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Java 프로그램 단위 테스트 코드에서 발생하는 결함의 분류와 패턴 정의

        최한솔,홍신 한국정보과학회 2019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6 No.4

        Since unit testing is widely used in many software projects, the threat of unit test bugs (i.e., bugs in the test case code) is becoming a more important issue of software quality assurance. Test code bugs are critical threats because they may invalidate the quality assurance process, which consequently hurts quality of products and performance of the project. This paper presents a set of test bug categories and a set of bug patterns extracted from real-world cases. Unlike the existing work on test code bugs, this paper suggests a classification method to systematically categorize different features of test code bugs (i.e., structures, operations, and requirements). In addition, this paper defines eight new bug patterns in unit test code, based on previous bug reports from well-known open-source projects. Each pattern is formally specified as source code patterns so that it can be used for to construct a static bug pattern checker. 단위 테스트 케이스를 이용한 자동 회귀 테스팅 방법론이 널리 사용됨에 따라, 단위 테스트 케이스 작성 중 발생하는 ‘테스트 코드 결함’이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과 프로젝트의 생산성을 저하하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품질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단위 테스트 코드 결함의 체계적인 이해와 탐지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Java 프로그램 단위 테스트 케이스 결함을 분류하는 결함 분류 체계와 실제 결함사례에 기반한 단위 테스트 케이스 결함 패턴을 소개한다. 테스트 케이스 결함에 대한 단편적인 분류 기준을 제시하는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단위 테스트 코드의 다양한 구조적, 기능적, 의미적 구성 요소의 범주를 제시한 후 이에 기반한 총체적인 분류 체계를 제안하며, 이를 이용해 실제 결함 사례와 정적 결함 검출기의 검출대상을 분류한 결과 소개한다. 이에 더하여, 본 논문에서는 실제 테스트 결함 사례로부터, 테스트 코드 결함의 주요 조건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표현한 새로운 8종의 테스트 결함 패턴을 소개한다.

      • F-81 : 간유리 음영 결절 양상의 초기 폐암에서 수술 전 기관지내시경의 역할

        최한솔,최선미,이연주,이진우,조영재,박영식,이창훈,이상민,윤호일,임재준,이재호,유철규,이춘택,김영환,한성구,박종선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3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6 No.0

        목적: 간유리 음영 결절은 흉부 CT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폐 주변부(peripheral)에 분포하고 초기 폐 선암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폐암에서 수술 전 기관지내시경을 추천하고 있으나 간유리 음영 결절 양상의 폐암에서 수술 전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간유리 음영 결절 양상의 초기 폐암에서 수술 전 기관지내시 경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분당서울대병원 및 서울대병원에서 2004년 10월부터 2013년 7월까지 폐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흉부 CT에서 간유리 음영 결절 양상을 보이며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하였던 1기 폐암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성적: 전체 197명의 환자 중 여자는 106명(53.8%)이었으며 나이의 중앙값은 65세였다. 간유리 음영 결절 중 고형성분이 없는 결절(pure GGO nodule)은 22예(10.7%)였고 결절크기의 평균은 11.9±9.2 mm였다. 동시성 폐암이 9명(4.6%)에서 확인되었고 선암이 205예(99.5%), 편평상피선암이 1예(0.5%)였다. 수술적 절제술 후 병기는 다음과 같았다; pTisN0M0 8.3%, pT1aN0M0 40.3%, pT1bN0M0 25.2%, pT2aN0M0 26.2%. 기관지내시경 결과 195예(98.9%)에서 정상 기관지내시경 소견을 보였고 2예(1.1%)에서는 융기성 점막 또는 점막비후 소견을 보여 조직검사를 시행하였으나 악성의 증거는 없었다. 정상 기관지내시경 소견을 보였던 195예 중 47예에서 결절이 있는 부위에서 기관지세척(bronchial washing)을 시행하였는데 42예에서는 정상소견, 5예에서는 비정형 세포가 관찰되었다. 결론: 간유리 음영 결절 양상으로 발현된 초기 폐암에서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였을 때 추가적으로 얻는 정보는 미미하였고 치료 방침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KCI등재후보

        폴리머코어 게이트 크기 변화가 두께 방향 수축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최한솔,정의철,박준수,김미애,채보혜,김상윤,김용대,윤경환,이성희,Choi, Han-Sol,Jeong, Eui-Chul,Park, Jun-Soo,Kim, Mi-Ae,Chae, Bo-Hye,Kim, Sang-Yun,Kim, Yong-Dae,Yoon, Kyung-Hwan,Lee, Sung-Hee 한국금형공학회 2020 한국금형공학회지 Vol.14 No.1

        In this study, the variation of the shrinkag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olded parts according to the gate size of the polymer core fabricated through the 3D printer using the SLS method was studied. The polymer cores are laser sintered and the powder material is nylon base PA2200. The polymer cores have lower heat transfer rate and rigidity than the metal co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erefore, the injection molding test conditions are set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core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The resin used in the injection molding test is a PP material. The packing condition was set to 80, 90 and 100% of the maximum injection pressure for each gate size. The runner diameter used was ∅3mm, and the gates were fabricated in semicircle shapes with cross sections 1, 2, and 3 ㎟, respectively. Thickness measurement was performed for 10 points at 2.5 mm intervals from the point 2.5 mm away from the gate, and the shrinkage to thickness was measured for each point. The shrinkage rate according to the gate size tends to decrease as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s the maximum injection pressure increases. The average thickness shrinkage rate was close to 0% when the packing pressure was 90% for the gate area of 1mm2. When the holding pressure was set to 100%, the shrinkage was found to decrease by 3% from the standard dimension due to the over-packing phenomenon. Therefore, the smaller the gate, the more closely the molded dimensions can be molded due to the high pressure generation. It was confirmed that precise packing process control is necessary because over-packing phenomenon may occur.

      • KCI등재

        Recorded VR을 활용한 적정 위요감 수준에 관한 연구- 도시 공공공간에서의 D/H비를 중심으로 -

        최한솔,김승남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21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75

        The sense of enclosure is one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quality and experience of urban space. Among the physical elements of urban space, the D/H ratio is directly related to the sense of enclosure. Many urban design theorists have argued that when the D/H ratio is between 1/1 and 3/1, pedestrians feel most stable. However, the appropriate D/H ratio suggested by most theorists i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or intuition.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optimal D/H ratio, so research is needed to empirically prove it with real urban spa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H ratio and the enclosure using immersive virtual reality (IVR) and to calculate the optimal D/H ratio that pedestrians feel most stable. After that, the calculated optimal D/H ratio was compared with that suggested by theorists. For this study, 12 target sites of urban spaces in Seoul were selected and recorded as IVR videos, and then a visual assessment survey was conduct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and as a result of sampling, a total of 40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planning participated in the study. A total of 480 data (40 participants x 12 IVR videos)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OLS regression model and the quadratic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s the D/H ratio increased, pedestrians felt more open, and the optimal level of the D/H ratio was 1.936.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theories of urban designers such as Lync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not only empirically proved the urban design theory but also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IVR in urban design research and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research methods.

      • 나노입자 복합화를 통한 polyimide 필름의 열특성 향상 연구

        최한솔,김슬기,이장주,백상현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폴리이미드(PI)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 기판 소재로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데, LTPS TFT공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무색의 높은 투과성의 광특성 뿐만 아니라 매우 우수한 열특성/열안정이 요구된다. 폴리이미드 필름의 열특성/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량체 구조의 제어, 유무기 복합화 등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유무기 복합화는 무기물의 우수한 열특성/열안정성을 공유함으로써 유기 소재의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복합화를 통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의 열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자 시도하였다. ODA계열과 PDA계열의 폴리이미드에 대하여 무기 나노입자 또는 linker를 이용하여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다양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복합화를 진행 하였다. 복합화의 방법에 따른 폴리이미드 필름의 열특성/열안정성 뿐만 아니라 주요한 광특성의 변화/차이를 분석하여 각각의 복합화에 대한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 KCI등재

        지연성 청각 및 전정 이상 증상을 보인 자발두개내압저하

        최한솔,김재명,김홍찬,조형호,이승한 대한평형의학회 2020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19 No.1

        Intracranial hypotension (IH) is a neurological disorder characterized by ortho-static headache due to cerebrospinal fluid (CSF) volume depletion. IH usually results from CSF leak caused by either spontaneous or traumatic dural injury and may also present nausea, neck stiffness, tinnitus or dizziness. We experienced a 52-year-old woman presenting with acute spontaneous vertigo, tinnitus and hearing impairment on both ears with right side predominancy which mimicked Meniere’s disease. Video-oculography revealed spontaneous left-beating nystagmus which was modulated by position change. There was binaural low-frequency sensorineural hearing loss (SNHL) in pure tone audiometry. Other neuro-otologic evaluations including caloric test,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 video head impulse tests were unremarkable. Of interest, she had been treated of ortho-static headache due to spontaneous IH 10 days before admission. Taken together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audio-vestibular symptoms of the patient were thought to be related with insufficient treatment of IH. After massive hydration and bed rest, her symptoms were markedly improved and SNHL was also dis-appeared in the follow-up pure tone audiometry. IH should be considered as a differential diagnosis in dizzy patient with tinnitus, hearing impairment even the typical orthostatic headache is not accompan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