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적외항선사의 경제적부가가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성윤 ( Sung Yhung Lee ),안기명 ( Ki Myung Ahn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1 해운물류연구 Vol.27 No.4

        해운산업은 선박을 통해 주된 영업활동을 수행하며, 선박확보에 거대 자본이 소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재무환경구성 및 수익과 초과이익 창출에 중요한 요인이 되며, 나아가 기업가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기업가치는 선박확보에 필요한 타인자본 조달비용에게 까지 영향을 미치는 순환관계를 이루게 된다. 또한 선박확보에 투하된 자본에는 타인자본과 자기자본까지 포함되며, 이는 이 두 자본에 대한 비용을 상회하는 가치 즉, 수익이 창출될 때 국적외항선사의 기업 가치는 증대될 것이고, 재무구조 또한 개선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자본비용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경제적부가가치를 통해 국적외항선사의 가치를 살펴보고, 재무의사결정 및 영업의 결과가 반영된 재무요인간의 관계를 규명해보자 하였다. Shipping companies have a unique financial structures which are affected by a huge volume of invested capital to the vessel. An optimum investment strategy on the vessel gives shipping companies the maximized firm value. For evaluating more accurate firm value, accounting information has a limitation that contains only borrowed capital cost information but EVA has a usefulness that contains the information of borrowed and stakeholder`s capital cost.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tudies what financial characteristics as a financial decision-making are effect to economic value added as the firm value in the Korea shipping industry. As results of panel data analysis by EVA and financial indicators, operating income to sales, return on asset and net income to sales are observed by critical factors with EVA. As operating income to sales shows a regression coefficient of 0.84508, it can b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EVA. Finally, operating income to sales and return on asset show a positive coefficient with EVA but net income to sales observed a negative coefficient. This result is likely driven by the financial cost. Although a negative relationship is observed, operating income to sales need to be considered as a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firm value. It can be explained that determinants of firm value is variety by purpose of firm value estimate and industri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가치외교의 부상과 가치의 ‘진영화’: 강대국 사례와 한국 공공외교의 방향성

        김태환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9 문화와 정치 Vol.6 No.1

        Public diplomacy has been rapidly evolving since the turn of the century. For the past decade, particularly notable is two trends— the upsurge of advocacy public diplomacy and the rise of value diplomacy. The four great powers — the United States, Japan, China and Russia — , by upholding specific values embedded in their national identity in their foreign policy, pave the way towards the clash of values, or “blocization” of values, in the global context. “Blocization” of values in this century, unlike in the Cold War era, essentially builds on deleterious identity politics, which is revealing exclusionary collective resentments based on national, ethnic, religious,sectarian, and/or other primal identities and trumpeting anti-liberalist values. Value “blocization” of today thus takes place in the form of scattered confrontations between different national and primal identities, in contrast to the two clashing ideological blocs consolidated in the Cold War era. In the current global context of value blocization, it is crucial for non-great powers to espouse impartial and inclusionary values and roles to prevent the value blocization from degenerating into violent conflict and confrontation. A good starting point of converting the current exclusionary politics into inclusionary politics would be not hurriedly join either of the blocs, but uphold neutral and inclusive values, such as peace, coexistence and reconciliation. 금세기 들어 공공외교가 외교의 새로운 실천 분야로 급부상하면서 빠른 진화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근 10여 년간 특히 ‘주창형 공공외교’와 ‘가치외교’의 부상이라는 트렌드가 두드러진다. 미국, 일본, 중국 및 러시아 등 강대국들의 가치외교는 국제사회에서 오늘날 발현되고 있는 정체성의 정치의 맥락에서 자유주의 대(對) 대항 자유주의라는 형태로 ‘가치의 충돌’ 또는 ‘가치의 진영화’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오늘날 형성되고 있는 가치의 진영화는 민족/국가는 물론, 인종, 지역, 문명, 종교, 종파에 근거한 배타적인 집단 정체성의 정치가 자유주의와 이에 대항하는 가치의 대립으로 표출되고 있으며, 따라서 과거 냉전기와 같은 공고화된 두 진영 간 대립이라기보다는, 상이한 정체성에 따라서 대립과 갈등이 여러 전선에서 복합적으로 표출되고 있는 ‘분산된 대립(scattered confrontations)’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들 국가들의 가치외교가 지정학적 경쟁과 결합되어 국제질서의 변화를 추동하고 있다. 가치의 진영화라는 국제적 맥락에서는 어느 일방의 가치를 배타적으로 주장하기보다는 정체성과 가치의 상대성을 인정하고 상대방과의 차이를 포용적으로 수용하는 노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한국 공공외교의 가치·아이디어는 중립적·포용적 정체성에 기반을 둔 ‘평화’와 ‘공존’과 같이 집단적 정체성을 구성할 수 있는 핵심 요소들이 동심원을 그리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자아가치관 검사 타당화 연구 -자아가치관 일치도 척도를 중심으로-

        유정미,김정규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ation of the self-concept inventory focusing on the self-concept congruence part which was lack previously. This study formed the clinical group consists of 24 schizophrenic patients, 15 bipolar disorder patients, and 20 alcohol dependent patients who are the age between 20 and 60 and the non-clinical group of 170 who are similar in age and education. The study subjects were tested for self-concept inventory, MMPI168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BAI (Beck's Anxiety Inventory), and SEQ (Rosenberg Self-Esteem Questionnaire). In reliability test of the self-concept inventory was showing high level of reliability. To get the criterion related validity,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f covariance letting the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 of both clinical and non-clinical group as the covaria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score of schizophrenic and alcohol dependent patients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every scal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discriminant analysis to test the criterion related validity, the validity hit ratio was 67.7% when the whole clinical group was tested. However, when the test was conducted to the group excluding the bipolar disorder patients, the criterion hit ratio was higher at 80.4%. When excluding the group of bipolar disorder patients, the self-concept inventory divided the groups significantly. To get the construct validity, this study compared the correlations of the self-concept inventory, MMPI 168, SEQ, and BAI scores.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concept inventory and SEQ while there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concept inventory and the sub-clinical scales of BAI and MMPI 168.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s in the self-concept congruence and deleted 32 questions out of 76 self-concept congruence questions and added five questions comprising the total of 49 question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test.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self-concept inventory is very reliable test enough to be usedat actual clinical practices and suggest that it would be a great scale to detect the change of the patients at actual practices through researches on self-concept congruence scale.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som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considere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through the suggestions for the succeeding studies. 본 연구에서는 다면적인 자기 개념(self concept)을 측정하는 자아가치관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검사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미흡 했던 자아 가치관 일치도에 대한 연구를 보강하여, 자아 가치관 일치도의 문항 분석을 추가하고, 모호한 문항을 수정하였다. 본 연구의 임상 집단은 사고장애나 망상이 극심하지 않으며, DSM-IV 축 2 장애가 공병하지 않는 정신과 입원 환자들로, 정신분열병 환자 24명, 양극성 장애 환자 15명, 알콜 의존 환자 20명으로 총 59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비 임상집단은 그들과 연령과 학력이 대응되는 비 임상집단 170명의 자료가 분석이 실시되었다. 자아가치관 타당화 연구에 사용된 검사지는 자아가치관 검사와 수렴 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MMPI 168 적응검사(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BAI(Beck's Anxiety Inventory), SEQ (Rosenberg Self-Esteem Questionnaire)였다. 이 검사지들은 선행 연구와 다른 척도 중 널리 쓰이는 검사지를 통해 검증하기 위해 선정 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가치관 검사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 alpha는 현실적 자아가치관에서 .817-.887, 자아가치관 일치도에서 .913-.941였으며, Spearman-Brown coefficient는 현실적 자아가치관은 .67-93, 자아가치관 일치도는 .87-.93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둘째, 자아가치관 검사의 기준타당도를 구하기 위해 임상집단과 비 임상집단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을 공변인으로 하고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신분열병과 알콜 의존 집단은 비 임상집단보다 모든 척도에서 유의미하게 점수가 낮았으나, 양극성 장애 집단은 비 임상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추가적으로, 기준타당도 검증을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대상인 모든 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했을 때는 전체 판별적중률은 67.7%였고. 양극성 집단을 제외 판별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판별적중률은 80.4%로 높아졌다. 양극성장애 집단을 제외 하였을 때 자아가치관 검사는 임상 집단 간 서로 의미 있게 구분하였다. 셋째, 자아가치관의 구성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자아가치관검사와 MMPI 168 적응검사, SEQ, BAI의 점수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자아가치관 검사와 SEQ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BAI와 MMPI 168 적응검사의 하위 임상척도들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볼 때 자아가치관 검사는 높은 신뢰도와 기준타당도, 구성타당도를 확보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자아가치관 일치도의 문항분석을 통해 자아가치관 일치도 76문항 중 32문항을 삭제하고 새로 5문항을 추가하여 총 49문항으로 자아가치관 일치도 척도를 재구성 하여 검사의 효율성을 증가시켰다. 연구 결과, 자아가치관 검사가 임상 현장 및 상담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만큼 신뢰로운 검사이며, 임상 및 상담 현장에서 좋은 척도가 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KCI등재

        가치탐구활동으로서의 소설교육

        우신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6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novel reception. Because it is very critical to connect between the novel reception and reader's real lif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ry to show that novel is multilayered text encouraging the value inquiry activity of students. In this process, value inquiry activity emerges as an important issue. Emphasis about contextual ethics and moral imagination let us recognize narrative ethics. But correlation of novel's special form with ethics did not get satisfactory attention. This study discussed that reader's value inquiry activ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novel's multilayered form that assume shakes a fixed and indoctrinated value system. By looking into the <A Autobiography that isn't written> written by Lee Chung jun, we discovered that the value inquiry activity of the reader are derived from the relation between three levels, that is the story level, discourse level and context level. In the story level, we analyzed disunited subject, repetition and variation of the original experience and the set of the allegorical space. We studied the discourse structure of sentence and the statement, array of internal speech, diary type and end structure which is opened in the discourse level. In the last one, the context level, we analyzed the suppression of The Other, the testimony of generation consciousness and the writing as rebellion. With these analysis, we figured out that the realization of the value inquiry activity in the novel education is required to organized in the relationship of form of the novel-three levels, that is the story level, discourse level and context level- and value inquiry activity. Furthermore, the realization of novel education should contain the voluntary activity of student through sharing the value problem in the text and using imaginary reasoning. 허구서사로서의 소설이 그 교육적 의의를 표명하고 학습자의 삶과 맞닿기 위해서는 소설수용이 갖는 윤리적 가능성이 해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소설수용이 학습자에게 가치탐구활동을 촉발하는 다층적 텍스트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상황윤리와 도덕적 상상력에 대한 강조는 소설의 윤리성을 재인식하게 하였지만, 소설의 형상성과 독자의 윤리성의 연관 관계는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었다. 본고에서는 소설의 다층성이 독자의 가치탐구활동을 촉발한다고 보고 이러한 다층적 층위가 독자의 가치탐구활동을 추동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청준의 「쓰여지지 않은 자서전」을 주된 텍스트로 하여 텍스트의 이야기 층위, 담론 층위, 맥락 층위의 가치소가 상호연관되면서 독자의 가치탐구활동을 유도함을 밝혔다. 이야기 층위의 가치소로는 분열적 주체, 원체험의 반복과 변주, 알레고리적 공간 등의 설정이 분석되었다. 담론 층위의 가치소로는 선고와 진술의 담론 구조, 내적 발화의 나열, 일기 형식과 열린 결말 등의 설정이 분석되었다. 맥락 층위의 가치소로는 대타자에 의한 억압, 세대의식의 증언, 반역으로서의 쓰기 등의 설정이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가치탐구활동으로서의 소설교육은 소설텍스트의 가치소가 학습독자의 수용을 통해 활성화되는 과정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텍스트 속에서 일어나는 가치문제를 분유하고 상상적 추론을 통해 대안을 생성하는 학습자의 능동적 활동 중심으로 설계되어야 함을 밝혔다.

      • 환경·경제 통합분석을 위한 환경가치 종합연구

        이창훈 ( Chang-hoon Lee ),곽소윤,김충기,배현주,서양원,안소은,강완모,김지은,신정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사업보고서 Vol.2016 No.-

        본 연구의 목적은 네 가지 측면에서 환경가치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결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오염원과 환경매체 대부분을 포괄한다. 기존의 전통적인 대기 및 수질오염물질뿐만 아니라 주요 유해화학물질도 포함하며, 이들의 영향경로인 대기, 물, 토양 등 모든 환경매체를 포함한다. 둘째, 이들 환경매체를 통해 영향을 받는 모든 수용체를 포괄한다. 즉 본 연구는 환경질의 변화가 인간(건강), 생태계, 물적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화폐가치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본 연구는 아래에서 설명할 `영향경로분석` 등 생·물리학적 방법론과 경제학적 방법론을 결합한 방법론을 취한다. 따라서 생태학자, 대기과학자, 보건학자, 경제학자 등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다학제적 연구를 통해 경제학에 치중한 기존 환경가치연구에 비해 좀 더 신뢰성 있는 환경가치 정보를 제공하자 한다. 넷째,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사람들의 효용에 기반한 경제학적 접근법을 `화폐화`의 기본방법론으로 사용하나, 이외에도 다양한 공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동일한 대상의 가치에 대해 비교 가능한 결과물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구체적 결과물은 환경가치에 대한 종합 DB이다. 1차년도(2016년) 연구를 통해 생태계와 대기환경, 물환경, 소음, 화학물질 등의 환경 영역별 기초연구 및 건강영향 가치평가 방법론 검토를 바탕으로 환경영향 정량화와 화폐화 연구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향후 10년간의 중장기 연구계획을 수립 했다. 1차년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한 생태계 가치평가, 건강영향 가치평가, 대기환경 영향평가, 물환경 영향평가, 소음 영향평가, 화학물질 영향평가의 구체적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계 가치평가는 생태계 유형분류(안)를 바탕으로 기후 조절 서비스 인자로서 생태계 탄소 흡수 및 저장 서비스의 생·물리적,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고, 중장기 생태계 서비스 통합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단계별 주요 연구내용과 세부 추진계획 수립을 목표로 했다. 생태계 유형분류(안)의 경우, 해외 선진 사례와 환경부 토지피복분류체계 기반을 바탕으로 국내 생태계 조건에 맞는 7개 대분류(도시지역, 농경지, 산림, 초지, 나지, 담수, 해양)와 생태계 기능을 고려한 20개의 중분류로 구성된 생태계 유형분류(안)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생태계 기능 평가단위로 활용하였다. 국가 표준 계수 및 통계량, GIS와 InVEST 프로 그램으로 계량화된 2010년 기준 국내 산림 생태계의 연간 총 탄소 흡수량은 1,470만 톤, 생태계의 총 탄소 저장량은 약 10억 톤으로 추정되었고, 도시화와 산림 벌채 등의 토지전용으로 인해 지난 20년(1989~2009년)간 약 6,900만 톤의 탄소가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 흡수 및 저장량에 대한 경제적 가치는 시장가격과 탄소의 사회적 비용 측면에서 추정 되었다. 시장가격으로 국내 탄소배출권 평균 매매가격인 4만 1,450원/t C을 적용하면, 산림의 연간 탄소 흡수는 6,124억 원, 생태계의 탄소 저장은 41조 4,915억 원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토지전용에 따른 탄소 배출로 2조 8,642억 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탄소의 사회적 비용에 대한 연구가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적정 할인율 3%일 때의 미국의 경우인 탄소의 사회적 비용 13만 3,150원/t C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산림의 연간 탄소 흡수는 1조 9,674억 원, 생태계 탄소 저장은 133조 2,832억 원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토지전용으로 인한 탄소 배출로 9조 2,007억 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치평가는 추정방법 및 모형, 할인율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과 활용 목적에 적합한 비용 추정이 필요하고, 연구에서 도출된 가치는 특정 수치가 아닌 적용 가능한 수치 범위로 해석되어야 한다. 둘째, 건강영향 가치평가에서는 환경유해요인이 건강에 끼치는 영향과 그 영향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단위가치에 대해 살펴본 후, 중장기 연구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대기와 물환경, 화학물질 등 세부 부문에서 환경 오염원으로 인해 피해가 예상되는 건강종단점을 유형화한 후,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유형별 단위가치 정보를 목록화하였다. 건강종단점은 사망 및 질병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사망과 질병을 한 단위로 보는 장애보정생존연수도 널리 활용되고 있었다. 사망에 따른 건강영향의 가치를 도출하는 데 있어 활용 가능한 방법론은 크게 인적자본 접근법과 회피행위 접근법, 진술선호 접근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통계적 생명가치의 개념을 활용하여 사망 위험 감소의 편익을 도출한 다수의 사례가 있었지만, 연구대상 시나리오의 주제와 활용된 방법론, 제시확률이 상이해 대푯값을 찾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질병에 따른 건강영향의 경우, 가치 도출을 위해 인적자본 접근법과 지불의사 접근법의 활용의 가능하고, 다수의 선행연구가 인적자본 접근법에 따른 질병비용분석방법론을 적용해 대상 질병의 단위당 비용을 제시하였다. 조기사망 또는 상병, 장애로 인한 건강한 삶의 손실을 나타내는 장애보정생존연수로 건강영향이 표현된 경우, 방법론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지만, 장애보정생존연수의 정의에 근거하여 통계적 연간 생명가치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유형별 단위가치 정보의 경우, 유형별 도출된 건강영향 결과에 해당 유형의 단위가치 값을 곱함으로써 활용될 수 있다. 각 건강영향과 환경 유해요인별 특성이 반영되어야 하지만 직접적으로 적용 가능한 국내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각 유형별 표준화된 대푯값을 제시하는 데 어려운 측면도 있다. 따라서 유해요인으로 인한 건강영향이 빈번히 나타나는 건강종단점과 세부 질환에 대해서는 기준이 되는 단위가 치를 직접 산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대기환경 영향평가에서는 대기오염물질 중 인체 위해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초미세먼지(PM2.5)를 중심으로 건강영향의 범위를 설정하고, 초미세먼지(PM2.5)로 인한 건강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초미세먼지(PM2.5)의 건강영향 범위는 세계보건기구, 미국환경보호청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설정하였으며, 초미세먼지(PM2.5)의 건강영향에는 조기 사망, 심혈관계 입원, 호흡기계 입원, 심근경색 입원, 천식, 급성기관지염 증상, 하기도 증상, 상기도 증상이 포함된다.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서울시를 대상으로 초미세먼지(PM2.5) 농도 증가로 인한 건강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건강영향은 심혈관계 관련 질환 입원과 심근경색 입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분석대상 인구집단은 연령에 따라 구분 하였다. 인구집단의 연령에 따라서는 전체 연령, 65세 미만 연령집단, 65세 이상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여 대기오염의 건강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10㎍/㎥ 증가하면 심혈관계 관련질환 입원 위험을 4.99%(95% CI: 3.55~6.44) 높였다. 또한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10㎍/㎥ 증가하면 심근경색 입원 위험을 1.57%(95% CI: 0.78~2.37) 높였다. 넷째, 물환경 영향평가에서는 수질오염과 관련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물환경 분야의 가치평가를 위한 중장기 연구 로드맵을 수립하였다. 선행연구들을 크게 수질오염 물질 및 각종 질병 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피해비용 접근법 관련 연구, 헤도닉 접근법 관련 연구, 여행비용법 관련 연구, SP(진술선호)자료 활용 연구, 기타 연구로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물환경 영향평가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론들을 농업 및 산업의 중간 투입요소로 수자원을 고려할 때, 최종 소비재로 수자원을 고려할 때, 환경적 서비스로 수자원을 고려할 때로 구분할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농업 및 산업의 중간투입요소로 수자원을 고려할 때에 주로 활용되는 방법론은 잔존가치평가법, 순수입변화 측정법, 생산함수 접근법, 수학적 계획법 모형, 헤도닉 가격 측정법으로 정리하였다. 최종 소비재로 수자원을 고려할 때 주로 활용되는 방법론은 물 판매로부터 추정된 수요함수 접근법과 조건부 가치평가법, 컨조인트 분석법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또한 환경적 서비스로 수자원을 고려할 때 주로 활용되는 방법론은 피해기준 접근법과 비용 기준 접근법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방법론적 측면과 경로 기반 프레임웍 측면에서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향후 물환경 영향평가는 어느 정도 연구가 이루어진 분야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취합하고 종합 정리하는 방향으로 중장기 연구 로드맵을 수립하였다. 다섯째, 소음 영향평가에서는 소음으로 인한 회피비용 및 생활소음으로 인한 정신적 피해비용과 수면방해를 중심으로 건강 피해비용을 분석하고, 향후 종합적인 소음 영향평가를 위한 중장기 연구 로드맵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음저감 가치평가를 위해 조건부 가치측정법과 같은 행태적 연계방법과 함께 용량-반응함수인 물리적 연계방법을 결합한 통합 연계모형을 제안하였다. 물리적 연계방법을 활용하기 위해 국가소음정보시스템의 자료를 기반으로 물리적 소음에 대한 DB를 구축하였다. 물리적 소음으로 인한 주민의 성가심/불쾌감 수준에 대한 정보 수집을 위해 국가소음정보시스템의 소음측정소 기점 50m 반경 내 인근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다. 또한 행태적 연계방법으로 기존의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활용하여 소음 성가심 감소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지불의사 금액을 설문조사 하였다. 이와 같이 설문조사 자료와 통합 연계모형을 통해 생활소음으로 인한 용량-반응함수를 도출하고, 생활소음으로 인한 성가심/불쾌감에 대한 지불의사 금액을 추정하였다. 소음 피해에 대한 가치 사슬(value chain)을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생활소음 저감에 대한 원단위 정보인 정신적 피해비용 기준을 제시하였다. 소음으로 인한 정신적 피해비용의 원단위 정보와 함께 건강 피해비용을 분석하기 위해 수면방해 중심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정신적 피해비용과 같이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 연계방법을 활용하여 수면방해에 대한 용량-반응 함수와 수면방해 정도에 따른 지불의사금액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생할소음 저감에 대한 원단위 정보로서 수면방해 피해비용 기준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화학물질 영향평가에서는 화학물질에 의한 건강영향 변화를 정량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영향평가 방법론과 평가 단계별로 활용 가능한 자료를 제안하고, 중장기 연구 로드맵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화학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의 정량적 변화 평가와 이러한 변화의 경제적 가치평가에 활용 가능한 정보와 방법론, 평가의 정책적 수요 및 규제 현황 등을 조사하여 건강 영향평가 대상 화학물질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특히, 방법론 및 관련 자료의 활용 가능성 측면에서 위해성평가와의 밀접한 연계성을 감안하여 국가우선관리물질 중 0순위 및 1순위 물질을 평가 대상 우선순위 화학물질군으로 고려하였다. 규제 및 국가 기본계획 대상 물질은 가치 추정값의 정책적 활용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추후 규제 여건 및 시점을 고려하여 기반 연구와 병행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화학물질 배출과 환경오염, 인체 노출, 건강영향 및 경제적 가치 추정의 각 단계별로 적용 가능한 정보 및 방법론 현황에 따라 별도의 시나리오를 적용하도록 제안하였다. 국내 방법론 및 관련 자료의 제약으로 인해 인체 노출 수준으로부터 건강영향의 변화를 추정하는 시나리오에 수은을 대상 물질로 선정하여 시범 적용하였다. 수은의 체내 농도 변화로 인한 지능지수(IQ) 저하를 질병부담 지표인 장애보정손실연수(DALYs)로 산정하여 건강영향의 정량화 사례를 제시하였다. 화학물질의 건강 영향평가 및 경제적 가치 추정을 위한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단기적으로는 1차년도에 이어 우선순위 화학물질 및 시나리오별 방법론 분류를 보다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다음 단계로 화학물질 건강영향 및 경제적 가치평가 방법론을 시범 적용하고, 평가 연계방법론 정립이 필요하다. 끝으로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평가 방법론 타당성 및 자료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본 연구에서 도출된 화학물질 건강영향 및 경제적 가치평가 DB의 정책 활용도를 제고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1차년도 연구사업에서는 환경가치 종합 DB 구축을 위한 환경영역별 기초연구와 중장기 연구계획 수립을 통한 연구추진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일부 추정된 환경가치 정보는 현재 활용 가능한 자료의 시간적 제약과 지표의 불확실성, 적용된 가치평가 기법의 잠재적 한계 등으로 인해 결과 해석 및 적용상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는 2차년도(2017) 및 향후 연구에서 이용 가능한 자료의 추가 확보, 가치 추정 기법의 타당도 평가와 신뢰도 분석 등을 통해 상당부분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현재는 세부 과제 분야별 연구주제가 한정되어 있지만, 국내외 산학연 관련기관과 협력을 통해 전문가 역할분담과 협조방안 등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면서 오염원과 환경매체 대부분, 그리고 환경매체를 통해 영향을 받는 다양한 수용체를 연구 대상에 포함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단위가치 추정 사례연구결과들을 연구 범위 및 분석틀에 맞게 활용하는 방법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Environmental valuation is still at a nascent stage. More precisely, quantitative valuation studies considering complex ecological processes and environmental impact paths are at an early stage. While the online database EVIS(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of KEI is the collection of existing research results, the new integrated environmental valuation DB will adopt the impact pathway approach in order to produce the unit values DB, which also is the long term goal of this project. This new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database will consist of environmental values considering all pathways from pollution sources, transition of environmental media, receptor impacts and to the final monetary values. This study is comprehensive as well as integrated in the following four aspects. First, it encompasses the most pollution sources such as air pollutants, water pollutants, and hazardous chemicals, and the most environmental media such as air, water, and soil, which are the influential routes of these pollutants. Second, it aims to provide quantitative information on the impact of environmental quality changes on humans, ecosystems, and physical capital, which are receptors affected through environmental media. Third, the `impact pathway approach` from source to receptors will be applied to provide more reliable environmental value information. Fourth, the environmental impacts are monetized by the utility-based neoclassical economic approach, but other engineering methodologies are also adopted to give comparable results. In the first research year (2016), we sought to establish a basis for environmental impact quantification and monetization in the various areas including ecosystem services,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noise pollution, and hazardous chemicals, and developed a mid- and long-term research roadmap for the next 10 years.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first year. First, the study focused on the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services of the ecosystem as climate regulation service factors, detailed analyzed by ecosystem type classification. We proposed an ecosystem type classification (draft) composed of 20 subdivisions and used it as a geographical unit of the ecosystem function. Using the national standard statistics, GIS and InVEST program, the annual total carbon uptake of South Korea`s forest ecosystem was estimated to be 14.7 million tons and the total carbon stock of ecosystem to stand at 1 billion tons. 69 million tons of carbon has been emitted during the last 20 years (1989~2009). The monetary value of carbon uptake and storage was calculated by using market prices and social costs of carbon. The monetary value of annual carbon absorption by forests is about KRW 0.6 trillion and carbon stock of the total ecosystem are worth KRW 41.5 trillion if the average price (2015) of domestic carbon credits of KRW 41,450/t C. In addition, carbon emissions resulting from land use change caused an economic loss of KRW 2.9 trillion. Second, We categorized the health endpoints that are expected to be affected by environmental pollutants in the air, water environment, and chemicals. The health endpoints could be classified into death and disease, and disability-adjusted life year (DALY). The valuation methodologies of the mortality risk were in depth reviewed such as human capital approach, avoidance behavior approach, and statement preference approach.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value of statistical life was derived to assess mortality risk.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a common representative value because the study scenarios, methodologies of valuation were different. In the case of health impacts due to diseases, the human capital approach and the payment method approach are appropriate to derive the value of the disease, and a number of prior studies have proposed cost per unit of the disease by applying the disease cost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human capital approach. There are some methodological issues for the health endpoint of the disability-adjusted life year that represents loss of healthy life due to premature death, injury, sickness or disability.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domestic valuation research, it was difficult to give a standardized value for the health endpoints. A detailed roadmap was therefore developed to fill the gap in knowledge. Third, in the air-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 range of health impacts was set up for ultrafine particles (PM2.5), which are reported to be highly hazardous to human health, and two sorts of the impacts were evaluated quantitatively. The health impacts of PM2.5 were defined as early death, cardiovascular hospitalization, hospitalization, myocardial infarction admission, asthma, acute bronchitis symptoms, subclinical symptoms, and upper respiratory symptoms. We quantitatively assessed the health impacts of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PM2.5 in Seoul for the period from 2007 to 2015. The health impacts were analyzed based on cardiovascular-related disease admissions and myocardial infarction admissions. The health impacts of air pollu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population, including the general population, the age group below 65, and the age group of 65 and above. As a result, the risk of hospitalization for cardiovascular diseases increased by 4.99% (95% CI: 3.55~6.44) when the concentration of PM2.5 increased by 10 ㎍/㎥. In addition, the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increased by 1.57% (95% CI: 0.78~2.37) when the concentration of PM2.5 increased by 10 ㎍/㎥. Fourth, in the water-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n water pollution were reviewed, and a mid-and long-term research roadmap was developed. The methodologies of wate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an be classified by considering water resources as intermediate inputs of agriculture and industry, final consumer goods, and environmental services. Water resources are considered as intermediate inputs of agriculture and industry in the following methodologies such as the residual value method, the net income change method, the production function approach, the mathematical programming method, and the hedonic price measurement method. They are on the other hand treated as a final consumer goods in the estimated demand function approach, the conditional valuation method, and the conjoint analysis method. Lastly, they are also identified as an environmental service by the damage standard approach and the cost standard approach. To cover various methodological issues, a roadmap for the wate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as developed. Fifth, in the noise impact assessment and valuation, the cost of avoiding noise, the cost of mental damage due to living noise, and the cost of health damage based on sleep disturbance were analyzed, and a roadmap for comprehensive noise impact evaluation was developed. In this study, we proposed an integrated linkage model that combines the behavioral linkage method such as the conditional value measurement method and the physical linkage method, which is a dose-response function for the noise reduction. In order to utilize the physical linking method, a database on physical nois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data of South Korea`s National Noise Information System.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annoyance/discomfort level of the residents due to physical noi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residents near the 50 m radius of the noise measurement sites of the National Noise Information System. In addition, we surveyed the local residents` willingness to pay to reduce noise annoyance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s a behavioral linkage method. In this way, the dose-response function of the living noise is derived from the survey data and the integrated linkage model, and the willingness to pay for alleviating annoyance/discomfort due to daily noise is estimated. Based on the value chain of noise damage, the cost of mental damage, which is the unit value of the reduction of daily noise, is presented. The assessment of sleep disturbance due to noise was also carried out to analyze the cost of health damage. In addition to the cost of mental damage, the integration-linkag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is used to analyze the dose-response function of sleep disturbance and the amount of pay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sleep disturbance. Finally, the study assessed the quantitative changes in the health impacts of chemicals and localized the available information and valuation methodologies.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lose linkage with the risk assessment, chemicals of the priority levels 0 and 1 in the National Priorities List of hazardous chemicals were considered as priority chemicals. Then, the study proposed to apply separate scenario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nd methodology applicable to each stage of chemical emissions, environmental concentration, human exposure, health impacts, and monetary valuation. Considering existing domestic studies and related data, mercury was selected as a case target substance to estimate the change of health impact by human exposure level. The decline of intelligence quotient (IQ) caused by changes in mercury concentration in human body was calculated by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DALYs), which is an indicator of disease burden. The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for health impact valuation of chemicals are as follows. In the short-term, it is necessary to further refine the classification of priority chemicals and scenario-specific methodologies presented in the first year. The next step is to pilot the chemical health impact assessment and monetary valuation and establish a linkage of both methodologies. Finally, it is to minimize the uncertainty an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methodology and the reliability of the data.

      • 가치다원화시대의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공동체 가치관 교육에 관한 연구 - 싱가포르의 공동체 가치관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김희수 ( Kim Hee-soo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 2014 실천유아교육 Vol.19 No.-

        오늘날 세계화·정보화·다원화라는 개념이 우리 사회에 새로운 가치관들로 확산되면서 가치혼란과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가치관의 변화가 초래한 역기능들이다. 물론 사회구성원의 다양한 가치들의 어떤 것들은 보다 창조적이고 효율적이며 진취적인 성향이 있기도 하다. 하지만 장차 사회의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다문화가정의 소외는 우리 사회의 기본적인 질서를 뒤흔들어 놓을 수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미 다문화가정이 10만 세대를 넘는 현실에서 사회구성원의 다양한 가치들을 조화, 융합시킬 수 있는 가치다원화시대의 체계적인 교육이 정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사회질서를 파괴하는 그릇된 가치관의 확산을 저지하고 바람직한 가치관을 사회에 심어줄 가치 정립의 교육 또한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유아교육단계에서 다문화교육을 주도할 예비교사교육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된 바가 없다. 이에 정서적 발달적 측면에서 가장 민감한 유아기의 교육을 담당하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바람직한 공동체적 가치관 교육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예비유아교사들에게 교원양성단계에서에서부터 필요한 가치다원화시대의 공동체적 가치관 교육의 방향을 싱가포르의 사례를 통해 제언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on community value education for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an age of value pluralism. Recognising the interrelationship of education and society, and the way social values are embedded in the educational procee is useful. Education influences and reflects the values of society, and the kind of society we want to be. It is important, therefore, to recognise a broad set of common values and purposes that underpin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and the work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Finally, the pre-service teachers planning to take on long-term practice, to obtain adequate community value education about fields, to adjust to their roles as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d to establish reasons for long-term practices within the limited experience available due to a lack of long-term practice programs.

      • KCI등재

        시장지위와 제품특성이 소비자의 소비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영일(Lee, Yeoung-Il) 한국상품학회 2009 商品學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소비자가 소비 상황에서 지각하게 되는 가치를 Holbrook(1999)의 주장에서 제기된 8가지의 가치로 분류하여 우리나라 소비자가 이러한 가치를 지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과 개별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시장지위에 따라서 이러한 가치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또한 구매상황에서 소비자가 고려하는 제품특성에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가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연구에서는 Holbrook(1999)의 가치 분류와 같이 소비자들이 8가지의 가치를 사회지향적 가치와 자아지향적 가치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시장지위에 따라서도 각 가치의 차이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제품특성에 따라서도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가치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지위에 따른 소비자의 가치 지각은 연구에서 주장한 것과 같이 시장지위가 높은 브랜드들이 시장지위가 낮은 브랜드보다 높게 나타났으며,8가지 가치 중 윤리의 경우는 연구의 가설과 같이 시장지위가 낮은 브랜드가 높은 브랜드 보다 높게 나타났다.또한 쾌락적 제품의 경우가 실용적 제품의 경우보다 소비자 가치 지각이 높게 나타났으며,자아지향적 가치와 사회지향적 가치의 구분에서는 제품특성에 따른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perception of consumer value of product characteristics and market position of brand. The consumer value is based on 8 types consumer value of Holbrock (1999). Also we tried to reserch about difference of perceived value of consumer at purchase situation. Results support the different value perception of consumer that consumer recognize value perception of two types which are the self-oriented value. And also consumer recognize difference of value according to market position of brand and product characteristics. the value perception of brand which is high market position is higher than brand which is low market position. Bur the value perception of brand which is low market position is higher than brand which is high market position in the case of the value of ethics of 8 types consumer value. And hedonic goods are higher the value perception than utility goods. And there are not the difference of value perception in the case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sepf-oriented value and the other-oriented value.

      • KCI등재

        관료의 행정가치 재고찰

        박형준(Hyung Jun Park),이명석(Myungsuk Lee),김근세(Keun Sei Kim),최상옥(Sang Ok Choi),임주영(Joo Young Lim) 한국정책과학학회 2013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7 No.3

        행정가치란 일반적으로 공무원들이 행정활동에서 지침으로 삼아야할 행동원리 또는 규범이자, 행정이 추구하는 방향이다. 현대행정학의 발달에서부터 정치행정 일원론과 이원론에 논쟁에 따라 민주성과 효율성이 행정의 주요가치로 등장하면서 지금까지 관리적가치와 정치적가치들이 주요한 행정의 가치로서 간주되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의한 행정과 정책의 최종결정이 이루어지면서 실제 관료들이 추구하고 행동의 원칙으로 삼아야할 규칙으로서 헌법적가치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문제인식하에 본 연구는 어떠한 행정의 가치들이 실제 공무원들에 의해 인되고 있으며, 행정가치간의 상대적 중요성은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21개의 행정가치를 추출하고 Rosenbloom의 행정가치군 분류인 헌법적가치, 관리적가치, 정치적가치로 분류하여 계층화하였다. 또한, 행정가치간의 상대적 중요성과 가중치 탐색을 위해서 계층적 분석과정기법(AHP)를 적용하여 중앙공무원 93명의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헌법적가치가 가장 상대적 중요도가 높았으며 정치적 가치의 상대적 중요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21개의 행정가치중에서 헌법적 가치인 인간의 존엄성이 가장 중요한 가치로 밝혀졌으며, 다음으로 청렴성, 합법성 등의 순서로 발견되었다. 그리고 예상외로 효율성과 민주성 등의 가치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the boundaries and comparative meanings of administrative value among 21 various public administrative values.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ve values is often fundamental problem in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policy, We need to revisit the Rohr and Rosemblem"s argument of administrative value and Wilson"s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idea" and should re-think the public administrative value and bureaucrat role. We classify three administrative values, consitutional, managerial, and political vale and compare these values how to consider an importance. For this, we use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AHP) and data collected from 93 Korea national government officials. The results show us constitutional value is regard as the most important administrative values and next is managirial value. Political values such as democracy and equality are the lowest among these categorized values. The right of human diginity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values among all administrative values, the second is integrity, the third is legality. The least important value is balance and reconcilability. Interesting is efficiencey and democracy is not too high score in this analysis.

      • KCI등재

        개인 투자자의 회계정보에 대한 지불의사금액 추정: 조건부가치측정법(CVM) 적용

        권상호,유상열 한국회계정보학회 2013 회계정보연구 Vol.31 No.1

        Accounting information has characteristics of public goods, so we tried to assess individual investors' willingness to pay (WTP) for accounting information by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hat is generally used for estimating the value of public goods. Additionally, we tried to estimate the incremental WTP of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K-IFRS) which had been adopted in Korean listed companies since 2011.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survey of adults more than 20 years old was conducted.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investment-experienced group and investment-inexperienced group, and we estimated per capita WTP of each group. The WTP of the investment-experienced group can be thought as a use value, whereas the WTP of the other group can be regarded as a non-use value. A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was used as a method inducing per capita WTP of each group, and logit model was us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Per capita WTP of each group was estimated with media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nnual per capita WTP of the investment-experienced group was about 6,539 Korean won, and that of the other group was about 5,816 Korean won. In addition, we analyzed how much the WTP was affected by K-IFRS. The incremental WTP of the investment-experienced group was almost zero, and that of the other group was 176 Korean won. One of the reasons that the incremental WTP of K-IFRS was very small was thought that many respondents lacked practical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because K-IFRS has been applied since 2011.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we estimated WTPs for accounting information using CVM, not relying on capital markets. The WTP in this paper can be used as a basis of evaluating social benefits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analyzing economic feasibility of producing the information. 본 연구는 회계정보가 공공재적인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공공재의 가치 평가방법인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여 개인투자자의 회계정보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을 평가하였다. 2011년부터 국내 상장법인에 적용되고 있는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에 의한 회계정보의 증분 지불의사금액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서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자를 투자경험자와 투자미경험자로 구분하여 각각의 1인당 지불의사금액(WTP)을 추정하였다. 공공재의 가치는 사용가치와 비사용가치로 구분되는데, 투자경험자의 WTP는 사용가치를, 투자미경험자의 WTP는 비사용가치를 나타낸다. 분석방법은 로짓모형(logit model)을 이용하였고, WTP는 지불의사금액의 중앙값(median)으로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투자경험자의 1인당 WTP는 연간 6,539원이고, 투자미경험자의 1인당 WTP는 연간 5,816원으로 평가되었다. K-IFRS 도입에 따른 회계정보의 증분가치를 추정한 결과, 투자경험자의 1인당 WTP 증분가치는 거의 없었으나, 투자미경험자의 1인당 WTP 증분가치는 연간 176원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2011년부터 국내 상장기업에 K-IFRS가 적용된 점을 감안할 때 K-IFRS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아직은 부족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데 공공재의 가치 평가방법인 CVM이 적용될 수 있음을 보이고, 개인투자자들로부터 구체적인 WTP 금액을 추정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회계정보의 사회적 편익을 산출하고 정보생산의 경제성을 판단하는 데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다. 또한 회계학 분야에서 CVM을 적용하는 다양한 후속연구를 촉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치과대학생의 직업가치

        김동기,이영희 한국인간발달학회 2007 人間發達硏究 Vol.14 No.4

        이 연구는 치과 대학생들이 치과의사직에 대하여 상대적 비교우위를 두고 있는 직업가치가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치과대학생의 직업윤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07년 1학기 조선대학교 치의학과에 재학 중인 270명의 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이 중 유효한 설문지 217부가 분석되었다. 설문지는 1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는데, 이것은 5개 직업가치 요인으로 수렴되었다. 연구 결과, 치과대학생들은 치과의사직에 대하여 자율성의 가치를 가장 크게 기대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경제적 안정, 근무환경, 자기실현의 가치 순으로 기대하였다. 자율성의 가치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지만, 자기실현의 가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고학년 집단은 평균적으로 저학년집단에 비해 자기실현의 가치가 높았다.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아실현의 가치에 대한 기대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지만, 전공만족도가 높다고 해서 경제적 안정에 대한 기대까지 함께 상승하는 것은 아니었다. 졸업 후 연수를 희망하는 학생들이 치과개업을 희망하는 학생들보다 자기실현에 대한 가치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치과대학생들은 치과의사직에 대해 자기실현의 가치와 사회적 가치보다는 경제적 안정과 자율성의 가치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치과대학생의 내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전문 직업윤리 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