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방법 연구의 동향과 과제

        장선영,고은현,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tendency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by analyzing th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which is there presentative journal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ethodology in Korea and finally put through the advanced proposals for educational methodology. The total articles were 217 which have been published for the last over 10 years (2003-2013). We analyzed the articles based on two criteria: research domains, research method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in the part of research domains, the teaching methodology accounted for 71.4% (155 articles) of the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domains were educational counseling (13.8%, 30 articles), educational evaluation (9.2%, 20), educational curriculum (2.8%, 6),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2.8%, 6). In the teaching methodology domain, the study of learning guidance model accounted for 38.2% (83 articles). Its hows that Korean educational methodology research has been mostly conducted on the teaching methodology, especially learning guidance model. Second,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s, survey study accounted for 45.2% (98 articles) of the total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literature study 14.3%, development research type I 11.5%, quasi-experiment study 10.6%, case study/qualitative study 7.8%, experiment study 6.9%, development research type II 3.2%, cost effectiveness study 0.5%, and others 0%. It is needed to be researched in the field of more qualitative study than quantitative one and also to expand the research domain and target learners in the future. 우리나라의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들을 연구하는 학문이 태동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발전을 모색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방법의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많은 이론들에 의해서 정립되었듯이 교육방법은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상황을 항상 고려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바로 이 원점에 서서 우리나라 교육방법의 현 모습과 발전 과제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을 다룬 전문 학술지인 ‘교육방법연구’ 2003년도에 발간된 15권 1호에서부터 2013년도의 25권 2호에 이르는 총 11권 28호, 217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질적인 교수학습 상황 속에서의 교육방법들이 현재 어떤 경향성을 띠고 있으며 이 속에서 어떤 교수와 학습의 요구가 있는지 교육방법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과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방법의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 분석에서는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주로 ‘교수방법’의 ‘학습지도 모델 연구’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 둘째, 교육방법의 연구방법에서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조사연구’의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향후 사례연구 및 문화기술연구와 같은 질적 연구들이 보다 다양한 연구영역에서 이뤄질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고등교육을 주로 대상으로 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유아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방법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교육방법의 의미고찰을 전제로 한 기업교육과 같은 다양한 성인교육에서의 교육방법이 필요하고,평생교육과 같은 범위로까지도 확대되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인식 조사 연구와 시사점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중심으로

        이준,방선희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education on『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ers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analyzed the 7 textbooks of the『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courses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the widely used textbooks fit to the purpose of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fter that, we surveyed 14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a lesson of『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rom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about teaching professionalism which are evaluating own self and effects of『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which are helping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Overall results are students assessed their own professionalism level as higher than the ordinary level. On the other hand the score about effects of『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which are helping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lower than their own teaching professionalism level. In the open-ended questionnaire, the pre-servic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need learning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as form of practically apply. Several suggestion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First, we need to teach by『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need to teach by practical case, real example in『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class for promote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 students need to get opportunity for practice and actual implementation when they take a class. Finally, we have to consider about the actual classroom environment of K-12 schools.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직이론 과목은 교원의 전문성 함양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직이론 과목 중『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은 특히 교원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해 개설되는 과목이다. 따라서 사범대, 교육대학원 등 교원양성기관에서 개설되는『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과목은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 있어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을 배양할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지식이 습득되도록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원의 수업전문성을 위한 기본 이수 과목인『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이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신장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과목 개설 취지에 보다 내실 있게 부합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원양성과정에서의 교직과목 운영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재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과목을 이수하고 현장학교에서 수업실습을 마친 예비교원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재들은 교원양성과정에 요구되는 교수요목을 적절히 반영하고는 있었으나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 방법이나 창의적인 수업방법의 개발, 국내 공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한 현장 적용 방안 등은 미흡하게 다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교원들은 교직과목『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수강이 수업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주는 정도가 크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예비교원 스스로 평가한 본인의 수업전문성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교원들은『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육내용이 실제 교실 수업장면에서 활용하기에는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현장 중심의 실용적이고 적용 가능한 수업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육방법연구 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윤옥한 한국교육방법학회 2023 교육방법연구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a total of 498 published 'Education Metho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during a period of 20 years, from 2002 (Volume 14, No. 1), to Volume 33, No. 4, published in 2021. The report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method research.'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itation index for the past two years (2019-2020) was 2.0.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each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prominent in the field with 324 articles (65%), followed by 92 practical studies (18%), 44 theoretical studies (9%), and 38 qualitative studies (8 articles; %).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each study subject, the most frequently used were multi-layered subjects (193 articles; 39%), followed by 191 articles (38%)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69 articles (14%)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nd 45 articles (9%)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each research topic, learning methods were addressed in the greatest number of studies (199 articles; 40%), followed by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methods (118 articles; 24%), teaching methods (109 articles; 22%), and research methods (72 articles; 14%).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can be evaluated as academic journals that clearly reveal the identity of the journal as a result of an analysis by citation index, type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방법학회지’에서 발행하는 ‘교육방법연구’ 논문을 2002년 제14권 1호부터 2021년 제33권 4호 까지 20년 동안 발행한 총 498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교육방법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2년(2019-2020)의 피인용지수는 2.0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방법별 현황 분석 결과 양적연구가 324편(6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이 실천연구 92편(18%), 이론연구 44편(9%), 질적연구 38편(8%)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별 현황 분석 결과 다층 대상이 193편(39%)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이 대학생 191편(38%), 중등 학생 69편(14%), 초등학생 45편(9%)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별 현황 분석 결과 학습 방법이 199편(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이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법 118편(24%), 교수 방법 109편(22%), 연구 방법 72편(14%)으로 나타났다. 교육 방법론 연구 학술지는 피인용지수,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주제별로 분석해 본 결과 학술지의 정체성이 분명히 드러난 학술지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의 효과성 연구

        김희배(Kim Heebae),염상훈(Yeum Sanghoon)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고등학교 수업현장에서 스마트태그의 활용을 통한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효과성을 검증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집단을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스마트교육 방법과 전통적 강의식 교육방법을 적용한 두 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 간 간 학업성취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두 집단 간 교육적 효과성(교육방법, 교수·학습과정, 자기주도적 학습력, 교과에 대한 태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결과,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학습집단이 전통적 강의식 교육방법을 적용한 학습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 및 교육적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 서책형 교과서중심 교과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스마트 교육환경에서 새로운 교육방법으로서 등장한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을 확산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즉, 학습내용과 관련해서 극히 제한된 정보만을 제공하는 서책형교과서 중심의 수업에서 벗어나서 학습내용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 부가적인 학습자원을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교과수업을 설계, 시행하는 학교교육 현장에서의 교사의 새로운 역할과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교과수업에서 스마트태그를 적절한 방법으로 설계, 활용하면 학생들의 학습동기 유발은 물론 학업성취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스마트교육의 효과적인 교육성과는 스마트 교육환경 속에서 새로운 방법의 교육적 변화를 시도하고자 하는 학교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This study has set a direction of how to design lessons and create and apply educational contents with smart education methods in order to effectively practice it in school,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lated literature. With the direction the instructional design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implemented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and the products were attached on existing textbooks as a form of the smart tag, which is a new teaching method to students.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academic achievement scores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 ones in the traditional instructor-led method(i.e. control group) were not. Also in order to analyz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s, the students were regrouped into a high academic performance group and a low one. After the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high level students and the low level ones in the experiment, and the high level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score differences whereas the low level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With aspect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saliently increased effectiveness was shown in ‘teaching and learning area’ and ‘attitudes toward the subject area’, except ‘teaching method area’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rea’. When divided with the academic performance criterion, high level students among the two groups did no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effectiveness perspective. Low level students, however, they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areas of ‘teaching method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attitudes toward the subject area’, with the excep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rea’. Such results prove the smart education method utilizing smart tags gives the positive influence to the students who have low academic performances, in learning motivation and participating in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가치교육 내용 및 방법 인식에 대한 성별, 급간별 차이 연구: IPA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이은배,김찬미 한국교육방법학회 2023 교육방법연구 Vol.35 No.1

        The movement to increase the awareness toward the public interest and community development by educa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social values is recently observ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how students perceive social value education before including in the curriculum.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electing social values prioritized by gender and school level by analyz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ocial value educ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 and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as conducted on social value ordinances perceived by students on a Likert scale. According to IPA classification, “keep up the good work,” “concentrate here,” “low priority,” and “possible overkill” of social value education contents were identified per gender and school level. In addition, preference on a method appropriate for value education was compared by gender and grade level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Value education methods included were the traditional approach such as lecture; the cognitive approach including debate, problem-based learning, and reflection on social problems; and the emotional-behavioral approach including simulation, role play, and project-based learning. Overall, female students perceived more highly of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value education than male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everal items of social value education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tection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human rights, contribution to the local economy, democratic decision-making and participation appeared to be the top-priority contents. For male high school students, job creation and safe work environment emerged as priorities. Regarding the value education method, male students most preferred the cognitive approach, specifically debate, and female students preferred an emotional-behavioral approach, namely simulation. By select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ocial value education based on empirical evidence, it is hoped to cultivate students' bearings of social value and responsibility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making sustainable communal well-being. 최근 중고등학생들에게 사회적 가치를 교육하여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 사회적 가치 교육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는 등 사회적 가치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가치 교육을 교육과정에 도입하기에 앞서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실증적 연구가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성별, 학교급별로 비교 분석하여 성별 및 학교급에 적합한 사회적 가치를 교육과정에 편성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서울특별시 소재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이 인식하는 개별 사회적 가치 조례의 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얼마나 교육이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수행도를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실시하여 우선순위와 현상유지, 과잉노력지양, 후순위 가치를 분류하였다. 더불어 가치 교육에 적합한 방법으로 전통적 접근 방식인 강의식, 인지적 접근 방식인 찬반 토론, 문제기반학습, 사회문제 성찰과 정서행동적 접근 방식인 가상체험 시뮬레이션, 역할극, 프로젝트 기반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를 성별, 급간별로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사회적가치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여중생에게는 사회적 약자와 인권 보호, 지역경제 공헌, 민주적 의사결정과 참여 등에 관한 내용이 우선적으로 교육되어야 할 내용으로 나타났고, 남고생에게는 노동권과 안전한 근로 생활, 보건복지,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에 관한 가치 교육이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더불어, 사회적 가치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남학생의 경우 인지적인 방법인 찬반 토론을, 여학생의 경우 정서행동적 접근 방식인 가상체험 시뮬레이션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사회적 가치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교육과정에 반영함으로써 학생들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책임감을 높이고 사회문제의 협력적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방법

        송승현 한국교육방법학회 2008 교육방법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 for underachieving students. First, the author reviewed the conceptual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ment, meanings and history of individualized instruction, and strategies to implement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 Considering the classroom setting, in which underachieving students are educate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Differentiated Instruction (DI), and Response to Intervention (RTI) models are suggested as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methods to teach effectively underachieving students in the regular education classroom with diverse students needs. Teacher training methods are discussed to implement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 successfully.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 방법을 고찰하기 위해 먼저 학습부진아의 정의 및 특성을 기술하고, 개별화 교육 방법의 의미와 역사, 개별화 전략을 살펴보았다. 학습부진아가 속해있는 현실적 학교 교육 현장과 학습부진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화 교육방법의 요소를 실제 수업 계획과 적용의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별화 교육방법으로 보편적 학습설계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차별화된 교육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 방법이 성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조건으로 교사교육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재반응모델 (Response toIntervention)을 통해 학습부진아에게 적절한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여 학습에 실패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PBL 기반 학교컨설턴트 양성 교육프로그램 구안

        정은실(Eun-Shil Jung),임병노(Byoung-ro Lim)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3

        학교컨설팅이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와 학교체제의 발전, 교사의 전문성 향상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학교컨설팅의 인적자원인 학교컨설턴트의 전문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학교컨설턴트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현재 국내 몇몇 대학에서 개설, 운영하고 있으나 교육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를테면,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적 측면의 경우, 주로 일반적인 컨설팅 지식과 방법론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어서, 학교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실무에 밀착된 내용이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방법적인 면에서는 기존의 많은 연수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강의와 사례제시의 방법으로 진행됨으로 인해, 현장에서 학교 컨설턴트로서의 전문성을 발휘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지식, 태도의 단계까지 이르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학교컨설턴트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대안적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안적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먼저 학교 구성원들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프로그램의 내용을 확정하기 위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실질적으로 학교컨설팅의 직접적인 실행자인 교사들과 학교컨설팅의 결과로 인한 실질적 수혜자인 학생과 학부모를 중심으로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교육프로그램이 ‘학교’라고 하는 구체적인 상황에 기반하여 컨설팅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변화관리, 셀프리더십, 논리적 사고력이라는 세 가지 주제영역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의 방법적 측면에서는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 이하 PBL)에 기반하여 실무적용성, 실천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향후 학교컨설턴트의 전문성 향상을 꾀하기 위해서는 학교 변화관리, 셀프리더십,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주요 주제로 한 ‘PBL 기반 학교컨설턴트 양성교육프로그램’(이하 ‘양성프로그램’) 도입의 필요를 도출하였다. 이 필요성에 근거하여 ‘양성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 및 교수방법을 제안하고 ‘양성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Since the late 20th century, the need for a new educational paradigm has emerged, and at the present we are witnessing accelerated practical implementation of movements demanding adaptation to historical and social changes. The efforts to seek major transformations across the entire educational environment have taken a variety of forms. The responsibilities of the teacher now includes not only teaching ability and the capability to fulfill work responsibilities; the scope of responsibilities has broadened in the face of demands for the ability to responds to social changes and innovations and the professional competence to maintain and develop cooperative relations with the local social community. To ensure that the school consulting system shall be operated in a manner immediately responding to the demands of the current era, the training of school consultants has become an urgent need. Though a few universities are currently conducting educational programs to train school consultants, these have been noted for problems in the cont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in their methodological aspects. Launched from the premise that educational programs for training school consultants are of great importance, the present research focuses on two areas which are currently pointed out as problems in the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and addresses these problems by presenting alternative methods. Accordingly,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training school consultants which is suited to the circumstances of the ‘school,’ the research identifies what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s contents should be, proceeding through the stages of objective analysis, work responsibility analysis, and demand analysis. From this three types of broad topics were derived, including change management, self-leadership, and logical cognitive ability. Also, in terms of methodology,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known as PBL was selected as a methodology capable of enhancing actual applicability and practical feasibility to conceptualize a ‘PBL Based Educational Program for Training School Consultants.’ The present research was limited to the stage of conducting a formative evaluation for the proposed program, there remains an urgent need for follow-up studies to apply the proposed design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school consultant training to actual situations and thereby confirm the outcome. However, due to the rapid dissemination of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such programs in the present time, the demand for educational programs to train school consultants is imperative. H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present research consists of having conducted the foundational research taking the first step of conducting a clear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of such educational program and illuminating the ‘content composition’ reflecting such identified features, as well as presenting a proposal for the design of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will properly implement these findings.

      • KCI등재

        교사들이 인식한 EBS 시범학교 효과성 및 운영개선을 위한 연구

        박성희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4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됨에 따라 창의적 체험활동과 진로 및 적성에 맞는 교육제공과 함께 디지털교과서 등장으로 교수-학습 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교육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다양한 맞춤형 교육 콘텐츠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한편, 사교육비 경감과 교육격차 해소 및 공교육 정상화에 대한 기대들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 EBS는 다양한 콘텐츠를 학교교육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테크놀로지 환경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육콘텐츠 개발 및 관련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한 노력의 하나로 학교현장의 EBS 활용률 개선을 위해 2개년 계획으로 19개 EBS 시범학교를 지정 및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BS 시범학교 운영실태, 교사들이 인식한 EBS 시범학교의 효과성 및 운영개선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EBS 시범학교 운영 실무를 담당하는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EBS 시범학교 운영실태는 학교급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이 인식한 EBS 효과성이 학생과 교사차원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의 학습동기,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학력신장에 대한 변화에 대해 교사들의 긍정적 인식이 나타났으며, 이와 함께 교사간 협력 강화 및 전문성 신장 등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시범학교 운영개선을 위해서 시범학교, EBS, 시도교육청 등 관련된 3개 기관차원별로 상세한 개선 사항 요구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EBS 시범학교 운영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s new 2009 curriculum was introduced to schools, needs of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are increased such as creative activities, core competency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and technology integration using digital textbook.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EBS) has put effort on new technology,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and providing services. However, the rate of EBS use in classroom was not increased. Therefore, EBS started to 19 EBS model school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sis of operation status, investigation of perception of effectiveness of EBS model schools. and improvement of its management. 10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As results, firstly, the patterns of the operation of EBS model schools were various. Secondly, teachers’ perception of EBS was positive. In specific, they perceived that students’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development of academic skills were increased. To improve EBS model schools’ management, three major organizations’s efforts were involved; 1) EBS model schools, 2) EBS, and 3) Office of Education.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용서교육 프로그램이 집단따돌림 경험아동의 보복 심리와 용서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철환,이영만,김민정 한국교육방법학회 2008 교육방법연구 Vol.20 No.2

        이 연구에서는 용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가해아동에 대한 집단따돌림 경험아동의 이해력을 높이도록 교육하여 보복 심리를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가해아동에 대한 용서 수준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용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훈련집단 아동(집단따돌림 경험아동)의 보복심리 수준과 용서 수준이 개선되어 4주 후까지 효과가 지속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G시 소재 K초등학교 5학년 300명 가운데 집단따돌림 경험 학생 판별설문지와 용서 수준 검사를 통해 실험 대상 아동을 선발하여, 매회 40분씩 8회기에 걸쳐 용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전후와 종료 4주 후에 집단따돌림에 대한 보복 심리와 용서 수준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용서교육 프로그램은 보복심리 수준을 의미 있게 감소시켰으며, 그 결과 가해아동에 대한 용서 수준도 의미 있게 증가되었고, 이 효과는 4주 후의 지속검사에도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집단따돌림경험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용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으며, 용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집단따돌림 아동의 보복 심리를 낮추어, 집단따돌림 경험아동이 다시 가해아동이 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용서교육을 통해 끊을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 forgiveness group counseling program could be effective in encouraging school-bullying victims to understand and to forgive bull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 5th grade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300 fifth graders in K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G.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school-bullying victims, the eleven children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Enright's Forgiveness Inventory(1995), Jang's Group-Bullying Victim Scale (2001) and Park's Revenge Scale(2005).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g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scores in the reveng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and this effect was sustained after four weeks later.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scores in the forgiveness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and this effect was remained after four weeks later. The meaning of this study could be described as below; First, the greatest meaning of this study was that unlike earlier studies, it attempted to use a forgiveness program geared toward school-bullying victims and to evaluate its effect. Second, a guidebook for teachers and a workbook for students were provided in the form of lesson plans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ird, the forgiveness program had an effect on easing the revenge of the abused children, and that would make it possible to cut off the vicious circle of turning abused hildren into bullies, as bullied children were likely to bully not only their bullies but also others.

      • KCI등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에서 다차원 척도에 대한 다양한 문항묶음방법 적용연구

        오숙영(Oh, Sook Yo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에서 다차원 척도에 개별문항방법과 다양한 문항묶음 방법(요인·상관·방사·다차원)을 적용하고, 개별문항방법 결과와 다양한 문항묶음방법 결과를 비교분석함으로서 문항묶음방법의 효과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문항묶음은 측정모형에서 여러 관측변수들을 평균이나 합산으로 묶어서 사용하는 방법론이다. 이를 실시했을 때는 자료비정규성 완화, 모형간명화, 측정오차 감소, 공통분산 증가, 모형적합도 안정성, 모수추정 안정성이라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러나 문항묶음방법론은 다차원 척도에 적용 하게 될 때에 일차원성가정이라는 논쟁점이 제기되며, 다양한 시뮬레이션 연구를 할 때에 모형적합도 및 모수추 정의 안정성 혹은 편향성이라는 상반된 연구결과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항묶음방법론의 논쟁점 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두는 다음의 연구를 진행한다. 첫째, 다차원(다요인)에 속한 하나의 요인에 대하여 일차원성검정을 한 후에, 일차원성이 검정된 하나의 요인에 대하여 문항묶음방법을 적용 한다. 둘째, 다양한 상황의 가설들을 설정하여 문항묶음방법을 적용한 후에, 문항묶음방법이 어떤 경우에는 효과 적이고 어떤 경우에는 비효과적인지 파악한다.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모형은 단순한 다차원(다요인)의 모형, 위계적인 다차원(다요인)의 모형, 작은 표본에 적용한 모형, 표준도구이지만 과다한 요인과 문항을 포함하고 있는 복잡한 다차원(다요인)의 모형, 그리고 다차원(다요인)의 모형들 간의 구조모형이다. 셋째, 다양한 연구모형에 개별문항과 다양한 문항묶음(요인·상관·방사·다차원)을 적용한 후에, 정규성, 확인적 요인분석의 모형적합도 및수렴타당도, 구조방정식모형의 모형적합도 및 효과크기를 검정한다. 다음은 결과이다. 첫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이다. 문항묶음방법은 개별문항방법과 비교해서, 정규성과 모형적합도(TLI, CFI, RMSEA) 및 수렴타당도(경로계 수, 개념신뢰도, 분산추출지수)가 훨씬 더 안정적이며 좋은 수치로 추정되었다. 둘째, 구조방정식모형분석 결과이 다. 문항묶음방법은 개별문항방법과 비교하여, 모형적합도와 경로계수(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가 약간 더 안정적이었다. 셋째, 다양한 문항묶음방법론비교 결과이다. 확인적 요인분석에는 방사묶음, 구조방정식모형분석에는 다차원묶음이 효과적이었다. 넷째, 다양한 상황의 가설 결과이다. 문항묶음방법은 작은 표본에 적용했을 경우 에, 요인과 문항이 과도하게 많은 복잡한 모형에 적용했을 경우에, 정규성과 모형적합도 및 경로계수가 매우 안정적으로 되었다. 따라서 작은 표본이면서 개별문항수보다 문항묶음수가 크게 감소하는 경우에는 모수 당 표본의 수가 증가되므로, 추정의 안정성은 더욱 향상될 것이다. 여섯째, 문항묶음방법은 정규성가정이 만족되는 자료 보다는 위배되는 자료에 적용했을 경우에, 적합도 및 모수추정이 현격하게 좋아졌다. 본 연구는 문항묶음방법론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 및 경험적인 결과를 토대로 하여, 문항묶음방법이 개별문항방법보다는 효과적임을 검정 하면서, 문항묶음방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조언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methods of factor·correlation·radial·multidimensional parceling to multidimensional scales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n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utility of item parceling metho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individual item method with the results of item parceling method. The item parceling method, defined as the sum or mean scores of individual item scores, have been widely used as observation variable in setting up the measurement model in CFA and SEM. The item parceling method is used in data: (1) that is not optimal(nonnormality); (2) that the sample size is small; (3)that has many items in factor; (4) that has hierarchical and complex factors in scale; and (5) that use the standardized scale which is failed to test CFA. The merits of item parceling method are; (1) the alleviation of non normality of data; (2) the simplicity of model; (3) the diminution of measure error index; (4) the increasing of communality; (5) the diminution of unique variance; (6) the stability of model fit; and (7) the stability of parameter estimates. The dispute of item parceling method is the assumption of unidimension and the results of stability or deviation of parameter estimate and model fit in simulation research. The model of research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FA is testified in the model; (1) which has small factors in scale; (2) which has many hierarchical factors in scale; (3) which has small subject; (4) which has many and complex factors and items in standardized scale, and the SEM is testified in the model which has multidimensional factors. The item parceling methods which are composed of factor·correlation·radial·multidimensional method and the individual item method are applied to the measurement variables in models which are expla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tem parceling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individual item method in CFA. For example, the indexes of normality, model fit as χ 2 , TLI, CFI, and RMSEA, parameter estimate, and convergent validity as construct reliability and AVE in item parceling method are more stable. Second, the item parceling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individual item method in SEM. For example, the indexes of model fit and parameter estimate in item parceling method are more stable. Third, the most effective item parceling method in CFA is radial parceling method and in CFA is multidimensional parceling method. Forth, the item parceling method is effective as it is applied in the model that has small subject. Fifth, the item parceling method is effective as it is applied in the model that has many, complex, and standardized items. Sixth, the item parceling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individual item method in SEM. This study suggests the theory of item parceling method from the point of view in psychological measurement and structure equation, the variable methods of item parceling, the merits of item parceling, and the differences between item parceling method and individual item method from empirical research results. This study makes the suggestions that item parceling method can perform to its potential when; (1) the subject size is small; (2)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given data is nonnormality; (3) model is complex, (4) there are violations of the assumptions for SEM(e.g., correlated errors), and that item parceling method should not be used in the measurement model which is based on wrong theory and concep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