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염원이 된 女性과 共同體의 면역반응 –심훈의 小說들을 중심으로–

        황지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2

        This paper will pay attention to the community that is metaphor of the body and the characters that is metaphor of the infection, in Shim Hoon’s novel. Shim Hoon felt he had to actively embrace hitters from outside to create a healthy community. To shed light on this, the paper will refer to the theory of Italian political philosopher Roberto Esposito, who thinked together “community” and “immune” around “mutualism.” Shim Hoon explored the possibility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Korean people in rural areas, not in cities the center of modern civilization. In the process, the Japanese and Korean men who studied in Japan have been unable to leave the city, the cause of the disease, as they are likened to uncontrollable epidemics. On the other hand, Korean women, who had indirectly embraced modernity, are moving to rural areas and positively transforming the community. This shows that the rural community, which welcomes women from outside and is becoming healthy by them, is a true healing model of “ailing modernity.” In his final work “Sangnoksu” Shim Hoon emphasizes that a healthy community can be created only when there is an interaction between a community that shows a “weak immune response” to good batters and external hitters. 황지영, 2020, 감염원이 된 여성과 공동체의 면역반응, 어문연구, 186 : 137~160 본고는 심훈 소설 속에서 신체로 은유화되는 공동체와 감염원으로 은유화되는 인물들에게 주목하여, 심훈의 세계관 속에 건강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온 타자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생각이 있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상호 호혜성’을 중심으로 ‘공동체(community)’와 ‘면역(immunity)’을 함께 사유한 이탈리아의 정치철학자 로베르토 에스포지토(Roberto Esposito)의 이론을 참조할 것이다. 심훈은 근대 문명의 중심지인 도시가 아니라 농촌 공동체에서 우리 민족의 재건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근대를 일본에서 직접적으로 수용한 일본인이나 유학 경험이 있는 조선인 남성들은 통제 불가능한 감염원으로 은유화되고 병인으로서의 도시를 떠나지 못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반면에 근대를 간접적으로 수용하여 통제 가능한 감염원으로 은유화되는 조선인 여성들은 농촌으로 이주하여 공동체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재현된다. 이것은 외부에서 온 여성들을 환대하고, 다시 그 여성들로 인해 견고해지는 농촌 공동체야말로 ‘병든 근대’에 대한 진정한 치유모델이라는 사실을 제시한다. 심훈은 마지막 작품인 상록수에서 건강한 공동체는 영신처럼 선의를 지닌 타자와 청석골처럼 외부의 타자에 대해 ‘약한 면역반응’을 보이는 공동체의 상호작용이 있어야만 생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화장품 산업동향에 따른 패키지 디자인의 특성 연구

        황지영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1

        세계 화장품시장 규모는 2001년 이후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경제위기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화장품산업은 경기침체의 영향이 적은 산업이며, 특히 투자 대비 고 부가 가치의 창출이 가능한 산업분야로 나타나고 있다. 화장품업계에 사업의 다각화와 유통의 신 경로를 개척하는 가운데 가장 특징적인 변화는 브랜드샵의 등장이라 할 수 있다. 10년도 못 미치는 단기간에 2조원 시장으로 우뚝 선 브랜드숍은 화장품 유통의 선진화를 빠르게 주도했으며, 주도권 기업들의 능동적인 성장 전략과 후발기업들의 도전이 치열한 경쟁 관계를 형성하면서 지속적인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소비자는 시각적 경험을 통해 제품과 브랜드를 이해한다. 시각적 디자인의 조형요소에서 패키지 디자인은 모든 제품이나 상품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는 상징적 조형요소로서 소비자로 하여금 언어적, 비언어적 기호를 통한 자극을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화장품 산업 동향, 화장품 시장의 전망에 대한 이론적 고찰, 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국내 중·저가 화장품 브랜드 중 상위 10위의 브랜드와 수입 명품 화장품 브랜드 중 상위 5위의 브랜드 제품을 비교 분석 해 봄으로써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효율적인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브랜드를 활용한 마케팅을 통하여 패키지와 브랜드가 접목되는 것은 오늘날 문화적 추세로 보아 필연적이라 할 수 있으며 패키지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향상시키고 브랜드의 이미지를 높이는 등의 긍정적 기능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업의 정확한 브랜드 로고와 컨셉, 컬러이미지는 단순한 브랜드 홍보를 위한 요소가 아닌 브랜드 차별화를 구사할 수 있는 강력한 마케팅 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브랜드 아이덴터티를 통해 꾸준한 매출 증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size of the World's Cosmetics Market is growing steadily since 2001. The Brand shops which stood out as a 2 trillion Korean won market within such a short period of less then 10 years, have rapidly lead advancement of Cosmetics distribution and expecting continuous expansion in the market while forming hard competition between the active growth strategy of initiative enterprises and the challenge of newcomers. In today's society, consumers understand the goods and brands through visual experience. Packaging design is a symbolic formative element which cannot but be presented on all products or goods inevitably, having function of communication that the consumers deliver stimulation through verbal and non-verbal sig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domestic and overseas Cosmetics Industry, theoretical view of forecast on Cosmetics market and the Communication of Brand and Packaging Design. As well, is aimed to research effective plan for Cosmetics Packaging Design through selecting top 10 brands among low and middle priced domestic Cosmetics Brands and top 5 brands among luxury imported Cosmetics Brands. This thesis shows the brands can be said to be inevitable considering today's cultural tendency, playing a positive role such as improvement of package's communication function and raising of brand image, etc. Precise brand logo of enterprise, its concept, and color image can be strong marketing tools to enhance brand differentiation, so that consistent Brand Identity seems to be effective for steady sales increase.

      • KCI등재

        서울시 도시외교 질서 연구 동향 분석: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황지영,박상수,김철원 한국질서경제학회 2019 질서경제저널 Vol.22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search domain of public diplomacy along with its city diplomacy paradigm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Korea. In this study, keywords 'internationalization', 'globalization', 'public diplomacy', and 'city diplomacy' were selected in economics, trade, public administration, and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area by Google Scholar. A total of 807 papers from 1988 to 2017 were analyzed by KrKwic program, and Ucinet 6.660 was used to visualize the results. Research trends were divided into five major periods. Results showed that the keywords such as 'globalization', 'internationalization', 'research', 'Korea' have the high betweenness centrality through the periods. From 1998 to 2001, the research trends were mainly focused on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domestic and foreign city diplomacy Policy. From 2002 to 2005, the research trends were mainly focused on knowledge-based and identity-based city diplomacy. From 2006 to 2010, the research trends showed that soft power was the critical factor of city diplomacy. From 2011 to 2015, the research trends were mainly focused on the non-governmental(people-to-people) diplomacy. From 2016 to 2017, the research trends showed that the image and the brand of the city were crucial for city diplomacy. Thus, the city diplomacy research has gradually expanded its areas and topics; research on the foundation of city diplomacy, the identity of city diplomacy, city diplomacy as soft power, research method. Nevertheless, the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new research subject based on the preexisting research subjects in terms of pursuing diversity and depth of city diplomatic order research topics. This study explored the past and present of the city diplomacy research trends and discussed the potential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opics.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외교 질서 (패러다임)변화를 기준으로 각 시기별 도시외교 관련 연구의 흐름과 특성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1998년부터 2017년까지 도시외교 질서와 관련한 논문 총 807편을 수집하였고, 논문의 제목을 이용하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시외교 질서 변화를 시기별로 연구경향을 분석하고 각 시기별 질서와 연구주제의 연관성, 특징 등을 파악하였다. KrKwic을 사용하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시각화하기 위해서 Ucinet과 Netdraw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서울시 도시외교 변화에 따른 4가지 발전 단계 기간과 그 이후 기간을 포함한 총 5 단계의 기간 동안의 연구 경향 및 특징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났으며, 도시외교 연구가 도시외교 질서 변화와 함께 그 연구영역이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도시외교의 연구 흐름을 파악하고 새로운 학문적 관점과 방법론을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향후 연구 주제와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용융전기방사를 이용한 PLA/TiO<sub>2</sub> 나노섬유의 개발

        황지영,김희진,박노형,허훈,박춘근,윤종원,Hwang, Ji-Young,Kim, Hui-Jin,Park, No-Hyung,Huh, Hoon,Park, Choon-Keun,Yoon, Jong-Won 한국결정성장학회 2011 韓國結晶成長學會誌 Vol.21 No.3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웹은 높은 비표면적 및 다공성으로 약물전달시스템에 적용하고자 널리 연구 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적합성을 가진 생분해성 고분자 Poly(lactic acid)(PLA)와 생체안정성을 가지는 재료인 $TiO_2$를 이용하여 복합소재를 제작하였다. 인체에 유해한 용매인 chloroform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복합화를 위하여 용융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나노섬유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PLA/$TiO_2$ web을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와 field 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FE-TEM)을 이용하여 섬유의 모양을 확인하였고, X-ray diffractometer(XRD)판 이용하여 PLA/$TiO_2$ web의 결정구조를 분석하였다. Electrospun webs have been widely investigated for applying to drug delivery system (DDS) because of their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high porosity. In this study, the composite webs of PLA (poly(lactic acid)) and $TiO_2$ were fabricated by melt-electro-spinning method for applying to drug delivery system. The morphologies of PLA/$TiO_2$, webs were observ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field 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FE-TEM). The crystal structures of PLA/$TiO_2$ composite webs were confirmed by X-ray diffractometer (XRD).

      • KCI등재

        재난 유토피아와 증언-하기의 윤리 - 2020년대 SF(Science Fiction)에 나타난 ‘기후/생태 재난’을 중심으로 -

        황지영 이화어문학회 2022 이화어문논집 Vol.58 No.-

        In this paper, recent novels featuring climate and ecological disasters are analyzed and the nature of the ‘disaster utopia’ created in the ruins is considered. In addition, members of the disaster utopia will review ‘testimony-making’ as an ethical attitude toward the ruined climate and ecosystem. In recent novels, climate and ecological disasters are reproduced as both a description of the reality currently underway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a catastrophe for the future to come. And in this world, when human sustainable life is in question due to climate and ecological disasters, a dome city is built to protect only selected people. People in the dome who are guaranteed survival and people outside the dome who are driven to death conspire to protect the dome. However, a small number of people who have experienced disaster utopia outside the dome try to end the hostile coexistence by tearing down the dome that promotes discrimination and disgust. They hope everyone faces this problem with equality in the face of disaster. When the age of disaster arrives, many values used in the previous era change. Among them, what stands out in the novels is the fact that the reciprocity of the gift form is transformed into an exchange method. People who are guaranteed a minimum life through exchange practice actions to end disasters. And disasters are talked about in various ways such as diary, report, lecture, and oral retelling. And later, when someone investigating a disaster appears, this story is completed as the testimony of an era. As such, the disaster testimony in the novels show that humans faced with mass extinction did not give up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in the midst of shame, misery and despair, and struggled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nd ethics not only for the present human race but also for future generations. 본고에서는 기후/생태 재난이 등장하는 2020년대 SF(Science Fiction)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폐허 속에서 만들어지는 ‘재난 유토피아’의 성격을 고찰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 재난 유토피아의 구성원들이 망가진 기후와 생태계를 대면하면서 선택한 윤리적 태도로서의 ‘증언-하기’를 검토할 것이다. 2020년대에 발표된 SF들 속에서 기후/생태 재난은 세계의 각국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현실에 대한 묘사인 동시에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대한 파국적인 예시(豫示)로서 재현된다. 그리고 이 세계 속에서는 기후/생태재난으로인해인간의지속가능한삶이의문에부쳐지자, 선별된사람들만을 보호하기 위한 돔시티가 건설된다. 생존을 보장받은 돔 안의 사람들뿐 아니라 죽음으로 내몰린 돔 밖의 사람들 역시 돔을 지키기 위해공모한다. 하지만 돔 밖에서 재난 유토피아를 경험한 소수의 사람들은 차별과 혐오를 조장하는 돔을 허물어 적대적 공존 상태를 마감하고, 재난 앞에서 모두가 평등한 상태로 이 문제와 직면하길 바란다. 기후/생태 재난의 시대가 도래하면 이전 시대에 통용되던 많은 가치가 변화하는데, 그중 소설들 속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증여 형식의 호혜가 교환 방식으로 변형되는 것이다. 교환을 통해 최소한의 삶을 보장받은 사람들은 재난을 끝내기 위한 행위를 실천하고, 일기・보고서・강연・구술 등 재난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이야기한다. 그리고 훗날 재난의 비밀을 경청하려는 누군가가 나타나면 이 이야기는 한 시대의 증언으로서 완성된다. 이처럼 기후/생태 재난을 다루는 소설 속에서 재난 증언-하기는 대멸종 앞에 선 인간들이 자괴와 수치, 비참과 절망 속에서도 연대의 가능성을 포기하지 않으며, 현 인류뿐 아니라 미래 세대에 대한 책임과 윤리를 다하기 위해 분투했음을 보여주기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