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하철 공기질 개선을 위한 분리형 2단 전기집진기의 집진 특성 분석

        김예슬,이예완,김용진,한방우,김학준,Kim, Ye-Sle,Lee, Yeawan,Kim, Yong-Jin,Han, Bangwoo,Kim, Hak-Joon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 2020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Vol.16 No.4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eparated two-stag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licable in a subway air conditioning system.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 efficiency of 0.3 ㎛ particle and ozone generation at different charger sizes and gaps of collector plates. Also,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two-stage ESP to the MERV 10 filter with the removal efficiency of 10% used in actual subway air conditioning system. The maximum collection efficiency of 0.3 ㎛ particle was 93% at A charger (600 mm×250 mm×600 mm) and 84% at B charger (330 mm×280 mm×330 mm). Especially, with voltages applied to chargers with collection efficiency of about 80% or more, the ozone concentration of two different chargers was 5 ppb to 35 ppb. Finally, the filter quality of the collector developed in this study was 400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MERV 10 filter.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two-stage ESP could be a promising PM removal device suitable for subway air conditioning system.

      • KCI등재

        디지털 유방촬영기기와 3차원 디지털 유방단층영상합성기기의 비교연구

        김예슬,박혜숙,최재구,최영욱,박준호,이재준,곽수빈,김은혜,김주연,정현정,이행화,배규원,이미영,김희중,Kim, Ye-Seul,Park, Hye-Suk,Choi, Jae-Gu,Choi, Young-Wook,Park, Jun-Ho,Lee, Jae-Jun,Kwak, Su-Bin,Kim, Eun-Hye,Kim, Ju-Yeon,Jung, Hyun-Jung,Lee, H 한국의학물리학회 2012 의학물리 Vol.23 No.4

        최근 유방암은 암에 의한 국내 여성 환자의 사망률 중 2위를 차지하고 있고, 조기진단을 통해 생존확률이 높아 질 수 있다. 디지털 유방촬영기기(digital mammography, DM)가 유방암에 의한 조기 진단에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정상 조직과 병변 조직의 겹침에 의한 병변 검출률의 한계가 있다. 3차원 디지털 유방단층영상합성기기(digital breast tomosynthesis, DBT)는 기존 디지털 유방촬영기기의 겹침에 따른 검출률 저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두께의 유방팬텀을 이용하여 DM과 DBT의 영상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한 실험 환경과 선량에서 유방 팬텀의 영상을 얻은 후, 정량적 평가와 시각적 평가를 통하여 대조도와 병변 크기 측정 정확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유방팬텀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DM에 비해 DBT가 병변을 검출하는데 있어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DBT를 이용해 촬영하는 과정에서 압박에 따른 환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임상에서 DBT의 보편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Breast cancer is the second leading cause of women cancer death in Korea. The key for reducing disease mortality is early detection. Although digital mammography (DM) has been credited as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the early detection to decrease in breast cancer mortality observed in the last 20 years, DM is far from perfect for several limitations.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DBT) is expected to overcome some inherent limitations of conventional mammography caused by overlapping of normal tissue and pathological tissue during the standard 2D projections for the improved lesion margin visibility and early breast cancer detect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a DM system and DBT system acquired with different thickness of breast phantom. We acquired breast phantom data with same average glandular dose (AGD) from 1 mGy to 4 mGy under same experimental condition. The contrast, micro-calcification measurement accuracy and observer study were conducted with breast phantom images. As a result, the higher accuracy of lesion detection with DBT system compared to DM system was demonstrated in this study. Furthermore, the pain of patients caused by severe compression can be reduced with DBT system.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DBT system play an important role in breast cancer detection.

      • KCI등재

        First Record of the Genus Macrobathra Meyrick (Lepidoptera: Cosmopterigidae) from Korea with a Newly Recorded Species, M. quercea

        김예슬,김소라,허운홍,변봉규,Kim, Ye-Seul,Kim, Sora,Heo, Un-Hong,Byun, Bong-Kyu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2

        본 연구를 통해 Macrobathra속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며, 본 속에 속하는 1종(M. quercea Moriuti, 1973)을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정확한 분류 동정을 위해 외부형태학적 특징을 검경 및 도해하고, 성충 및 생식기 사진, 분포정보 및 기주식물 등의 정보를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report a genus Macrobathra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including one newly reported species, M. quercea Moriuti, 1973. Adult including the genitalia of both sexes are described and photographs of adults and genitalia, distributional ranges and host plants are also provided.

      • KCI등재

        X-선관 초점 크기와 확대도에 따른 디지털 일반촬영 시스템의 유효검출양자효율 평가

        김예슬,박혜숙,박수진,김희중,Kim, Ye-Seul,Park, Hye-Suk,Park, Su-Jin,Kim, Hee-Joung 한국의학물리학회 2012 의학물리 Vol.23 No.1

        확대촬영은 일반촬영뿐 아니라 미세골촬영, 유방촬영 및 다른 진단 영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한한 X선 초점의 크기로 인해 확대촬영은 분해능, 노이즈, 대조도 등 영상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효검출양자효율(effective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eDQE)을 이용하여 영상시스템에 있어서 확대도와 초점크기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전체적인 영상 시스템 특성을 반영하는 eDQE는 초점에 의한 흐림 현상, 확대, 산란 그리고 격자 반응 등의 영향을 고려한다. 본 실험에서는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에서 고안된 흉부 팬텀을 사용하여 실제 가슴 촬영조건에서 측정된 유효변조전달함수(effectiv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eMTF), 유효잡음력스펙트럼(effective noise power spectrum, eNPS), 산란율(scatter fraction, SF) 및 투과율(transmission fraction, TF)을 통해 eDQE 값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살펴보면 소초점을 사용했을 경우, eMTF의 값이 10%일 때의 공간주파수는 확대도가 1.2, 1.4, 1.6, 1.8, 2.0일때 각각 2.76, 2.21, 1.78, 1.49 그리고 1.26 lp/mm이었다. 대초점을 사용했을 경우, MTF의 값이 10%일 때의 공간주파수는 확대도가 1.2, 1.4, 1.6, 1.8, 2.0일 때 각각 2.21, 1.66, 1.25, 0.93 그리고 0.73 lp/mm이었다. 확대도가 증가할수록 eMTF 값이 떨어지고, 소초점을 사용했을 때가 대초점을 사용했을 때보다 eMTF가 전체적으로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점의 크기에 따른 zero frequency에서의 eDQE 값의 변화는 크게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초점을 사용했을 경우, 소초점을 사용했을 때보다 저 주파수에서 고 주파수로 갈수록 eDQE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확대촬영은 작은 병변을 확대시키고 낮은 유효잡음과 air-gap에 의한 산란선의 감소로 인해 대조도를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크기가 작은 병변을 고대조도로 확대시킴으로써 진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초점 크기로 인한 흐림 현상이 확대도에 따라 공간 분해능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일반촬영 시스템에서의 확대촬영을 시행하기 위한 적절한 초점크기와 확대도가 확립되어야 한다. The magnification technique has recently become popular in bone radiography, mammography and other diagnostic examination. However, because of the finite size of X-ray focal spot, the magnification influences various imaging properties with resolution, noise and contrast.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agnification and focal spot size on digital imaging system using eDQE (effective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Effective DQE is a metric reflecting overall system response including focal spot blur, magnification, scatter and grid response. The adult chest phantom employed in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was used to derive eDQE from eMTF (effectiv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eNPS (effective noise power spectrum), scatter fraction and transmission fraction. According to results, spatial frequencies that eMTF is 10% with the magnification factor of 1.2, 1.4, 1.6, 1.8 and 2.0 are 2.76, 2.21, 1.78, 1.49 and 1.26 lp/mm respectively using small focal spot. The spatial frequencies that eMTF is 10% with the magnification factor of 1.2, 1.4, 1.6, 1.8 and 2.0 are 2.21, 1.66, 1.25, 0.93 and 0.73 lp/mm respectively using large focal spot. The eMTFs and eDQEs decreases with increasing magnification factor. Although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focal spot size on eDQE (0), the eDQEs drops more sharply with large focal spot than small focal spot. The magnification imaging can enlarge the small size lesion and improve the contrast due to decrease of effective noise and scatter with air-gap effect. The enlargement of the image size can be helpful for visual detection of small image. However, focal spot blurring caused by finite size of focal spot shows more significant impact on spatial resolution than the improvement of other metrics resulted by magnification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appropriate magnification factor and focal spot size should be established to perform magnification imaging with digital radiography system.

      • KCI등재

        MODIS 및 Landsat 위성영상의 다중 해상도 자료 융합 기반 토지 피복 분류의 사례 연구

        김예슬,Kim, Yeseul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6

        This study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multi-resolution data fusion for land-cover classification. In the applicability evaluation, a spatial time-series geostatistical deconvolution/fusion model (STGDFM) was applied as a multi-resolution data fusion model. The study area was selected as some agricultural lands in Iowa State, United States. As input data for multi-resolution data fusion,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and Landsat satellite images were used considering the landscape of study area. Based on this, synthetic Landsat images were generated at the missing date of Landsat images by applying STGDFM. Then, land-cover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both the acquired Landsat images and the STGDFM fusion results as input data. In particular,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multi-resolution data fusion, two classification results using only Landsat images and using both Landsat images and fusion result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As a result, in the classification result using only Landsat images, the mixed patterns were prominent in the corn and soybean cultivation areas, which are the main land-cover type in study area. In addition, the mixed patterns between land-cover types of vegetation such as hay and grain areas and grass areas were presented to be large. On the other hand, in the classification result using both Landsat images and fusion results, these mixed patterns between land-cover types of vegetation as well as corn and soybean were greatly alleviated. Due to this,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as improved by about 20%p in the classification result using both Landsat images and fusion results. It was considered that the missing of the Landsat images could be compensated for by reflecting the time-series spectral information of the MODIS images in the fusion results through STGDFM. This study confirmed that multi-resolution data fusion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land-cover classification.

      • 골 조직 재생을 위한 PCL/silica 생체복합재료

        김예슬(YeSeul Kim),김민성(Minseong Kim),전호준(Hojun Jeon),김용복(YongBok Kim),이형진(Hyeongjin Lee),황헌(Heon Hwang),조재열(JaeYoul Cho),김근형(GeunHyung Kim)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The inherent properties of nanosized silica (sil), such as high biocompatibility, chemical and colloidal stability, and easy surface modification, have provided silica materials with a tremendous potential in biomedical applications. In this study, the biocomposites consisting of poly (ε-caprolactone) (PCL) and Sil fabricated by a melt-plotting/coating process can be applied as a potential scaffold for bone tissue regeneration. The pore size and strut diameter of the multi-layered biocomposites were fixed at approximately 300㎛ and 300㎛, respectively, and the morphology, hydrophilic properties, water-absorption, and mechanical strength of various compositions (1.8, 4.8, 9.4wt% of sil) in the composites were evaluated. Through the water-contact angle and water-absorption, the bio-composites displayed dramatically increased hydrophilic properties, and highly roughened surface compared to the pure PCL scaffold. The in vitro biocompatibilities (cell proliferation and mineralization) of the bio-composites wereexamined using pre-osteoblasts (MC3T3E1). Based 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s, the cells were more easily adhered and grown on the surface of the bio-composites, showing enhanced mineral deposition compared to the pure PCL scaffold after 14 days of cell culture. These results were because the coated sil component in the bio-composites could induce the osteogensis of the composites. Based on the physical and biological activities, we believe that the biocomposite will be a potential biomaterial for enhancing bone tissue regeneration.

      • KCI등재

        인터랙티브 미디어전시에서 활용되는 체험형 콘텐츠 디자인 사례 연구 - 테마 전시 중심으로 -

        김지현 ( Kim Ji-hyun ),김민직 ( Kim Min-jick ),김고은 ( Kim Go-eun ),박소진 ( Park So-jin ),유지현 ( Ryu Ji-hyun ),김예슬 ( Kim Ye-seul ),윤재영 ( Yun Jae-yo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7 No.-

        200년대 초반만 해도 체험형 전시들은 전시물이 관람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단순히 반응하는 정도에 머물렀다면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인터랙션이 가능해졌다. 특히 소셜네트워크의 발달로 인증하기 좋은 전시들이 각광을 받으면서 체험형 전시들은 테마 전시의 중심으로 바뀌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테마 전시의 체험형 콘텐츠들의 사례를 살펴보고, 기술의 장치에 따라 크게 입력유형과 출력유형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입력 유형은 감각 인지 센서 타입, 터치 모니터 타입, 모션 트래킹 타입, 기구 조작 타입, 보조 도구 타입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출력유형은 프로젝터 타입, LED 타입, 키오스크 타입, 키네틱 타입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전문가 조사를 통해 유형들의 강점과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이너, 기획자, 개발자가 미디어전시물 제작시, 이해와 협업에 도움이 되고 미디어아트 콘텐츠의 질을 높이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In the early 2000s, experience-based exhibitions were more diversified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s became smoother if the exhibition contents stayed at the level of followers. Particularly, as exhibitions that can be authenticated by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s became popular, experiential exhibitions became the center of theme display. In this study, the cases of experiential contents of theme exhibition were examined and classified into input type and output type according to the device of technology, and classified into 5 input types and 4 output typ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put type is divided into five types as sensory sensor type, touch monitor type, motion tracking type, instrument operation type, auxiliary tool type, and the output type is divided into a projector type, an LED type, a kiosk type and a kinetic type. However, it should be used according to purpose rather than being excellent and meaningful.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edia art theme exhibition in the future.

      • 구글 글래스의 TV 서비스 UX 시나리오 개발에 관한 연구

        김승주(Seungju Kim),김선우(Seonwoo Kim),김예슬(Yeseul Kim),김소영(Soyoung Kim),김성우(Sungwoo Kim)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지난 2012년 공개된 구글의 구글 글래스(Google Glass)는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를 통해 지금까지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ICT 디바이스의 시나리오를 보여주었다. 행동에 구애 받지 않고 어디서든 항상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다는 구글 글래스의 장점은 TV 서비스 산업에 있어서 새로운 서비스 영역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출시될 구글 글래스를 통하여 차세대 TV 서비스 등장 시 발생할 수 있는 UX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구글 글래스의 TV 서비스 이용에 대한 UX를 본 논문에서는 ‘구글 글래스 TV UX’라 정의하였다. 구글 글래스의 TV서비스 이용 시 어떠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지 디바이스, 서비스, 콘텐츠 측면으로 분석하였고, 각 항목에 따른 UX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UX 요소를 바탕으로 구글 글래스의 TV UX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Last October 2012 using the Wearable Computer in the form of glasses, Google Glass of Google showed scenarios of a new ICT devices that could not be experienced until now. Google glass has an advantage that the display is always visible at every place undeterred by action of google glass, and that can be the opportunity of new service area in TV service. In this paper, I study UX which can be occurred in accordance with the appearance of next generation TV service through a future release Google glass. Such usage of TV service by google glass is defined as "Google Glass TV UX" in this paper. I analyzed what kind of user experience can be provided when using the TV service in Google glass, in the aspects of device, service, and contents, and draw UX elements according to each segment. Based on those elements, I suggest a scenario of "Google Glass TV UX."

      • KCI등재

        추출조건에 따른 유근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김재민(Jae-Min Kim),조명래(Myoung-Lae Cho),서규은(Kyu-Eun Seo),김예슬(Ye-Seul Kim),정태동(Tae-Dong Jung),김영현(Young-Hyun Kim),김단비(Dan-Bi Kim),신기해(Gi-Hae Shin),오지원(Ji-Won Oh),이종석(Jong Seok Lee),이진하(Jin-Ha Lee),김종예(J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8

        본 연구는 유근피를 항산화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에탄올의 농도(0, 40, 80% 에탄올) 및 추출시간(1, 2, 3시간)이 다른 조건에서 추출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다양한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ORAC value 등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근피 추출물은 80% 에탄올로 3시간 추출하였을 때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은 에탄올 함량에 따른 활성 차이는 보였으나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ORAC는 유근피 추출물의 추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유근피 추출물은 80% 에탄올을 이용하여 70°C에서 3시간 추출을 할 때 항산화 활성을 갖는 phenolic 및 flavonoid 계열의 유효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되었다. 또한 유근피 80% 에탄올 3시간 추출물은 피부 섬유아세포와 3T3-L1 지방세포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가졌으며, 3T3-L1 지방세포에서 활성산소종 생성량을 감소하였다. 따라서 높은 항산화력을 가진 유근피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로 충분히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application of Ulmus pumila L. as a natural antioxidant. U. pumila L. was extracted using ethanol (EtOH) at various concentrations (0, 40, and 80%) and extraction times (1, 2, and 3 h) at 70°C and then evaluated for extraction yield, total phenolic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ie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oxygen radical absorbing capacity (ORAC)].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rrelated with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solvent conditions, 80% EtOH extracts for 3 h at 70°C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with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time effects on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However, ORAC values of all EtOH extracts remarkably in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80% EtOH extract for 3 h exhibited strong antioxidant effects on HDF and 3T3-L1 cells. Therefore, the antioxidant capacity of U. pumila L., may due to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nd extraction conditions were 80% EtOH for 3 h at 70°C. This extract could be a good source for natural antioxidants.

      • 호주의 디지털 소양 교육과정 운영 현황 분석

        김예슬(Yeseul Kim),김자미(JaMee Kim),이원규(WonGyu Lee)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1(A)

        본 연구는 한국의 디지털 소양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호주 ACARA의 ICT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였다. 호주 교육과정 및 ICT 역량 프레임워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CARA 교육과정에서는 디지털 소양을 지식이 아닌 일반역량으로 보는 관점을 반영하여 개발되었다. 둘째, 정보 접근 및 관리, 정보 생성, 문제 해결과 창의적 표현의 관점에서 디지털 소양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윤리, 조사, 창출, 소통, 관리의 5가지 영역을 포함하였다. 디지털 소양은 정보사회에서 기본 소양이기 때문에 정보 교과만이 아닌 범교과의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호주 교육과정에서도 디지털 소양에 대해 모든 학습영역에서 다루도록 제안하고 있으며, 각 과목에서 활용될 수 있는 내용으로 혼합하여 배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내용을 토대로 한국의 교과에서 디지털 소양 교육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