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Poly(vinylbenzyl chloride-glycidyl methacrylate)/Polyethylene Composite Anion Exchange Membranes for Vanadium Redox Battery Application

        Park, Min-A,Shim, Joonmok,Park, Se-Kook,Jeon, Jae-Deok,Jin, Chang-Soo,Lee, Ki Bong,Shin, Kyoung-Hee Korean Chemical Society 2013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4 No.6

        Anion exchange membranes for a vanadium redox flow battery (VRB) were prepared by pore-filling on a PE substrate with the copolymerization of vinylbenzyl chloride (VBC) and glycidyl methacrylate (GMA). The ion exchange capacity, water uptake and weight gain ratio were increased with a similar tendency up to 65% of GMA content, indicating that the monomer improved the pore-filling degree and membrane properties. The vanadium ion permeability and open-circuit voltage were also investigated. The permeability of the VG65 membrane was only $1.23{\times}10^{-7}\;cm^2\;min^{-1}$ compared to $17.9{\times}10^{-7}\;cm^2\;min^{-1}$ for Nafion 117 and $1.8{\times}10^{-7}\;cm^2\;min^{-1}$ for AMV. Consequently, a VRB single cell using the prepared membrane showed higher energy efficiency (over 80%) of up to 100 cycles compared to the commercial membranes, Nafion 117 (ca. 58%) and AMV (ca. 70%).

      • KCI등재

        어류 알의 Protease Inhibitor 활성 분포

        지성준 ( Seong Jun Ji ),이지선 ( Ji Sun Lee ),신준호 ( Joon Ho Shin ),박권현 ( Kwon Hyun Park ),김진수 ( Jin Soo Kim ),김경섭 ( Kyoung Sub Kim ),허민수 ( Min Soo Heu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4 No.1

        To identify and examine the distribution of proteolytic inhibitory activity in crude extracts from fish eggs, and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these protease inhibitors as anti-degradation agents in surimi-based products and fish meat, we compared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from fish eggs to those of commercial proteases, such as trypsin and papain. We us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screening of trypsin activity: 30 ug/uL of 0.1 % trypsin and 0.6 mM Na-benzoyl-L-arginine-p-nitroanilide (BAPNA) with a pH of 8.0 at 40℃ for 60 min. The activities of papain and four commercial proteases were investigated after mixing with 100 ug/uL enzymes and 0.3% casein with a pH of 8.0 at 40℃ for 60 min. We performed a screening assay to detect the inhibitory activity (%) of crude extracts from eight species of fish eggs against the target proteases trypsin and papain. The assay revealed a wide distribution of trypsin and papain inhibitors in fish eggs. The specific inhibitory activities (11.6-28.6 U/mg) of crude extracts from fish eggs against trypsin and BAPNA substrate were higher than that (0.64 U/mg) of egg whites, used as a commercial inhibitor.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from fish eggs against trypsin, and of egg whites against casein substrate (1.94-4.51 U/mg), were higher than those of papain (0.24-1.57 U/mg) and commercial protease (0.04-0.32 U/mg). The extracts from fish eggs were rich in protease inhibitors that exhibited stro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rypsin, a serine protease, and papain, a cysteine protease.

      • 선인장 양심실 보조장치의 설계 및 임상적용을 위한 평가

        민병구,박찬영,최재순,이혁수,황창모,김삼성,윤걸중,김종원,선경,이경갑,정종태,김원곤 제주대학교 인공심장이식연구소 2001 인공심장 연구 Vol.2 No.1

        현재 개발되고 있는 맥동형 이식형 인공심장은 완전이식형 인공심장과 좌심실보조장치 뿐이다. 좌심실보조장치를 장착한 환자의 10~15%가 우심실의 보조를 필요로하고 완전이식형 인공심장의 장착을 위해서는 자연심장을 제거해야하는 상황에서 이식형 양심실보조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완전이식형 인공심장으로 개발된 한국형 인공심장을 개선하여 양심 실 보조장치를 개발하였다. 양심실보조장치는 이동형 작동기식 미케니즘을 이용하고 있으며 에너지 변환장치와 감속기로 구성된 작동기와 혈액주머니, 그리고 내장형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다. 선인장 펌프로 명명된 KAH350은 캐뉼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여 길이 177mm, 폭 164mm, 높이 67 이고 무게 780g이며 최대 심박출량은 5L/min 이다. 양심실보조장치로 개발된 선인장펌프는 좌심실보조장치로도 응용이 가능하다. 이식적합성과 생체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좌심실보조장치로 5회, 양싱실보조장치로 6회의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각각 최장 28일간 생존하였으며 11회의 동물실험중 장치의 결함에 의한 것이 3회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전자장치의 결함과 방수처리문제였다. 현재 이식적합성과 일박출량을 향상시킨 KAH400모델이 개발중이다. The types of pulsatile implantable artificial hearts that are on the way of development and have been developed are totally implantable artificial heart and implantable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LVAD). Approximately 10% to 15% of all patients Implanted with wearable VADs have required right heart support with another device. And it is reluctant to patient who should remove his or her own heart to be implanted with total artificial heart. These situations drive the development of implantable bi-ventricular assist device (BVAD). The Korean BVAD was develophed by modifying the moving actuator type Korean artificial heart. This electro-mechanical BVAD comprises actuator including energy converter and reduction gear train, blood sacs, and internal motor and energy controllers. The KAH350 which is named as 'Cactus Pump' is 177mm in length, 164mm in width, and 67mm in thickness including connectors and nuts. The weight and maximum cardiac output of Cactus Pump is 780g and 5L/min, respectively. The Cactus Pump that was developed as BVAD could be used as LVAD by attaching compliance caps on the 2 ports of one ventricle. The animal experiments were undergone 5 times for LVAD, and 6 times for BVAD. The best records were 28 days survival in both applications. There were 3 times of device failure and they were all associated with electrical connection and hermetic sealing. The KAH400 that has improved anatomical fitting characterisitcs and stroke volume is on development.

      • 자연대류를 고려한 전력용 변압기의 2차원 온도분포 해석

        민경조,김중경,한성진,주수원 東亞大學校附設 情報技術硏究所 2005 情報技術硏究所論文誌 Vol.13 No.1

        Recently, the efficiency of power transformer is improved and the size is becoming smaller. So, it is very important that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former should be estimated and predicted precisely. This paper deals with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power transformer by simplified 2-D hybrid mesh model.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obtained by CFD algorithm considering natural convection. Heat sources are calculated first by magnetic field analysis based on F.E.M. and are used as the input data for thermal field problem based o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lgorithm. The calculated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simplified 2-D power transformer model shows good results in accuracy as well as in computing time.

      • 흰쥐 복직근과 대흉근 근섬유 유형에 대한 조직화학적 연구

        민병운,박경수,노영복 조선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89 自然科學硏究 Vol.12 No.1

        포유동물인 흰쥐의 대흉근과 복직근에 대한 근섬유 특성 및 근섬유 유형별 빈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8년 7월 2일~1988년 10월7일 조직화학적 및 각종 효소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E 염색에 의한 근섬유의 유형별 구분은 불 명확하였으나, PAS 염색에서는 양성 반응의 정도에 따라서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2. Reversed myosin-ATP ase 염색과 SDH염색에서는 TypeⅠ, Ⅱa, Ⅱb의 세가지 유형의 근섬유형이 구분되었다. 그러나 typeⅡ와 Ⅱb의 유형별 빈도는 SDH염색과 Reversed myosin-ATP ase 염색상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3. 포유동물인 흰쥐의 복직근과 대흉근의 근 섬유형 구성비는 부위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In order to study properties and individual proportions of muscle fiber types on the pectoralis major an rectus abdominis muscle of the rat, vertebrates, histological and each kinds of enzyme histochemical stain (were perform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Differentiation of muscle fiber types was not evident in H & E stained specimen. However, three types of muscle fibers were evidently differentiated in PAS stained sect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positivity. 2. Muscle fiber of three types (typeⅠ, Ⅱa and Ⅱb) were differentiated in reversed-ATP ase and SDH stain. However,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SDH and reversed-ATP ase stain properties in proportion of typeⅡa and Ⅱb. 3. The constituent proportions of muscle fibers in rectus abdominis and pectoralis major muscle of the rat were remarkab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rtions.

      • 석·골재용 암석의 풍화에 따른 특성 변화

        민경원,서백수,진호일,임길재 강원대학교 부설 석재복합신소재 제품연구센터 2000 석재연 논문집 Vol.5 No.-

        화강암의 조직을 고려하여 4개지역에서 6개 석ㆍ골재 석산을 대상으로 신선한 화강암과 풍화된 화강암을 Ⅰ ~ Ⅵ단계까지 체계적으로 채취된 화강암을 대상으로 풍화에 따른 화강암의 물리적ㆍ화학적 특성 변화에 대한 고찰(민경원 등, 1998)에 추가하여, 풍화에 의한 slake 내구성과 색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토의하였다. slake 내구성 시험에서는 일반적으로 Ⅰ~Ⅲ 단계의 화강암이 시험 주기가 증가할수록 선형적이 질량감소를 보이고 Ⅳ~Ⅵ 단계에서는 곡선 모양의 감소 경향을 보여주면 세립질의 화강암이 상대적으로 높은 내구성을 가진다. 풍화에 따라 암석의 백색도는 감소하고 황색도는 증가하며, 표준화된 백색도-황생도 지수는 풍화단게를 지시해 줄 수 있는 유용한 지시자로 제안되었다. Fresh and weathered granitic rocks of grades Ⅰ to Ⅵ were sampled systematically from six stone and aggregate quarries in four chosen areas in consideration of their textures. In addition to the observed variations.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granitic rocks in terms of weathering grades(Min et al., 1998), slake durability and color index variations were measured and discussed in this article. In the slake durability test, generally with increasing test cycles the granitic rocks of grades Ⅰ to Ⅲ show linear losses of weight but those of Grades Ⅳ to Ⅴ show curvilinear trends, and the fine-grained weathered granitic rocks have comparatively higher durability. As weathering proceeds, whiteness of rocks decreases and yellowness increases. A normalized whiteness-yellowness index is suggested as a weathering index to be one of useful indicators of weathering grades.

      • 철골 구조설계 공정 표준화를 위한 CIS/2 AAM 모델 연구

        한경민,조수제,박성수 釜山大學校 都市問題硏究所 1999 都市硏究報 Vol.8 No.-

        The aim of this research is analysing CIS/2 AAM model fot investigating the Steel Framework Process Data Modeling Standards. This paper introduces CIS/2 AAM model and LPM/5 which is produced by CIMSteel project. and produces it's STEP Part 21 File Translator for exchanging building data, The overall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LPM/5 Logical Product Model and to evaluate File Read/write Translater.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 1) The study on CIS/2 is helpful to developing dominant Steel Framework Process Model 2) It may be basis of developing analysis application, which is based on STEP modelling technique.

      •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미래 위치 검색을 위한 이동 객체 색인

        서동민,복경수,유재수 충북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 연구소 2004 컴퓨터정보통신연구 Vol.12 No.1

        최근 위치 기반 기술에 대한 활용이 증가하면서 이동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색인 구조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제안된 색인 구조들은 이동 객체의 계속되는 위치 이동으로 빈번한 색인의 변경과 성능 저하 문제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미래 위치 검색 및 갱신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새로운 시공간 색인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색인 구조는 갱신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동 객체의 현재 위치를 직접 접근하기 위한 보조 색인 구조와 공간 분할 기반의 KDB-트리를 결합한 색인 구조이다. 제안하는 색인 구조에서는 이동 객체의 미래 위치 검색 및 갱신 비용을 줄이기 위해 KDB-트리의 중간 노드에 시간에 대한 파라미터를 유지한다. 또한 제안하는 색인 구조에서는 공간활용도 및 검색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갱신 및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색인 구조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통해 성능 평가를 수행한다.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location-based techniques, index structures to efficiently manage moving objects have been required. Existing index structure frequently need updates because moving objects change continuatively its position. That caused entire performance loss of index structu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patio-temporal index structure that supports a future position retrieval and minimizes a update cost. The proposed index structure combines an assistant index structure that directly accesses current positions of moving objects with KDB-tree that is a space partitioning access method. The internal node in our proposed index structure keeps time parameters in order to support the future position retrieval and to minimize a update cost. Moreover, we propose new update and split methods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and the search performance. We perform various experiments to show that our proposed index structure outperforms the existing index structure.

      • KCI등재
      • 치료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Issues and Future Delivery System

        안수경,김영태,전헌선,정동일,한현민 국립특수교육원 2005 연구보고서 Vol.- No.5

        본 연구는 2005년 3월 특수교육진흥법 개정에 의하여 특수학교 치료교육교사의 확대배치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의 치료교육 담당교원 배치 등 치료교육 분야의 발전이 예상되는 가운데, 개정법률이 실제 교육현장에 보다 실효성있게 적용되기 위하여 우리나라 특수교육 공교육 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치료교육활동의 실태와 요구를 파악하고 보다 적합한 치료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찾고자 한 정책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치료교육의 개념, 역사, 외국 사례 등에 관한 문헌을 탐색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치료교육의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 치료교육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를 위하여 전국의 142개 특수학교와 182개 지역교육청을 대표하는 1,078명의 교사들로 조사단을 구성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그 결과 전국의 16개 시·도교육청에 소속된 142개 특수학교 중 140개 특수학교에서 설문응답에 참여하였으며, 182개 모든 지역교육청에 소속된 교사들이 설문응답에 참여하여, 총 1,046부의 설문지가 수합되었음을 밝힌다. 이 조사를 통하여 치료교육 담당인력의 양적 부족, 치료교육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합의 부족으로 인한 교육실제 상의 혼란이 현 특수학교 치료교육의 대표적인 문제로 제기되었으며, 특수아동 요구의 다양성과 치료교육의 효과성을 동시에 충족하기 위한 치료교육 담당교원의 자격제도 및 배치방법의 해결과 치료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공간 확보의 문제가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치료교육을 위한 주된 요구로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섯 명의 연구진 중 대학에 재직 중인 세 명의 공동연구자들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치료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조명하였다. 따라서 세 가지의 큰 학문적 흐름을 가지고 방안이 주창되었으나, 그 방안 속에서 논해진 구체적인 하나하나의 제안들은 각자의 학문적 입장에서만이 아니라 다양한 현실적 상황을 고려하여 심사숙고된 결과임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맺는 말에서는, 일단은 특수교육진흥법과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교육서비스로서 행해지고 있는 치료교육 시스템의 견고한 틀 안에서의 개선을 논하는 것이 최선일 것으로 보고, 세 가지 큰 흐름의 방안들에서 최소한의 공통되는 제안들을 다음과 같이 종합하였다. 우선 첫째, 치료교육 교사 양성에 있어서의 전공 분야 세분화가 필요하다. 둘째, 기존의 치료교육 교사들이 세부 전공 영역의 전문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보완적 교육이 행해져야 한다. 셋째, 특수교사로서의 치료교육교사에 의한 치료교육 제공을 교실교육과 순회교육을 기본 원칙으로 하되, 순회가 불가능한 지역이나 일반학교 일반학급, 일반 유치원 내의 특수아동들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교육기관 외의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치료사 인력들을 활용할 수 있는 권역별 인력풀 제도를 마련한다. 넷째, 특수교육과 치료교육의 관계 및 내용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근본적인 재조명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actice of the therapeutic education in Korea.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332 therapeutic educators, 367 special school teachers, and 347 special classroom teacher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summarized and discussed by three of the researchers based on their academic standpoints. The problems of current therapeutic education analyzed by this study are the lack of therapeutic educators, confused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rapeutic education, low professionalism of the therapeutic educators, and the lack of space to carry out therapeutic education in general schools, etc. The common suggestions from the three researcher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urses of universities for training therapeutic teachers have to be more specialized. Second, some kind of training programs for the existing therapeutic teachers are needed to get them more specialized certificates. Third, the community human resource pool including not only therapeutic teachers but also professional therapists should be available. Fourth, the identity of the therapeutic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delivery system needs to be reestablished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