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잎으로부터 분리한 다당류의 Macrophage 활성화에 대한 연구

        곽지은(Ji-Eun Kwak),김경임(Kyung-Im Kim),전혁(Hyuck Jeon),홍범식(Bum-Shick Hong),조홍연(Hong-Yon Cho),양한철(Han-Chul Y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3

        전통차 제조용 식물 63종을 대상으로 macrophage lysosomal enzyme activity를 검색한 결과, 홍화 냉수 추출물에서 높은 macrophage lysosomal enzyme 활성(219%)을 발견하여 냉수 추출물 CT-0 획분에 대하여 metahnol 환류, ethanol 침전, 투석,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macrophage lysosomal enzyme 활성이 더욱 증가된(227%) 고분자 획분 CT-1을 얻었다. 이 획분의 macrophage 활성화 성분의 본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pronase 처리에 의한 단백질 분해와 periodate를 이용한 당 부위의 선택적 실활 후 활성을 검토한 결과, pronase를 처리한 CT-1에서는 약 8% 정도의 활성 증가를 보인 반면 periodate 산화물에서는 활성이 약 8% 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홍화로부터 macrophage 활성을 나타내는 냉수 추출물의 활성 본체는 다당임을 알 수 있었다. 조다당 활성획분에 대하여 an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9개의 획분(CT-1-I~CT-1-Ⅷ)을 얻었으며 수율과 활성이 가장 높은 CT-1-Ⅱa 획분을 Sepharose CL-6B 및 Sephacryl S-200의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주요 활성 다당인 CT-1-Ⅱa-2-1을 최종적으로 정제하였다. HPLC상에서 순수한 단일 peak로 확인된 CT-1-Ⅱa-2-1은 분자량이 68 kDa 정도의 다당인 것으로 나타났고 macrophage의 lysosomal enzyme 활성은 대조군을 100%로 비교했을 때 243%를 나타내었다. 또한 구성당의 조성은 xylose(27.4%), arabinose(16.1%), mannose(15.9%), glucose(14.5%)의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 CT-1-Ⅱa-2-1은 macrophage의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물질임이 확인되었으나 mouse를 대상으로 급성독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LD_(50)값이 397mg/kg으로 일정 농도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독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시료에 대하여 아만성ㆍ만성 독성과 유전 및 면역 독성과 같은 구체적인 독성 검사를 실시하여 안전농도를 산출한다면, 면역증강물질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screening of Korean traditional tea sources for the cellular lysosomal enzyme activity of peritoneal macrophage from mice, CT-0, a cold-water extract from Carthamus tinctorius L., showed the highest macro-phage-stimulating activity. CT-1-IIa-2-1, a purified macrophage-stimulation polysaccharide was obtained by a series of purification steps such as anion exchage chromatography with DEAE-Toyopearl 650M,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with Sepharose CL-6B, Sephacryl S-200, and HPLC with Superdex G-75. The molecular weight of homogeneous purified polysaccharide was estimated about 68 kDa. CT-1-IIa-2-1 consisted of xylose 27.44%, arabinose 16.14%, mannose 15.92% and glucose 14.47%. To measure acute toxicity, dose of 50, 100, 500, and 1000 mg/kg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to ICR mice. The LD_(50) was about 397 mg/kg.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관주위유방염 (유륜하 농양)의 세침흡인 세포소견 및 세포진단의 중요성

        주미,장선희,곽지은,박성혜,송병주,김한성,Joo, Mee,Chang, Sun-Hee,Kwak, Ji-Eun,Park, Sung-Hye,Song, Byung-Ju,Kim, Han-Seong 대한세포병리학회 2006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17 No.1

        Periductal mastitis is a specific clinicopathologic entity, and is referred to by several names: recurrent subareolar abscess, squamous metaplasia of the lactiferous duct, and Zuska's disease. Clinically, the differentiation of periductal mastitis from other benign lesions and carcinomas around the nipple frequently proves a difficult proposition. We reviewed the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C) of 14 cases of periductal mastitis, which had been diagnosed either radiologically, histologically, or clinically. The patient group included 13 female patients, and one male. The majority of the patients in this group had presented with subareolar masses. All cases evidenced characteristic anucleated squamous cell clusters within a mixed inflammatory background. A diagnosis of periductal mastitis can be rendered fairly readily on excisional biopsy. However, FNAC is considered to be superior to excisional biopsy as an initial diagnostic procedure for any palpable mass in subareolar lesions of the breast. FNAC can also be a useful diagnostic technique in cases of periductal mastitis, even in the early phases of the disease. A definitive diagnosis of subareolar abscess via FNAC will enable the clinician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medical or surgical treatment.

      • Privacy 보호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 자율주행 시스템 연구

        김예린(Ye Rin Kim),곽지은(Ji Eun Kwak),안나현(Na Hyun An),이훈(Hoon Lee)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 중 발생하는 사생활 침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 자율 주행 시스템을 제안한다. 영상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교통신호를 판별하여 도로를 성공적으로 주행하도록 한다. 또한, 수집한 영상 데이터 중 개인정보라고 인식되는 얼굴 영역을 스스로 판단하여 모자이크 처리하는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추가로 실현한다. GPU 임베디드보드를 활용하여 자율 주행 차량을 구현한다. 교통신호 판별에는 ResNet18 모델을, 개인정보 보호에는 YOLOv5 기술을 사용하여 각 기능을 병렬적으로 처리한다. 모의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시스템의 자율주행 기능 및 실시간 모자이크 처리 성공 여부를 입증한다.

      • SCOPUSKCI등재

        반죽 및 발효 조건이 글루텐 프리 쌀 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조영제(Youngje Jo),천아름(Areum Chun),심은영(Eun-Yeong Sim),박혜영(Hye-Young Park),곽지은(Ji-Eun Kwak),김미정(Mi-Jung Kim),이춘기(Choon-Ki Lee) 한국식품과학회 202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2 No.5

        본 연구에서는 글루텐 프리 쌀 빵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반죽 시 첨가되는 물의 양과 물의 온도 그리고 발효 시간을 다양하게 하여 글루텐 프리 쌀 빵의 품질을 비교해 보았다. 품질 비교를 위해서 빵의 단면적과 기공 개수, 기공의 면적, 부피, 빵의 경도 등을 측정해 보았으며, 그 결과 반죽 시 첨가되는 물의 온도 95℃가 0, 25℃에 비하여 단면적이 넓고, 기공의 개수가 많게 나타났으며, 발효시간이 2시간일 때 단면적이 가장 넓게 나타났다. 그리고 반죽 시 첨가되는 물의 양은 쌀가루 100 g에 130 g 이상의 물을 사용하였을 때 단면적의 넓이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95℃의 물을 50 g (쌀가루 50 g)을 사용하여 2시 간 발효를 하였을 때 단면적이 가장 넓어지고, 기공의 개수가 많아 졌으며 경도도 낮아져서 부드러운 빵을 만들 수 있었다. 비록 밀가루를 사용한 빵보다 단면적의 크기가 작았지만,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만든 글루텐 프리 쌀 빵과 비교하였을 때 부피와 단면적이 증가하였으며, 추후 부피 팽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증점제와 같은 첨가물 사용을 동시에 진행하게 된다면 더욱 품질이 좋을 글루텐 프리 쌀 빵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research on gluten-free bread.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substituting or imitating the gluten network. However,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echnological approaches to improve the quality of gluten-free rice bread (GFRB).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temperature of water used for kneading and fermentation time on the quality of GFRB. Water at various amounts and different temperatures was added for kneading, and fermentation was performed for 0, 2, and 4 h. GFRB produced by kneading using water at 95℃ showed the highest specific volume and the lowest hardness among test groups, regardless of other factors. In conclusion, mixing equal volumes of water at 95℃ and rice flour, followed by a 2 h fermentation process, produced the best-quality GFRB in terms of cross-sectional area, hardness, and appearance.

      • KCI등재

        도정방법이 건식제분 쌀가루의 호화특성 및 저장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조영제 ( Youngje Jo ),천아름 ( Areum Chun ),심은영 ( Eun-yeong Sim ),박혜영 ( Hye-young Park ),곽지은 ( Ji-eun Kwak ),김미정 ( Mi-jung Kim ),이춘기 ( Choon-ki Lee ),전용희 ( Yong Hee Jeon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21 산업 식품공학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연미공정의 유무가 쌀가루의 호화특성과 저장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연미공정을 거친 쌀가루는 수분함량이 약 9.80%로 연미공정을 거치지 않은 쌀가루에 비해 약 0.32% 높게 나타났으며, 조지방 함량은 0.62%로 연미공정을 거치지 않은 쌀가루에 비해 약 0.29% 낮게 나타났다. 연미공정은 쌀가루의 색도에 있어서 황색도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VA를 통한 호화특성을 비교해 보았을 때, 연미공정의 유무는 쌀가루의 호화특성에는 큰 영향은 없었지만, 노화촉진성, 열, 전단에 대한 저항성 등의 측면에서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지방산가의 변화를 통한 저장성을 확인해 본 결과 가공용 쌀가루인 한가루의 경우, 연미공정을 거치지 않은 쌀가루는 저온저장을 하여도 9개월이 되었을 때 식미권장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연미공정을 거친 쌀가루는 저온저장 시 12개월이 지나도 식미권장기준 이하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연미공정을 거치고 제조된 쌀가루의 호화특성은 연미공정을 거치지 않은 쌀가루와 유사하지만 저장 안정성이 좋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쌀가루 저장 시 연미공정의 유무보다 저장 온도가 더욱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milling's effect on the pasting properties and storage stability of dry-milled rice flour. Rice flour's moisture content was increased from 9.48% to 9.80% after going through a rice polisher, and the crude fat content of rice flour was decreased from 0.91% to 0.62% after going through a rice polisher. In the color index of rice flour, the rice polisher was only affected by yellowness. The pasting properties were verified through RV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a rice polisher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asting properties.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changes in fatty acid value, it was ascertained that the storage period could be increased using the rice polis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ice polisher can increase the storage period without changing the pasting properties.

      • KCI등재

        시판 쇠고기 죽의 이화학적 특성

        박혜영,이춘기,심은영,김현주,전용희,곽지은,이진영,천아름,김미정,최혜선,박지영,우관식,Park, Hye-Young,Lee, Choon-Ki,Sim, Eun-Yeong,Kim, Hyun-Joo,Jeon, Yong Hee,Kwak, Jieun,Lee, Jin Young,Chun, Areum,Kim, Mi-Jung,Choi, Hye Sun,Park, Ji You 한국식품영양학회 2019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2 No.3

        In this study, the product characteristic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rough collection of commercial porridge. The addition rate of grain raw materials was about 6.5~11.75%, glutinous rice was added at a rate of about 23~60% to improve the viscosity and various other food additives were used. The moisture content characteristics varied among the products. The rotational viscosity of CP (Commercial Porridge)4 was the highest at 39,054 cP, while the flow viscosity of CP3 was least at 4.80 cm/30 seconds. The starch content differed among the products in the range of total starch 6.96~8.08%, amylose 1.41~2.61%, total sugar 6.55~12.81% and reducing sugar 0.50~0.99%. Particularly, total sugar showed a very high correlation (-0.920) while rotational viscosity and color value (b)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st of the properties i.e. moisture, solids content etc. There was a rapid increase in the reactivity of starch degrading enzyme at the early stage of the reaction which gradually decreased with tim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porridge presented in this study could be expected to increase the industrial use value of the related research because it considers the quality of the currently commercialized porridge for the future selection of suitable porridge raw materials.

      • SCOPUSKCI등재

        저장 온도에 따른 건식제분용 쌀가루의 호화특성 및 지방산가 변화

        조영제(Youngje Jo),천아름(Areum Chun ),심은영(Eun-Yeong Sim),박혜영(Hye-Young Park),곽지은(Ji-Eun Kwak),김미정(Mi-Jung Kim),이춘기(Choon-Ki Lee) 한국식품과학회 202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2 No.4

        건식 제분용 쌀가루 전용 품종인 한가루와 밥쌀용 품종인 삼광의 호화특성을 비교해 가공특성을 확인해 본 결과 한가루가 삼광에 비해 노화 안정성이 높고, 호화 중 열, 전단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 가공특성이 좋을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조지방, 조단백 함량이 삼광에 비해 높아 저장 시 주의를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화특성은 상온 저장 시 12개월 저장 시 두 품종 모두 변화하였고, 그로 인해 가공특성이 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가루는 상온 저장 시 지방산가의 변화도 크게 나타나서 식미권 장기준 보다 높은 지방산가를 나타냈다. 하지만 저온 저장을 하게 되면 두 품종 모두 호화특성을 초기와 유사하게 유지가 가능했으며, 한가루는 지방산가의 변화도 감소하여 식미권장기준에 적합하게 유지되었다. 가공특성은 우수하지만 저장성이 좋지 않은 건식 제분용 쌀가루인 한가루는 저온 저장하여 저장성도 높일 수 있고, 가공특성도 저장 전과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quality attributes during the storage of dry-milled rice flour, two flour samples were obtained from two rice varieties (Hangaru (HG), Samkwang (SK)). These samples were stored at 4℃ and room temperature, respectively, and we analyzed the initial rice flour moisture content and chemical properties. The changes in the rice flour pasting and quality properties during storage were measured for 12 months. Our results showed that HG exhibited better pasting properties than SK, while the fat acidity of HG rapidly increased at room temperature, resulting in short shelf-life. However, the low-temperature (4℃) storage of dry-milled rice flour could reduce the change in the free fatty acid values of both samples. Therefore, low-temperature storage seems to contribute not only to an increased rice flour shelf-life by reducing the fatty acid value changes but also to a reduction in the changes in pasting properties.

      • KCI등재

        죽 가공성 평가를 위한 원료 쌀의 품질지표

        박혜영,이지윤,안억근,김현주,심은영,곽지은,천아름,우관식,박지영,김미정,Park, Hye-Young,Lee, Ji-Yoon,Ahn, Eok-Keun,Kim, Hyun-Joo,Sim, Eun-Yeong,Kwak, Jieun,Chun, Areum,Woo, Koan Sik,Park, Ji Young,Kim, Mi Jung 한국식품영양학회 202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3 No.3

        When producing rice products,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suitable raw material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16 rice cultivars were quantified to determine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machinability of raw rice. The L value, which can affect the color of porridge prepared from rice, was the greatest for Hwaseonchalbyeo (84.17). The water-binding capacity, related to water interaction, was high in Hyangcheola (113.2%), and water solubility was high in Shingil (22.3%). Dodamssal (42.3%, 70.7 RVU) and Hwaseonchalbyeo (4.7%, 27.8 RVU) showed lower final viscosity compared to the cultivars in which the amylose content was medium groups (16.4~21.2%, 173.6~277.2 RVU). Specifically, cultivars with high or low amylose content had a low viscos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raw rice quality data were confirmed through 11 histograms. Furthermore, amylose content vs. water solubility, water solubility vs. peak viscosity, and peak viscosity vs. final viscosity showed high correlations (r=0.542, -0.569, and 0.836 respectively, p<0.01), and clear cultivar discrimination by the standard error of the mean (0.765~10.811). In conclusion, amylose content, water solubility, and peak viscosity were considered the most suitable characteristics for the quality evaluation of raw r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