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속가능 HCI: 한국 HCI 학회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기여 분석

        Carl Hannes Lohmander,이기현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본 연구는 지속가능 HCI 측면에서 한국 HCI 학회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기여를 분석한다. 지속가능발전은 현재와 미래 세대의 필요를 모두 충족하는 개발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United Nations (UN) 은 지속가능발전 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만들어 우리가 지속가능발전에 구체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UN의 지속가능발전 목표 17 개에 대한 내용을 기초로 기계학습 분류기를 만들어 한국 HCI 학술대회 논문의 지속가능발전 기여 정도를 측정한다. 이를 통해, 한국 HCI 학회가 지속가능발전 목표 달성에 고르게 기여하고 있는지, 지속가능발전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한국 HCI 학회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그 결과, 한국 HCI 학회는 그동안 지속가능발전에 기여를 하고 있었지만, UN SDGs 측면에서 고르지 못한 기여를 하고 있었다.

      • 국내 HCI 학계 prolific 기관의 협업 네트워크

        이향이(Hyang-ee Lee),박지홍(Ji Hong Park),송예슬(Yeseul Song)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2

        국내 HCI 연구의 성과는 세계적 수준에 이른데 비해, 학문적 지형도에 대한 조망은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국내 HCI 학계의 학문적 지형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첫 번째 시도로, 최근 3 년간의 한국 HCI 학술대회 프로시딩을 대상으로 많은 양의 연구를 발표한 prolific 기관을 파악하고 각 기관의 내·외부 협업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먼저, 논문발표 수 및 저자 참여비중을 고려해 prolific 기관을 선정하였다. prolific 기관은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 KAIST 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공저자 분석을 통해 네 기관의 내·외부 협력 네트워크를 학과 단위로 살펴보았다. 각 기관은 서로 다른 협업행태 및 특징을 보였으며, 중심학과, 외부 협업 기관, 연구 관심주제도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국내 HCI 학계 prolific 기관의 특징을 보여주는 본 연구의 결과물은 HCI 분야 연구자들이 연구 전략을 수립하거나 협업 연구를 계획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 HCI 학계를 파악하는 초기 연구로 기관 단위를 살펴봄으로써 거시적 시각을 유지하였는데, 이에 기반해 보다 구체적인 국내 HCI 분야 지식구조 및 네트워크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While the HCI research quality in Korea has reached to international level, few studies have visualized academic map of HCI field, especially of Korea. This study is the first of its kind applying bibliometric to identify the HCI scholarly network in Korea. We identified prolific institutions that have a high research productivity in HCI field, and analyzed internal and external collaborative networks of those institutions using the HCI Korea conference proceeding. Findings include that the most prolific institutions are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AIST. These institutions show quite differences in terms of collaborative patterns, central departments, external collaboration institutions, and research subjects. Each institution"s collaboration characteristics are also describ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HCI researchers especially when they establish research strategy or plan collaborative research. Also, this study provides a fundamental basis for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HCI in Korea.

      • 사용자 경험에 대한 HCI적 관점에서의 개념적 고찰

        문지현(Jee-Hyun Moon),임성택(Seong-Taek Lim),박차라(Cha-La Park),이인성(In-Seong Lee),김진우(Jin-Woo Kim) 한국HCI학회 2008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3 No.1

        사용자 경험(UX)이라는 개념이 기존 사용성 중심의 패러다임에 대한 대안으로서 학계와 업계의 지대한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경우 사용자 경험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생략하거나 협소한 유사 개념과 혼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존 듀이의 실용주의 경험 철학에 기반하여 HCI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최적 사용자 경험의 요건을 제시하였다. 또한 HCI 환경의 변화로 사용자의 경험이 개인적 수준을 넘어 사회적으로 공유되고 있는데, 기존의 UX 개념으로는 이러한 사용자 경험을 설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 심리학의 공유 인지 연구를 바탕으로, 사용자 경험을 넘어선 사용자의 공동 경험 개념을 설명하고 사용자의 공동 경험감(CX)이라는 개념의 정의와 조건을 제시하였다. The concept of UX(User Experience) has been an important issue both in academic and practical areas in recent years. However, the concept had either been lacking an implicit definition or confused with otherrelated concepts in most cases. In this paper, a conceptual definition of UX and the optimal UX in HCI as well as conditions of it is presented based on John Dewey’s pragmatism. Also, due to the current shifts i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in HCI, it is impossible to fully explain the phenomena by using the current concept of UX as users experience technology not only individually but also socially. Therefore,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of users’ shared experience, co-experience(CX), and its requisites.

      • Echo : K-pop 을 활용한 에듀테인먼트

        김은지(Eun Ji Kim),양수빈(Subin Yang),Emil Bunk,Bekbolat Kankin,권가진(Gahgene Gweon)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2

        한국어 학습을 위한 에듀테인먼트 분야는 그 유망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에듀테인먼트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과 K-pop 을 연결하여 새로운 학습방법인 “Echo”라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사용자 테스트 결과 본 어플리케이션은 배움 용이성 평가에서 92.4%의 만족도 점수를 얻었으며, 현존하는 어플리케이션들과는 달리 사용자 10 명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개발되었다. 또한, 본 어플리케이션은 한국어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학습에도 즉각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Edutainment for Korean language is a promising, but mostly unexplored and undeveloped task. Toward the goal of teaching Korean language by edutainment, we propose a novel method that links Korean and K-pop together on the basis of a new language education system, which name is “echo”. The user test results show that echo’s satisfaction score in terms of ease of learning is 92.4%. This resear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tant research by focusing on reflecting ten users’ overall opinions. The proposed application will be directly applicable to teaching other language applications.

      • 한국어 문장 유형의 자동 분류

        정진우(Jin-Woo Chung),이호준(Ho-Joon Lee),박종철(Jong C. Park) 한국HCI학회 2010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5 No.1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문장 유형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한국어-수화 변환과 한국어 음성 합성 분야에서 문장 유형 정보가 자연스러운 수화 표현과 음성 표현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과정을 보인다. 한국어에서 문장 유형은 크게 평서문, 명령문, 청유문, 의문문, 감탄문의 다섯 가지로 분류되는데, 기존의 방법으로는 대화체 문장에서 동일한 문장이 여러 가지 유형으로 해석되는 중의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장 내에서 형태소 및 구문단위의 다양한 단서들을 활용하여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문장유형 분류 시스템이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한국어-수화 변환 시스템에서 문장유형에 따라 수화의 비수지신호가 다르게 표현되는 현상을 처리하는 과정과 한국어 음성 합성 시스템에서 문장 유형에 따라 문장의 문미 억양이 변하는 현상을 처리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문장 유형 정보를 음성 합성과 수화 자동 생성에 이용하는 것은 기존에는 연구되지 않았던 방법으로, 좀 더 자연스러운 음성과 수화 표현을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automatically identifying sentence types in Korean and improving naturalness in sign language generation and speech synthesis using the identified sentence type information. In Korean, sentences are usually categorized into five types: declarative, imperative, propositive, interrogative, and exclamatory. However, it is also known that these types are quite ambiguous to identify in dialogues. In this paper, we present additional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lues for the sentence type and propose a rule-based procedure for identifying the sentence type using these clu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gives a reasonable performance. We also describe how the sentence type is used to generate non-manual signals in Korean-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and appropriate intonation in Korean speech synthesis. Since the method of using sentence type information in speech synthesis and sign language generation is not much studied previously, it is anticipated that our method will contribute to research on generating more natural speech and sign language expressions.

      •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연구: 한국인 학생과의 교류를 중심으로

        김재윤(Jae Yoon Kim),마나(MA NA),박은영(Eunyoung Park),산티아고(Silva Santiago Augusto),이소영(So Young Lee),김현경(Hyoun Kyoung Kim),백준상(Joon Sang Baek)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돕기 위해 한국인 학생과의 취미, 성격 기반 교류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성인 초기 가족 및 친구들과 멀리 떨어져 새로운 관계를 형성해야 하는 외국인 유학생은 낯선 생활 속에서 소외감, 무력감, 혼란스러움 등의 심리적 어려움을 겪게 된다(박은미 외, 2010).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이 대학 및 지역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인 한국인과의 사회적 관계에 집중하여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조사를 진행하여 유학생이 한국인과의 교우관계, 그 중 관계의 지속에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하고, 어려움의 구체적 이유와 니즈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페르소나를 도출하여 한국인과의 취미, 성격 기반 교류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스토리보드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1 차 MVP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결과를 토대로 지속성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요소를 고안하였다. 이후 참여자를 모집하여 2 차 MVP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테스트 후 참여자 간의 관계 형성과 사회적 관계 수준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추후 서비스 개선과 장기적 검증을 통해 완성된 솔루션을 도출하고자 한다.

      • 테크놀로지 비전 비디오 기획을 위한 HCI적 접근방법

        김은수(Eunsoo Kim),원광연(Kwangyun Wohn)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많은 기업들이 비전 비디오 제작을 통해 그들이 바라보는 미래, 주도하고 싶은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한다. 이와 같이 미래를 조명한다는 것은 기업의 나아갈 방향을 시사하는 것과 일맥상통하기 때문에 비전 영상 비디오를 제작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할만하다. 본 연구는 국내 한 기업 연구소와 함께 미래 기술 비전 비디오를 기획함에 있어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미래 기술 분야로 꼽힌 에너지 및 환경, 바이오 및 메디컬 기술 분야의 미래를 조명하여 2030년경까지 변화, 발전하게 될 생활양식을 예측하고 시각화하는 작업을 다루고 있다. 특히, 연구소 실무 연구원들과의 협업을 통한 혁신적인 비전 영상 시나리오 도출을 목적으로 하는 본 프로젝트에서 첨예하게 다른 성격의 두 그룹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매우 중요한 바, 기존의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와 영상기획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HCI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접근방법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나리오 도출을 위해 HCI 방법론을 차용하여 인터랙션 디자인 라이프사이클 모델(interaction design lifecycle model)을 테크놀로지 비전 비디오 기획에 맞게 변형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한다. Many companies try to present a blueprint of the future which they look for and want to take the lead in through making a vision video. It is extremely important because showing the future has a thread of connection with suggesting a company's direction. This project deal with forecasting and visualizing the most significant selected future technologies and 2030's life style that will be changed dramatically. E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deduct an innovative scenario through the coworking with a company's researchers. Communication with the researchers is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a systematic approach based on HCI process should be discussed as well as product design process and video product process. In this case, we suggest and evaluate the transformed framework of a simple interaction design lifecycle model for a technology vision video project and exploit the HCI methodology.

      • 한국어 텍스트 입력 평가를 위한 문장 데이터셋

        김문정(Munjeong Kim),송준상(Junsang Song),김선준(Sunjun Kim) 한국HCI학회 2025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5 No.2

        문자 입력에 대한 성능 평가는 일반적으로 실험 참가자들이 주어진 텍스트를 동일하게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에 사용되는 텍스트는 최대한 언중의 언어 습관과 유사하여야 하나, 현재 한국어를 사용하는 언중의 특성을 반영한 문자 입력 평가용 데이터셋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한국어 사용자들이 데스크탑 환경에서 키보드를 이용해 작성한 대화 말뭉치를 사용하여 한국어 문장 데이터셋을 제작하였다. 또한, 문자입력 성능평가시 외적 정합성을 높이기 위해 문장을 외운 뒤 입력하는 절차를 자주 사용하는데, 데이터셋의 문장을 외우는데 필요한 시간과 각 문장들을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지에 대한 초기 실험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는 한국어 입력 방식을 평가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하위 문장 모음들을 제시하며, 우리의 데이터셋과 데이터셋의 하위 문장 모음들이 추후 한국어 입력 방식을 평가할 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 HCI 학술대회 논문 분석을 통한 HCI 연구 주제 관계 연구

        이규호(Gyuho Lee),이준환(Joonhwan Lee)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HCI 연구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이뤄지는 관련 연구를 정의하고 구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되고 있다. 이에 탐색 주제를 세분화하고, 대용량 텍스트 분석을 통해 연구간의 관계와 전망을 예측하는 연구가 컴퓨터 기반의 여러 연구에서 이뤄지고 있지만, 국내의 HCI 연구에서는 시도되는 경우가 적다. 본 논문은 이런 배경에서 HCI 학술대회(HCI Korea)에 제출된 논문 정보를 수집해 키워드 분포 엔트로피를 측정하고 초록 텍스트에 상관관계 토픽 모델(CTM, Correlated Topic Model)을 적용하여 국내 HCI 연구 주제 간 관계를 확인하고 잠재된 의미를 파악할 것이다. 이는 다양하게 분화된 HCI 의 연구 지형을 재확인하고, 주제 간 연결을 확인함으로써 앞으로의 HCI 연구를 전망하고 새로운 통합적 연구를 시도하는 배경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합성곱 신경망 기반 미세한 책 소리 분류 및 활용

        김혜주(Hye-Ju Kim),김승찬(Seung-Chan Kim)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소비자들은 도서 구매를 할 때 여러 책을 훑어보면서 관심이 가는 책은 좀 더 꼼꼼히 살펴보는 행동을 하게 된다. 책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은 대부분 설문조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만약 주관적인 설문조사 방식이 아닌 소비자가 책을 어떠한 방식으로 읽고 있는지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면 어떤 책이 관심을 끌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책을 다룰 때 발생하는 미세한 소리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책을 다루는 방법을 정량화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연구 (preliminary work)로서 합성곱 신경망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책을 읽는 동작을 미세한 소리에 근거하여 분류 및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타당성 검토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발생된 소리의 시간-주파수 특성을 분석하고자 스펙트로그램으로 표현하고, 이를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하여 학습해 사전 정의된 동작을 예측해냈다. 실험을 통해 책을 통한 8 가지 동작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여 소리만으로 사용자의 동작을 정교하게 예측해 냄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