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촉진질문 제공과 자기설명 지시가 기억과 이해에 미치는 영향 : 인지욕구와의 상호작용

        도경수(Kyung Soo Do),이효희(Hyo-hee Lee) 한국인지과학회 2012 인지과학 Vol.23 No.2

        촉진질문을 제공해서 무엇을 설명해야 하는지 알려주거나 자기설명을 하게 지시하면 기억과 이해가 향상되는지, 그리고 자기설명 지시와 촉진질문 제공의 효과가 학습자의 인지욕구와 상호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3요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촉진질문과 자기설명 지시의 효과는 과제와 학습자의 인지욕구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기억검사에서는 인지욕구가 낮은 학습자에게서 자기설명 지시와 질문 제공이 기억 수행을 향상시켰다. 인지욕구가 높은 학습자에게는 촉진질문이나 자기설명지시는 기억에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 오히려 촉진질문에서 언급하지 않았던 항목에 대한 기억은 저하시키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해검사에서는 인지욕구가 높은 학습자의 이해 수행이 좋았다. 특히 인지욕구가 높은 학습자에게 촉진질문을 제공하고 자기설명을 하게 지시한 경우에는 이해 수행이 좋았으나, 인지욕구가 높은 학습자에게 촉진질문을 제공하지 않고 자기설명을 하게 한 경우에는 이해 수행이 나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자기설명 지시와 촉진문의 효과는 학습자의 인지욕구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인지욕구 수준이 낮은 경우 자기설명 지시와 촉진질문의 효과는 가산적일 수 있으며, 설명이 필요한 부분을 정확하게 찾아내는 것이 자기설명의 효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A three factor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giving prompts and asking for self explanation and the modulating effect of the need for cognition (NC) on the two interventions. The effects of giving prompts and asking for self explana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ask and the level of need for cognition. Participants of low NC conditions showed the prompt effect and the self explanation effect in the memory tests.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in the high NC conditions performed better in the comprehension test when they were given prompts and were asked to self explain. However, high NC participants performed worse when they were asked to self explain without providing the prompts.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detecting the right parts in getting the self explanation effect.

      • KCI등재후보

        한국인과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간의 타인종 얼굴에 대한 ERP 요소의 흥분성 조절 비교

        김혁(Hyuk Kim),이강희(Kang-hee Lee),김현택(Hyun-Taek Kim),최준식(June-Seek Choi) 한국인지과학회 2022 인지과학 Vol.33 No.2

        다른 인종의 얼굴 인식에 대한 연구는 지각, 정서, 사회문화적인 과정 등 다양한 수준에서 연구되어 왔다. 특히, “다른 인종 효과(other race effect, ORE)”와 관련된 많은 수의 연구들에서, 신원이나 정서와 같은 얼굴에 대한 미묘한 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다른 인종’이라는 인종적인 요소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종적인 요소가 아닌, 다른 인종의 얼굴에 대한 인지적인 조절로 ORE를 설명하려는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다른 인종의 얼굴을 처리함에 있어서 생소하기(낯설기) 때문에 나타날 수 있는 인지적인 작용 여부를 사건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 ERP)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22명의 한국인과 9명의 백인에게 한국인과 백인의 정서가 표현된 얼굴사진을 보여주면서 성별 분류과제를 수행하였다. 한국인의 경우 백인의 얼굴 사진에 대하여 한국인의 얼굴 사진보다 더 증가된 P3 전위 값을 보였고,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들이 자극 인식 초기 과정에서 다른 인종의 얼굴 사진에 대하여 더욱 주의를 기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흥미롭게도, 백인들은 한국인의 얼굴 사진을 보았을 때 증가된 P3 전위 값을 보이지 않았는데, 아마도 실험에 참여한 백인들의 경우 한국에서 생활을 하면서 많은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한국인 얼굴에 대하여 탈민감화 되어 한국인의 얼굴이 더 이상 생소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인종의 얼굴은 자동적으로 주의를 끌어당기는 높은 각성수준을 갖는 현저한 자극이지만, 반복적인 노출만으로도 탈민감화 되어 타인종의 얼굴에 대한 각성수준이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Facial processing of different racial origin has been investigated at various levels including perceptual, emotional, and socio-cultural processing. Particularly, a good deal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how “other race effect (ORE)” to indicate that subtle facial information such as identity or emotional expressions are often under-processed in racial out-group members.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whether attentional modulation toward racial out-group faces could explain ORE. We investigated whether novelty-driven attentional mechanism is involved in face perception using event-related potential (ERP). Twenty-two Korean (KR) and nine Caucasian-American (AM)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emotional faces from the two racial origins while they performed a gender categorization task. KRs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P3 amplitudes to AM than to KR faces indicating that the early attentional processing underlies differential perception of racial out-group faces. Interestingly, P3 was not up-regulated in the AM subjects when they were presented with KR faces, perhaps due to massive habituation to KR faces during everyday social inter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acial out-group faces are highly salient stimuli which automatically occupy attentional resources, but easily habituated with repeated exposure to the racial-out group.

      • KCI등재

        이러닝 적용을 위한 뇌파기반 인지부하 측정

        김준(Jun Kim),송기상(Ki-Sang Song) 한국인지과학회 2009 인지과학 Vol.20 No.2

        본 연구는 이러닝 체제에서 상호작용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생리적 데이터 가운데서 뇌파를 통하여 학습자의 인지부하 발생을 파악할 수 있는 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뇌파를 통하여 인지부하 발생을 알 수 있게 된다면 실시간 이러닝 체제에서 적절한 피드백 제공에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EEG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뇌파를 측정하면서 인지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발생되는 인지부하도를 측정하였고 인지과부하를 판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뇌파 측정을 위하여 언어 관련 작업기억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듣기회상과제를 제시하였으며, 실험을 통한 과제 정답률 및 뇌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회상과제의 정답률은 회상반응과제에서 1단계는 84.4%, 2단계는 90.6%, 3단계는 62.5%, 4단계는 56.3%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3, 4단계의 경우는 피험자들이 매우 어려움을 겪었던 단계로 인지과부하가 발생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SEF-95% 지표는 1, 2단계에 비해 3, 4단계에서 더욱 높은 값을 보였으며, 이는 피험자들의 인지부하가 3, 4단계에서 높았음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근거이다. 셋째, 감마파의 상대파워는 3, 4단계에서 파워값이 급격히 올라가는 패턴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5개의 채널(F3, F4, C4, F7, F8)을 확인하였다. 5개의 채널은 뇌의 브로카 영역(F7, F8) 주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특히 뇌맵핑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F8(우반구의 브로카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단계별 난이도가 올라갈수록 활성화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넷째, 19채널에 대한 상호 상관 분석을 통해 1, 2단계에 비해 3, 4단계에서 비동기화가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결론은 뇌파를 이용하여 인간이 인지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인지부하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인지과부하를 판별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the possibility of human physiological data, especially brain-wave activity, to detect cognitive overload, a phenomenon that may occur while learner uses an e-learning system. If it is found that cognitive overload to be detectable, providing appropriate feedback to learners may be possible. To illustrate the possibility, while engaging in cognitive activities, cognitive load levels were measured by EEG (electroencephalogram) to seek detection of cognitive overload. The task given to learner was a computerized listening and recall test designed to measure working memory capacity, and the test had four progressively increasing degrees of difficulty. Eight male, right-handed,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4 sets of tests and each test took from 61 seconds to 198 seconds. A correction ratio was then calculated and EEG results analyzed. The correction ratio of listening and recall tests were 84.5%, 90.6%, 62.5% and 56.3% respectively,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data highlighted learner cognitive overload on test level of 3 and 4, the higher level tests. Second, the SEF-95% value was greater on test3 and 4 than on tests 1 and 2 indicating that tests 3 and 4 imposed greater cognitive load on participants. Third, the relative power of EEG gamma wave rapidly increased on the 3rd and 4<SUP>th</SUP> test, and signals from channel F3, F4, C4, F7, and F8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ce. These five channels are surrounding the brain's Broca area, and from a brain mapping analysis it was found that F8, right-half of the brain area, was activated relative to the degree of difficulty. Lastly, cross relation analysis showed greater increasing in synchronization at test3 and 4<SUP>th</SUP> at test1 and 2. From these findings, it is possible to measure brain cognitive load level and cognitive over load via brain activity, which may provide atimely feedback scheme for e-learning systems.

      • KCI등재

        Predictability effects on speech perception in noise (SPIN) in Korean

        Sun-Young Lee(이선영) 한국인지과학회 2016 인지과학 Vol.27 No.1

        본 연구는 한국어의 소음속말인지(Speech perception in noise, SPIN)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영어의 SPIN 테스트와 비슷한 형식을 채택하여 새로운 한국어 SPIN 테스트를 개발하였다. 예측성 효과와 소음효과, 이 둘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기존의 영어에 기반을 둔 연구에서 발견한 것들을 재확인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한국어 SPIN 테스트를 사용하여 14명의 성인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는 이전 연구들이 발견한 사항들을 다시 한 번 입증하였다. 첫째, 참여자들의 대체적인 SPIN 수행능력은 상대적으로 고소음 보다 저소음환경에서 더 나았다. 둘째, 문맥상 비교적 예측하기 쉬운 단어들이 예측하기 어려운 단어들보다 특히 고소음 환경에서 더 정확히 인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자들이 두 가지 종류의 정보, 즉 음성적 정보와 문맥적 정보를 말인지에 적극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소음으로 인해서 말소리의 음성적인 특징이 약해졌을 때 청자들은 말소리를 처리하기 위해서 언어적 문맥정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것들은 영어의 SPIN 테스트에 기반을 둔 기존 연구들에서 발견한 것과 일치한다. 게다가, 표적어의 빈도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한국어의 이 분야에 대한 더 다양하고 활발한 연구가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speech perception in noise (SPIN) in Korean. A new type of Korean SPIN test was developed by adopting a similar format to the English SPIN test. The predictability effects, noise effects and their interactions were examined in order to verify the previous findings based on English. The data from 14 Korean adults collected with this new type of Korean SPIN test confirmed the previous findings: first, the participants’ overall performance was better in low noise conditions than in high noise conditions. Secondly, there was a tendency for highly predictable words to be more accurately perceived than less predictable words especially in high noise conditions.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in such a way that the listeners actively used both types of information: acoustic information and contextual information in speech perception. When the acoustic property of the speech sound was degraded with noise, the listeners took advantage of the linguistic contextual information in their processing of the speech sou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orm to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English SPIN test. In addition, a possible effect of the frequency of target word was also found, calling for further investigation in this field of research in Korean.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IAPS 자극에 대한 한국 대학생의 정서 평가

        박태진(Taejin Park),박선희(Sunhee Park) 한국인지과학회 2009 인지과학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IAPS 자극에 대한 한국인의 정서 반응을 측정하여 평가하는데 있다. 특히 Lang 등(2005)이 제작한 956장의 IAPS 그림자극 전체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여 IAPS 자극에 대한 한국인 정서 반응의 평가 척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IAPS 자극에 대한 한국인의 평가 결과를 Lang 등(2005)이 제시한 미국인의 평가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IAPS 자극에 대한 각성과 정서가 반응 모두에서 한국인과 미국인은 서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세부적인 측면에서 집단 간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는데, 한국인이 미국인에 비해 IAPS 자극에 대해 더 높은 각성 반응과 덜 극단적인 정서반응을 보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결과, 두 나라 모두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은 각성 반응을 보였다는 점은 일치했지만, 정서가 반응에 있어서는 한국 여성은 부정적으로, 미국 여성은 극단적으로 반응했다. 이 연구 결과는 정서 반응에 있어서 문화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IAPS 자극을 활용한 연구에서 이 요인들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We made Korean IAPS through measuri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emotional response(arousal and emotional valence) about the whole 956 IAPS pictures made by Lang et al.(2005).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motional difference between American and Korean by comparing the response of original American IAPS and those of Korean IAP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response of arousal and emotional valence in Korean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ose in American respectively. In details,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as well as similarities. Korean showed higher arousal response than American, but in both groups women showed higher arousal response than men. When examining the emotional valence of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stimuli categorized by American IAPS, Korean showed more modest emotional valence than American, and this group difference was the same in both men and women. In particular, Korean women showed more negative emotional valence than Korean men, but American women showed more extreme emotional valence than American m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some cultural and sex differences in the emotional response, and that researchers have to consider them when studying with IAPS stimuli.

      • KCI등재

        The Development of Postverbal Negation in Korean in a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

        Myungsook Kim(김명숙) 한국인지과학회 2009 인지과학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태어나면서부터 영어와 한국어를 동시에 습득하는 한 한국어린이 (R)의 한국어 후치부정어 발달과정을 살펴보는 것이고, 둘째, 후치부정어의 발달과정과 실제 사용상의 발달적인 측면에서 한국어만 습득하는 어린이들과 비교하여 비슷한 발달 모습과 다른 모습을 분석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R의 한국어 부정어 습득 과정뿐만 아니라 관찰되는 특별한 형태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습득하는 어린이이며, 연구방법은 종단연구를 사용하였으며, 한국어의 후치부정어 발달을 5세에서 7세 사이의 2년에 걸쳐 연구하였다. 전체적으로 R 의 후치부정어의 습득은 습득환경의 영향으로 속도에 차이가 있으며 한국어만 습득하는 어린이와 비슷한 발달모습을 보이지만 다른 발달모습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R이 호주에 살고 있는 동안에는 모국어와 제2언어 학습메커니즘 두 기능 모두를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 그 반면에 한국에 살고 있는 동안에는 모국어 학습메커니즘 만을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모국어와 제2언어 학습메커니즘이 기본적으로는 서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왜냐하면 한 어린이가 서로 다른 두 언어 환경에 따라 발달 과정이 퇴보하였다 진보하였다 하는 특성을 보여 주기 때문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Korean postverbal negation in a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ly to find both common and divergent path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postverbal negation in terms of both syntactic development and pragmatic uses of postverbal negation; and secondly to investigate explanations for the special pattern of development observ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ne bilingual child (R) who is simultaneously acquiring two languages, Korean and English over two years between the ages of 5;00 and 700 (years; months). Th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in four periods in two different environments: Periods Ⅰ and Ⅲ in Australia, Periods Ⅱ and Ⅳ in Korea. The development of postverbal negation showed that when R was in Australia, she employed both L1 and L2 learning mechanisms, while when she was in Korea, she employed L1 learning mechanisms. The results reveal that L1 and L2 mechanisms are not basically different because R shows both forward and backward developmental features in conjunction with the two different language environments: Korea and Australia.

      • KCI등재

        메타 인지적 인식과 미래계획기억 인출 과정 : 자발적 주의 할당 전략의 효과

        윤용식(Yong Sik Yoon),손영우(Young Woo Sohn) 한국인지과학회 2011 인지과학 Vol.22 No.2

        기존의 미래계획기억 연구들은 미래계획기억이 인출되는 두 가지 처리 과정, 주의를 사용하여 미래계획기억을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인출하는 과정과 환경의 외부적 단서에 의해 미래계획기억이 자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인출되는 과정이 존재함을 지지하는 여러 증거들을 제시하였지만, 이런 인출 과정들이 어떤 방식과 조건들로 인하여 나누어지는지에 대한 일관성 있는 증거들은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계획기억의 인출 처리방식이 나누어지는 주요 요인으로 실험 참가자들이 미래 계획기억 수행을 위해 얼마만큼의 인지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지각하게 되는 메타 인지적 인식과 이를 통해 이루어지는 자발적 주의 할당 전략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실험 참가자들이 미래계획기억 과제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는 메타 인지적 인식을 심어주기 위하여 미래계획 기억을 상기시키는 외부 단서의 특성을 조작하였고, 실험 2에서는 과제의 어려움과 과제 수행을 위해 드는 인지적 노력의 정도를 알려주는 사전 정보를 각각 달리 제시하여 실험 참가자들의 메타 인지적 인식을 조작해보았다. 그 결과, 실험 1, 2 모두 실험 참가자에게 유도된 메타 인지적 인식에 따라 미래계획기억의 인출 방식이 달려졌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미래계획기억 수행에 대한 메타 인지적 인식이 미래계획기억의 인출 과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려주고 있으며, 메타 인지적 인식에 의한 주의 할당 전략에 따라 미래계획기억의 성공적인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인출 단서의 특성, 주의자원)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Prospective memory (PM) is memory for activities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such as remembering to purchase a piece of fruit on the way home or remembering to give someone a telephone message. Theoretically, PM retrieval can be accomplished either by controlled monitoring of intended action or by a more automatic process that spontaneously responds to the presence of intended even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eta-cognitive awareness in PM retrieval process. In Experiment 1, we manipulated PM condition with a salient cue to stimulate participants’ meta-cognitive awareness. Results showed the salient cue condition spontaneously triggered remembering to perform an intended action. In Experiment 2, we manipulated participants’ meta-cognitive awareness about PM task difficulty and about the degree to which cognitive capacity is required to realize the PM task. Results showed that PM retrieval process varied with meta-cognitive awareness (i.e., more resources were allocated if the PM task was expected to be difficult). These results imply that participants’ meta-cognitive awareness play an important role in PM retrieval process.

      • KCI등재

        반두뇌중심주의와 기능주의의 딜레마

        신상규(Sangkyu Shin) 한국인지과학회 2011 인지과학 Vol.22 No.2

        본 논문은 심성이나 인지적 과정을 두뇌의 과정으로만 이해하는 신데카르트주의적 두뇌 중심주의에 반하여, 인지에 있어서 신체나 환경의 본질적 역할을 강조하는 ‘체화된 인지’ 연구의 핵심적 주장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그 아래에 포섭될 수 있는 여러 이론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긴장 관계를 다룬다. 특히 체화된 인지에 대한 샤피로의 주장과 확장된 인지에 대한 클락의 주장을 중점적으로 비교하며, 블록이 제기한 기능주의의 딜레마를 통하여 이 두 이론 사이의 긴장을 조명한다. 샤피로의 체화된 인지가 쇼비니즘적 기능주의의 길을 택했다면 클락의 확장된 인지는 자유로운 기능주의의 길로 가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central tenet of ‘embodied cognition’ approaches to the mind which emphasize the essential roles that the body and the environment play in cognitive processes. Those approaches can be best understoo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neo-Cartesian conception of the mind, which views the mental and cognitive processes as the same with, or as being realized by the brain processes. However, we can also observe potential tensions among the ‘embodied cognition’ approaches. This paper highlights a tension between Shapiro’s view of embodied cognition and Clark’s view of extended cognition by reconsidering them against Block’s dilemma of functionalism. Shapiro’s view may be regarded as a chauvinistic form of functionalism, whereas Clark’s view is a very liberal form of functionalism.

      • KCI등재

        경쟁과 비경쟁 상황에서 공감의 신경학적 기제

        황수영(Su-Young Hwang),윤미선(Mi-Sun Yoon) 한국인지과학회 2016 인지과학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fMRI 기법을 이용하여 경쟁 상황 노출 여부에 따라 개인이 타인의 상황을 이해하고 인지적 공감을 유발하는 신경학적 기제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공감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반응을 보이는 심리적 반응이며, 인간의 생존에 있어서 적응적 요소로 알려져 있다. 연구의 목적은 Preston과 de Waal(2002)에 기초하여 거의 자동적인 반응인 공감이 타인을 이겨야 하고 본인의 수행에 따라 보상이 달라지는 경쟁 상황에서도 1) 타인이 처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지, 2) 인지한다면 인지적 공감이 유발되는지를 확인해 보는 것이다. 대학생 21명(남:여=9:12)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6가지 정서가 제시된 그림자극을 보고 ‘나’의 관점에서 유발되는 정서가 긍정정서인지 부정정서인지 평정하는 과제 수행동안 뇌 활성화를 촬영하였다. 경쟁 유무에 따라 공감과정에서 두뇌 활동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실험보조자 1인이 경쟁자 역할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의 정확도와 반응 시간을 기준으로 피험자가 경쟁자(실험보조자)를 이길 경우 보상(돈)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경쟁심을 유발하여 경쟁 조건을 조작하였다. 연구결과, 피험자들의 판단 반응시간은 비경쟁 상황보다 경쟁에 노출되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빠름을 확인하였고, 경쟁 상황에서는 전대상회(ACC, BA 32), 내측전두엽(mPFC, BA 6), 측두두정연합부의 한 부분인 연상회(SMG, BA 40), 시상(thalamus), 중전두엽(middle frontal gyrus, BA 10) 등이 활성화 된 반면, 비경쟁 상황에서는 인접대상회(paracingulate, BA 32), 측두엽극(temporal pole, BA 38), 복내측전전두엽(vmPFC, BA 11), 상후두엽/쐐기소엽(superior occipital gyrus/cuneus, BA 19) 등의 영역에서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또한 경쟁상황에서 개인의 공감 수준에 따라 두뇌 영역과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공감에 대한 자기보고식 반응 점수를 공변량으로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쟁 상황에서는 우측 연상회(rSMG, BA 40), 하전두엽(inferior frontal gyrus, BA 47/45), 내측전두엽(mPFC, BA 10/6), 시상(thalamus), 피각(putamen), 방추형회(fusiform gyrus, BA 20/21)영역과의 상관이 높은 반면, 비경쟁 상황에서는 공감 수준이 높을수록 측두두정연합부/상측두엽(temporoparietal junction/superior temporal gyrus) 영역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경쟁 노출 여부에 따라서 타인에 대한 공감적 인지과정에 서로 다른 두뇌영역이 사용되며, 특히 개인의 공감 수준이 높을수록 경쟁 상황에서도 타인의 상황에 대해 이해하는 인지적 공감과 관련한 두뇌 영역이 높은 상관을 보여 개인차에 따라 경쟁 지각이 다르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fMRI study is aim to investigate effects of competitive environment in cognitive empathic process in human brain. Empathy is known as a crucial factor for human’s adaptive behavior in aspects of social cognition and it is almost automatic process, on the other hand competitive situation is psychologically devastated environment to win someone for getting rewards. We hypnotized that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other person’s mind are a specific characteristic related to survival evolutionarily, however competition would have an effect on the empathic cognitive process because of mechanisms of competition. To manipulate the competitive atmosphere, one researcher took a role of competitor against participants and they were instructed to get monetary rewards when their performance was better than a competitor. 21 participants(9 males and 12 females) performed to judge the emotional valence of the empathic task consisted of illustrated images with various situation could be experienced in real world as on 1<SUP>st</SUP> person perspective in both competitive and non-competitive condition, and did same performance with objects stimulus in control con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ompetition effects on empathic process,, hemodynamic response were obtained during fMRI session and the imaging data were analyzed to identify brain regions where responses to each condition across the two consecutive runs. Participants’ reaction time in competitive condition was faster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n non-competitive one. Activation for competitive condition increased in the following areas: ACC, mPFC, SMG, thalamus extended caudate and Nacc, parahippocampal gyrus, and for non-competitive condition increased paracingulate gyrus, temporal pole, vmPFC, superior occipital gyru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using empathic scores as covariance, the rSMG, IFG, fusiform gyrus, thalamus, putamen were correlated with higher empathic levels, and TPJ were correlated with lower empathic scores. We suggest that these observations could mean competitive environment have an effect on neural base of cognitive empathic proces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