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군 복무 후 복학한 2년제 대학생의 학업적응에 관한 연구
박선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아시아교육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eply explore the academic experiences of male students who have temporarily experienced school interruption due to military service, and to present practical strategies for positive academic adaptation. Five male students who returned to a two-year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fter serving in the military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using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cademic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ho returned to school after serving in the military were found to be "challenges to their abilities in school again," "means for dreams," and "building limited relationships." This study focused on vividly portraying the academic adaptation experience through the mouths of male students who returned to school after serving in the military. Given that students who returned to school after serving in the military also need to adapt to school, it is believed that academic adaptation support programs will be needed for them, including the newly added bachelor's system and introduction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major subject roadmap. In addition, there will be a need for a system that supports a sense of belonging and emotional stability by adapting to school memb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significant for basic data that prepare a system that can substantially support 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to adapt to their studies at the university level when they return to school after completing their military service. 본 연구의 목적은 군 복무로 인해 일시적으로 학업중단을 경험한 남학생들의 복학 후의 학업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고, 이를 통해 그들의 긍정적인 학업적응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2년제 대학의 군 복무 후 복학한 남학생 5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활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군 복무 후 복학한 대학생들의 학업경험은 ‘다시 돌아온 학교에서의 자신의 능력에 대한 도전’, ‘꿈을 위한 수단’, ‘제한적인 관계맺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군 복무 후 복학한 남학생들의 입을 통해 학업경험을 생생하게 그려내는데 초점을 두었다. 군 복무 후 복학한 학생도 신입생처럼 학교에 적응해야 한다는 점에서 새로 추가된 학사제도, 전공과목 로드맵에 따른 과목소개 등 이들을 대상으로 한 학업적응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학교 구성원으로 소속감과 정서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는 지원도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한국의 남자 대학생들이 군 복무를 마치고 다시 학교로 돌아왔을 때 대학 차원에서 실질적으로 그들의 학업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기초자료에 유의미할 것으로 여겨진다.
박선미,오홍식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21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07
교통과 통신의 발달, 산업화에 따른 경제발전으로 인간의 활동 범위가 확장되었고, 지구상에 나타 나는 기후변화로 인해 외래생물의 유입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는 특이한 애완동물에 대한 선 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거북류의 거래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수입된 외래거북 중 일부는 수입 당시 원 래의 목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국내 수계로 유입되어 확산되고 있다. 제주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붉은귀거북의 분포와 서식지 정보를 파악하는 단편적인 연구만 이루어졌다. 일부 연구에서는 정확한 종 동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추정하고 있으며, 외래거북의 현황 파악이 매우 미흡한 실 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 내륙습지 367곳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외래거북의 분포 현황 을 파악하고, 분자유전학적 분석을 통한 종 동정 및 유입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46개 지점에서 4과 6속 11종의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 노란배거북(T. s. scripta), 쿰 버랜드(T. s. troostii ), 리버쿠터(Pseudemys concinna), 페닌술라쿠터(P. peninsularis), 플로리다붉 은배거북(P. floridana), 북부붉은배거북(P. rubriventris ), 동부비단거북(Chrysemys. picta picta), 중국줄무늬목거북(Mauremys sinensis ), 중국자라(Pelodiscus sinensis ), 아마존노란점거북 (Podocnemis unifilis ) 등 총 258개체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제주시 조천읍에서 종다양도가 가장 높 았고, 애월읍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었다. 제주도 내 외래거북은 서식지, 개체수, 종다양도 등 모든 측면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현재 제주지역에는 외래거북의 유입과 정착이 빠른 속도 로 증가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외래거북 집단의 mtDNA 유전자 서열을 분석한 결과, 28개의 CYTB 서열 중 16개 서열은 붉은귀거북(99.91-100%)과 유사하였고, 8개 서열은 늪거북속(99.82-100%), 4 개 서열은 중국줄무늬목거북(99.73-100%)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붉은귀거북 집단의 CYTB 서 열은 5가지 haplotype으로 구분되었고, 리버쿠터와 중국줄무늬목거북은 각각 3가지 haplotype으로 구분되어, 수입 당시 다양한 모계혈통에서 기원한 개체들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 붉은귀거 북 집단의 일부 서열은 국내에서 보고된 서열과 동일하여 이 개체들은 동일모계 집단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미국에서 국내로 수입된 이후, 제주지역으로 유통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 은 제주지역 외래거북류의 서식 현황 연구 및 유입경로 파악에 정확하고 과학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향후 제주지역 외래거북 집단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활용될 것이 기대된다.
박선미 한국보육지원학회 2008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선택활동의 사회극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혼잣말, 놀이 유형, 또래 참여 유형의 연령별 특성을 알아보고, 혼잣말과 놀이 유형 및 또래 참여 유형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충남 소재 유치원 만 3, 5세 유아 16명의 사회극놀이를 관찰하고, 이를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놀이에서의 혼잣말은 연령별로 큰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으며, 모든 연령에서 ‘상상놀이와 음향소리’ 범주가 가장 많이 나타났 다. 둘째, 사회극놀이에서 나타나는 놀이 유형과 또래 참여 유형에서는 연령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셋째, 혼잣말과 놀이 유형, 또래 참여 유형간의 관계에서는 가상놀이와 혼자놀이가 가장 많은 혼잣말 범주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박선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7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middle-aged men are experiencing while using YouTube. Methods A case study using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on six middle-aged men who had watched YouTube three to five times a week or had experience running YouTube Channel. In order to secure validity and reliability, triangular verification and member check were performed through research interview records. Results For middle-aged men,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using YouTube was ‘personalization’.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are YouTube channel operators and non-channel operators. Specifically, it was derived from the psychological personalization of “space to enjoy rest when you want” and “self-protection without exposing yourself,” economic personalization of “free learning center”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and “a tool for communication for social exchange” and “a window for promoting existence.” YouTube channel operators usually act as media producers, bu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mainly using YouTube as a consumer of information as they did not consistently operate their channels. Conclusions Through the voices of middle-aged men, they expanded their understanding of YouTube use. Since it suggests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which helps determine whether media information is true, is also required for middle-aged men, who are analog generations,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them needs to be continuously conducted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is believe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is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and operating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middle-aged men.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년남성이 유튜브 사용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주3~5회 유튜브를 시청하거나 유튜브 채녈을 운영해 본 경험이 있는 중년남성 6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활용한 사례연구를실시하였다.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면담기록지 등을 통한 삼각검증법과 연구참여자 확인(member check)을 하였다. 결과 중년남성들에게 유튜브 사용 경험의 의미는 ‘개인맞춤’이었다. 구체적으로, ‘자신이 원할 때 쉼을 즐기는 공간’과 ‘자신을 노출시키지 않는 자기 보호’의 심리적 개인맞춤, ‘부담 없이 자유로운 배움터’와 ‘미래에 대한 준비’의 경제적 개인맞춤, ‘사회적 교류를위한 소통의 도구’와 ‘존재를 알리는 홍보의 창구’의 사회적 개인맞춤으로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 중에는 유튜브 채널 운영자와 채널미 운영자가 있다. 유튜브 채널 운영자는 대개 미디어 생산자의 역할을 하지만,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자신의 채널을 꾸준히 운영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서 주로 정보의 소비자로서 유튜브를 사용하고 있었다. 결론 중년남성의 목소리를 통해 그들의 유튜브 사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미디어 정보의 사실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돕는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아날로그 세대인 중년남성에도 요구되어지는 것임을 시사하였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평생교육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년남성들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설계⋅운영하는데기초자료로 활용되는 데 유의미할 것으로 여겨진다.
성폭력에 대한 통념과 성관련 경험이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박선미,송원영 한국여성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7 No.2
This research is to study factors of affecting sexual assertiveness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in order to prevent university students from sexual problems. The factors include empirical factors such as sexual damage, abuse, and sexual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 common idea of sexual violence and tolerance towards violence on dating.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among subordinate factors was carried out to study how a common idea of sexual violence and tolerance towards violence on dating affect sexual assertiveness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when empirical factors is under same control. For these studies, 240 data obtained by surveying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located in a middle region of South Korea were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collected data. SPSS 15.0 Program was used for these analyses. There are five abridged consequences of this research. First of all, there i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xual assertiveness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and both a common idea of sexual violence and sexual experience, but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xual assertiveness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and tolerance towards violence on dating. Secondly, personality and physical damage in the past don't significantly affect sexual assertiveness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but sexual experiences do. Thus, The more sexual experiences are, the lower the level of sexual assertiveness is. Thirdly, a common idea of sexual violence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significantly affects sexual assertiveness of them. Fourthly, when sexual experiences, which is the one of the empirical factors,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is under same control, a common idea of sexual experience still affects sexual assertiveness of them. Finally, ‘misunderstanding of the opposite sex's behavior’ and ‘a false report of lechery and rape’ affect disallowance of sexual relations. That is, this common idea of sexual violence such as the misunderstanding and the false report makes it difficult to disallow sexual intercourse. Through these consequences, proposals for further discussion and study are included in this research.
중년기 성인의 향유신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박선미,전혜성 한국가족치료학회 2018 가족과 가족치료 Vol.26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voring beliefs and a subjective sense of well-being among middle-aged adult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given to middle-aged adults aged between 40-65 years in Seoul, Gyeonggi, Daegu, and Gwangju during a two week period in March, 2018 (N=326).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were the savoring belief scale,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 and the shortened subjective well-being scal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were examin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by verifying the measurement model. Results: Three major results were found: First, higher savoring belief enhance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mproves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higher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higher the subjective well-being. Third,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avoring belief and subjective well-being.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aged adults, the savoring belief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hich includes a cognitive psychological mechanism, should be highly antecedent.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향유신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구, 광주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0∼65세의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2일에서 3월 17일까지 대략 2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N=326). 측정도구는 향유신념 척도, 정서표현성 척도, 단축형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와 AMOS 18.0의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조사하였고, 측정모형의 검증을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높은 향유신념은 정서표현성을 높이고,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정서표현성이 높아지면 주관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표현성은 향유신념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지적 심리기제인 향유신념과 정서적 심리기제인 정서표현성이 중년기 성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고, 정서표현성이 향유신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환학습이론의 관점에서 본 유아교사의 반성에 대한 소고
박선미,정지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연구 Vol.3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반성 및 반성적 사고에 대한 기존의 인식 및 이해에 영향을 미쳐왔던 다양한 학자들의 견해와 논의를 비교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반성 개념을 재 고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교사 반성 개념의 확장을 통해 유아교사 전문성 신장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고 유아교사교육의 개선방향에 대한 개념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사 반성에 대한 개념을 Dewey의 관점에서부터 비판이론의 관점, 그리고 유아교사교육에서의 반성적 사고 관련 연구들을 통해 고찰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의 맥락적 특성과 교사 개인의 복잡한 내면적 변화과정을 포괄하여 반성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전환학습이론의 관점을 중심으로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개념을 탐색하고 논의하였다. 현대 우리나라 사회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유아교육 프로그램 및 접근의 다양성은 교사 경험의 다양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다양한 유아교육 프로그램에서의 경험은 그만큼 교사의 반성적 사고가 발달적 관점보다는 전환학습이론의 관점에 의해 이해되고 교사의 반성이 해방적 학습의 영역으로까지 연결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verse perspectives and discussions of different researchers who affected the existing way of looking at and understanding the reflection and reflective think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 bid to shed new light on the concept of the refle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basically meant to extend the concept of teacher reflection to get a good understanding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he following efforts were made in this study to serve the purpose: First, the concept of teacher reflection was discussed according to Dewey's perspective and from the viewpoint of a critical theory, and studies of reflective thinking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were reviewed to discuss the concept of teacher reflection. Second, the concept of the reflective think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explored and discussed by focusing on a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personal, complicated inner changes. There are currently a varie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that are accessible in our country, and the diversity of the programs is directly linked to the diversity of teacher experiences. It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understand reflective thinking from a perspective of a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rather than that of development, by being exposed to a wide varie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and that their reflection should take place even in terms of emancipatory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