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current Insulin Autoimmune Syndrome Caused by α-Lipoic Acid in Type 2 Diabetes

        배상묵,배명남,김은영,김일규,서민우,신진경,조성래,정귀화 대한내분비학회 201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28 No.4

        Insulin autoimmune syndrome (IAS) is characterized by spontaneous hypoglycemia caused by insulin autoantibodies in the absence of exogenous insulin administration. Some drugs containing sulfhydryl compounds are known to initiate the onset of IAS. A 67-year-old female who had diabetes for 5 years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at our institution due to diabetic peripheral polyneuropathy. She was prescribed α-lipoic acid (ALA), which contains two sulfur atoms. Two weeks later, she complained of recurrent hypoglycemic symptoms. We detected a high level of insulin and high titers of insulin autoantibodies. Her human leukocyte antigen (HLA) genotype included the DRB1*0406 allele, which indicates a high level of susceptibility to IAS. She was treated with prednisolone. After this episode, she experienced two more hypoglycemic events after taking ALA for diabetic neuropathy in other hospitals. As ALA can be used to treat diabetic peripheral polyneuropathy, physician discretion is advised based on the possibility of IAS due to ALA in diabetic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바터팽대부에 발생한 유암종 1예

        배명남,배상묵,김은영,주연호,김명환 대한췌담도학회 2011 대한췌담도학회지 Vol.16 No.1

        Carcinoid tumors of the ampulla of Vater is very rare. Only 109 ca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international literatures and 17 in Korea. Unlike duodenal carcinoids, their metastasis is not related with tumor size in foreign reports. Thus, treatment is surgical resection even in small tumors.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carcinoid tumor of ampulla of Vater and report here with reviews of all domestic cas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문기원,임정,배상,이기만,김석형,채희복,박선미,윤세진 대한간학회 200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0 No.3

        Background/Aims: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associated with dyslipidemia,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which are the main features of metabolic syndrome. First, we examine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patients with NAFLD. We then compare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simple steatosis with that in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Finally, we sought to identify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age of liver fibrosis. Methods: From November 2002 to March 2004, we enrolled consecutive 25 patients with NAFLD from patients visiting outpatient clinic. The 17 controls were healthy persons who visited our health promotion center. We compared the clinical and biochemical data of the NAFLD group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Using histologic findings, we divided NAFLD into simple steatosis and NASH. We then compared the clinical and biochemical data of the simple steatosis group with those of the NASH group. Results: Fourteen patients (14/25, 56%) had metabolic syndrome in the NAFLD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between the simple steatosis (5/10, 50%) and the NASH group (9/15, 60%).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but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insulin resistance was the only significantly different factor between the simple steatosis group and the NASH group. In addition, no difference in histological features was found between NASH with metabolic syndrome and without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s: A considerable number of patients with NAFLD had metabolic syndrome.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NAFLD and metabolic syndrome. We could not find any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at could predict a severe fibrosis. 목적: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알코올 섭취 없이 간에 지방 변성, 염증세포 침윤, 섬유화 등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약물이나 위장관 수술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하지만 비만, 인슐린 저항성,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성 질환들에 자주 동반하여 나타난다. 대사증후군은 비만, 이상지혈증, 고혈압, 내당능 장애나 당뇨병 등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국내에서 점차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위 두 질환은 서로 비슷한 임상 양상을 나타낸다. 저자 등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중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두 질환 간에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2년 11월부터 2004년 3월까지 본원 내과 외래에 내원한 환자 중 알코올 음주력이 없고 간생검상 단순 지방증 및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으로 진단받은 25명의 환자를 NAFLD군으로 정의하였다. 본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환자 중 초음파상 지방간이 없었고, 아미노전이효소 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2배 이내인 17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두 군의 체중, 신장,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혈압, 아미노전이효소, 공복혈당, 공복혈청 인슐린, C-peptide, 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청 HDL 콜레스테롤, 소변 미세단백, 소변 크레아티닌, ACR, HOMA IR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다시 NAFLD군을 조직검사 소견에 따라 단순지방증군과 NASH군으로 나누어 양군을 비교하였다. 또한 NASH의 섬유화를 예측할 수 있는 임상적 및 생화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결과: NAFLD군 25명과 대조군 15명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25명의 NAFLD군에서 14명(56%)이 관찰되었고, 17명의 대조군에서는 2명이 관찰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 심혈관계 위험 인자를 비교해 보았을 때,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인자는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허리/엉덩이둘레 비, AST, ALT, 공복혈청인슐린, C-peptide,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HOMA IR이었다. 하지만 NAFLD군을 10명의 단순지방증군과 15명의 NASH군으로 나누어서 비교해 보았을 때에는 HOMA IR 수치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NASH군 내에서 대사증후군의 동반 여부가 조직학적 중증도와는 서로 관계가 없었고, 섬유화 정도와 연관성이 있는 인구학적, 임상적 인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비알코올성 지방간군 과반수가 대사증후군을 동반하였으며, 또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군의 섬유화 정도와 연관성이 있는 독립적인 심혈관계 질환 위험 인자는 발견할 수 없었다.

      • KCI등재

        Mucosal Schwann-Cell Hamartoma Diagnosed by Using an Endoscopic Snare Polypectomy

        배명남,이정은,배상묵,김은영,김은옥,정성훈,오정환,민기옥 대한대장항문학회 2013 Annals of Coloproctolgy Vol.29 No.3

        Colorectal polyps of mesenchymal origin are a rare group of colorectal disorders. A ‘‘mucosal Schwann-cell hamartoma,”which is one type of polypoid lesion that originates from the mesenchyme, is a newly-proposed disease entity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neurofibromas found in type-1 neurofibromatosis. This lesion is composed of pure Schwann-cell proliferation in the lamina propria and shows diffuse immunoreactivity for the S-100 protein. We report a case of a polypoid lesion of the colon with the features of this recently-proposed disease entity.

      • 위절제로 치유된 위전정부 혈관 확장증 1예

        김진아,김기석,김형삼,배상,채희복,윤세진,임정,오석진,최재홍,배일헌,성노현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2 Clinical Endoscopy Vol.25 No.1

        Gastric antral vascular ectasia (watermelon stomach) is a rare cause of chronic gastrointestinal bleeding, characterized endoscopically by a distinctive appearance of prominent red vascular folds traversing the gastric antrum and radiating to the pyloric sphincter; this appearance has been likened to the dark stripes on the surface of a watermelon. The etiology is unknown, and the usual presentations are iron-deficiency anemia and melena due to chronic gastric blood loss. Diagnosis is made by the characteristic endoscopic appearance and histologic findings. The treatment of choice is not known yet; surgical resection is curative method, but results from endoscopic treatment with heat probes or lasers are promising. We experienced a case of gastric antral vascular ectasia presenting with epigastric pain and melena in a 34-year-old female.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hemigastrectomy and Billroth II anastomosis.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2;25:30-33) 위전정부 혈관 확장증은 위전정부를 종주하는 발적된 위주름이 유문륜으로 수렴하는 특징적인 위내시경 소견을 보이는 질환이다. 이러한 위내시경 소견은 점막고유층 모세혈관의 확장과 모세혈관 내 혈전, 이차적인 섬유근성 과형성 등의 조직학적인 특징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여자 노인에서 호발하며, 위점막의 확장된 모세혈관에서 지속되는 출혈로 인하여 빈혈, 흑변, 잠혈반응 양성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저자 등은 간헐적 상복부 동통과 흑변을 주소로 내원한 34세 여자 환자에서 위 내시경 검사 및 방사선학적 검사, 위절제 표본의 조직검사 등을 통하여 위전정부 혈관확장증 1예를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급성 췌장염으로 발견된 췌장의 관내 관유두상 종양

        김은영,,신재욱,주연호,이주용,김지훈,박윤정,배명남,배상묵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01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6 No.S

        Intraductal tubulopapillary neoplasm (ITPN) of the pancreas has been recently reported. It is very rare, therefore clinical behavior and prognosis has not yet been characterized. We experienced a case of ITPN of the pancreas which presented with acute pancreatitis and treated with Whipple’s operation. Histopathologic finding showed papillary hyperplasia with carcinomatous change. The tumor recurred after 47 month of operation, and she underwent total pancreatectomy. Pathologic finding revealed tubulopapillary growth with high grade dysplasia. Immunohistochemial staining was not performed, however gross and microscopic findings were compatible with ITPN of the pancreas. We report a case of ITPN of the pancreas.

      • SCIESCOPUSKCI등재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장 점막 비만세포

        최재홍 ( Jae Hong Choi ),나병규 ( Byung Kyu Nah ),임정 ( Jung Muk Leem ),배상석 ( Sang Seok Bae ),최기원 ( Ki Won Choi ),채희복 ( Hee Bok Chae ),박선미 ( Seon Mee Park ),윤세진 ( Sei Jin Youn ),성노현 ( Ro Hyun Sung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4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0 No.1

        목적: 과민성 장 증후군은 임상적으로 매우 흔한 질환이지만 아직까지 그 원인이나 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못한 상황이다. 비만세포는 장관 신경과 평활근의 기능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매개체를 가지며 장관 신경과 근육과도 상호작용을 하여 과민성 장 증후군의 병인에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저자들은 비만세포가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의 대장 점막에서 정상 및 염증성 질환 환자에 비해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과민성 장 증후군의 아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는 충북대학교 병원 내과에서 진료 받은 환자들 중 Rome II 진단 기준에 합당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는 16명, 정상 대조군 8명, 염증성 대조군은 5명이었다. 모든 환자는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고, 맹장, 상행, 하행 결장과 직장 부위에서 생검을 하였다. 비만세포는 트립타제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 염색법으로 관찰하였고, H&E 염색을 통하여 중성구, 림프구, 형질세포와 호산구의 수를 측정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비만세포수는 하행 결장에서만 과민성 장 증후군(15.2±4.0)에서 정상 대조군(10.9±2.7)과 염증성 대조군(11.0±2.9)보다 유의하게( p=0.02) 높았으며, 다른 부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만세포를 제외하고는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다른 염증세포의 침윤이 증가해 있지는 않았다. 과민성 장 증후군의 증상의 유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어 맹장 부위에서의 비만세포수가 변비형(21.3±3.4)과 통증형(22.7±2.5)이 설사형(14.6±4.2)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결론: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다른 염증성 및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하행 결장의 점막에서 비만세포의 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과민성 장 증후군의 증상별 아형에 따른 비교에서는 변비형과 통증형이 설사형 보다 맹장 부분에서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비만세포가 병인에 관여하며 증상의 아형별에 따라서 그 관여정도가 차이가 존재할수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 ound/Aims: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is ubiquitous but the pathophysiology remains poorly established.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role of mast cells (MC) as they release variable mediators and have receptors for neurotransmitt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MC were increased in the colonic mucosa of IBS patients compared to controls. Methods: Biopsy was done from the cecum, ascending colon, descending colon and rectum of 29 patients: 16 IBS, 8 normal, and 5 inflammatory controls. Tissue was stained immunohistochemically with a monoclonal antibody for human mast cell tryptase for MC, and H&E stain for other inflammatory cells. Results: MC count of IBS patients at the descending colon (15.2±4.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either normal controls (10.9±2.7) or inflammatory controls (11.0±2.9). In a group of patients with IBS, MC count at the cecu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stipation-predominant subtype (21.3±3.4) and the pain-predominant subtype (22.7±2.5) than the diarrheapredominant subtype (14.7±4.2). Conclusions: Patients with IBS have higher MC count than controls, and MC count in constipation-predominant IBS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diarrhea-predominant IBS pati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C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IBS. (Kor J Neur ogastr oenter ol Motil 2004;1:57-6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