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골 조직 재생을 위한 전기수력학적 공정을 이용한 섬유구조의 PCL/ceramic 세포담체 제작

        김민성(Minseong Kim),이형진(Hyeongjin Lee),전호준(HoJun Jeon),여명구(MyungGu Yeo),김용복(YongBok Kim),양지훈(Gi-Hoon Yang),김원진(WonJin Kim),김근형(GeunHyung Kim) 대한기계학회 2016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6 No.12

        In this study, we fabricated a new ceramic fibrous scaffold, using the initial jet of an electrospinning process and ethanol media as a target. The fabricated three-dimensional (3D) fibrous ceramic structure was configured with multilayered micro-sized struts consisting of randomly entangled micro/nanofibrous architecture, similar to that of native extracellular matrixes (ECMs). The fabrication of the ceramic structure was highly dependent on various processing parameters, such as the surface tension of the target media, and the flow rate and weight fraction of the polymer solution. As a tissue regenerative material, the 3D fibrous ceramic scaffold was cultured with pre-osteoblasts to observe the initial cellular activities in comparison with a solid freeform fabricated 3D scaffold sharing a similar structural geometry. The micro/nanofibrous 3D fibrous ceramic strut scaffold exhibited significantly high initial cell attachment, proliferation, and viability compared to solid freeform fabricated 3D scaffold.

      • 웨어러블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광용적맥파 기반 실시간 혈압 추정 연구

        김민성(Kim Minseong),진용식(Jin Yongsik),김규형(Kim Kyu Hyung)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일회성 혈압측정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광용적맥파 기반의 무구속 커프리스(Cuffless)방식 실시간 연속 혈압 추정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또한 선형회귀 기반의 혈압 추정 알고리즘에서 광용적맥파의 각 특징점 별 혈압 추정 성능을 비교하였다.

      • KCI등재

        수업상호작용의 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김민성(Kim, Minse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학습이 타인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현상이라는 사회구성주의 관점에 기반하여 수업상호작용의 의미와 역할을 이해하고 수업상호작용 연구의 성과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수업상호작용은 수업이라는 활동시스템 속에서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활동시스템의 여러 요소(주체, 도구, 대상, 규칙, 공동체, 역할분담)의 통합적 영향을 받아 구조화되면서 의미구성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언어라는 기호가 수업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의 역할을 하면서 지식의 공동구성과정과 개인의 내면화 과정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과정-산출 연구의 전통에서 수행된 수업상호작용연구는 학생의 학업성취와 상관이 있는 교사의 행동이 무엇인지를 드러냈지만, 구체적인 수업맥락에서 해당 행동이 의미구성의 과정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살펴보지는 못하였다. 수업상호작용의 구조화된 유형을 기술하는 데 주력한 수업참여구조연구는 수업에서 실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유형을 이해하는 데는 도움을 주었지만 참여구조와 의미구성의 연관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지는 못하였다.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수업상호작용연구는 수업참여 구조연구가 밝혀낸 상호작용 유형이 어떻게 학습자의 지식이나 경험을 공동의 장으로 이끌어내는 역할을 하는지, 공동의 활동이 어떻게 개별 학습자의 수행에 반영되는지, 보다 성공적인 의미구성을 위한 교사의 역할은 어떠한 것인지를 드러내는 데 기여를 하였다. 향후 수업상호작용 연구는 학기별, 학년별, 학교급에 따른 수업상호작용의 변화과정, 테크놀로지와 같은 도구가 개입되었을 때 질적으로 변형되는 상호작용의 양상, 교과 등 다양한 맥락에 따라 달리 이루어지는 수업상호작용의 유형, 인지적 측면뿐 아니라 상호작용의 관계적, 정서적 측면, 의미구성의 다각적인 측정방법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사회구성주의에 기반한 상호작용연구는 다른 학습이론이 충분히 드러내지 못한 학습의 사회적 측면, 공동의 의미구성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교육 및 학습현상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role of classroom interaction and to discuss the trend and directions of classroom interaction research from a perspective of socio-constructivism. Classroom interaction occurs as a dialogic interaction in an ‘activity system’ with such components as subject, tool, object, rules, community, and division of role, one that becomes structured in the interaction processes and influences the way students learn and think. With the mediating role of language, classroom interaction plays a facilitating role in the process of shared meaning-making and individual students’ internalization. In the trend of classroom interaction research, a process-product research tradition found a list of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associated with student achievement. However, it did not examine the role of teaching behaviors in students’ meaning-making process in classroom interaction. By describing the types of classroom participation structure, studies on classroom participation structure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f classroom interactions that actually occurs in the classroom practice, however, with the limitation of not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of participation structure and the meaning-making process. Finally the classroom interaction research conducted from a socio-constructivism perspective revealed how classroom interaction shapes a shared or individual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what role teachers play in the process. It was suggested that the future classroom research should examine 1) the trajectory of classroom interaction by semester, grade, or school level; 2) a transformation of classroom interactions when technology is introduced in class, 3) the diversity of classroom interactions in the different contexts such as different subject matters and school climate; 4) the relational, emotional aspects as well as cognitive aspects of classroom interactions; 5) the diverse ways to measure the level of meaningconstruction. Classroom interaction research from a perspective of socio-constructivism will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by investigating the social and shared aspect of learning, one that have not fully examined by other learning theories.

      • KCI등재

        대학교육의 맥락에서"교육적 관계"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김민성(Minseon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교수자-학습자의 관계가 ``교육적``인지의 여부가 대학교육의 질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라는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대학교육의 맥락에서 ``교육적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교육``, ``교수``, ``학습`` 등에 대한 개념적 논의와 교사-학생 상호작용, 교사-학생관계, 교수효과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에 기반하여 ``교육적 관계``의 의미와 그 하위요소(학생에 대한 존중과 관심, 대화적 상호작용, 교수자에 대한 신뢰, 학생에 대한 기대, 가르침에 대한 열정, 학생의 몰입/성장)를 도출하였다. 전문가 집단의 문항검토와 1, 2차에 걸친 예비검사 제작과 실시를 통해 하위요소별로 4개의 문항, 총 28개 문항으로 구성된 최종 검사도구를 제작하여 서울과 광주지역 4개 종합대학 총 27개 강좌, 1,282명의 학생들에게 실시하였다. 본 연구가 상정하는 ``교육적 관계``의 요인구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교차타당도 분석 결과 ``교육적 관계`` 척도는 적절한 구인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83-.89로 양호하였으며, 대학교수자 역할진단도구와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통해 교육적 관계 척도의 공인타당도가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교육적 관계``의 하위 요소별 학생성별, 교수성별, 강좌분야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교육적 관계``가 교수자나 학습자, 강좌분야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교육적 관계`` 정도와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와의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는 ``교육적 관계``가 이론적으로 상정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교육적 관계``는 대학교육의 질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관계`` 측정도구의 개발은 대학교육의 질제고를 위해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whether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re educational reflects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The meaning of ``educational relationship`` was defined and its components (respect, concern, dialogical interaction, trust, expectation, enthusiasm, engagement/growth) were drawn from the literature review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interaction and teaching. With the cont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lot tests, the final ``Educational Relationship`` scale with total 28 items (4 items for each subscale) were developed and administered for 1,282 college students in 4 universities.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ross-validation using a Bollen-Stein bootstrapping technique showed the valid quality of the scale. Cronbach α of 7 subscales ranged from .83 to .89, an indication of proper internal reliability of the scale. Concurrent validity were confirmed by th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scale and the ``Professor`s Educational Role`` scale. According to students` and college instructors` gender and academic field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relationship and academic motivation/attitude were found, an evidence of the rol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This scal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i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promoting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because educational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critical in the process of college teaching.

      • KCI등재

        임금불평등의 변화요인 분해

        김민성(Minseong Kim),김영민(Youngmin Kim) 한국경제연구학회 2012 한국경제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한국 남성 임근근로자의 2004~2009년간에 관찰된 최저임금, 노조가입 여부, 정규직 비율, 교육수준과 연령분포 등 노동시장 여건 및 근로자 개별 특성 벼놔를 고려하여 각 설명변수가 임금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반사실적(counterfactual)임금분포 추정을 통해서 분석한다. 부스트랩을 통한 분석결과 최저임금의 상승은 임금불평등을 억제하는 것으로 교육수준의 증가와 정규직 비율의 증가 및 기타 요인의 변화는 임금불평등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령구조의 고령화와 노조가입률의 감소는 임금불평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This paper studies the effects on male wage inequality of changes in the labor market enviro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minimum wage, union membership, employment type, education level, and age. We estimate counterfactual wage distribution based on observations from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of 2004 and 2009. Bootstrap analysis finds that rising minimum wag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equality reduction effect and that rising education level and higher proportion of regular workers worsen the wage inequality. We do not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aging and deunionization on male wage inequality.

      • KCI등재

        실업, 빈곤과 투표행태

        김민성(Minseong Kim),이상헌(Sangheon Lee) 한국경제연구학회 2010 한국경제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정치경제이론에서 정책결정 과정 도구 가운데 하나인 투표에 관한 연구이다. 투표가 경제적 관점에서 주목 받는 이유는 선거를 통해 선출된 후보자가 경제정책 수립시 자신을 지지해 준 유권자들의 편익을 경제정책에 반영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정치경제이론에서는 모든 유권자가 투표과정에 참여한다는 가정을 두고 있으나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기에 본 연구에서는 어떤 유형의 유권자들이 투표과정에서 이탈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1992년부터 2008년까지의 국회의원 및 대통령 선거자료를 이용하여 거시분석을 한 후 1992년, 1997년, 2002년도에 조사된 ‘대통령선거 유권자 의식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미시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시분석 결과 투표율은 경기순행적 관계를 가진다. 즉, 경제상황이 좋을 경우 투표율은 증가하는 반면 반대의 경우 투표율이 하락하는 이탈가설을 지지한다. 둘째, 미시분석 결과 실업상태에 있는 유권자와 빈곤에 처한 유권자들이 투표과정에서 이탈한다. 이러한 결과는 누군가를 내세워 경제적 이익을 얻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경제주체들은 자신의 효용을 빠른 시간에 높일 수 있는 개인적 관심사에 높은 비중을 두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를 정치경제이론모형에 적용시 정치경제 균형의 성격이 100% 투표율을 가정하는 경우와는 다를 가능성을 시사한다. 즉, 중위소득보다 높은 쪽에서 정치경제 균형이 결정될 수 있다. A typical theory of political economy makes an unrealistic assumption that all voters participate in voting. While this may be a simplifying assumption, it is not innocuous. Actual participation in voting may bias the representation of various interests of the constituents. We examine the association of voting behavior with economic shocks at both macro and micro levels using recent national elections in Korea. The macro data shows that an adverse economic shock lowers voter participation. The evidence from the micro data is that the unemployed individuals are less likely to vote than the employed ones. The evidences are consistent with the so-called "withdrawal" view.

      • KCI등재

        A Caring Perspective on Teaching : 교수에 대한 대안적 관점 : 배려교육론

        Minseong Kim(김민성)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교수와 학습이 서로 관련을 맺고 일어나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이루어진 교수연구에서는 교수와 학습을 독립적인 별개의 과정으로 연구하려는 현상을 비판하고, 교수와 학습을 교사와 학생의 관계를 중심으로 바라보는 Noddings의 ‘배려’의 개념을 통해 교수에 대한 대안적 입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Noddings는 ‘배려’를 배려하는 사람의 인품이나 성격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배려자와 피배려자의 관계로 규정한다. 배려의 관계에서 배려자의 상태는 ‘몰입’과 ‘동기대체’로, 배려 받는 사람의 역할은 ‘상호성’으로 규정된다. ‘몰입’은 배려자가 피배려자가 느끼는 것을 느끼려고 애쓰며, 피배려자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는 상태를, ‘동기대체’는 배려자가 피배려자의 필요나 동기를 우선시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상태를 말한다. ‘상호성’은 배려관계에서 피배려자의 역할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배려관계에서 피배려자의 반응은 배려자의 배려가 의미있고 가치로운 것인지, 그렇지 않은 것인지를 규정한다는 점에서 배려관계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Noddings는 이러한 배려자의 배려가 일시적인 감정이나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배려를 하고 배려는 받은 경험에서 형성된 ‘윤리적 이상(ethical ideal)"에 근거한 것으로 보았다. 학교라는 맥락에서 이러한 배려의 관계를 촉진해주고 윤리적 이상을 형성하기 위해, 모델링, 대화, 연습, 인정이라는 네 가지 방법이 소개되었다. Noddings에 의해 이루어진 배려에 대한 개념화를 바탕으로 배려교육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검토하였다. 배려교육의 관점에서 연구된 연구결과물을 통해 교수-학습 상황에서 배려를 이해하는 두 가지 방식을 도출하였다. ‘교수로서의 배려(caring as teaching)’와 ‘교수 내 배려(caring in teaching)"라는 두 범주는 교수 연구에서 교사의 배려를 이해하는 방식을 드러내는 것으로, ‘교수로서의 배려’는 교사의 배려를 교수(teaching)의 본질적 측면과 연결시켜 이해하려는 관점이며, ‘교수 내 배려’는 교사의 배려를 교사의 특성이나 행동양식으로 바라보고 이렇게 드러난 교사의 배려가 교수나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관점을 가리킨다. ‘교수로서의 배려’는 배려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드러나는 교수의 본질을 세 가지 측면, 즉, 관계적 측면, 윤리적 측면, 인식론적 측면에서 기술하고 있다. ‘교수 내 배려’의 관점에서 파악한 교수연구들은 교사의 배려의 특징적인 부분들을 학생이나 교사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있다. 이 연구는 배려의 관점에서 교수를 바라 볼 때, 교수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배려의 관점에서 학생을 가르칠 때, 교사는 학생에 대해 지각하고, 알아가고, 그들과 관련을 맺는 방식의 모든 측면에서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많은 연구에서 배려는 배려자의 행동이나 정서의 측면으로 설명하지만 이 연구는 ‘교수로서의 배려’와 ‘교수 내 배려’라는 두 관점을 통해 배려자의 특성으로 표현된 것들이 교수의 본질적 측면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제시해 줌으로써 배려의 의미를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This paper proposes Noddings" ethic of caring as an alternative view on teaching. Noddings describes caring as occurring in a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 giving care and a person receiving that care, the one-caring and the cared-for. In Noddings" view, caring is not simply determined by what the one-caring does, but also enriched by the reciprocity that the cared-for shows in return for the care that he or she has received from the one-caring. This perspective on caring allows us to look at teaching and learning from a relational point of view, indicating that a teacher and a student depend on each other in order for any meaningful learning and teaching to take place. In this paper, a critical review of recent research on teaching conducted from a caring perspective is presented under the two distinctive but complementary themes: c aring as teaching and caring in teaching. In terms of caring as teaching, three ways of examining the nature of teaching from a caring perspective are presented as an integrated framework: caring as relational, ethical, and epistemological aspects of teaching. With respect to caring in teaching, more practical issues of what characterizes caring teachers and how caring benefits both teachers and students are discussed. This study enriches the meaning of caring by incorporating these two themes of caring in the context of teaching, providing some insights about what teaching would involve when teachers take a stance of caring in their practice.

      • KCI등재

        플립드러닝형 대학 수업에서 사전학습과 수업참여와의 관계: 소집단 토의 발화 분석을 중심으로

        김민성(Kim, Minseong),이지은(Lee, Jieun),김규은(Kim, Gyueun),김유경(Kim, Yugye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9 敎育心理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플립드러닝형 대학수업의 맥락에서 학습자의 사전학습과 수업참여와의 관계를 소집단토의활동에서 이루어지는 개별 학습자의 발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전학습의 정도는 해당 강좌에서 실시된 퀴즈점수로 측정되었으며, 소집단토의 참여도는 개별 학습자의 발화빈도와 발화량, 평균발화량, 그리고 발화내용분석에 기반한 발화유형별 발화빈도와 발화량으로 측정되었다. 먼저 학생들의 소집단토의 참여양상을 살펴본 결과, 소집단토의에서 개별 학생의 평균 발화빈도는 37.69회, 토의 전체에서 발화한 총량은 평균 286.06단어, 1회 발화당 평균발화량은 7.07단어였다. 발화빈도가 높은 발화유형은 정교화, 진행/관리, 반응, 논증/종합, 의견진술의 순이었다. 발화량에서는 정교화의 발화량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논증/종합, 의견진술, 진행/관리, 반응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전학습정도는 발화빈도, 평균발화량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의견진술, 논증/종합, 반응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정교화와 진행/관리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의 사전학습정도와 소집단토의 참여빈도 및 발화내용 간에 유의미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집단토의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하고 소집단토의가 수업내용에 기반하여 충실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전학습에 대한 효과적인 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lass learning and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context of a flipped classroom in a college. The degree of pre-class learning was measured by the average quiz scores of the learners. The individual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small group discussion was calculated by the learner"s utterance frequency, utterance length in words, and the average utterance length in words. The mean frequency of each learner"s utterance was 37.69. The total length of utterance was 286.06 words, and the mean length of utterance per utterance was 7.07 words. Categories were identified based on content analysis of the utterances. The categories from the highest to lowest frequency were elaboration, leading/management, response, rationale/synthesis, and opinion presentation. In terms of the length of utterance, elabora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ationale/synthesis, opinion presentation, leading/management, and response. The degree of pre-class learn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utterances and the average length of utterances. More specifically, the degree of pre-class learn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pinion presentation, rationale/synthesis, and respons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egree of pre-class learning is significantly related to learners" frequency of participation, as well as to the content of the utterances in small group discu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ffective design for pre-class learning in a flipped classroom is critical to facilitate learners" participation in small group discussions and to ensure quality of learning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