들어지는 경위를 소개하고, 그 정책에 근거한 대응이나 대책을 검토한다. 정책으로서 역사가 일천하기 때문에, 금후 일본사회는 어떠한 「다문화공생사회」를 지향해야 하는가, 또 그것을 둘러싼 과제에 대해 고찰해 가고자 한다. Tabunka kyousei is the term used in Japan to denote a multicultural society. It can be translated as multicultural co-existence or multicultural integration, but the original is ambiguous and,more often than not, it is used in the context of Japanese residentsversus non-Japanese residents in a local area. It is still a new concept and therefore is still in the process of being tried and tested. Here I give a brief introduction to the background of multicultural society in Japan and the formation of policy on multicultural coexistence. An influx of workers from overseas that was prompted by the change in the Immigration Laws in 1990, resulted in a sharp increase in workers of Japanese ancestry from South America living and working in Japan under special visa conditions. Cultural misunderstandings prompted the government to address the matter of co-existence in local areas. In 2006 the first official guidelines on multicultural society were announced. However, actual policy implementation has been left up to local governments and NPO’s and here the example of Konan City will be introduced. Although the policy is cited as one way to address the national issue of bringing in workers from overseas to alleviate problems caused by low birth rates and the aging population, the policy itself is targeted towards the dichotomous relationship between Japanese and non-Japanese and I suggest that this limited framework fails to address issues concerned with Japanese multi-tiered cultures and minorities.

      • KCI등재

        글로벌 서비스 러닝과 다문화주의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언어-문화 번역 프로젝트의 사례에 대한 연구

        최영진(Choe, Youngjeen)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9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2

        본 연구는 인문학 분야에서 글로벌 서비스 러닝의 개념이 드러내는 다문화적 실천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19년 여름에 중앙대학교의 영어영문학 전공 학생들에 의해 베트남의 다낭 외국어대학교에서 이루어진 언어-문화 번역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한다. 이 프로젝트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어휘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영어 외래어 및 영어 파생어 및 혼성어에 대한 의미를 베트남어로 번역하여 보조적인 텍스트를 만들고자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원래 영어 어휘가 지니는 의미가 한국어의 문화적 문맥 속에서 변형되어 전혀 다른 뜻으로 사용되는 용례들을 중심으로 그 어휘들의 문맥적 차이를 베트남 학생들과 공유하고 베트남어로 설명된 용례집을 만들기 위한 데이터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을 통하여 한국 학생들은 한국어 구사능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영어 외래어 용례들에 대한 지식을 베트남인 학습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봉사활동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또한 자신들의 전공 영역인 영어를 공통어로 활용하여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학습하는 경험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은 배움을 통해 봉사를, 그리고 봉사를 통해 배움을 만들어가는 서비스 러닝의 기본 취지를 인문학 분야의 학생들이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모델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언어-문화 번역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영어를 공통어로 활용하여 한국의 언어문화와 베트남의 언어문화가 서로 만날 수 있는 장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이 활동은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다문화적 실천이 이루어지는 문화적 장으로서의 의미를 띠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delineate a certain tendency of global service learning in the discipline of humanities, by focusing on its meaning as a multicultural practice. For this purpose, it attempts to analyze one case study on the language-culture translation project for the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hich was carried out as a program for global service learning by the students of English in Chung-Ang university during the summer of 2019. The project incorporated the basic aspects of service learning into the task of translating a list of English-based Korean words into the Vietnamese language. In this task, Korean students performed various group activities of configuring various socio-cultural contexts of English-based Korean words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these words for Vietnamese students. In these processes, Korean students communicated with Vietnamese students in English, which functioned as a lingua franca for this task of cultural translation. The final goal for the project was to make the list of English-based Korean words in Vietnamese. This challenging project paved the way to contribute to the community of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y making the supplementary text for explaining the usages of English-based compounds, blends, and derivatives in Korean language. This aspect of the educational service for global community could be closely connected to the effects of learning that the student participants from both Korea and Vietnam could achieve in their engagement with the activities of cultural translation by way of their special talent, English.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해 본 <다문화콘텐츠연구>의 연구 경향 분석

        강진구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9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2

        The paper carried out a Text Mining Technique for a paper published in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the country’s first multi cultural related journal. The author wanted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and multicultural content in Korea as an analysis of the abstract of the paper, which was published from its inaugural issue in 2006 to its 31st album published in late August 201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rough statistical figures that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has led the nation’s multicultural research through its high quotations index and the establishment of a wide network of researchers.Second, domestic multicultural studies are gradually spreading from multiculturalism to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and to performance verification of multicultural policies, laws and various other multicultural programs. Third,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has seen a sharp decline in its quotations and influence, with the end of its project to support the university’s intensive research institutes. Active solution plan should be taken to solve this problem. Fourth, the regulations on contributions should be revised to suit the convenience of contributors to make it possible for more diverse researchers to contribute, and the excessive number of duplicate postings by some researchers should also be improved. Despite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has great limitations to view the entire study of multicultural and multicultural content in Korea. This is because it only targeted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all the papers published in leading competitive journals were excluded. 이 논문은 국내 최초의 다문화 관련 전문 학술지인 <다문화콘텐츠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실시하였다. 필자는 2006년 창간호부터 2019년 8월말에 발간된 31집까지 게재된 논문의 초록을 분석 대상으로 국내 다문화 및 다문화콘텐츠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콘텐츠연구>가 높은 인용지수와 폭넓은 연구자 네트워크의 구축 등을 통해 국내 다문화 연구를 선도하여 왔음을 통계적인 수치를 통해 확인하였다. 둘째, 국내 다문화 관련 연구가 결혼이주여성이나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에서 점차 다문화 정책과 관련 법, 그리고 각종 다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 검증으로 확산되고 있다. 셋째, <다문화콘텐츠연구>는 대학 중점연구소 지원 사업 종료를 기점으로 인용지수나 영향력 등에서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넷째, 투고 규정 등을 투고자 편의성에 맞게 개정하여 보다 다양한 연구자들이 투고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며, 일부 연구자들의 지나친 중복 게재 등도 개선해야 한다. 이상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 및 다문화콘텐츠 연구 전체를 조망하기에는 큰 한계를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다문화콘텐츠연구> 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경쟁 관계에 있는 유수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모두 배제되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 연계전공 교육과정의 분석

        김기덕(Gi-Deok K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08 다문화콘텐츠연구 Vol.4 No.-

        바야흐로 21세기를 디지털의 시대, 문화콘텐츠의 시대라고 한다. 그 만큼 21세기 정보와 시대에 있어서 문화콘텐츠의 중요성 알 수 있는 말이다. 그러나 국내의 문화콘텐츠에 대한 교육은 아직 기존의 교육 체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가 급변하는 문화콘텐츠의 시대에서 선두 주자가 될 수 있으려면 무엇보다도 이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그 대안의 하나가 바로 문화콘텐츠 연계전공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콘텐츠 연계전공 교육과정은 기존의 원전공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를 연계하는 것이기에 원전공을 다양한 형태의 문화콘텐츠로 응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교육방안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연계 전공은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해 내기 보다는 겉으로 보여지는 교육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으며 단지 교과목의 통합에 거치는 수준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현 시점에서 정말 바람직한 문화콘텐츠 연계전공 교육과정을 정비하고 만들어 나가기 위하여 현행 교육의 실태에 대해 반성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해 봄으로서 대안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21st century in full swing is called the digital era and the cultual-content era. As much as it, it is a word available for knowing importance of cultural contents in information age. However, the education on cultural contents at home is in the reality that still fails to escape largely from the existing educational system. If we may be able to be a front-runner in the rapidly-changing cultural-content era, there will need to be the right education prior to this, above all. One of its alternatives can be said to be just the curriculum in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ultural contents. The curriculum in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ultural contents is what connects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conventionally original major, thereby being able to be said to be very desirable educational plan in the aspect that can apply the original major to cultural contents in diverse forms. However, rather than creating the substantial value, the currently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our country has many cases of remaining in the education of being seen out wardly, and can be said to be a level of stopping just at the integration of curricular subjects. Thus, in order for us to consolidate and to proceed with making the really desirable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ultural contents at this point of time, an alternative plan is thought to be able to be arranged by trying to analyze through reflectively approach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rrent education.

      • 전통놀이를 활용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교육 방안 연구

        장영희(張英熙)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6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학술대회 Vol.2016 No.08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 전통문화 특히 전통놀이를 통해 한국어는 물론 한국의 문화에 관련된 지식을 통합적으로 습득하게 하여 이들이 우리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서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문화는 오랜 역사적 경험 속에서 체계화된 행동양식과 고유의 상징이라는 점에서 한 나라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잣대이기도 하다. 전통문화를 배우고 체험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언어 표현을 통해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속에 나타나는 문화적 지식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전통문화의 활용은 한국어는 물론 문화교육을 통합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결혼이민자 수가 2014년까지 근 10년 사이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세계화와 외국인 노동자의 이주현상 등으로 국제결혼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내다본다. 또한 2014년 다문화가정 학생이 전체 초 · 중 · 고 학생의 1%를 넘어섰다. 특히, 다문화가정의 미취학 아동은 12만 명이 넘으며, 향후 초 · 중 · 등 교육에 진입하는 다문화가정 학생 수는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들이 안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극복과 함께 문화적 차이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우리 문화에 대한 교육이 이제는 다문화정책에 반영되어야 할 시점에 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문화를 교육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전통문화를 떠올리는 것은 당연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 전통문화, 특히 전통놀이를 통해 이들이 우리의 정서와 문화를 이해하고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잘 적응할 수 있는 교육적 접근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