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대학생이 인지하는 수업부담 요소와 학습에 미치는 영향 탐구

        윤가영,김수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8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erceived course load and learning implications among college students within the context of online classes. Methods To accomplish this goal, we conducted written interviews via an online platform with 23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with online clas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s. Through this process, we extracted and elucidated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course load in online classes and its impact on learning. Results The study identified four main categories and fifteen themes related to course load. These categories included learner characteristics, instructor characteristics, class activities and assessments, and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environment.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se factors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Positive effects included increased investment of time in learning and class participation, while negative effects included decreased concentration during class and increased fatigue.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instructors in designing appropriate instructional elements and support strategies for online classes.

      • KCI등재

        Sonographic features that can be used to differentiate between small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and fibroadenoma

        윤가영,차주희,김학희,신희정,채은영,최우정 대한초음파의학회 2018 ULTRASONOGRAPHY Vol.37 No.2

        Purpose: Our study investigated whether any sonographic findings could be useful for differentiating between small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and fibroadenoma.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approved by our Institutional Review Board, which waived the requirement for patient consent.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0, the sonographic features of 181 pathologically proven TNBC tumors and 172 fibroadenomas measuring less than or equal to 2 cm in the longest dimension were review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fifth edition of the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lexicon. Mean tumor roundness was also measured using in-house software. Results: The median longest lesion dimension was 16 mm (range, 13 to 18 mm) in TNBCs and 13 mm (range, 10 to 16 mm) in fibroadenomas. In comparison to fibroadenomas, small TNBC tumors presented with a higher incidence of irregular shapes (66.9%), noncircumscribed margins (91.7%), hypoechoic echotexture (59.1%), posterior acoustic enhancement (65.2%), and associated features (24.4%). Most TNBCs were classified as BI-RADS category 4 (65.2%) or 5 (28.2%). The mean tumor roundness of small TNBCs was greater than that of fibroadenomas (60%±12% vs. 53%±13%).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older patient age, irregular shape, nonparallel orientation, posterior acoustic enhancement, associated features, a BI-RADS final assessment category of 4 or 5, and greater tumor roundness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factors indicative of TNBCs. Conclusion: TNBC tumors tend to demonstrate more suspicious sonographic features and greater tumor roundness than fibroadenomas. These features may have the potential to help differentiate between small TNBCs and fibroadenomas.

      • KCI등재

        천장제트기류에 대한 국내 정온식 열감지기의 작동온도 및 반응시간지수(RTI)에 관한 DB 구축

        윤가영,한호식,문선여,박충화,황철홍 한국화재소방학회 202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4 No.3

        The accurate prediction of fire detector activation time is require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fire modeling during thesafety assessment of performance-based fire safety design.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ctivationtemperature and the response time index (RTI) of a fixed heat detector, which are the main input factors of afixed-temperature heat detector applied to the fire dynamics simulator (FDS), a typical fire model. Therefore, a fire detectorevaluator, which is a fire detector experimental apparatus, was applied, and 10 types of domestic fixed-temperature heatdetectors were selected through a product recognition surve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activation temperature and RTI among the detectors. Additionally, the detector activation time of the FDS with the measuredDB can be predicted more accurately. Finally, the DB of the activation temperature and RTI of the fixed-temperature heatdetectors with reliability was provided. 성능위주 소방설계(PBD)의 안전성 평가 과정에서 화재모델링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화재감지기 작동시간의정확한 예측성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대표적 화재모델인 FDS에 적용되는 정온식 열감지기의 주요 입력인자인 감지기 작동온도와 RTI의 측정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화재감지기 실험 장치인 Fire detector evaluator (FDE)가 적용되었으며, 제품 인지도 조사를 통해 선정된 국내 10종의 정온식 감지기가 고려되었다. 결과적으로 감지기의 제조사별로 작동온도와 RTI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측정된 DB가 적용된 FDS의 감지기 작동시간은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신뢰성이 확보된 정온식 열감지기의 작동온도와 RTI의 DB가제공되었다.

      • KCI등재

        초고층 비정형 평면구조물의 횡변위 거동에 관한 연구

        윤가영,박성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4

        비정형 평면의 경우, 정방형 평면보다 횡변위 방생 방향과 횡적 거동을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구조적 보완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횡력저항 강성증가 방법과 횡력저항 구조요소를 추가하는 방법 등에 대한 실제 구조설계의 수행을 통해 Y형 평면을 가진 초고층 구조시스템을 구성하는 횡력저항 요인들의 효과를 정적해석으로 해석하여 횡변위 저감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횡력저항 강성변화 방법에는 여러 요소들이 있으나 코어 단면, 콘크리트 강도 변화를 통하여 구조물의 강성 변화에 따른 횡적거동 특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횡력저항 구조요소로는 현재 국내의 초고층 건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아웃리거, 벨트 시스템, FIN WALL을 비정형 Y형 평면에 도입하여 그 효율성을 검토해 보았다.

      • 스마트교육의 개념과 속성 고찰: 개념 분석을 중심으로

        윤가영,이효진,장민성,박인우 한국교육공학회 2016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2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 관련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개념이 혼재되어 있는 문제점을 밝힘으로써 스마트교육의 명확한 개념 정립과 이론적 기틀 확립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스마트교육에 대한 이론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자마다 다양한 관점에서 개념과 특성을 정의하고 있으며, 이러한 혼재로 인해 교육현장에서 스마트 교육은 본질적 특성을 잃은 채 협소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하게 혼재되어 있는 스마트교육에 관한 개념과 속성을 분석하여 학문적 개념을 정의하고,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교육과 관련된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념과 속성을 정리하여, 공통적인 속성을 코딩·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속성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마트교육은 수업 및 학습의 도구로서 스마트형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다. 둘째, 스마트교육은 적절한 교육내용·교육방법·교육평가를 모색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체제이다. 셋째, 스마트교육은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넷째, 스마트교육은 학습자 중심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다섯째, 스마트교육은 학습자 간, 학습자와 교수자 간, 학습자와 매체 간의 상호작용 및 피드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지식 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여섯째, 스마트교육은 학습을 위해 형식·비형식 학습이나 물리적 환경을 활용하며, 이러한 열린 학습 환경이 학습자의 학습과 지식 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6가지 속성을 토대로 교육공학적 관점에서 스마트교육을 정의하였다. 스마트교육은 학습자의 학습을 촉진시키고, 학습목표 달성에 적합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자기 주도적 학습, 학습자 중심 학습, 상호작용 학습과 같이 지식과 능력의 구성 및 향상이 가능한 학습을 실천하며, 최선의 실천을 위해 어떠한 도구, 자원, 환경이 수업과 학습에, 그리고 학습자에게 활용될 수 있으며, 선택한 도구와 자원이 왜 더 나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지를 분석한 체계적인 설계가 수업과 학습에 반영된 교육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합의된 개념의 부재는 오해와 편견을 야기할 수 있으며, 개념적 혼란을 초래함으로써 스마트교육의 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연구자들 간의 논의와 합의를 통해 하루빨리 스마트 교육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공식적인 정의를 확립하고,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자침이 중풍환자의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

        윤가영,박지민,김동혁,선종인,강중원,남동우,이승덕,최도영,이재동 대한침구의학회 2012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9 No.5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nual acupuncture at the LI4, ST36 and LR3 on Electroencephalogram(EEG) of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32 channel EEG measurement was carried out in 35 Stroke patients(23 males and 12 females). EEG was measured for 21 minutes(made up of 7 sessions, 1 session means 3 minutes time interval) including 15 minutes(5 sessions) of acupuncture time. Power spectrum analysis was used as a measure of complexit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Linear mixed model and DUNNETT’s multiple comparison.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EEG amplitude was reduced during acupuncture except electrodes PG1 and PG2. 2. There was a notable change during 6∼9 minutes after needling in δ․β․γ wave, and during 6∼9 minutes after needling in θ․α wave. Overall, during 6∼9 minutes after needling. 3. TP8 is a common significant electrode among five wave form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P8 could be typical electrodes and change of EEG compared to baseline happens most often during 6∼9 minutes after manipulated acupuncture at the LI4, ST36 and LR3 of patients with stroke.

      • KCI등재

        국내 인성교육 프로그램 연구 분석: 정의적 영역과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윤가영,신주랑,신창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3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the education’ affective domain and the instructional method. To be more specific, 444 researches designed and executed for teaching affective elemen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Here is the attribute of these programs: The studies that determined the effects on these programs was to select and adopt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such as ‘case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debate class’, ‘resource based learning’, ‘storytelling class’, ‘handson activities’ for educating affective aspect: positive attitude, respect, cooperation, etc. All of these tries and actions were to attempt for achieving the learning objectives. These instructional methods had in common was ‘intera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structional design is essential to implement classes of affective domain and it is important to adopt proper instructional methods for meeting learning objectives and making meaningful interactions. 본 연구는 국내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한 논문을 정의적 영역과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인성 요소를 가르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한 444여 편을 검토한 결과, 국내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한 논문은 심리적・정의적 영역에 해당하는 요소인 태도, 존중, 협동 등를 가르치기 위해 사례기반학습(CBL), 문제기반학습(PBL), 토론수업, 자원기반학습(RBL), 스토리텔링 수업, 체험활동과 같은 교수학습방법을 선정하여 실행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였다.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의 공통점은 ‘상호작용’이다. 하지만 인성교육에서 정의적 측면을 구체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체제적 교수설계가 요구되며,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선정하고 적용하여 상호작용을 구현하는 작업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

        윤가영,이준배,박선웅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8 No.4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identity development between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PPAAP) and mental health. Specifically, we examined whether the relation between PPAAP and mental health is mediated by the positive or negative aspects of identity development. Participants were 110 Korean college students. They completed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PPAAP, identity development, personal well-being, and depression. We found that PPAAP was negatively related to personal well-being and positively related to depression. Moreover, the relation between PPAAP and mental health was mediated only by the negative aspects of identity development. In other words, PPAAP was related to the negative aspects of identity development, which, in tur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in that it proposed identity development as a mediator between PPAAP and mental health and found that the negative, not positive, aspects of identity development mediated the relation. We suggest that institutional interventions that help develop identity can be an effective way to mitigate the negative impacts of PPAAP on mental health of children living in the highly competitive Korean societ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가 정체성 발달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중 어느 측면을 통해 매개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생 110명을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은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체성 발달, 웰빙, 우울을 묻는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참여자의 웰빙과는 부적, 우울과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다음으로,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정체성 발달의 부정적 측면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부모로부터 학업성취압력을 높게 지각한 참여자의 정체성은 제대로 발달하지 않았는데, 이는 곧 낮은 정신건강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매개변인으로 정체성 발달을 제시하며 정체성발달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중 부정적 측면이 두 변인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입시 경쟁이 치열한 한국사회에서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개입이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영향력을 상쇄할 수 있는 방안이 될수 있음을 시사하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을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가영,신주랑,장재홍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3 창의력교육연구 Vol.23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perceiving a creative school environment on academic performance, mediated by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Data from the 12th annual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ere utilized, and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1,398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reative school environment perception and school adapt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however, academic self-efficacy exerted a static influence on academic performance. Second, both creative school environment percep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had a static impact on school adapta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creative school environment perception is influenced by academic self-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porta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need to provide experiences through school learning activities that fulfill academic self-efficacy.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 creating a classroom atmosphere and designing learning activities that facilitate the cultivation of these aspects.

      • KCI등재

        중학교 학생의 협동적 학습양식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윤가영,박인우,장재홍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and influence factor in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se purpose, we used Panel data that was collected from ‘A Measurement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 Study Ⅱ: ICCS 2016’. By using this data, we have checked indicator variables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the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The research method that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latent profile analysis. In this study we set up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such as gender, learning adaptability, learning strategy, task management, relationship formation ability, emotional control,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were classified into four style: 'active style', 'general style', 'passive style', and 'inactive style'. As a factor influencing the learning style, First, female students belonged to more ‘passive style’ than male students. Second, the higher learning adaptability and task management ability, the higher-level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Third, in most learning styles, the higher learning strategy, the higher-level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Fourth, the higher relationship formation ability, the higher-level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Fifth, th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except for the ‘inactive group’, the higher-level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has various forms, and analyzing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can help to design collaborative learning class more systematically.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의 협동적 학습양식을 분석하고 학습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함으로써, 협동적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자 특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Ⅱ: IEA ICCS 2016’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협동학습 관련 지표변수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협동적 학습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성별, 학습적응성, 학습전략, 과제관리, 관계형성, 정서조절, 학업성취 등의 영향요인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협동적 학습양식은 ‘적극적 활동형’, ‘일반적 활동형’, ‘소극적 활동형’, ‘비활동형’ 4가지 학습양식으로 분류하였다. 협동적 학습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첫째, 성별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소극적 활동형’에 속하였다. 둘째, 학습적응성과 과제관리능력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협동적 학습양식에 속하였다. 셋째, 대부분의 집단에서 학습전략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협동적 학습양식에 속하였다. 넷째, 관계형성능력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협동적 학습양식에 속하였다. 다섯째, ‘비활동형’ 집단을 제외하고 학업성취 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협동적 학습양식에 속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 구성원의 협동적 학습양식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협동적 학습양식을 탐색하는 일은 협동학습 수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