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물전환에 의한 품종별 참깨 발효물의 Lignan 함량과 항산화 활성 변화

        정태동(Tae-Dong Jung),신기해(Gi-Hae Shin),김재민(Jae-Min Kim),오지원(Ji-Won Oh),최선일(Sun-Il Choi),이진하(Jin-Ha Lee),조명래(Myoung-Lae Cho),이상종(Sang Jong Lee),허인영(In Young Heo),박선주(Seon Ju Park),김성업(Sung-Up Kim),찬식(Cha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

        본 연구에서는 생물전환에 의한 품종별 참깨의 lignan 함량,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소거능, ORAC 지수)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lignan 함량은 생물전환에 의한 발효 참깨 S-3가 6.58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비발효참깨 S-4가 2.17 mg/g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생물전환을 통한 발효 시 5가지 품종별 참깨 모두 lignan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 페놀 함량은 발효참깨 S-2, S-3가 51.90 51.65 mg GAE/g으로 가장 높았고, 비발효 참깨 S-5가 16.70 mg GAE/g으로 가장 낮았으나 발효 시 46.70 mg GAE/g으로 나타나 약 3배 이상의 증가된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총 페놀 함량과 마찬가지로 발효 참깨 S-3에서 82.57%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비발효 참깨 S-5에서 37.95%의 가장 낮은 소거능을 나타냈다. ORAC 지수의 경우는 발효 참깨 S-2에서 1,067.80 μM TE/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그다음 발효 참깨 S-3, S-4가 각각 997.19, 1,020.03 μM TE/g으로 나타났다. 비발효 참깨 S-5에서 172.34 μM TE/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발효 시 1,020.03 μM TE/g으로 확연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물전환에 의한 참깨 발효 시 lignan 함량의 증가와 다양한 항산화 모델에서 효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써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gnan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of fermented sesame by cultiv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ignan contents of fermented and non-fermented sesame ranged from 2.35∼6.58 mg/g and 2.17 to 6.58 mg/g, respectively.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s of fermented and non-fermented sesame were 51.90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and 25.94 mg GAE/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nd ORAC value ranged from 37.95 to 82.57% and from 172.34 to 1,067.80 μM TE/g in non-fermented sesame and fermented sesame, respectively. Fermented sesame had higher lignan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ose of non-fermented sesame. Fermented sesame subjected to bioconversion showed increased lignan content and high antioxidant activity.

      • KCI등재

        생물전환된 품종별 대두 발효물의 주요 지표성분 함량 및 분석법 검증과 항산화 활성 평가

        정태동(Tae-Dong Jung),신기해(Gi-Hae Shin),김재민(Jae-Min Kim),오지원(Ji-Won Oh),최선일(Sun-Il Choi),이진하(Jin-Ha Lee),이상종(Sang Jong Lee),허인영(In Young Heo),박선주(Seon Ju Park),김현태(Hyun Tae Kim),강범규(Beom Kyu Kang),이옥환(O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5

        본 연구에서는 생물전환에 의한 품종별 대두 5종의 isoflavone 함량, 총페놀 함량, 항산화능 및 isoflavone의 분석법 검증을 시행하였다. HPLC를 이용한 분석법 검증 결과 isoflavone 6종의 표준용액과 우람(S-3) 비발효 및 발효 추출물의 retention time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spectrum 분석 결과에서도 같은 spectrum을 보여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직선성 확인 결과 isoflavone 6종의 검량선의 상관계수 값은 0.9998~1.0000으로 나타나 우수한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정밀성 측정 결과 일내 정밀도에서 0.22~0.88%, 일간 정밀도에서 0.34~1.00%의 높은 정밀도를 나타냈다. 회수율 측정 결과 daidzin은 100.55~110.21%, glycitin은 100.26~112.35%, genistin은 97.67~111.89%, daidzein은 100.95~110.43%, glycitein은 98.56~106.02%, genistein은 101.29~110.25%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Daidzin, glycitin, genistin의 검출한계는 각각 0.14, 0.16, 0.20 ㎍/mL로 측정되었으며, daidzein, glycitein, genistein의 검출한계는 각각 0.25, 0.29, 0.20 ㎍/mL로 나타났다. Daidzin, glycitin, genistin의 정량한계는 각각 0.44, 0.48, 0.60 ㎍/mL를 나타냈고 daidzein, glycitein, genistein은 각각 0.75, 0.89, 0.61 ㎍/mL로 나타났다. 생물전환에 의한 대두 발효 시 배당체인 daidzin, glycitin, genistein이 모두 비배당체인 daidzein, glycitein, genistein으로 전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각의 isoflavone을 합한 값인 total isoflavone 함량은 대두 우람(S-3) 발효물에서 2,074.6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비발효 대두 새단백(S-5)에서 가장 낮은 119.8 ㎍/g의 total isoflavone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은 진풍(S-4) 비발효물이 44.96 mg GAE/g으로 가장 높은 총페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능 측정 결과 FRAP는 대풍2(S-2) 발효물에서 0.2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새단백(S-5) 비발효물에서 0.15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ORAC 지수도 FRAP와 유사하게 새단백(S-5) 비발효물에서 195.24±3.08 μM TE/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대풍2(S-2) 발효물에서 753.79±6.95 μM TE/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validation method for isoflavone contents of fermented soybean extracts by bioconversion as well as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Our results show that the total isoflavone contents of non-fermented and fermented soybean extract ranged between 119.8 to 637.7 ㎍/g and between 567.3 to 2,074.6 ㎍/g, respectively. Moreover, fermented soybean extracts had higher contents of isoflavone aglycones, including daidzein, glycitein, and genistein than non-fermented soybean extracts as well as lower contents of isoflavone glucosides such as daidzin, glycitin, and genistin. FRAP and ORAC values ranged between 0.15 to 0.22 and between 195.24 to 753.79 μM Trolox equivalents/g in non-fermented and fermented soybean extract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ermented soybean extracts had higher total isoflavone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an non-fermented soybean extracts. Bioconversion process in this study may have the potential to produce isoflavone-enriched natural antioxidant agents with high added value from soybean matrices.

      • KCI등재

        생물전환된 참깨 발효물의 Lignan 화합물의 분석법 검증

        정태동(Tae-Dong Jung),김재민(Jae-Min Kim),최선일(Sun-Il Choi),최승현(Seung-Hyun Choi),조봉연(Bong-Yeon Cho),이진하(Jin-Ha Lee),이상종(Sang Jong Lee),박선주(Seon Ju Park),허인영(In Young Heo),이옥환(Ok-Hwa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5

        본 연구에서는 HPLC를 이용하여 생물전환된 참깨의 lignin 화합물 분석법 검증을 시행하였다. 분석법 검증 결과 표준용액 sesamol, sesamin, sesamolin과 참깨 비발효물 및 발효물의 머무름 시간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spectrum 분석 결과 동일한 spectrum을 나타내어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직선성의 경우 sesamol, sesamin 및 sesamolin의 검량선은 모두 0.9999로 1에 가까운 우수한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참깨 비발효물의 lignan 함량 측정 결과, intraday에서 2.67 mg/g 및 inter-day에서 2.42 mg/g으로 나타났으며, sesamolin은 intra-day에서 3.77 mg/g 및 interday에서 3.37 mg/g을 나타내었다. 참깨 발효물의 sesamin 함량은 intra, inter-day에서 각각 2.97 mg/g, 2.75 mg/g을 보였으며, sesamolin은 intra-day 4.23 mg/g, inter-day 3.92 mg/g으로 나타났다. 일내 정밀도에서 참깨 비발효물의 경우 0.25~0.43%로 나타났으며 참깨 발효물은 0.47~0.69%를 나타냈다. 일간 정밀도에서 참깨 비발효물은 RSD 0.27~0.64%의 정밀도를 보였으며 참깨 발효물은 1.34~1.94%의 정밀도를 나타내어 모두 RSD 5% 이하의 우수한 정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sesamol은 98.43~110.72%, sesamin은 106.45~115.10%, sesamolin은 99.18~112.05%의 범위의 우수한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검출한계는 sesamol 0.34 μg/g, sesamin 0.26 μg/g, sesamolin 0.23 μg/g으로 나타났으며, 정량한계는 각각 1.03 μg/g, 0.78 μg/g, 0.70 μg/g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지표성분 sesamol, sesamin 및 sesamolin의 분석방법이 적합한 분석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thod validation for determination of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in non-fermented sesame and fermented sesame by bioconversion. For validation, the specificity, linearity, precision, accuracy, limits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of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were measured by HPLC. Linearity tests showed that the coefficients of calibration correlation (R<SUP>2</SUP>) for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were 0.9999. Recovery rates of lignan contents in non-fermented and fermented sesame were high in the ranges of 100.27∼115.10% and 98.43∼114.90%, respectively. The inter-day and intra-day precisions of sesamin and sesamolin analyses for non-fermented and fermented sesame were 0.27∼1.94% and 0.25∼0.69%, respectively. The LOD and LOQ were 0.23∼0.34 μg/g and 0.70∼1.03 μg/g,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validated method is appropriate for the determination of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 KCI등재

        다람쥐(Tamias sibiricus)의 정자변태

        정태동,이정훈,김상식,Jung, Tae-Dong,Lee, Jung-Hun,Kim, Sang-Sik 한국현미경학회 2004 Applied microscopy Vol.34 No.3

        한국산 다람쥐(Tamias sibiricus)의 정자변태 과정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정자변태는 첨체변화와 핵의 형태의 특징을 기초로 하여 골지기, 두모기, 첨체기, 성숙기 그리고 이탈기로 구분하였고, 골지 두모 첨체기는 각각 전 중 후기, 성숙기는 전 후기, 이탈기는 1기로 세분하였다. 따라서 다람쥐(Tamias sibiricus)의 정자변태는 12기(phases)로 구분되어졌다. 골지기(steps 1-3)의 경우, 잘 발달된 골지복합체는 첨체소포가까이에 위치하고, 첨체소포는 3단계에서 핵막과 융합하여 함입되어있다. 두모기(steps 4-6)에서는, 첨체소포가 핵의 표면 위에 넓게 퍼지며 핵의 1/3을 덮고, 첨체과립은 아직 분산되지 않았다. 첨체기(steps 7-9)동안에 있어서, 핵과 첨체는 신장되었으나 핵질은 농축되지 않았다. 성숙기(steps 10-11)에서는 핵질이 더욱 농축되어 졌으며, 미토콘드리아들은 축사의 중심에 완전하게 배열되어졌다. 이탈기(step 12)에서 정자머리는 완전하게 주걱형태의 모양을 갖추고 있었다. Spermiogenesis in the Korean squirrel, Tamias sibiricus, was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permiogenesis was divided into Golgi, cap, acrosome, maturation and spermiation phas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crosomal changes and nuclear shape. Beside, the Golgi, cap and acrosomal steps were subdivided into three phases of early, middle and late phase respectively, the maturation step was divided into two phases of early and late phase, and spermiation step has only one phase. Thus, the spermiognesis of T. sibiricus was divided into a total of twelve phases. In Golgi phase (steps 1-3), a well developed Golgi complex was located close to the vesicles, the acrosomal vesicle fixd to a recess of nuclear membrane at step 3. During cap phase (steps 4-6), the acrosomal vesicle spred over the nuclear surface to cover a third of the nucleus, and the acrosomal granule was not yet flattened. At acrosomal phase (steps 7-9), the nucleus and acrosome were elongated but nucleoplasm was not condensed. During maturation phase (steps 10-11), the nucleoplasm was more condensed, and the mitochondria completely arranged the center of axoneme. The spatulate-sperm head was completely formed at spermiation phase (step 12).

      • PSCAD/EMTDC를 이용한 5kV급 MVDC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보호협조 모델링에 관한 연구

        김지명(Ji-Myung Kim),태동현(Dong-Hyun Tae),이세연(Se-Yeon Lee),재범(Jae-Beom Jung),노대석(Dae-Seok Rho)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본 논문에서는 5kV급 MV-LVDC 마이크 로그리드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 MVDC 선로, LVDC 선로, AC측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시나리오별 보호기기의 운용방안을 제안하고, 배전계통 상용해석 프로그램인 PSCAD/EMTDC를 이용하여, 태양광전원, ESS, MVDC 선로,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 보호기기 등으로 구성된 MV-LVDC 마이크로그리드의 전체 시스템의 모델링을 수행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사고지점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제안한 보호기기의 운용방안에 따라 적절한 보호협조가 수행됨을 알 수 있어 본 논문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

        최선일,이종석,이사라,여주홍,정태동,조봉연,최승현,심완섭,한웅호,이진하,김종대,이옥환,Choi, Sun-Il,Lee, Jong Seok,Lee, Sarah,Yeo, Joohong,Jung, Tae-Dong,Cho, Bong-Yeon,Choi, Seung-Hyun,Sim, Wan-Sup,Han, Xionggao,Lee, Jin-Ha,Kim, Jong Dai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예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었거나, 현재 식품공전에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등록된 국내 산림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을 식품산업에 활용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 갈참나무 잎을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갈참나무 잎을 이용하여,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 보호효과, 세포내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 25, 50 및 $100{\mu}g/mL$의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모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는 세포를 보호하여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100{\mu}g/mL$의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50{\mu}M$ ascorbic acid 수준까지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확인 하기위해 사용한 $H_2-DCFDA$ assay에서는 형광현미경과 형광흡광도 측정에서 모두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내 ROS 저감 활성을 확인하였고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10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는 $50{\mu}M$ ascorbic acid와 비슷한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A-${\beta}$-galactosidase assay를 이용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한 항노화활성은 ROS 생성 억제 효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 노화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갈참나무 잎 추출물이 hydrogen peroxide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에서 세포 보호효과,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가 관찰되어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skin of the human body occupies the largest surface area of the body and acts as a protection for the person's internal organs. As such, the skin is a major target of oxidative stressors, and these oxidative stressors are known to contribute to skin aging over the course of time. For the most part, an antioxidant is an effective approach to utilize to prevent symptoms related to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induced aging of the skin.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y of the leaves of the Quercusaliena Blume extract (QBE). In our study, we confirmed that the cell viability tested with XTT {2,3-bis(2-methoxy-4-nitro-5-sulfophenyl)-2H-tetrazolium-5-carboxanilide innersalt} assay was not affected up to a concentration of $100{\mu}g/mL$. In addition, the cell viability of HDF cell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as recovered from 81% to 104% after treatment with QBE, which showed the greater protective effect than that of ascorbic acid. Treatments of QBE dose-dependently inhibit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HDF cell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hich correlated with their protective effects on cell viability. Since QBE treatment exhibited the suppression effect of skin aging by decreasing the ROS production, QBE could be used as a not only natural anti-aging but also antioxidant resource.

      • KCI등재

        리놀레인산 자동산화에 미치는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활성 및 잔존량 평가

        최승현(Seung-Hyun Choi),김재민(Jae-Min Kim),최선일(Seung-Hyun Choi),정태동(Tae-Dong Jung),오지원(Ji-Won Oh),조봉연(Bong-Yeon Cho),이진하(Jin-Ha Lee),이옥환(Ok-Hwa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7

        본 연구는 리놀레인산에 7종의 산화방지제를 각각 0.02% 농도로 첨가하여 50°C의 dry oven에서 8일간 자동산화 시키면서 이들 산화방지제의 잔존량 및 산화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잔존량은 HPL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산화안정성은 과산화물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잔존량은 0일째(100%)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율을 측정하였고, 또한 잔존량을 이용하여 100-잔존량(%)으로 손실률(%)을 계산하였다. 산화방지제 손실률과 과산화물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잔존량 분석 결과 tert-butylhydroquinone(TBHQ)> dodecyl gallate(DG)> octyl gallate(OG)> propyl gallate(PG)> butylated hydroxyanisole(BHA)> 2,4,5-trihydroxybutyrophenone(THBP)> butylated hydroxytoluene(BHT) 순으로 낮은 잔존량을 나타내었으나, BHA 같은 경우 다른 실험군에 비해 8일째의 잔존량이 4일째의 잔존량에 비하여 감소량이 크지 않았으며 TBHQ은 4일째의 잔존량이 이미 0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어 8일째의 잔존량과 큰 차이가 없었다. 과산화물가 측정 결과 대조군> TBHQ> DG> OG> PG> BHA> THBP> BHT 순으로 높은 과산화물가를 보였으며 산화방지제 손실률과 과산화 물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상관관계(correlation coefficient, R<SUP>2</SUP>)는 0.3913~0.9963의 범위로, 특히 BHT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R<SUP>2</SUP>=0.9963)를 보였다. BHA와 TBHQ를 제외한 대부분의 실험군에서 R2 값은 0.8769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자동산화 과정에서 리놀레인산 기질 내 산화방지제의 잔존량과 기질의 산화안전성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assess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residue level of phenolic antioxidants in autoxidation of linoleic aci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ic antioxidants was measured based on peroxide value of linoleic acid at 50°C for 8 days. We further evaluated the residue level of phenolic antioxidants in the autoxidation period by HPLC-UV. The residue level of antioxidants changed with time starting on day 0 (100%) and was determined by 100-remaining of antioxidants (%). Our results showed that peroxide values ranged from 0.33 to 10.18 meq/kg in propyl gallate, from 0.67 to 11.01 meq/kg in dodecyl gallate, from 0.01 to 10.34 meq/kg in octyl gallate, from 0.01 to 4.17 meq/kg in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from 1.00 to 5.85 meq/kg in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from 0.33 to 4.18 meq/kg in 2,4,5-trihydroxybutyrophenone, and from 1.00 to 11.01 meq/kg in tert-butylhydroquinone (TBHQ). Among the residue levels of antioxidants, on day 8, BHT showed the highest level while TBHQ showed the lowest. BH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whereas BHA showed the lowest. This study proves that the residual level of phenolic antioxidants has a good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autoxidation in linoleic acid.

      • KCI등재

        글루코스 투여가 운동 중 에너지 기질 이용에 미치는 영향

        류승필(Sung Pil Ryu),장응찬(Eung Chan Jang),이상직(Sang Jik Lee),태동(Tae Dong Kwon),관우(Kwan Woo Jung),이수천(Soo Chun Lee) 한국운동영양학회 2000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4 No.1

        N/A Maintaining blood glucose concentration during exercise is important in the athletic fiel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effects of glucose administration on energy substrates utilization during exercise in the untrained (Utr) and trained (Tr) rats. Rats were administered glucose (1.4g/㎏) into the mouth 1h prior to exercise then exercised on the treadmill speed at 20m/min. They were decapitated at pre, 30min, 60min of exercise, and exhausted. Glucose, lactate, FFA, glycerol, glycogen, and liver triglycerides were measured. Glucose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to the groups. Lactate production, howev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exercise in the Utr. In addition, FF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exercise in the Tr. Glycogen utilization ratio during the exercise in the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before the exerci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 Moreover, exercise time to exhaustion was shorter in the Utr compared with the T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lucose administration 1h prior to exercise was possibly maintained blood glucose concentration, however, training-effect was higher compared with glucose-effect during exercise in the groups.

      • KCI등재

        아마란스 안토시아닌의 안정성과 항산화 작용 조사

        이진하(Jin-Ha Lee),이혜빈(Hye-Bin Lee),최선일(Sun-Il Choi),정태동(Tae-Dong Jung),조봉연(Bong-Yeon Cho),최승현(Seung-Hyun Choi),심완섭(Wan-Sup Sim),한웅호(Xionggao Han),이옥환(Ok-Hwa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12

        본 연구에서는 아마란스 안토시아닌 색소의 온도별(4, 25 및 40°C), pH별(3.0, 7.0, 및 9.0), 당에 대한 안정성을 12일간 4일 간격으로 색소 함량,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FRAP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아마란스 안토시아닌 색소는 저온 4°C과 pH 3.0에서 색소함량의 변화가 적었으며, glucose, xylose를 첨가 시 당의 첨가에 따른 색소 함량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다른 당에 비해 fructose 첨가에 의해 색소 함량의 감소가 다소 크게 측정되었다. 아마란스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아마란스 추출물 1, 2.5, 5 mg/mL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7.67±0.87%, 57.65±0.52%, 88.09±0.10%로 평가되었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아마란스 추출물의 농도를 2.5, 5 및 10 mg/mL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61.53±0.03%, 64.54±0.46% 및 75.70±0.32%로 평가되었다. 또한, FRAP 활성은 아마란스 추출물 2.5, 5 및 10 mg/mL 농도에서 0.34±0.00, 0.40±0.01, 0.53±0.01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향후 아마란스를 활용한 가공식품 미 천연 식품 색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amaranth baby leaf extracts. Amaranth baby leaf was exami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 temperature, and sugars on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were measured based on total phenolic content,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ies,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ion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In the results,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rapidly decreased at 40°C, while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slowly decreased at 4°C. The type of sugar (glucose, fructose, xylose) did not influence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was reduced in the following order: pH 3> pH 9> pH 7.0. Total phenolic content was 5.62±0.12 mg gallic acid equivalent/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maranth baby leaf extracts ranged from 37.67±0.87 to 88.09±0.10%, and FRAP value increased depending upon the concentrations of amaranth baby leaf extracts and ascorbic acid.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amaranth baby leaf extracts ranged from 61.53±0.03 to 75.70±0.32%. In conclusion, amaranth baby leaf can be used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compounds and natural food colorants.

      • KCI등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적용을 위한 ITO:Ce/PET 박막의 물성평가

        김세일(Se-Il Kim),강용민(Yong-Min Kang),권세희(Se-Hee Kwon),정태동(Tae-Dong Jung),이승호(Seung-Ho Lee),송풍근(Pung-keun Song) 한국표면공학회 2009 한국표면공학회지 Vol.42 No.6

        ITO and ITO:Ce films were deposited by DC magnetron sputtering using an ITO (SnO₂: 10 wt%) and CeO₂ doped ITO (CeO₂: 0.5, 3.0, 4.0 and 6.0 wt%) ceramic targets, respectively, on unhe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substrates. The lowest resistivity 6.7×10<SUP>-4</SUP> Ωcm was obtained from ITO:Ce film deposited using CeO₂ (3.0 wt%) doped ITO target. On hte other hand, ITO:Ce (0.5wt%) film has the excellent mechanical durability which was evaluated by bending test. This result was attributed to the higher binding energy of CeO₂ compared to SnO₂ and In₂O₃. Therefore, CeO₂ atoms have a small displacement caused by the bombardment of high energy particles, and it attribute to the increase in adhesion caused by decrease in internal stress. The average transmittance of the films was more than 80% in the visible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