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동진,김정식 한국인사관리학회 2010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0 No.2
지식정보화 시대에 조직은 외부환경의 불확실성에 반하여 조직자산의 안정성을 위협할지도 모르는 구성원들에 대한 감시와 통제의 필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조직내 근로자들은 그들 자신의 정보 프라이버시(information privacy) 침해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고 볼 수 있다. 물론 조직의 입장에서는 이와 같이 조직과 개인 간 갈등관계를 보여주고 있는 연구들에서 조직에 의한 구성원들의 엄격한 통제는 개인차원에서의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를 약화시킬 수 있으며 조직에게 혜택을 안겨다 주는 종업원들의 재량적 행위를 제약할지 모른다고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의 자유와 프라이버시가 강조되고 있는 서구권 상황에서 검정되고 제시되고 있는 조직 내 정보 프라이버시 척도를 국내 상황에서 타당화한 이동진·김정식(2010)에서의 측정모형을 이용하여 조직 내 구성원들이 느끼고 있는 내재적 동기와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고찰하며, 따라서 정보 프라이버시 척도의 법칙론적 타당도(nomological validity)를 검정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조직 내 정보 프라이버시와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선행연구에서의 이론적 틀과 분석결과에 준거할 때 이동진.김정식(2010)의 척도의 타당도를 지지하고 있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정보를 둘러싼 조직의 효율성과 종업원들의 절차적 공정성 지각 간에 문제제기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던 가운데 집단주의 정서가 강했던 기존의 한국적 상황이 이미 개인화 성향으로 되어 가는 추세로 접어듦에 따라 조직 내 정보프라이버시에 관한 실증 연구의 필요성을 점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검정되고 있는 조직 내 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간 관계를 토대로 실무적 차원에서 가장 관심이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조직 내 정보 프라이버시의 결과변수(organizational outcome)와의 관계를 검정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동진,이영면 한국인사조직학회 2010 인사조직연구 Vol.18 No.2
The world is shifting from the industrial society to the knowledge society, where people pay attention to organizations with intangible assets. In order to explicate the management systems of organizations based on intangible assets, this paper find empirically a theoretical structure of knowledge intensiveness, which knowledge intensity scales of works in organizations.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s claim to produce qualified products and/or services, and even generate new and unique knowledge. Organizations as diverse as law and accounting firms, management consultancy companies, engineering consultancy companies, advertising agencies, research and development units, pharmaceuticals, and high tech companies as typical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s. But the notion of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s and related concepts such as knowledge intensive work is, of course, not unproblematic. Since all organizations and work involve knowledge, what qualifies as a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s or non-(or less)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 and non-knowledge intensive work, is rarely self evident. We regard knowledge based organizations as units performing knowledge intensive work, and then refer to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intensive work are as follows. First, works of knowledge based organization are required on the expertise. Second, the core part of works are performed by experts having expertise. Last, as expertises are consisted of formalized and informal knowledge, knowledge works are required on dialogues, consensuses, persuasions and negotiations based on human and social relationship. Thus, works in knowledge based organizations are going on through manipulating and orchestrating of individual thoughts and languages, and these works are referred to knowledge intensive work. Using these conceptual definition, we refer to the knowledge intensity of work as essential characteristics to works it self and work performing are needed on expertises, and then classify components of knowledge intensiveness of work to knowledge ambiguity required on work, client connectivity and collaboration of work, and results ambiguity of work, which order follows 'input→throughput→output' of knowledge intensive work. This classification of concepts in knowledge intensive work are focused on level of work units, thus in order to fit between level of theory, level of measurement, and level of analysis, we measure knowledge intensiveness of works based on performers, and go to the statistical analysis at work level.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empirically not supported to concept based model, which ar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mponents of knowledge intensiveness in frame of 'input→through→output' paradigm. Rather, empirically supported that the best fitting structural model and the second best one have each exogenous(predictor) variables, which one is work collaboration and the other is client connectivity, these are throughput in knowledge intensive work. Of course, endogenous(criteria) variables are knowledge ambiguity and results ambiguity of work, which orderly input and output of knowledge intensive work. Throughput of knowledge intensive work were stronger factors than input, output components from the Lee(2008)'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cond, in path analysis results, regressional relationship between result and knowledge ambiguity is weak relatively to others. This may reveal that how a strong culture based on an acceptance of ambiguity(e.g., in roles, power relations, organizational routines and practices etc.) promote(moderate) development of relationship between result and knowledge ambiguity of work, which insisted by Kӓrreman et al.(2004), Robertson et al.(2003) and Willmott(1993). Last, exogenous variable of the best fitting model is work collaboration in multi-industry, but in contrast exogenous one is client connectivity in just professional service sectors.... 지식사회의 형성과정에서 전문지식서비스산업이 급속하게 확대됨에 따라 무형자산을 강조하는 지식기반조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그러나 지식기반조직은 대량생산체계를 갖춘 전통적 산업조직과 상호배타적 산업에 속하는 전통적 전문인력조직과 혼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조직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우선 산업범주를 초월하여 지식기반조직 여부를 판가름하는 조직 내 작업의 지식집중성에 대한 척도로서 지식집중도에 대한 개발과 탐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그에 대한 이론구조를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진(2008, 2009a)에서 작업의 지식집중성을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인식하는 개인속성으로 개념화하고, 측정 및 분석한 요인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분석결과, 첫째, 지식집중도 구성요인의 구조적 관계는 지식작업의 '투입→과정→결과요소' 순으로 연역적으로 추론하였으나 실증적으로는 과정요소에 해당되는 협력성과 고객연계성을 예측(외생)변수로 하는 구조모형이 가장 양호한 모형적합도를 보였다. 둘째, 결과모호성과 지식모호성 간 인과관계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고는 있으나 영향력이 다른 구성요인들 사이의 관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미미하였다. 이 결과들은, 첫째, 지식집중작업에서는 과정요소의 지식집중성이 결과 및 투입요소를 예측하는 본질적 요인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작업자들이 모호성에 대해 느끼는 불편함으로 인해 결과모호성과 지식모호성 간 인과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본다면, 지식집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수준에서의 태도와 조직수준에서의 문화, 구조 그리고 HR체계가 지식집중도 구성요인 사이의 인과관계에 각각 예측변수효과와 상황효과를 미칠 것으로 추론된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지식집중도 구성요인 중 협력성과 고객연계성에 초점을 둔 보다 간명한 지식집중성 척도 개발과 함께, 개인수준의 지식집중도와 태도변수, 그리고 조직수준의 구조, 문화 그리고 HR체계 특성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여러 수준으로 이루어진 지식기반조직에 대한 체계적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인적자원체계 특성이 지식집중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분석
이동진(Dong-Jin Lee) 한국인사관리학회 2011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5 No.4
As the industrial society moves to the post industrial society, and then to the knowledge society, people pay attention to organizations with intangible assets. Therefore, in order to explicate a management system of organizations based on intangible assets, we pursue to HR system of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s, which is measured by empirically developed knowledge intensiveness of work in organizations.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LM analysis shows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mean of knowledge intensiveness, and in the slopes of collaboration of work across organizations when regressed on gender, age, education and career in each organization. Second, the next step in the HLM analysis shows that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system characteristics on the levels of work collaboration was stronger in organizations with flexible work system, organic compensation system and activity based development sytem. These results imply, firs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work collaboration in knowledge intensive work, in order to more parsimonious scale of knowledge intensity. Second, it must be supported by compensation strategy based Burns & Stalker(1961)’s organic theory, and organic compensation system must be supported by culture, HRM systems included on employee selection system, career development, and so on, in order to elevate knowledge intensiveness in organization. Therefore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multi-level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intensiveness, employee attitudes at individual focus and HR systems at organizational focus. 산업사회에서 지식중심사회로 바뀜에 따라 지식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증대되고, 이와 동시에 조직과 작업수행에서도 지식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지식기반조직에 대한 관심도 본격화되었다. 본 연구는 작업자가 인식하는 작업의 지식집중성의 측정모형인 지식집중도(perceived knowledge intensiveness)와 지식기반조직의 HR체계에서 작업체계, 보상체계 그리고 개발체계 특성에 관해 검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조직내 작업의 지식집중도 구성요인 중 이동진(2008, 2009), 이동진ㆍ이영면(2010)에서 강한 요인으로, 또는 외생변수(예측 변수)로 검정되고 있는 작업협동성이 유연한 작업체계, 유기적 보상체계 그리고 활동중심 개발체계 특성을 갖는 조직일수록 그렇지 않은 조직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선행연구들에서 주장되고 있는 지식기반조직의 HR체계 특성이 본 연구의 표본을 토대로 실증적으로 발견됨으로써 지식집중도의 법칙론적 타당도 (nomological validity) 검정의 의의를 가지며, 따라서 지식집중도에 대한 타당도가 더 한 층확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검토된 지식기반조직의 HR체계 특성에 준거할 때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지식기반조직의 경영체계는 구조적 상황이론가 Burns & Stalker(1961)가 제시하고 있는 유기적 조직이론(organic model)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해주고 있다. 따라서 향후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실증결과와 연계하여 보다 간명한 지식집중도 개발과 함께, 본 연구에서 고려되고 있지 않은 지식기반조직의 문화 및 구성원 태도를 고려하는 선발, 유기적 상호작용과 협동에 기초하는 충원, 경력개발, 인사고과 등이 포함되는 HR체계 특성과 지식집중도에 관해 다층분석함으로써 지식기반조직의 경영체계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심도 있고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바이오가스 이용최적화를 위한 수분함량 가이드라인 설정연구
이동진,문희성,배지수,전태완,이영기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5
유기성폐자원의 바이오가스화는 혐기소화를 통한 메탄가스(CH4)를 생산하는 시설로 현 상황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15년도 기준 전국 61 개소의 하수처리장에서 하수슬러지 소화시설을 운영 중에 있다. 생산된 바이오가스는 스팀보일러를 가동하거나 발전기를 가동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최초 혐기소화조에서 생산된 바이오가스는 유입된 폐기물에 따라 메탄함량 약 55~70%이며, 황화수소(H2S) 2,500~5,000ppm, 상대습도 약 90%를 나타난다. 바이오가스를 전처리 없이 바로 사용하게 되면 황화수소가 수분과 결합하여 황산을 생산하게 된다. 황산은 기계적 마찰이 많은 발전기 내부를 마모시키고 부식시키는 원인이 되고, 배관의 부식을 유발한다. 우리나라는 급격하게 바이오가스화 시설이 추진되면서 많은 시행착오로 인한 고장과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보여 왔다. 전국 11개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각 공정 별 가스상의 수분을 측정하였고, 해외기과 발전기 운전적정 수분값을 구하여 바이오가스 이용을 위한 수분함량 가이드라인 설정을 하고자 한다. 국내 소화조 후단 바이오가스 수분측정 결과 음식물/음폐수의 경우 노점온도 26.8 ℃, 절대습도 25.7 g/m3, 상대습도 82.9%로 측정되었고, 가축분뇨는 노점온도 28.7 ℃, 절대습도 28.0 g/m3, 상대습도 82.7%이고, 하수슬러지의 경우 노점온도 24.8 ℃, 절대습도 22.6 g/m3, 상대습도 77.2%로 측정되었다. 또한 제습설비가 운영되고 유지가 잘된 시설의 경우 절대습도 25.5 g/m3에서 12.0 g/m3으로 약 51.1% 감소되었고, 상대습도도 77.2%에서 34.9%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제습설비가 미흡한 시설에서는 역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따라서 국내 바이오가스화 시설에서는 제습처리가 적정수준으로 처리할 경우 노점온도 약 14 ℃를 만족하며, 절대습도 15.4 g/m3과 평균 가스온도인 31 ℃ 기준 상대습도 48%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Protecting and Utilizing Health and Medical Big Data: Policy Perspectives from Korea
이동진,박미정,고학수 대한의료정보학회 2019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25 No.4
We analyzed Korea’s data privacy regime in the context of protecting and utilizing health and medical big data and trie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analyses. Methods: We conducted comparative analyses of the legal and regulatory environments governing health and medical big data with a view to drawing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The legal and regulatory regimes considered include the following: the European Union, the United Kingdom, Franc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e reviewed relevant statutory materials as well as various non-statutory materials and guidelines issued by public authorities. Where available, we also examined policy measures implemented by government agencies. Resul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various jurisdictions deal with legal and regulatory issues that may arise from the use of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with regard to the protection of data subjects’ rights and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e compared and analyzed various forms of legislation in various jurisdictions and also considered technical methods, such as de-identification. The main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there is a need to streaml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data privacy regime and the regulatory regime governing health and medical big data; the regulatory and institutional structure for data governance should be more clearly delineated; and regulation should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suitable methodologies for the de-identification of data and, in doing so, a principle-based and risk-based approach should be taken. Conclusions: Following our comparative legal analyses, implications were drawn. The main conclusion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gal requirements imposed for purpos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 regulatory requirements governing the use of health and medical data is complicated and multi-faceted and, as such, their relationship should be more clearly streamlined and delineated.
이동진 한국재산법학회 2022 재산법연구 Vol.38 No.4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elderly consumers has increased due to the aging population,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s, and the increase of wealth of the elderly generation. This,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consumers, led to the development of products, services, and tactics targeting elderly consumers. As a result,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elderly consumers are harmed has increased. In this article, the contract law and consumer law countermeasures to these issues are developed. The traditional method of regulation of consumer law, namely the right to withdrawal in the context of unsolicited marketing on the consumer’s doorstep and telemarketing,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consumers to invoke in a timely mann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m. In this regard, it is helpful to make a separate guide or explanation for the elderly that specifically recommends seeking the trusted third party’s (independent) advice rather than extending the withdrawal period or setting a waiting period, so that consumers who consider themselves elderly can respond in a timely manner by reading the explanation. In addition, in products or services that typically target the elderly, such as health supplements or long-term care service, strengthened ex ante regulation and contractual terms control should be introduced. For the elderly financial consumers, the principle of suitability in consideration of elder’s characteristics has already been legislated. In addition, the duty to inform needs to be acknowledged to recommend seeking the trusted third party’s advice. They are instruments for the so-called supported decision-making. As a means of contract law, adult guardianship, doctrines of capability, unconscionability and public policy are partly helpful. These alone are not enough, though. Entrepreneurs can avoid these protections by applying commercial practice especially vulnerable to the elderly without confirming whether the counter party is an elderly pers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gulate these practices as unfair commercial practices. Products and services that are mainly targeted at elderly consumers, and commercial practices especially vulnerable for elderly consumers should be assessed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consumers. Contracts concluded in violation of these standards should be avoidable. 고령화와 가족관계의 변화, 고령세대의 자산축적으로 고령소비자의 경제활동이 증가하였다. 이는 고령소비자의 특성과 결합하여 고령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품과 서비스, 상술의 발전으로 이끌었다. 그 결과 고령소비자가 피해를 입는 사례가 증가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계약법 및 소비자법적 대응방안을 검토하였다. 전통적인 소비자법의 규율방식, 즉 방문판매와 전화권유판매에서 철회권의 부여는 고령소비자의 특성으로 인하여 적시에 활용되기 어렵다. 이에 대하여는 철회기간의 연장이나 대기기간의 설정보다는 주변의 조언을 구할 것을 구체적으로 권하는 고령자를 위한 별도의 안내 내지 설명을 의무화하여 스스로 고령자로 여기는 소비자는 해당 설명문을 보고 적시에 대응하도록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이나 노인복지시설과 같이 전형적으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서는 강화된 사전규제와 적절성 통제가 도입되어야 한다. 고령금융소비자에 대하여는 이미 그 특성을 고려한 적절성 원칙이 입법되어 있다. 여기에 추가로 주변의 조언을 구할 것을 권하는 설명의무가 인정될 필요가 있다. 이들은 지원된 의사결정을 위한 장치이기도 하다. 계약법적인 수단으로는 부분적으로 성년후견, 의사능력, 폭리행위 및 공서양속이 도움이 된다. 다만, 폭리행위 규정은 개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들만으로는 충분하지 아니하다. 무엇보다도 사업자는 그 상대방이 고령자인지 여부를 확인하지 아니하고 고령자에게 취약한 상술을 적용함으로써 계약법적 규제를 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부정경쟁방지법적 대응이 필요하다. 고령소비자를 주된 대상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및 고령소비자가 특히 취약한 상술은 고령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부정경쟁행위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고령소비자를 식별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를 식별하여 적절한 상술을 활용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의무에 위반하여 체결된 계약은 취소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할 것이다.
미국 불법행위법상 제2차적 책임 - 증권사기⋅회사법상 신인의무 위반 및 지적재산권 침해를 중심으로 -
이동진 한국민사법학회 2012 民事法學 Vol.61 No.-
Until recently, civil liability for inducing or aiding and abetting another person’s tort has not attracted much attention in the Korean civil law literature. This situation is unfortunate especially because the growing number of cases involving civil liability for inducing or aiding and abetting amplifies the fear of uncontrolled extension of liability. As American tort law is one of the few regimes which differentiate inducing as well as aiding and abetting from concerted action and other forms of joint and several tortfeasors (primary liability), a look at the liability scheme of inducing or aiding and abetting in American tort law (hereafter secondary liability) seems to be promising. In this article, the structure of secondary liability in American tort law in general as well as some selected issues on it are examined. The first two parts of this article are dedicated to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American secondary liability regime. After the requirement of secondary liability such as actual or constructed knowledge, substantial contribution,sliding scale test and Central Bank rule as well as the remedy for it are introduced, the most important cases dealing with it, including secondary liability for securities or common law fraud, corporate director's or lawyer's breach of fiduciary duty,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defamation via internet are analysed.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presents some lessons or insights of American secondary liability law for Korean tort law: the way to conceptualize secondary liability;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requirements and those objective in secondary liability;the implication of Central Bank rule and other U.S. statutes dealing with secondary liability; and most of all, the policy of secondary liability.
이동진 민사판례연구회 2013 民事判例硏究 Vol.- No.35
Die koreanische höchstrichterliche Rechtsprechung hat in jüngerer “en-banc” Entscheidung (Urteil vom 17. Mai 2012, 2009Da105406) eine Gelegenheit, ihren Standpunkt zu der rechtlichen Natur der Bau-Arbeitsgemeinschaft (Joint Venture in Construction; hiernach Bau-ARGE) und zu der Rechtszuständigkeitsform ihrer Vergütungsforderung sich zu äussern. Das Urteil stellt zunächst die ständige Rechtsprechung fest, dass die Bau-ARGE ein Gesellschaft des bürgerlichen Rechts sei. Es soll freilich gebilligt werden, da der Bau-ARGE-Vertrag alle notwendigen Punkte (sog. essentialia negotii) des Gesellschaftsvertrags des bürgerlichen Rechts erfüllt. Das Urteil geht interessanterweise aber dahin, dass nicht die rechtliche Qualifikation der Bau-ARGE als Gesellschaft des bürgerlichen Rechts sondern das Inhalt des Bauvertrags (d.h. Werkvertrags) zwischen die (allen) Gesellschaftern der Bau-ARGE und den Besteller entscheiden soll, ob die Vergütungsforderung von Gesellschaftern gesamthandschaftlich verbunden oder gemeinschaftlich nach Bruchteilen erteilt berechtigt wird. Nach dem Urtel, ferner, wenn das Bauvertrag den Vergütungsbetrag nach Bruchteilen erteilt und vom Besteller direkt zu den einzelnen Gesellschaftern bezahlt zu werden bestimmt, auch die Vergütungsforderung soll von einzelnen Gesellschaftern gemeinschaftlich nach Bruchteilen erteilt berechtigt wird. Diese Entscheidung ist höchst begrüsslich hinsichtlich auf die oben beiden Punkten - 1. die Unterscheidungskriterien zwischen die Gesamthandschaft und die Gemeinschaft nach Bruchteilen, 2. die Zusammenwirkungsmechanismus des Wortlaut der individuellen Vertragsklauseln und der rechtliche Qualifikation des Vertrags im Vertragsauslegungsprozess.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공동이행방식의 건설공사공동수급체는 민법상 조합에 해당하나, 공사도급계약의 내용에 따라서는 도급인에 대하여 가지는 채권이 공동수급체의 각 구성원에게 지분비율에 따라 구분하여 귀속할 수도 있는데, 1996. 1. 8. 이후 개정된 공동도급계약운용요령에 따라 기성대가 등을 공동수급체의 각 구성원별로 직접 지급받기로 한다는 취지가 기재된 공동수급협정서를 입찰참가신청서와 함께 제출하고 도급인이 별다른 이의 없이 공동도급계약을 체결하면 묵시적으로 위와 같은 약정이 이루어졌다고 판시함으로써, 종래부터 판례․학설상 논란이 많았던 건설공사공동수급체의 공사대금청구권의 귀속 문제를 일거에 정리하였다. 이는 민법상 조합 및 합유이론과 계약해석이론에 비추어 찬성할 만하다고 평가된다. 나아가 이는 보다 일반적으로 민법상 조합이라 하더라도 권리를 (준)합유하는지 (준)공유하는지는 제3자와의 계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조합의 재산을 합유로 하는 것은 임의규정에 불과하며, 당사자가 적극적으로 의욕하지 아니한 계약의 성질이 그 문언을 무시하고 계약내용을 결정할 근거가 될 수는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대상판결의 이러한 측면은 조합 및 합유, 계약해석이론 모두에 대하여 중대한 진전을 의미한다.
이동진,정진헌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3
It is assumed that anyone who watched the movie, Minority Report in 2002, received a fresh shock that Tom Cruise splits the air and splendidly handles the various images and the video clips. Ten years have been passed since I live with a vague expectation and conviction that the scenes of the SF movie will become a reality. The current 2012 amazingly resembles the future I dreamed in 2002. It is surprised that human';s history is going through as following a prophecy though it is the product of imagination with augmented reality, smart environments and display. The present is the flow to the future, not separated with the future. The present is changing to similar form of the future in the past because human';s imagination and awareness is based on the flow.Awareness of the current flow is same meaning with awareness of the obvious future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this. Meanwhile, the awareness of the future through the past is to catch the essential change of the hidden side of the phenomenon but the change and flow appear through the phenomenon. Augmented reality is the technology providing the information with users by adding the imaginary medium, such as image, text, sound, motion and so on, to the reality. Users can create much stronger interaction and UX(user experience) because the sense of reality,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augmented reality, can help users to get the information easily and intuitionally, concentrate more and understand easily by reducing repulsion in the view of interface. Augmented reality, which is the concept of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virtual world with real world, is the technology to put the graphical medium into the space of reality, so it is widely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entertainment. The more widely it is applied, the more users can get a experience of the augmented reality';s presence. This research is searched to analyze the psychology of users who experience the augmented reality by comparison with a similar research because it is decided as the best timing to research into the presence of the augmented reality related to users who use it. 2002년에 개봉한 영화‘마이너리티 리포트’를 그 당시에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탐 크루즈가 허공을 가르며 이리저리 이미지와 영상들을 다루는 화려한 손놀림을 보고 신선한 충격을 받았으리라 생각한다. 언젠가 이러한 SF 영화 속 장면들이 현실이 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와 확신을 가지고 살아 온지 어느덧 10년. 2012년 현재는 2002년에 꿈꿨던 미래와 신기할 정도로 닮아가고 있다. 증강현실, 스마트 환경, 디스플레이 등 수없이 새로운 기술들이 쏟아지는 가운데, 아무리 인간의 역사가 상상의 산물이라지만 마치 예언을 따르듯이 흘러가는 것이 놀랍다. 현재는 미래와 분리 되는 것이 아니라, 미래로 나아가는 ‘흐름’이다. 인간의 상상과 인식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현재’가‘과거의 미래’와 비슷한 모습으로 변화 하는 것이다. 이와 동일한 관점에서, 현재의 흐름을 안다는 것은 바로 ‘분명한 미래’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변화와 흐름은 현상을 통해 나타나지만 현재를 통한 미래를 파악한다는 것은 현상의 이면의 본질적 변화를 캐치하는 것이며 그것이 현재에서는 마이크로트렌드로 기능한다. 증강현실은 현실에 실시간으로 가상의 매체(이미지, 텍스트, 사운드, 모션 등)를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증강현실의 특성인 현실감은 사용자가 현실에 중첩되어져 보이는 정보를 직관적으로 쉽게 얻을 수 있게 하고 몰입감을 높이며, 인터페이스(interface) 측면에서도 거부감을 적게 하고 이해가 용이해 사용자는 한층 강력한 상호작용(interaction)과 UX(user experience)를 창출한다. 현실세계에 가상세계의 정보를 제공하는 개념인 증강 현실은 현실의 공간 속에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기술로서. 교육, 건축, 공학,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기에 보다 더 상용화 된다면 광범위한 계층의 수용자들이 보다 쉽게 증강현실의 프레즌스(presence)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을 이용하는 수용자와 관련된 증강현실의 현실감(프레즌스)를 중심으로 연구할 시점이라 판단하여, 증강현실을 경험하는 수용자의 심리를 분석을 유사 연구와 비교하여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