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상과 갑상선 종양조직에서 사람 IGF-I 유전자의 발현

        김성운,장현하,박상미,김덕윤,우정택,양인명,김진우,김영설,김광원,고석환,홍성화,최영길 경희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3 遺傳工學論文集 Vol.5 No.-

        Many of the growth-promoting properties of growth hormone(GH) are mediated by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 a highly conserved circulating 70-amino acid peptide.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multiple mechanisms influence IGF-I gene expression, including transcription from two promoters, alternative RNA splicing, and variable polyadenylation. In thyroid tissue, thyroid stimulating hormone(TSH) and IGF-I are the most possible candidates for follicular cell proliferation and hypertrophy. Actually IGF-I had autocrine and paracrine effect for tissue growing. We prepared thyroid tumor tissue mRNAs using single step method for detecting IGF-I levels according to different tissues, i.e., thyroid adenoma o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e used Northern blot analysis for IGF-I mRNA and RNase protection assay (RPA) for IGF-I transcription start sites. For Northern blot, we used whole human IGF-I cDNA as a DNA probe and for RPA, we used IGF-I exon 1 containing noncoding promoter 1 as a riboprobe. We got good RNA bands from Northern blot analysis around 1 kb (IGF-IA) and 7.5 kb (IGF-IB) region. To clarify the amount of both IGF-IA and IB mRNAs, we measured autoradiographied signal of IGF-I mRNAs bands using densitometer. In IGF-IA signals, there's no change among liver and thyroid tissues, but in case of IGF-IB mRNA bands, the signal was markedly increased in thyroid carcinoma tissues than that of normal thyroid tissue (85% vs 14%). In the study of RPA, all thyroid tissues used the same transcription start sites as those of liver's. We concluded that that this different regulation of IGF-I mRNA was originated from tissue specificity. That meant some tissue 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 were related to tissue IGF-I expression.

      • 배양된 쥐 인슐린종 세포에서 성장인자들에 대한 인슐린 유전자의 발현

        김성운,양인명,김진우,김영설,김광원,최영길 경희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89 遺傳工學論文集 Vol.1 No.-

        인슐린 유전자 발현의 실험실적 모델로서 쥐 인슐린종 세포(RINm5F cell;rat insulinorraceil)를 이용하여 몇 개의 성장인자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고 인슐린 유전자의 활성에 관여하는 상황을 이해하고자 인슐린 유전자의 mRNA를 조사하였다. RINm5F 세포는 glucose 와 EGF 등의 성장인자에 대해 세포분화 및 성장에 자극을 받으며 인슐린, IGF-Ⅰ IGF-Ⅱ등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RINm5F TPVHSMS 생체내 췌도 베타세포의 기능을 대변하기는 어려웠으나 각종 성장인자의 세포내 활성양상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Insulin secretion of RINm5F cells can be stimulated by some of the growth factors, however, not in the same manner compared to pancreatic islet beta cells. We observed that insulin superfamily (insulin IGF-Ⅰ, IGF-Ⅱ) were not affected to insulin mRNA of RINm5F cells, but EGF (50ng/㎖) increased insulin mRNA levels, and dexamethasone (300ng/㎖) decreased insulin mRNA levels in RIAm5F cells. So some of growth factors regulated insulin gene at transcription level in RINm5F cells line.

      • 심한 골병변으로 발현된 기능성 낭종성 부갑상선 선종

        전숙,김영희,박지영,고관표,박철영,김덕윤,우정택,김성운,김진우,김영설,고석환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2

        낭종성 부갑상선 선종과 심한 골병변을 동반한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서, 저자들은 양측 고관절의 통증을 초기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고칼슘혈증과 부갑상선 호르몬 증가, 골병변의 방사선적 소견을 통해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을 진단하고, 경부 초음파와 컴퓨터 단층 촬영, 부갑상선 스캔검사 및 수술중 부갑상선 낭종액 검사 등을 통해 기능성 부갑상선 낭종의 한 종류인 낭종성 부갑상선 선종을 진단하고 수술적 제거를 통하여 정상화된 1예를 경험하였다. A cystic parathyroid adenoma is rare. A case of primary hyperparathyroidism, with the cystic formation of a parathyroid adenoma and a severe bony lesion, is reported. A 52-year-old male was admitted due to pain in both hips and for evaluation of hypercalcemia. The plasma level of the intact parathyroid hormone (iPTH) was elevated to 1424 pg/mL. Ultrasonography and the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parathyroid cyst on the left thyroid lower pole. Parathyroid scintigraphy detected a parathyroid adenoma. A radiograph showed a subperiosteal bone resorption on the phalanges, and a brown tumor (osteitis fibrosa cystica) on the femur shaft was noted. A surgical excision of the parathyroid adenoma was performed. The PTH level in the cystic fluid was increased. A histological examination confirmed a cystic parathyroid adenoma. The PTH level was normalized after the operation (J Kor SOC Endocrinol 18:214-220, 2003).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인 당뇨병 및 비당뇨병 환자에서의 뇌혈관 질환 유무에 따른 PAI-1 촉진자 유전자형과 인슐린저항성에 관한 연구

        오승준,김영설,박철영,김덕윤,김성운,양인명,김진우,최영길,팽정령,정경천 대한비만학회 2000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9 No.2

        연구배경 : 혈전현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에서는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이 높은 활성도를 보이는데, PAI-1 치는 당뇨병, 심근경색증, 비만 등에서 높다고 밝혀진 바 있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의 합병증의 주요한 병인은 죽상경화증으로 혈전현상이 특징인 질환에서 증가하는 PAI-1이 당뇨병 환자에서 높다. 목적 : 정상인에서의 PAI-1 유전자 촉진자의 유전자형의 분포 및 혈액농도를 관찰하고, 당뇨병 및 뇌혈관 질환 환자군에서의 PAI-1 유전자 촉진자 유전자형의 분포 및 혈액농도를 측정하여 정상인과 차이점을 알아본다. 당뇨병 환자군에서의 혈장 PAI-1 치와 인슐린 저항성, 전구 인슐린 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인슐린저항성과 대혈관질환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 대상으로는 정상인 76명, 제2형 당뇨병 환자 56명, 뇌혈관질환이 동반된 제2형 당뇨병 환자 48명, 뇌혈관질환 환자 51명을 선택하여, 환자의 혈액에서 인슐린, 공복시 혈당, 전구인슐린,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기타 생화학 검사 및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DNA를 채취하여 전사개시 -675bp를 포함하는 대립형질 특이 시발체를 사용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실시하여, 그 유전자형을 판독하였다. 결과 : 정상 대조군 76명 (46.4±11.1세), 2형 당뇨병 환자 56명 (58.3±12.6세), 뇌경색증 환자 51명 (63.1±13.2세) 대상으로 하였다. PAI-1 촉진자 유전자형의 (4G/4G, 4G/5G, 5G/5G)빈도는 정상 대조군이 각각 23.7%, 75.0%, 1.3%, 뇌경색 환자군이 19.6%, 66.7%, 13.7%, 뇌경색이 동반된 당뇨병 환자군이 33.3%, 58.3%, 8.3% 였다. (X2=12.6, p=0.05). 이러한 사실은 서구인에 비해 4G/4G, 5G/5G 동형 유전자형이 낮은 결과였다. 각 군별 혈장 PAI-1 농도는 정상 대조군 13.4, 1.8 ~ 65.2 ng/mL (중앙값 , 범위 ) 2형 당뇨병 환자군 14.4, 2.9 ~ 47.8 ng/mL, 뇌경색 환자군 21.9, 6.2 ~ 154.7 ng/mL , 뇌경색이 동반된 2형 당뇨병 환자군 28.8, 3.2 ~ 139.3 ng/mL 로 차이를 보였다 (p=0.000). 전체 대상에서 PAI-1 촉진자 부위의 유전자형에 따른 PAI-1 활성도와 항원 농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PAI-1 활성도는 혈중 중성지방, 전구인슐린, 체질량지수와 독립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00, p=0.000 and p=0.005). 결론 : 결론적으로 PAI-1 촉진자 부위의 유전자형은 뇌경색증의 지표는 아니며, PAI-1 활성도를 결정짓는 인자는 유전적 요인보다는 혈중 중성지방, 전구 인슐린, 체질량지수와 같은 대사적 요인으로 생각된다.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is known be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and several components of the large vascular disease. Notably, the high frequencies of diseases such as coronary heart disease or stroke are related to type 2 diabetes complications. We studied to find out whether the PAI-1 promother genotype could be a marker for cerebral infarction in type 2 patients. Subject patients were; 56 type 2 diabetics (age 58.3±12.6), 51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age 63.1±13.2), 48 type 2 diabetics with cerebral infarction (age 64.8±9.3) , and 76 healthy control (age 46.4±11.1). The 4G/5G genotype of PAI-1 promoter was evalua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endonuclease digestion. PAI-1 promoter genotype frequency (4G/4G, 4G/5G, 5G/5G) was 23.7%, 75.0% and 1.3% in healthy control, 17.9%, 67.9% and 14.3% in type 2 diabetes patients, 19.6%, 66.7% and 13.7% in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33.3%, 58.3% and 8.3% in type 2 diabetics with cerebral infarction (X^2=12.6, p=0.05). This finding is lower in frequency of 5G/5G homozygote than that reported in Caucasians. The plasma PAI-1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disease were 13.4, 1.8 ~ 65.2 ng/mL (median, range) for healthy control, 14.4, 2.9 ~ 47.8 ng/mL for type 2 diabetes, 21.9 6.2 ~ 154.7 ng/mL for cerebral infarction , and 28.8, 3.2 ~ 139.3 ng/mL, for cerebral infarction with type 2 diabetes (p=0.000). In the all subjects, PAI-1 concentration and activity of PAI-1 promoter genotyp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PAI-1 activity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erum triglyceride level, plasma proinsulin and BMI (p=0.000, p=0.000 and p=0.005 respectively). We concluded that PAI-1 genotype is not a marker for the cerebral infarction ; however, the genotype is related to PAI-1 concentration , and therefore it seems to be that metabolic factors such as triglyceride level or plasma proinsulin or BMI are more in relations with determining the PAI-1 concentration than the genotype.

      • SCOPUSKCI등재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

        남기덕,김영설,박철영,오승준,김덕윤,우정택,김성운,양인명,김진우,최영길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6

        연구배경:인슐린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질환의 주요한 위험 인자로 성호르몬과 상호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여성과는 달리 남성에서는 연령과 인슐린저항성에 따른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저자등은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산인과 비교해서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를 측정하고 연령에 따른 변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대상 환자 모두에서 연령과 체질량지수,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혈당과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중 유리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을 이용해서 측정하였고, 혈중 성호르몬 결합글로불린은 면역방사계측측정법(immunoradiometric assay)을 이용해서 측정하였다(Diagnostic System Laoratories, Wbster, TX, USA). 결과:1)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 남성에 비해 성호르몬 결합글로불린은 104.1±35.0 vs 25.7±3.5 mole×10??로 의미 있게 높았으나(p<0.001),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13.7±9.5 vs 13.6±6.5 ng/dL로 차이가 없었다. 2)연령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사이의 상관 계수는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0.40로 중등고의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p<0.001), 정상 대조군 남성에서 0.11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과 유리 테스토스테론 사이의 상관 계수는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0.08, 정상 대조군 남성에서-0.17로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연령과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에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와 정상 대조군 남성에서 혈중 인슐린 농도,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론: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상 남성에 비해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가 증가되어 있었으며,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차이가 없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이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상 남성에 비해 증가 폭이 의미있게 컸으며,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변화가 없었다. Background: Insulin resistance i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indicating that insulin lowers serum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s, and there is inverse correlation between insulin resistance and serum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s in women. However, in men, a limited number of studies are available to explain the effect of sex hormone on age and insuli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ree testosterone, hormone-binding globulin and age in type 2 diabetic men and control subjects. Method: Age, body mass index,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fasting blood sugar, and insulin concentrations were examined on 89 type 2 diabetic men and 47 control subjects. The free testosterone level was measured by commercially available double-antibody system (Radioimmunoassay). The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 was also measured by commercially available double-antibody system(Immunoradiometric assay). Results: 1)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free testosterone level between the two groups. 2) Sex hormone-binding globuli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r=0.4, p <0.001)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Sex hormone-binding globulin and free testosterone were not correlated with age in control sujects. 3) Free testosterone an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erum insulin concentration after adjusting for age and body mass index. Conclusions: We observed increase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concentration in diabetes man, and was a positively related to ag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age, insulin resistance, testosterone, an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concentrations(J Kor Diabetes Asso 24:699~707,2000).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