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차정민(Cha Jeong min),미쯔보시무네오(三星宗雄)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2
본 연구는, 문화나 환경의 요인으로 인한, 언어에서 연상되어지는 색채공간의 공통점과 상이성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한국인(서울거주,71명),일본인(동경거주,70명),일본거주한국인(동경장기간거주,70명)의 3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언어에서 연상되어지는 색채를 조사하였다. 색조를 의미하는 12개의 언어에 관하여 각각 연상되어지는 색을, 제시되어진 색챠트에서 선택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한국과 일본의 이미지가 색과 어떠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하여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1.색채 언어에서 연상되어지는 색채 이미지에서, 한국과 일본이라는 문화적 환경에 의한 상이점은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 그렇지만, 일본인 집단은 각각의 색채 언어로부터 연상되어지는 색채 이미지의 선택 범위가 넓은 특징을 지니며, 한국인 집단은 각각의 색채 언어로부터 연상되어지는 색채 이미지의 일치성이 높았다. 2.언어의 “부드러운 색”, “탁한 색”, “맑은 색”, “밝은 회색조의 색”, “어두운 회색조의 색”이 제시하는 실제의 색채는 다양하게 이미지 되어지고, 언어의 “선명한 색”, “강한 색”, “연한 색”, “진한 색”에서 제시되어지는 색채 이미지는 문화적 환경과 상관없이 일치되어지기 쉽다고 판단되어졌다. 3.언어의 “한국의 이미지”에서 “Vivid Red”, “Deep Red”가 연상되어졌으며 이 결과는 3집단에 있어서 높게 일치하였다. 한편, 언어의 “일본의 이미지”에 대하여 한국인 집단은 “Vivid Red”가 높게 연상되어졌으나 일본인 집단과 일본거주한국인 집단에 있어서는 “Grayish Pink”, “Pale purple”, “Light purple”이 높게 연상되어졌다. 다음으로, 그 색이 연상되어진 이유에 대한 결과로서, “한국의 이미지”에 대해서는 “정열적이다”, “감정적이다”, “솔직하다”가, “일본의 이미지”에 대해서는 “차분하다”, “이성적이다”가, 가장 많이 기술되어졌다. 그렇지만, “한국”과 “일본”의 이미지에 있어서, 자국인 집단이 지니고 있는 이미지가 타국인 집단에서는 엿볼 수 없는 점들도 시사되어져, 한국과 일본의 교류에 있어서 보다 깊고 본질적인 이해가 요구된다고 생각되어졌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color space associated from the word. 71 residents in Seoul(the native Korean group), 70 residents in Tokyo(the native Japanese group)and 70 ling term residing Korean in Tokyo(the Korean in Japan group) participated in the present research. all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generation of 30’s to that 50’s. all of them worked for enterprise and commercial service. according to as a results, be summarized below. 1.A color image associated with a language had little cultural environmental effect. However, The selection space of the color agreed in the Korean group more, and As for the Japanese group, the selection space of the color image was larger then Korean group. 2.In three groups, the color space associated from "vivid tone","pale tone", and "strong tone", "deep tone" was corresponding. But, the associated color space was shown from "soft tone", "dull tone", "light tone", "light grayish tone", "dark grayish tone" of the language in each group as a different color space. 3."vivid red","deep red" was associated from "Korea image", It is accorded highly in three groups. and "grayish pink", "pale purple", "light purple" was associated from "Japan image" on the Japanese group and the Korean in Japan group. but, "vivid red" was associated from "Japan image" on the Korean group. next, there were a lot of "be Settled", "reasonable" as an image of Japan, and "passionate", "sentimental" appeared a lot as an image of Korea. These results seem to indicate that deeper understanding is necessary between Korea and Japan.
학생용 및 컬러리스트용 포스터컬러의 색명과 색채 분석연구
황하예진(Hwang Hayejin),박연선(Park Yunsun),전창림(Jeon Changlim)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4
고부가가치 산업인 색채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아동기 때부터 체계적이고 올바른 색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발전도 중요 하지만 색채 교육의 기본이 되고 실생활에서 가장 가깝게 색채를 익히며 배우는 화구용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화구용품은 화구 회사마다 각기 다른 색채와 색명, 같은 색채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색명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교육용 채색재료와 전문가용 채색재료의 색명과 색채가 균일하지 않아 채색재료를 통하여 색채 감각을 익힌 학생들이나 작업자들에게 많은 혼선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판중인 채색재료 중에 교육용 포스터컬러와 전문가용 물감 중 컬러리스트용 포스터컬러의 색채와 색명을 조사하여 한국 산업규격(KS G 2614)과의 적합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시판 중인 교육용 포스터컬러에서 한국 산업규격(KS G 2614)을 따르지 않는 색명이 자주 사용되며 같은 색명의 색채라도 제조사에 따라 색채가 다르며 한국 산업규격(KS G 2614)의 규정 허용치를 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교육용 포스터컬러의 세트 구성에서 색상들이 고르게 분포하지 않아 혼색교육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으며 한국 산업규정 안에서도 서로 맞지 않는 체계가 있어 제조자나 사용자가 혼란에 빠질 위험이 있고 교육 효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representative high value-added business can be color. For developing to an advanced country of color, it"s important to not only cultivate professional colorists but also educate systematic color from childhood, the starting point of high skilled manpower in the future. It"s an important to develop and advance the proper color education program in childhood but the importance of the most fundamental drawing equipments that we can learn color in actual life the most closely is magnified. Korean drawing equipments use different colors and color names for each company so other color name is shown in spite of same color. Also, as color names and colors between coloring materials on education and coloring materials for experts are not equal, there are lots of confusion for students or workers who have learned color sensation through the coloring materials. Therefore, in this study, colors and color names of poster colors on education among the coloring materials on the market and poster colors for colorists among the paints for experts are examined, suitability and problems with Korean Industrial Standard(KS G 2614) were analyzed, the pallet formed by color names and colors for effective color education of poster colors for both education and professional colorists was suggested and furthermore, the standard analyzing 12 sets of coloring materials was suggested.
한국과 필리핀 20~30대의 선호성, 평가서, 압도성, 활동성의 색채 선택에 따를 나라별, 성별 비교·분석
김유선(Kim Yoo Sun),김유미(Kim Yoo Mi)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1
한국기업이나 기관이 필리핀에 진출할 때 민감한 정치나 경제 또는 문화제도를 언급하지 않고도 국민성을 파악할 수 있는 등 여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색채를 한국과 필리핀 두 나라가 어떻게 다르게 또는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국과 필리핀 20~30대 남?여의 색채 인식 정도에 관한 비교분석을 제1요인 평가성(아름다운 색/ 추한 색, 단맛/ 짠맛/ 신맛/ 쓴맛), 제2요인 압도성(가벼운 색/ 무거운 색, 부드러운 색/ 딱딱한 색), 제3요인 활동성(따뜻한 색/ 차가운 색, 빠른 색/ 느린 색)으로 총15문항을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선호색과 아름답게 느껴지는 색상은 한국과 필리핀의 나라별 차이가 아닌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보였고 선호하는 tone은 국가적 수준 정도를 보여주었다. 추하다고 생각되는 높은 비율의 색은 두 나라 모두 선호색의 반대 색상을 선택하였고 맛에 대한 평가는 각 나라의 특정음식에 따라 색채 선택을 좌우하였다. ‘무겁다’, ‘가볍다’, ‘딱딱하다’, ‘부드럽다’ 등의 압도성에 대한 색채는 객관적 이론과 유사하게 명도에 따라 다른 것을 다르게 느낀다는 점이 한국과 필리핀이 유사하였다. 온도감에 대한 인지는 두 나라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빠르게 느껴진 색채와 느리게 느껴지는 색채는 나라별, 성별로 뚜렷한 성향을 보이지 않고 다양하게 분포한 것을 보아, 개인적 인지가 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체적으로 필리핀은 남녀의 차이를 보였고 필리핀 여성의 색채지각 결과는 객관적인 색채지각 이론과 유사하였다. 이는 필리핀 여성이 대중매체에 많이 노출되어 있고 필리핀 사회의 정치참여도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한국과 필리핀의 색채 인식 정도는 보편성도 존재하지만 각각의 특수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색채에 관한 전문성이나 관심, 경험 등에 따라 색채를 인지하는 발달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 또한 각 문화와 자연환경 등에 따라 차이를 있고 다른 결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각 나라별 색채인식에 따른 결과나 기초데이터를 이해하고 고려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했을 때 유용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 전망한다.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color between Korean and Philippines and to understand national character not to provoke sensitive political or economic issue when Korean enterprise plan to extend its business abroad.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categorized into three factors: valuation(a feeling of beautiful, ugly, sweet, salty, sour, bitter), overpower(a sense of light, heavy, soft, hard), activity(color of warm, cold, fast, slow). The result of survey that was analyze 15 questions to compare perception of color among young people from twenties to thirties in between Korean and Chinese is followings. Preference of color in a sense of beauty is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but the difference among countries is very slight. The perception of ugly color is also similar but selected color is opposite to preference of color. On the other hands, the perception of color that reminds some particular tasty is difference according to traditional food in certain countries. But the result of survey on color that reminds weigh, quality of material is similar in both countries. However, the result of survey on color that reminds swift and slow is various to different individuals. In conclusion, the perception of color between Korean and Philippines has not only similarity but also difference. Meanwhile,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has shown in domestic. As a result of this study, perception on color between Korean and Philippines has universality but has distinctiveness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different level of development in experience, special knowledge on color. Namely, this study shows that the different perception on color between two countries is arise from different culture and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an comparative analysis of perception on color among countries would be useful at the state of practical application such as marketing, diplomacy.
한국과 하와이 20~30대 남.여의 색채 인식 정도에 관한 비교ㆍ분석
김유선(YooSun Kim),김유미(YooMi Kim)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1
미국의 하와이주는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융합된 ‘melting pot’이라고 불리는 미국에서 지역적 특수성을 유지하고 있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로 자연인 이동이 빈번한 하와이와 한국의 성별에 따른 색채 비교?분석을 통하여 두 지역의 20~30대는 어떻게 다르게 또는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국과 하와이 20~30대 남?여의 색채 인식 정도에 관한 비교분석을 제1요인 평가성(아름다운 색/추한 색, 단맛/ 짠맛/ 신맛/ 쓴맛), 제2요인 압도성(가벼운 색/ 무거운 색, 부드러운 색/ 딱딱한 색), 제3요인 활동성(따뜻한 색/ 차가운 색, 빠른 색/ 느린 색)으로 총15문항을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선호색은 한국과 하와이 남성 모두 같은 색상인 Bluish Violet를 선호하였으나 한국과 하와이 여성은 여성이 선호하는 Red계열을 한국의 여성은 선호하였으나 하와이 여성은 지역(하와이)적으로 선호하는 색채 중 하나이 Green을 택하였다. tone에서는 한국은 다양한 tone을 선택하였고 하와이는 몇 가지 tone만 확연히 선택하였다. 평가성 부분에서는, 한국의 남성과 여성, 하와이의 남성은 유사한 부분들이 있었으나 하와이 여성은 전형적인 여성들이 선택하는 색상과 달랐으며 하와이 지역만의 특이한 색채들을 선택한 것을 볼 수 있었다. tone은 두 나라가 유사한 부분이 많았고 먹는 음식에 따라 두 나라가 확연한 차이의 tone을 보이기도 하였다. 압도성 부분에서는, 두 나라 남성과 여성이 유사한 색상들을 선택하였고, 색상의 차이를 보이는 것들은 tone의 유사성을 보여 압도성에 대한 확실한 색채인식을 볼 수 있었다. 활동성 부분에서는, 온도감에 대한 따뜻한, 차가운 색채는 두 나라의 남성과 여성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속도감에 대한 빠른, 느림에 관한 색채는 비율이 높은 색채들도 있었지만 개인차를 많이 보였다. This paper provides baseline data for comparative analysis of color perception in youth from Hawaii and Korea. Hawaii is a unique U.S. state with its own culture and heritage. A survey targeting youth in Hawaii and Korea was carried out to analyze color perception in both countries. This survey was composed of three factors: judgment (sensational) colors (beautiful color/ugly color, sweet color/salty color/bitter color/sourness color), overwhelming colors (light color/heavy color/mild color/stiff color), activity colors (warm color/cold color, swift color, slow color). Each of the three factors had 15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that both Korean and Hawaiian males preferred a Bluish violet color while Korean and Hawaiian females had different color preferences. Korean females preferred red color while Hawaiian females liked green. Koreans preferred various tones while Hawaiians selected a particular tone. For judgment of colors, Korean males and females and Hawaiian males showed similar preferences. However, Hawaiian females showed unique preferences from other females. Both youth in Korea and Hawaii selected tones depending on their local food culture. For overwhelming colors, each region showed similar results. For activity colors, both regions showed similar preferences for temperature but different perception of velo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