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근대후기 호남지역의 한문학 활동에 관하여 : 목포지역의 경우 In the Mok-Po case
장선희 광주보건대학 2000 論文集 Vol.25 No.-
우리 문학사에서 한문학은 1894년의 갑오개혁을 깃점으로 소멸된 것으로 정리하여 온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누천년에 걸쳐 우리의 문자생활을 주도해 오면서 문학활동을 담당하였던 한문학이 어느 한 시기를 깃점으로 하여 갑자기 사라진다는 것은 이론상으로는 가능하겠지만 실제적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의 근대기에 이루어졌던 한문학의 활동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이를 주제로 하여 ?한국 근대의 한시연구?라는 학위논문을 1997년에 발표하였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우리나라 근대의 시기 설정을 1860년대부터 1945년까지로 잡고 1910년을 깃점으로 하여 다시 근대 전기와 근대 후기로 나누어 근대 전기를 우국자각기로, 근대 후기를 민족저항기로 시대규정을 하여 각 시기의 한문학 활동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학위논문의 후속작업으로 근대 후기 목포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시사활동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먼저 한문학이 종언을 고하고 근대 국문문학으로 대체되었다고 보고 있는 1920년대에 목포에서는 유산시사라고 하는 한시음영단체가 결성되어 이 지역의 한문학 활동을 이끌어 나갔음을 알 수 있었다. 유산시사의 회원으로 참여한 회원들은 목포와 진도 등의 인근의 지역에서 사회적 신분과 지도력을 갖춘 사람들의 대부분으로 유산시사가 당시 목포 지역에 끼친 문화적 영향력은 대단하였다. 한문학 분야뿐만 아니라 서화 등의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까지 시사의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근대 목포의 문화운동을 이끌어 나갔다. 다음, 1939년에 목포지역에는 보인시사라고 하는 또 하나의 시사가 결성을 보는데 이는 그만큼 이 시기에 한문학 활동이 왕성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같은 지역을 무대로 활동하던 두 시사는 현대문학이 본궤도에 올랐던 1961년에 이르러 목포시사로 통합하여 재결성하면서 범위를 한시분야뿐만 아니라 현대시 분야까지 포함하는 등 현대의 국문학의 전개에 부응하는 모습으로의 변신을 시도하였다. 쇠락한 모습이기는 하지만 목포시사는 유산시사의 결성으로부터 100년이 지난 지금에 이르기까지 실제로 활동하고 있는데 이는 비단 목포지역의 경우만이 아니라 다른 지역의 경우에도 이러한 한문학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어 한문학을 과거의 문학으로가 아니라 시조와 마찬가지로 현대 국문학의 한 모습으로 정리 고찰되어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논리를 위하여서 각 지역의 한문학 활동의 실상이 더 조사 연구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교사 수업전문성 계발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조직문화 요인 분석
장선희,추지윤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1
학생들의 학업 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은 교육에서의 중요한 관심사였다. 이러한 교육적 성과를 내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그중에서도 교사의 전문성은 교 육적 성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교사의 전문성이 보고되고 있으며, 교사의 전문성을 계발하기 위한 노력들이 요구되고 있다(정제영?이희숙?김수지, 2014). 특히 교사의 전문 성을 잘 보여주는 영역은 교사의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학생을 가르치는 것은 교사의 중 요한 업무이면서 교사에게 전문적인 자기 이해를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손승남, 2005). 즉, 교사의 수업전문성은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 중 가장 핵심적인 부분 이라고 할 수 있다(김찬종, 2009; 손승남, 2005).
기타계 예술계열 고등학교 기악 전공생의 전공악기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에 관한 연구
장선희,조영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1999 교과교육학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기악 전공생들의 전공악기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을 조사 연구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기타계 예술고등학교 4개교, 2학년 학생 497명을 대상으로 악기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악기 및 음악에 관계되는 직업의 성별연합, 악기 음색 선호도, 자아상 및 환경적인 요소들을 실문 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성 역할 기대의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우리 나라의 사회적 특성에 비추어 볼 때, 전공악기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연합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은 흥미로운 것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전공 악기 선택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람은 부모, 본인 그리고 선생님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경우에는 여학생과 달리 본인의 결정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가 전공악기를 권유한 이유로는 ‘그 악기에 대한 소질’을 가장 우선 순위로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음악대학 진학을 위하여’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 본인의 선택이유로서는 ‘악기의 음색’을 최우선으로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부모님의 권유’, ‘유명연주가의 연주모습이 매력적이어서’ 순으로 나타나고 있고, 성역활 고정관법에 의한 악기의 성별연합의 요인은 낮은 순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남학생의 경우에는 여학생에 비해 성별연합의 영향이 낮은 순위이긴 하지만 상대적으로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공악기를 연주하는 본인의 연주 모습의 성별 연합은 여학생의 경우에는 중성적인 반면, 남학생의 경우 남성적인 경향을 나타냄으로써 성역활 고정관념에 의한 성별 연합이 남학생에게 뚜렷이 나타난다는 <참고문헌참조 actuate="onRequest" inline="true" rid="ref1" show="replace" xml:link="simple">Abeles와 Porter(1978)</참고문헌참조>의 연구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보여지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역활 고정 관념 영향의 정도 차이가 나타나기는 하나 두드러지지 않는 이유는, 본 연구의 대상의 특수성 즉, 기타계 예술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학생의 수가 여학생에 비해 절대적으로 소수인 점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남녀 비율이 균등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를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Studies suggest that the preference of musical instruments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imbre and appearance of the musical instrument, self-image, and gender stereotyping association. In particular, gender association was a prominent factor in instrument preference and activ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musical instrument for the major field of study among music instrument student in the high schools of the arts. Gender stereotyping relating to musical activities is also examined. Four hundred ninety seven high school music instrument majors from four different arts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using the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package at Ewha Womans University Statistics laborator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parents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majority of high school music students in the selection of instrument for their major field, followed by the students own decision. The timbre of the particular instrument is a major consideration in making a decision. It also found that gender association with the instrument is not the important factor in the preference of instrument for their major field. However, the study shows that gender association is rather related to their self image as a performer. It also reveals that gender stereotyping displays a weak, but slightly stronger relation to the male students choice of instrument than to the female.
비소세포폐암종에서 c-kit와 세포주기 조절인자의 발현
장선희,주미,김한성 대한병리학회 2006 Journal of Pathology and Translational Medicine Vol.40 No.6
The abnormal expression of c-kit is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a variety of solid tumors. The Rb pathway and p53 act as cell cycle regula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xpression of c-kit, Rb, p53, p16 and cyclin D1 and their relationship to clinical and pathological parameters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rcinomas (NSCLCs). Methods : Tissue microarrays consisting of 2 mm cores from the corresponding blocks were constructed from 54 NSCLC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c-kit, Rb, p53, p16 and cyclin D1 was performed. C-kit immunostaining was considered positive if ≥≥10% of tumor cells were immunoreactive along the membrane and/or in cytoplasm. For Rb, p53, p16 and cyclin D1, tumor cells showing a nuclear staining pattern were interpreted as positive. Results : We found that c-kit was expressed in 13 (24%) cases, Rb was lost in 39 (72%) cases, p53 was expressed in 28 (52%) cases, p16 was lost in 42 (78%) cases and cyclin D1 was expressed in 33 (61%) cases. The c-kit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denocarcinoma (39%) than in squamous cell carcinoma (8%). We did not find any correlation between c-kit, Rb, p53, p16 and cyclin D1 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such as: age, tumor size, lymph node involvement, disease stage and distant metastasis. There wa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p53 expression and Rb los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kit may be a useful therapeutic target for patients with c-kit positive tumors, and that the disruption of Rb and p53 pathway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NSCLCs.
장선희,오미선,백향임,하기찬,이정용,장용석 대한면역학회 2018 Immune Network Vol.18 No.5
Silk peptide, the hydrolysate of silk protein derived from cocoons, has been employed as a biomedical material and is believed to be safe for human use. Silk peptide display various bioactivi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immune-regulatory, anti-tumor, anti-viral, and anti-bacterial. Although earlier investigations demonstrated that silk peptide stimulates macrophages and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ts effect on natural killer (NK) cell function has not yet been explored. In this study, we initially confirmed that silk peptide enhances NK cell activity in vitro and ex vivo. To assess the modulatory activity of silk peptide on NK cells, mice were fed various amounts of a silk peptide-supplemented diet for 2 months and the effects on immune stimulation, including NK cell activation, were evaluated. Oral administration of silk peptide significantly enhanced the proliferation of mitogen- or IL-2-stimulated splenocytes. In addition, oral silk peptide treatment enhanced the frequency and degree of maturation of NK cells in splenocytes. The same treatment also significantly enhanced the target cell cytolytic activity of NK cells, which was determined by cell surface CD107a expression and intracellular interferon-γ expression. Finally, oral administration of silk peptide stimulated T helper 1-type cytokine expression from splenic lymphocytes. Collectively, our results suggest that silk peptide potentiates NK cell activity in vivo and could be used as a compound for immune-modulating anti-tumor treatment.
장선희,최희정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4 교과교육학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중등 음악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총 8개교의 교과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음악 교사 교육 현황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 인적 자원부의 「교원 양성 기관 현황」 과 음악교육과가 개설된 사범대학들의 2003학년도 요람에 근거하여 중등 음악 교사 양성 기관의 현황과 교육 과정의 편제 및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육 과정 편제에 따른 이수학점의 편성 현황을 살펴보고, 「교직 교육 과정의 과목과 이수학점」및 「기본이수과목」규정의 운영과 전공 개설 교과목의 과목 수 및 학점 수를 분석함으로써 중등 음악 교사 양성 교육 과정의 내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 과정 편제는 교양, 교직, 전공 교육 과정으로 구성되어있고, 이수학점은 대학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교양과 전공 교육 과정의 대학별 이수학점의 차이는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의 내용은 교육 인적 자원부에서 고시한 「교직 교육 과정의 과목과 이수학점」의 규정을 대부분 이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본이수과목」의 규정은 지켜지지 않았으며, 전공 교육 과정의 대부분은 교과 내용학 과목으로 구성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교과 교육학 과목의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과 내용학의 개설 교과목 수 및 학점 수는 전통음악 영역의 교과목이 서양음악 영역의 교과목에 비하여 매우 적었으며, 교과 교육학의 경우는 음악 교육학 영역, 서양음악, 그리고 전통음악 영역순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이 교과 내용학 과목에 편중되어있고, 또한 일반음악대학의 음악관련 과목과 차별화되지 못한 채, 교사 양성기관으로서의 특수성과 독자성을 확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범대학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은 음악교과에서 요구되는 음악교사의 자질 함양을 구체적 교육목표로 제시하고, 음악교육교과의 각 영역에 따른 교과교육학 과목의 비중의 확대와 교육실습과정의 보완을 통하여 음악교사의 실질적 능력과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교사교육 교육과정으로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study examines the curricula for secondary music education in eight colleges of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The Status Quo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re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he 2003 Yearbooks of the eight colleges. More particularly, it seeks to ascertain the type of institutions that have music teacher education as well as to analyze the curricula of these programs. The curricula examined on whether they have the three areas of study, viz. (i) liberal arts;(ii) the major subject of study and (iii) music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and balance among these three areas. The study found that 8 colleges of education, 39 colleges of music, 1 college and 50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conduct music education programs. It was also found that the objectives of these programs were not specific enough to allow for the goals of music education to be achieved.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the curricula consisted of the three areas listed above in all the eight colleges. However, the major subject of study took the largest portion of the curriculum in each of the colleges. The imbalance was most evident in the colleges of education. The curriculum in music teacher education in the colleges tended to concentrate on regular music courses. In the music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there was inadequate emphasis on traditional Korean music.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music education curriculum was similar in the colleges of education and colleges of music. As a result, the objectives of music teacher education were not achieved. It is desirable to give more emphasis to music education, teaching courses and teaching practicum in the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