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Hepatic Cirrhosis Occurring in a Young Woodchuck(Marmota monax) Due to Vertical Transmission of Woodchuck Hepatitis Virus(WHV)

        Kyu-shik Jeong,정원일,Jae-yong Chung,Mi-young An,Chae-yong Jung,Gyoung-jae Lee,Jong-soo Kang,Byeong-cheol Kang,Young-heun Jee,Bruce H Williams,Young-oh Kwon,Da-hee Jeong 대한수의학회 2003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Vol.4 No.2

        Cirrhosis Occurring in a Young Woodchuck (Marmota monax) Due to Vertical Transmission of Woodchuck Hepatitis Virus (WHV)Da-hee Jeong, Won-il Jeong, Jae-yong Chung, Mi-young An, Chae-yong Jung, Gyoung-jae Lee1, Jong-soo Kang1, Byeong-cheol Kang2, Young-heun Jee3, Bruce H Williams4, Young-oh Kwon5 and Kyu-shik Jeong*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702-701, Korea1Shinwon Scientific Co., LTD, Research Institute, Suwon, Korea2Clinical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0-744, Korea3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90-756, Korea

      • Polystyrene composites containing crosslinked polystyrene-multiwalled carbon nanotube balls

        Kwon, Soon-Min,Kim, Hun-Sik,Kim, Don-Young,Yun, Young Soo,Jin, Hyoung-Joon Wiley Subscription Services, Inc., A Wiley Company 2008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Vol.110 No.6

        <P>Crosslinked polystyrene-multiwalled carbon nanotube (PS-MWCNT) balls, which act as conductive microfillers, were prepared by the in situ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styrene with MWCNTs and divinyl benzene (DVB) as a crosslinking agent. The diameters of the synthesized crosslinked PS-MWCNT balls ranged from 10 to 100 μm and their electrical conductivity was about 7.7 × 10<SUP>−3</SUP> S/cm. The morphology of the crosslinked PS-MWCNT balls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change in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WCNTs was confirmed by Raman spectroscopy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PS/crosslinked PS-MWCNT ball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tensile strength, ultimate strain, Young's modulus, and impact strength of the PS matrix were enhanced by the incorporation of the crosslinked PS-MWCNT balls. In additi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S/crosslinked PS-MWCNT ball composites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PS/pristine MWCNT composites. © 2008 Wiley Periodicals, Inc. J Appl Polym Sci, 2008</P>

      • 수정진동자에 의한 Langmuir-Blodgett(LB) 누적막의 평가

        권영수,장상목,김기완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1 센서技術學術大會論文集 Vol.2 No.1

        AT-cut quartz crystals and SAW devices were applied as immunosensors and chemical vapour sensors coated with PG, PI, PE, PS and lipid A were useful for determine of amylacetate, acetoin, menthone and other organic vapours, which showed different affinities for each lipid. We conducted that the key problems of our sensor system for practical application are life time and reproducibility from our results. The most important points are chemical instability of natural lipid materials and randomness of coating method. In this paper, we combined an artificial lipid with a piezoelectric crystal in order to improve stability of our sensor. LB technique was applied to produce uniform lipid layers on the crystals. Relationships between frequency change and number of LB layer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미디어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환경 프로토타입 개발

        권성호,신영수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웹에서 미디어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미디어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환경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이다. 웹 기반 미디어교육의 설계를 위하여 구성주의 인식론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 과정을 중시하는 탐구기반학습을 교수-학습의 원리로 하여 미디어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환경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살피고, 설계 원리와 전략,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토타입은 미디어 제작과 분석이 탐구를 기반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미디어 개념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제작에 대한 직접적 경험과 성찰, 전문가 모델링을 이용한 성찰로 지속적인 사고를 하는 탐구순환과, 협력활동과 개별지식구성이 이어지면서 지식 구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웹에서의 다양한 자원들을 이용하면서 활동을 위한 비지시적 안내를 통해 학습자들이 주체적으로 미디어를 사용하고 다양한 시각을 접하면서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프로토타입은 앞으로 웹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에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totype of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WBLE) for media education. The necessity of media education is increasing in the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where learners' abilities to use media is strongly demanded. Media education is to develop media literacy, which means that learners can evalu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media in a critical mind and communicate and express their ideas in creative ways. In the media environment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media education must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net space so that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and people's expectation for educational effects result in high demands for Web-based media education.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media education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e position of constructivism. Seeing from the posi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vides learners with learning materials and tools so that they can study by themselves what they want to learn. The Web has potential by nature for realizing learning environment fit for constructivism.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prototype of WBLE for media education, taking inquiry-based learning on the basis of constructive epistemology as the learning principle in designing WBLE for media education. The design principles of WBLE on the basis of inquiry-based learning promote learning activities, which are inquiries and reflections on direct experiences, and support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Finally, learners are guided in resource utiliz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and given directions of learning. This study developed WBLE prototype for media education that determines and reflects design strategies in consistency with the design principles of WB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education and inquiry-based learning. The developed prototype of learning environment includes 'media room' containing elements related to learning activities, 'collaborative room'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my room' related to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Learners' asynchronous communication, learning materials and results, and resources and links in 'resource room' , which are managed in DB, provide diverse types of information to learner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learning through underlying guidance in 'inform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developed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set topics for inquiry, collaborative to produce media expressing the topics, and manage learning process and schedule by themselves. They continue to reflect through expert modeling while acquiring information about how to produce media from 'media producing process' in 'media room' and analyzing existing media products in 'media inquiry' , and on the other hand, they engage in cyclic inquiry through practicing producing and exchanging influence and develop media literacy. This study proposed WBLE for media education, but it must be improved and complement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n the future. First, there should be a plan to induce and motivate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Second, the operation,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learning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developed learning environment. Third, experimental research must be carried out by refining the prototype into an actual system

      • KCI등재

        글로벌·다문화 사회의 통일의식: N세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권영승,이수정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nification consciousness of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so-called the ‘N-generation’ in the global/ multicultural age. By employing ‘focus group interview’ as a research method, it examines these students’ unification consciousness in context, and the process in which unification discourses are formed. These are difficult to find out through existing researches based on survey. Discourses of ‘unification’ as a ‘sacred national goal’ is losing its hegemony in South Korea especially among young generation.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new’ unification consciousness among them. It is worthwhile to analyze them especially because they will develop into the major unification consciousness that South Koreans will share hereafter. The following are findings of this research. ‘N generation’ university students of South Korea consider ‘unification’ more in terms of practical issues, not in terms of a ‘historical right’ or ‘national wish.’ Rather, they tend to discuss ‘unification’ with the issues of ‘social conflict,’ ‘economic gains and losses.’ Unification is mostly considered in terms of the idea of profit that brings advantages to the whole Korean peninsula. The students are also very negative about the idea of ‘rapid unification,’ worrying about potential social disorder and economic damages. This signifies increasing repulsion and indifference about ‘real unification’ among this gen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 현재 ‘N세대’에 해당하는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통일의식을 질적 연구방법론의 하나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방법을 통하여 알아봄으로써 기존의 여론조사로는 파악하기 힘든 내면 의식 및 쟁 점, 담론의 형성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흔히 일반적인 여론조사에서 대다수의 국민들이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하는 것 은 통일이라는 어휘가 가지는 일종의 당위성이 내면 의식 속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통일의 당위성이 청년 세대들을 중심으로 차차 약화되고 있는 상황과 더불어, 이러한 현상을 촉진하는 원인으로 최근 대두되고 있는 글로벌· 다문 화 현상에 주목하였다. 과거 세대보다 자신의 의식에 솔직하고 기존의 통일 교육으로부터 자유로우며, 북한을 단지 한반도 주변국 중 하나로 인식하는 경향성이 있는 N세대의 등장은 분단 이후 지속되어 온 당위성에 의한 통일의식에 균열을 일으키 고 있다. 기존의 여론조사와 같이 통계로 결과를 표출하는 양적 연구가 아닌, 개인의 의식을 보다 심도 있게 다루는 질적 연구는 청년 세대들이 가지고 있는 보다 솔직한 통일의식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서울시 내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N세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론의 하나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지금의 대학생들은 이미 상당 부분 기존의 통일 당위성에서 벗어나 있었으며, 민족적 감정이 아닌 통일 이후에 발생할 사회적 갈등과 경제적 득실, 그리고 한반도의 발전 가능성 등 현실적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통일의 필요성 여부를 사고하고 있었다. 즉, 이제 통일은 점차적으로 한반도 전체에 이득을 가져다주는 실리의 관념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더 이상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 아닌, ‘우리의 소원은 통일로 인한 한반도의 발전’이라는 담론으로 새로이 전환되는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또한 N세대 대학생들은 통일의 실현에 대하여서는 상당한 거부감을 동반한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거부감은 주로 통일이 조속히 이루어질 경우에 닥쳐올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손해에 대한 우려와 맞닿아 있으며, 결국 이러한 우려가 보다 자기주장에 솔직한 N세대들에게서 강하게 표출되면서 실질적인 통일에 대한 거부감 및 무관심이 증대되는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 유·초등학교 교과용도서 장애관련 내용 분석 : Focusing on the Views of Disability

        권택환,김수연,박은영,이유훈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2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성공적 실행은 특수교육뿐 만 아니라 교육 전반의 당면과제이자 목표이다. 장애학생이 일반학교에서 일반아동들과 물리적, 사회적, 그리고 교육과정적으로 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이 모든 학생에게 반응적이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일반교육의 재구조화가 촉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일반교사와 아동들의 장애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의 개선은 필수 전제조건으로 지적되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인식 개선은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겠으나, 학생들이 매일의 학교 수업에서 접하는 교과서에 장애관련 내용이 어떠한 수준과 내용으로 수록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간과되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문제이다. 시대적으로 교과서의 역할과 기능은 변화되어 왔으나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는 변함없이 교사와 학생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강조하는 현 교육정책 속에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는 특히 일반학생들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하여 학년별, 교과별로 다양한 장애관련 내용을 담으려는 노력이 역력하므로 적합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나, 아직까지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은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으로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 12권 과 초등학교 10개 교과(생활의 길잡이, 사회과 탐구, 실험 관찰 포함)의 교과서, 16개 시ㆍ도 우리들은 1학년 16권, 통합교과(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에서 장애와 관련된 내용(장애관련 용어, 삽화, 인물, 시설, 소계 등)을 학년별, 교과별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내 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공통주제어를 추출하였다. 먼저 2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내용을 읽으면서 관련 주제어를 기록하였다. 각자 주제어를 기록한 뒤 연구자 협의를 통해 공통으로 기록한 주제어를 추출하고, 다르게 기록한 주제어는 합의를 거쳐 최종 분석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주제어는 다음 6가지이다 (1)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 (2) 장애 체험 활동, (3) 장애인 묘사, (4) 직접적 정보 제공 및 접촉, (5) 개인의 차이 수용 및 인권 존중, (6) 장애 관련 인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관련 용어와 삽화, 그리고 6가지 주제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관련 용어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그 중에는 몇 가지 수정되어야 할 용어도 있었다(예, 장애 인형, 장애 그림, 정상인, 지체부자유자). 이에 반해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는 직접적인 장애를 지칭하는 용어는 제시되어 있지 않고, 2학년부터 장애인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다. 체육교과의 '장애물'과 실험관찰의 '앉은뱅이 저울'과 같이 교과교육 전문가와 함께 장애 인식 개선을 위해 용어 수정을 협의해야 할 필요성도 지적되었다. 둘째, 장애관련 삽화는 지체부자유와 시각장애인이 가장 많이 묘사되어 있었으며, 이들을 도와주는 방식은 주로 휠체어 밀기, 가방 들어 주기였다. 장애아동이 또래들과 수업 및 다양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상호작용하는 모습의 삽화가 증가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인들은 주로 장애로 인해 불편한 '처지'에 놓인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일반인들은 이들의 어려움을 이해하여 도움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 올바른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장애인의 불편함을 이해하기 위하여 제시된 주요한 방법은 장애체험 활동이었다. 그리고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의 확충을 사회복지 측면에서, 그러고 공정성의 확보 측면에서 장애인에게 제공되어야 할 중요한 지원의 하나인 것으로 명시되어 있었다. 장애를 직접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개인의 외모, 국적, 능력, 성별에 따른 차이를 수용하고 존중해야 함을 담고 있는 내용도 제시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현재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는 장애관련 내용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합교육이 확산되어 가는 현 시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르지 않은 용어와 삽화, 그리고 지문의 내용은 교과서 개정 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 초등학교 교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서 장애이해 교육이 보다 효과적이며, 적합한 내용과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세한 지도 방법이 '교사용 지도서' 에 안내되어야 할 것이다.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s an urgent task not only for special education but also education in general. As is often suggested, teachers' and students' positiv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crucial for this task. Particularly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 way the textbooks depict disabilities.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yet to be done about this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book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We employ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as our research method. 12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ndergarten, 10 different subject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the 16 first-grade textbooks of 16 cities and states (they have the same title, 'We are first-graders," but their contents differ), and the contents of subject-integrated texts concerning disabilit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grades and subjects. We devise six frameworks of analysis and analysis indicators are as follows: (1) assistive technology and convinience facilities (2) the simulation of disabilities (3) the description of disabilities (4) providing direct information on disabilities and direct contact with disabilities (5)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6)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ummary of our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appear most frequently in instructional materials of kindergarten, and there are some words that need to be changed (e.g. a normal person and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It is also pointed out that word change would be considered in consultation with specific textbook specialists to foster positive perceptions about disabilities (e.g. "hindrance" in the textbook of physical education and "a crippled scale" in the textbook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Second,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 and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appear predominantly in the illustrations depicting disabilities, and the major activities to aid these children are wheelchair-pulling and backpack-carrying. To increase illustrations that portray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room activities as well as various non-classroom activities interacting with their peer children is required. Third, in the textbooks people with disability are mainly depicted as being put in an uncomfortable "situation," and as those who need help from others. In addition, they suggest the simulative experience of disability as the major way to understand the uncomfortable situation of disability. They also propose that the expansion of assistive technology and convinience facilities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main support for disabilities. We can find in these textbooks that although they do not refer to disability directly, there are many contents that encourage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the difference of countenance, nationality, ability, and gender). In conclusion, we find out that current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ndergarten and the elementary textbooks of 7th national curriculum contain a considerable amount of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y. We regard this as very encouraging. When the textbook is revised, our study will help to choose more proper words, illustrations, and contents. We suggest that more detailed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disability which help teachers to teach appropriate contents in a more effective and perceptive way in the classroom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should be provided.

      • 유지시간 변화에 따른 크리프-피로 수명예측 방법에 관한 연구

        권영일,김범준,임병수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2001 論文集 Vol.52 No.2

        In this study, creep-fatigue tests were carried out under the various test conditions using AISI 316 stainless steel. Life prediction was made by three different methods which are the modified Coffin-Manson method, the modified Ostergen method and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 with the adaptive learning rate. The predicted live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within the scope of this study. Creep-fatigue life prediction by the modified Coffin-Manson method and the modified Ostegren method had the average error of 47.3% and 50.8% respectively whereas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 had only 28.8% for compressive and tensile+compressive hold time. From the obtained results,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 with the adaptive learning rate was proved to be more accurate and effective than the other two methods. The validity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 for life prediction checked with 3 verification data points proved also to be very satisfac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