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지닌 가치가 국제결혼가정 자녀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양계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7 No.1

        This study was explored for two purposes. The first was to examine the 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and the second was to find the influence of the school teachers' values on attitudes toward the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For the purpose, 440 teachers from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males had negative cognitive attitude and feeling pity toward the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and they were high in authoritarian personality tendency, pure-blooded ethnic identity, and ethnocentrism. Second, age of 50 over group were higher authoritarian personality tendency, pure-blooded identity and ethnocentrism than the younger groups.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more positive emotional attitude and higher civilized ethnic identity and positivity of multicultural society tha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Fourth, the teachers in the schools including the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were more negative cognitive, negative emotional attitudes, and high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than the opposite. Fifth, in positive cognitive and emotional attitude toward the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positivity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civilized ethnic identity were influencing factors, but, in the negative cognitive and emotional attitude, authoritarian personality tendency and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were influencing factors. Lastly, in behavioral attitude,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positivity of multicultural society, civilized ethnic identity and ethnocentrism influenced to a-little-close relationship formation, but, in close relationship formation, pure blooded ethnic identity and positivity of multicultural society were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of the students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teachers were discussed. 본 논문은 국제결혼가정 자녀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의 태도를 파악하고, 교사들이 지니고 있는 가치가 국제결혼가정 자녀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교사 대상 다문화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학교 내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지도에 도움이 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국내 초·중·고등학교 교사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남자교사들이 여자교사들에 비해 국제결혼가정 자녀에 대한 부정적 인지 및 연민정서가 높고, 권위주의 경향성, 순혈주의정체성 및 자민족중심주의 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0대 이상의 비교적 연령이 높은 교사들이 낮은 연령의 교사들에 비해 권위주의 경향성, 순혈주의정체성 및 자민족중심주의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중·고등학교 교사에 비해 긍정적 정서태도, 문화민족 정체성 및 다문화사회의 긍정성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제결혼가정 자녀가 재학 중인 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들이 국제결혼가정 자녀가 없는 학교의 교사들보다 국제결혼가정 자녀에 대한 부정적 인지 및 정서태도가 높고, 불확실성 회피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국제결혼가정 자녀에 대한 긍정적 인지 및 정서태도에는 다문화사회의 긍정성 및 문화민족정체성이, 부정적 인지 및 정서태도에는 권위주의경향성과 불확실성회피 경향성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제결혼가정 자녀에 대한 행동의 측면 중 가벼운 관계요인에는 불확실성회피 경향성, 다문화사회의 긍정성, 문화민족정체성 및 자민족중심주의가, 친밀한 관계요인에는 순혈주의정체성과 다문화사회의 긍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중·고등학교 내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지도 및 교사대상 다문화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또래 다문화집단과의 직접교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다문화인권교육의 효과성을 중심으로-

        양계민,권오영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2023 법과인권교육연구 Vol.16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youth’s multicultural acceptance on interaction with their multicultural peer group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mong the 2021 National Multicultural Acceptance Survey data, youth multicultural acceptance data for 5,000 adolescents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emale adolescents generally had more multicultural acceptance than male adolesc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had more multicultural acceptance than high school students. Also, rural residents’ rejection of Multiculturalism was higher than those in metro cities, and differences in family economy levels needed to be more consistent. Second, sub-variable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were found to affect the willingness to interact with multicultural groups of their peers. Still, the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ctual inter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changes in multicultural consciousness through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affect interaction with their multicultural peer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youth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이 또래 다문화집단과의 직접교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조사의 자료 중 청소년 5,000명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다문화수용성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여자청소년들이 남자청소년들에 비하여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중학생이 고등학생에 비하여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읍면지역 거주자들의 거부회피정서가 대도시와 중소도시 지역 거주자들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가정경제수준에 따른 차이는 일관된 경향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다문화수용성의 하위변인들이 또래 다문화집단과의 교류행동의지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 교류행동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인권교육을 통한 다문화의식의 변화는 또래 다문화집단과의 직접교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연구의 한계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종단연구분석을 통한 다문화가족 자녀의 성장발달과 정책과제

        양계민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16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1 No.3

        본 연구는 집단의 다문화청소년 집단의 다양성과 일반청소년과의 비교에 주목을 하고 발달상의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그 결과 다 문화패널집단과 일반패널집단의 차이는 전체집단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며,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라 그 양상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청소년이 모두 같은 특성을 지니는 것이 아니며, 적응의 수준은 다양한 것으로 나타 났다.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의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한국청 소년정책연구원의 4년간 종단자료 분석 결과, 긍정적인 측면의 증가와 부정 적인 측면의 증가가 동시에 나타났으며, 중학교에 입학한 것이 다문화청소 년들의 발달상 전환기이고 이러한 요인이 학업성취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사춘기에 들어서면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생각하게 되는 시기에 이르렀을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notes the divers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 groups and the comparison with their ordinary counterparts and analyzes the factors that cause differences in development.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ces between the multicultural panel group and the ordinary panel group were not consistent while the household income level made a difference. More specifically, it was revealed that not all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shared the same trait and their adaptation level varied.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4-year-long longitudinal study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from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o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 found an increase in both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The study suggests that entering middle school is a turn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such a factor could impact their academic performance or satisfaction of life. It also implies a possibility that as their puberty kicks in they have come to a point where they start thinking seriously about their identity.

      • KCI우수등재

        북한이탈주민이 다문화집단에 대해 느끼는 현실갈등인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차별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양계민,이우영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0 No.1

        This study investigated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groups and perceived discrimination as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For the purpose, 273 North Korean defecto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groups, perceived discrimination, life satisfaction. and background variables(sex, age, residence periods in South Korea). Results indicated, at first,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x, age, residence periods in South Korea for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groups,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higher the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groups, the more perceived discrimination, but the lower the life satisfaction. Third, analysis further revealed that the perceived discrimin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future study topics relating to this area were suggested. 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이 인식하는 다문화집단과의 현실갈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지각된 차별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273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남한거주기간 등의 배경변인과 현실갈등인식, 지각된 차별감 및 삶의 만족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북한이탈주민이 지각하는 다문화집단과의 현실갈등인식, 지각된 차별감 및 삶의 만족에서 성별, 연령별, 남한거주기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다문화집단과의 현실갈등인식이 높을수록 지각된 차별감은 높아지고 삶의 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이 지각하는 현실갈등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지각된 차별감이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효과는 경제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미하였다. 따라서 현실갈등인식이 북한이탈주민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지각된 차별감을 통하여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현실적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현실갈등인식과 지각된 경제수준이 이주노동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안녕감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양계민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ttitudes toward the immigrant employees of Koreans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e of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perceived economic level,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e purpose, 1,600 adults who are 30 years old and over completed a questionnaire including measures such as feeling of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subjective well-being, perceived economic level, and the attitude toward the immigrant employee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subjective well-being was the most effective factors in positive cognitive and emotional attitude toward immigrant employees, but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was the most effective in negative cognitive and emotional attitude. Second, perceived economic level influenced to negative cognitive attitude an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attitude.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ppeared in positive cognitive and emotional attitude, but not in negative attitude. Fourth, the interaction effect of subjective well-being was appeared differently in cognitive and emotional attitude toward immigrant employees. 본 논문은 국내 이주노동자에 대하여 30대 이상 한국 성인들이 지닌 태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와 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현실적 갈등인식, 경제적 수준 및 주관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전국의 30세 이상 1,600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주노동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태도의 요소 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첫째, 긍정적 인지 및 정서 태도에서는 주관적안녕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인지 및 정서태도에서는 현실적 갈등인식수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인 인지 태도에 대해서는 경제수준이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정적 인지 및 정서 태도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실갈등인식수준과 주관적안녕감의 상호작용효과는 긍정적 인지 및 정서태도에 대해 나타났고 부정적인 태도에 대해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상호작용효과의 양상이 인지태도와 정서태도 상에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즉, 인지적 태도와 관련하여 현실갈등인식이 높을 때는 주관적안녕감과 상관없이 긍정적 태도점수가 낮으나, 현실적 갈등이 낮을 때는 주관적 안녕감 높을수록 긍정적 인지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정서적 태도와 관련하여, 현실갈등인식이 낮을 때는 주관적 안녕감의 수준에 따라 긍정적 정서 태도가 다르지 않으나, 현실갈등인식이 높은 경우는 주관적 안녕감이 낮을수록 긍정적 정서가 낮아졌다. 따라서 현실갈등인식에 대한 주관적안녕감의 효과가 이주노동자에 대한 태도 중 인지와 정서영역에서 각각 다른 방식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Ⅴ -정책제언-

        양계민,김주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연구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수행되었던 정책제언을 총정리하고,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주요 부처별 정책, 법률 등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국내외 다문화청소년 관련 법률, 다문화청소년 관련 기본계획, 주요 부처별 다문화청소 정책의 현황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그 간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정책제언에 관한 총괄적 분석을 통해 추진여부를 평가하였고, 국내 다문화청소년정책에 대한 SWOT분석을 통해 향후 다문화청소년정책을 위한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도출된 정책의 방향과 과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에서 다문화청소년이 가져야 할 비전은 ‘성숙과 번영의 사회구현’이고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미래사회성장동력 창출이고, 둘째는 차별없는 공정사회 구현이다. 첫 번째 목적인 미래사회성장동력 창출을 위해서는 다문화청소년들이 비(非)다문화청소년과의 학력 및 진로격차를 가지지 않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표이고, 이를 위한 추진전략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역량강화와 지지집단의 역량강화이다. 두 번째 목적인 차별없는 공정사회 구현은 사회의 다문화수용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고, 이를 위한 추진전략은 친다문화적 환경조성과 다문화청소년 지원정책 추진체계 확립을 도출하였다. 각 추진전략별로 총 11개의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and projects for the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analyzing the past policy suggestions from 2011 to 2016 and reviewing multicultural youth-related laws and policies by bureau in the Republic of Korea. For this, it analyzed and assessed the followings: Korean and foreign multicultural youth-related laws and master plans and major multicultural youth policies by bureau. Furthermore, it evaluated if the policy suggestions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and derived and proposed multicultural youth policy direction and projects through SWOT analysis. The directions and projects of the derived policies are as stated herein. The vision that multicultural youth should have is ‘Build Mature and Prosperous Society’, and the purposes are i) to create future growth engine for society and ii) to build an equal and fair society without prejudice. First, to create future growth engine for society, it is targeted to narrow down the academic and career gap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For this, it is needed to help multicultural youth build their competency and strengthen support group’s capabilities. Second, to build an equal and fair society without prejudice, it is aimed to increase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this, it is suggested to build multiculture-friendly environments and establish a multicultural youth support policy promotion system. A total of 11 projects under such strategies were mentioned, and the roadmap for each project was introduced.

      •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Ⅴ -총괄보고서-

        양계민,강경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발달과정을 종단적으로 추적함으로써 다문화청소년들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둘째, 이를 기초로 다문화청소년의 역량강화 및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셋째,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정책대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2011년 초등학교 4학년이었던 다문화청소년집단을 2016년까지 종단추적을 하였고, 2017년도 역시 7년차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2017년도 연구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 간 수행된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연구 과정 및 결과를 총정리하고, 둘째, 6년간 축적된 자료의 종단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다문화청소년의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이들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정책의 효과성을 살펴보며, 셋째, 패널 학술대회를 통해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제고하고 다양한 연구물을 도출하고, 넷째, 그 간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와 기존의 각 부처별 다문화청소년 관련 정책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다문화청소년정책의 방향과 과제 도출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지속적 연구를 위해 2017년도 패널자료를 구축하는 것도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종단자료 분석에 따르면 첫째, 패널자료의 종단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의 변화궤적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부모의 학력, 월평균수준 등이 도출되었다. 셋째, 정책지원의 영향과 관련하여 학습지원경험은 다문화청소년의 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문화지원경험과 물적지원경험이 청소년들의 심리적응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분석에서는 국가의 법령, 기본계획, 부처별 정책을 분석하였고, 그에 따른 한국다문화청소년정책의 SWOT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간 본 연구에서 제언한 정책들의 추진여부를 분석한 후, 이들에 근거한 다문화청소년정책의 추진전략 및 추진과제를 제안하였다. 추진전략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역량강화, 지지집단 역량강화, 친다문화적 사회환경조성, 다문화청소년 지원정책 추진체계 확립이라는 총 4가지 추진전략을 제안하였고, 각 전략에 따른 총 11개 추진과제를 제안하였으며, 각 추진과제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tracing their development process and provide basic data which can help them strengthen their competency and accelerate social integration with a goal of bringing policy alternatives. For this, a longitudinal study was performed on multicultural youth groups from 2011 (4th graders at that time) to 2016. In 2017 as well, data were collected. The purposes of the 2017 study are as follows: i) to summarize the past multicultural youth longitudinal study processes and results, ii) to investigate multicultural youth development processes by analyzing longitudinal changes in the data accumulated for the past six years and examine the factors and policies affecting their development iii) to improve researchers’ interest in multicultural youth and derive diverse studies through academic conferences, iv) to set general multicultural youth policy directions and missions after analyzing the past results and current related policies by government bureau. For a continued study, furthermore, the organization of the 2017 panel data was also included in this study.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changes of panel data,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rajectory of change between general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Second, in term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youth, gender,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were obtained. Third, regarding the influence of policy support, while learning support didn’ 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youth, cultural and physical suppor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In terms of policy analysis, laws, basic plans and each bureau’s policies were analyzed. In addition, SWOT was conducted on Korean multicultural youth policy. After analyzing whether or not the suggested policies were actually implemented, this study proposed multicultural youth policy promotion strategies and projects. In terms of promotion, the following four strategies were suggested: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youth competency, strengthening support group competency, formation of multicore-friendly environments, establishment of multicultural youth promotion system. Under such strategies, in addition, a total of 11 projects were mentioned. Then, the roadmap for each project was introduced.

      • 2022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 : 총괄보고서

        양계민,이정민,정윤미,엄진섭,장윤선,전경숙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는 다문화청소년의 성장 및 발달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발달추이를 분석함으로써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과학적 정책수립과 추진을 위한 근거마련을 하는 것이고, 둘째는 구축된 기초자료 및 다문화청소년 정책현황을 분석함으로써 다문화청소년 지원정책의 방향성을 확립하고 보다 면밀한 정책대안을 수립하는 것이다. 2022년도의 중점 목표로 후기청소년기 다문화청소년의 고졸이후 진로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을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성장으로 고졸이후의 후기청소년기 연령층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문화청소년의 경제활동비율이 일반 청소년 고용비율에 비하여 낮은 현상을 보이고있었다. 둘째, 정책분석 결과 후기청소년기 다문화청소년 지원정책은 한국어교육과 직업교육에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지원정책에 대한 다문화청소년들의 인지도는 높지 않은 편이며, 알고 있어도 접근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년지원정책에 대한 이용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청년지원정책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접근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총 다섯 가지 정책을 제안하였다. 첫째, 후기청소년기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중앙부처의 전담부서 신설 및 정책추진방안, 둘째, 후기청소년기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정보제공 앱 개발 및 보급방안, 셋째, 후기청소년기 이주배경청소년 대상 정기 글로벌 취업박람회, 넷째, 이주배경자 진로멘토링 및 네트워킹 지원사업, 다섯째, 후기청소년기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맞춤형 진로취업지원사업 등이다. This study was accomplished for two purposes. The first is to provide the foundation of the scientific policies establishment and propulsion for the youth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by obtaining basic data o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and by analyzing their developmental changes. The second is to set a direction of policies for the youth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make the detailed policies by analyzing the established panel data and current policies for them. The main research goal of 2022 is to understand the career paths of the youth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in their late adolescence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and explore policy measures for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youth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in their late adolescence has increased as they grew, and the rate of such youths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is lower than the employment rate of other youths. Second, the analysis of relevant policies found that those designed to support the youth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in their late adolescence were limi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Third, only few youth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are aware of such policies, which they have the difficulties to access even when they were aware of such measures. However, those who have the experiences of the policies were highly satisfied, which suggests the need to raise youth awareness of such measures and improve accessi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ive policies: 1) the installation of a department in the central government for the adultescence’s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and the management of relevant policies; 2)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an app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adultescence’s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3) a regularly held global job fair for the adultescence’s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4) a career mentoring and networking support project for the adultescence’s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and 5) a tailored career employment support project for the adultescence‘s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