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聞 記事를 바탕으로 살핀 韓國語敎育의 흐름 -1880년부터 2012년까지의 新聞 記事를 中心으로-

        고경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어문연구 Vol.41 No.1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the crucial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newspaper articles that have been reported for the past one hundred years, and to conduct a time-series analysis of articles with the same topics to use these trends as objective indicato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Thus far,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have been difficult to find accurate criteria for the division of periods. Though it may be still tough to look back on the entire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it would be possible to examine its tendencies for the past periods and look for factors to change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not being focused on searching news articles and grouping them for a statistical analysis, or news articles themselves, this study is to use them as standard data for correctly seeing the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ltimately, it would help to briefly sum up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이 硏究는 지난 100년간 신문에 실린 記事를 통해 韓國語敎育의 중요한 흐름을 살피고, 이러한 흐름이 韓國語敎育史의 객관적인 指標가 될 수 있도록 같은 주제의 記事를 묶어 시기별로 살피는 것을 目的으로 한다. 그동안 韓國語敎育史 硏究는 시대구분의 문제에 있어 정확한 基準을 찾기 어렵다는 難題를 안고 있었고, 그로 인해 연구자에 따라 시대를 살피는 기준이 다를 수밖에 없었다. 전체 韓國語敎育史를 되짚어 보는 일은 아직 어렵겠지만 지난 시대를 살피고, 그 안에서 韓國語敎育의 변화 要因을 살피는 작업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新聞 記事를 中心으로 論議를 진행하고 있다고 해서 記事를 통계화하거나 목록화한 것은 아니다. 통계적인 수치를 산출하기보다는 韓國語敎育의 흐름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준거 자료로 記事를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지난 시기 韓國語敎育史의 변화와 발전을 간략하게나마 정리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이탈리아 韓國語 敎育의 現況과 課題 -베네치아대학을 中心으로-

        김훈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어문연구 Vol.37 No.4

        My research discusses a course of Korean Studies at a University in Italy,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issues and their resolution plan regard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lthough, the University of Venice is at the centre of attention, the focus is extended towards the general particularities of the Italian-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f of concern the situation of the University of Rome and Naples shall be further explained. This, as the basic aspect, I would like to present an analysis of the Italian-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 would like to search for a future direction to head for. Further, if I seem it to be necessary, I refer to the situation of a course of Korean studies in Italy, which by confronting with the Chinese and the Japanese departments, I tried to find a direction for the Korean department for future. Giving regard to the recent major interest towards Korean culture and language at the University of Venice, I see great a potential for development in the future. But the installation of a course of Korean studies is facing three major problems, that have to be resolved, the diversity, the number of specialized personal and the concern/support of the university itself, considered as insufficient. These problems can not be seen as separated but are rigidly inter- connected with each other, as such, a development of a Korean Studies department can not be accomplished with one of these points insufficient Only in the recent situation of the University of Venice, the introduction of Korean Studies as a regular major has great necessity, I put emphasis on the cruciality of receiving positive interest and resources from the University authorities. Actually the University of Venice, while establishing a Korean major, has many problems with the cost estimation and the personal itself . Therefore constructive interest and resources are needed from Korea to overcome such difficulties. By doing, so Korean studies would become a part of the axis alongside with Chinese and Japanese studies in the Eastasian Studies department, the growth possibilities of Korean Studies in the University of Venice can be seen as augmented. 본 硏究는 이탈리아 大學에서 운영하는 韓國學 講座, 특히 韓國語 敎育을 中心으로 그 現況과 問題點을 分析하고 그 改善策에 대해서 論議한 것이다. 이탈리아 대학에서 한국학 강좌가 이루어지고 있는 곳으로는 公式的으로 로마대학, 나폴리대학, 밀라노대학, 베네치아대학을 들 수 있는 데, 이 네 대학 중에서 밀라노대학을 제외한 세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筆者가 몸담고 있는 베네치아대학을 중심으로 하되 이탈리아 한국어 교육의 一般的인 特性에 符合할 만한 내용에 焦點을 맞추고, 必要에 따라서는 로마대학, 나폴리대학의 狀況을 소개하였다. 이를 土臺로 이탈리아 한국어 교육의 特性을 分析하고 指向해야 할 방향을 摸索하고자 하였다. 베네치아대학의 한국어 교육이 좀 더 成長하고, 이것이 한국학 발전으로 擴大되기 위해서는 時急히 한국학이 專攻으로 운영되어야 할 根據와 必要性을 提起하였다.

      • KCI등재

        中外合作 교육프로그램 工學전공 學習者 대상 專攻深化韓國語 교육과정 改善 方案 연구

        유소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 Vol.51 No.1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blems of the major intensiv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fered for engineering learners in the Chinese-foreign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s and explores improvement. As of January 2023, there are a total of 206 such education programs with Korea, among them, engineering programs have the largest share at 41%. Nevertheless, there are few studies on engineering learners in such program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such group of learners with specific academic purposes were selected as a research target and I focus on the relevant major intensiv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identify a direction to improve the current curriculum, the architecture major 3+2 program by Chengdu University and Yeungnam University was selected as a research case. Additionall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cturers and students of the Major Intensive Korean course. As a result, this curriculum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for specialized lectures given by professors from Korean universities, with improvements in four aspects of the curriculum provision, syllabus, faculty, and evaluation. After assessing the needs of the lecturers and students, the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and the feasibility confirmed through an interview with the teaching managers. 유소소, 2023,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 공학전공 학습자 대상 전공심화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어문연구, 197 : 301~330 본고는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에서 공학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전공심화한국어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23년 1월 기준 한국과 공동 운영 중인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이 총 206개에 이르며, 그 중에서 공학전공 프로그램이 점유율 41%로 가장 많다. 그럼에도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 공학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이 특수 학문 목적 학습자 집단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들에게 제공되는 전공심화한국어 교육과정에 주안점을 두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청두대-영남대 건축전공 3+2 프로그램을 연구 사례로 선정하여 이 프로그램에서 개설되는 <전공심화한국어> 교과목의 강의 교사와 수강생에게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 교육과정은 한국대학 교수특강을 대비하는 목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운영 체계, 교수요목, 교수진, 평가 방식 네 가지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한다. 강의자의 제안과 수강생의 요구를 종합적으로 가늠한 후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고, 그 실행 가능성을 교학관리자와의 면담을 통해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베트남 대학 한국어 학과의 發表 교육 과정 개선을 위한 要求分析 연구 –H대학의 한국어 發表 교육 과목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김참이,응우옌티하이쟝,백승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 Vol.51 No.2

        김참이·응우옌티하이쟝·백승주, 2023, 베트남 대학 한국어 학과의 發表 교육 과정 개선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 어문연구, 198 : 519~549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대학 내 한국어 학과의 發表 교육 과정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베트남 H대학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예비 조사를 시행 후 본 조사에서는 學習者와 敎授者를 대상으로 焦點集團面接을 진행하였다. 예비 조사 결과 H대학 한국어 전공생들은 2021년도부터 ‘한·영 프레젠테이션 전략’이라는 전공 필수 과목을 통해 한국어와 영어의 發表 기술을 통합하여 학습하고 있었다. 敎授者는 학습 자료를 직접 제작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는데 교수 요목 설계부터 자료의 활용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조사 결과 學習者는 한국어 發表 교육의 수강이 현재의 한국 기업 근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원어민 敎授者 및 실제적인 한국어 표현이 추가되기를 요구하였고, 敎授者는 현지 사정에 맞는 맞춤형 發表 교재 개발 및 제작의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조사 내용을 종합 후 4장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 과정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초 연구로 삼아 한국인 敎授者와의 협업을 바탕으로 외부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교재를 개발한다면 실제성 있는 한국어 發表 교육 내용을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스톡스와 初期 한국어 學習書 KOREAN BY CLAUSE-METHOD(1912) 硏究 - 敎材로서의 性格과 特徵을 中心으로 -

        박새암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 Vol.46 No.4

        This study introduces M.B. Stokes that has not been covered by Korean education research and his book KOREAN BY CLAUSE-METHOD(1912) and distinguishes it from other existing Korean books in terms of content, composition, and use. As a result, KOREAN BY CLAUSE-METHOD was written based on awareness of Korean learning, including the Korean learning experience of authors' M.B. Stokes. Specially, the unique format, which is comprised of the learning environment of learning with Korean individual teachers, has been more effective in face-to-face learning, and this has been why the book has since been used in various classrooms(‘Language Class’ & ‘Language School’). KOREAN BY CLAUSE-METHOD was designed with clear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xt of use, and the fact that these considerations were reflected in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book, and the historical fact that this book was actually used ‘textbook’. 박새암, 2018. 스톡스와 초기 한국어 학습서 KOREAN BY CLAUSE-METHOD (1912) 연구, 어문연구, 180 : 425~451 이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교육 관련 논의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스톡스와 그의 저서 KOREAN BY CLAUSE-METHOD(1912)를 소개하고 책의 내용과 구성, 그리고 사용의 측면에서 이 책이 기존의 다른 한국어 학습서와 구별되는 특징과 한국어 교재(textbook)로서의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KOREAN BY CLAUSE-METHOD는 저자 스톡스의 한국어 학습 경험에서 비롯한 한국어 학습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저술되었으며 선교 활동이라는 목적과 자연스러운 한국어 설교라는 목표를 위해 구어 표현 중심의 ‘clause-method’를 활용한 내용과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한국어 개인 교사와의 학습이라는 학습 환경을 전제로 하여 구성된 독특한 구성 방식은 면대면 학습에 보다 효과적인 방식이었고, 이러한 점이 이 책이 이후 선교사들의 한국어 단기 집중 강좌인 <Language Class>와 연합언어학교인 <Language School>에서의 교실 수업에서도 여러해 교재로 사용될 수 있게 한 이유였다는 것을 밝혔다.

      • KCI등재

        國內 學問 目的 韓國語 敎育의 現況과 課題

        최은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어문연구 Vol.37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esent state and task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n Korea and secure later tasks and develop- mental directions. First of all,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 present research situation into designing of educational processes and teaching items, subject development, skill education, needs analysis, register, discourse analysis, and assessment. Then, the educa- tional situation was looked into centering around Korean subjects and curriculums for foreign students in the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divisions attached at the major Korean universities. Based on this kind of discuss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Korean curriculums for academic purposes must be established systematically within the frame of Korean curriculums. Also, the developments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for academic purposes to assess Korean abilities of the foreign students should be completed at the earliest possible moment. Active developments of the textbooks and basic researches for academic purposes should be established soon. This study also suggested develop- mental direc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utual and well- organized cooperative systems between the institutions related to the foreign students inside the university. 이 論文은 國內의 學問 目的 韓國語 敎育의 現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向後 課題와 發展 方向을 모색해 보는 데 目的이 있다. 먼저 硏究 現況은 敎育課程 및 敎授要目 設計, 敎材 開發, 機能 敎育, 要求分析, 言語 使用域 分析, 談話 分析, 評價로 나누어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敎育 現況은 국내 주요 대학의 附設 韓國語 敎育機關 및 學部의 外國人 留學生을 위한 한국어 과목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사를 하였다. 이러한 論議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이 전체 한국어 교육과정의 틀 안에서 體系的으로 設計되어야 한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을 測定할 수 있는 學問 目的 韓國語能力試驗이 개발되어야 한다,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敎材 開發과 基礎硏究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대학 내에서 유학생과 관련된 機關들의 有機的인 相互 協力體系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發展 方向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韓國語) 교육(敎育)의 현황과 과제(課題)

        박갑수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1 어문연구 Vol.29 No.2

        韓國語 敎育이란 海外 정착 同胞에게 민족어를 학습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外國人에게 제2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을 뜻한다. 外國語로서의 韓國語 敎育은 일찍부터 꾀해졌으나, 本格的 연구가 꾀해지게 된 것은 최근에 와서다. 따라서 이제 본궤도에 오르는 과정에 있다 하겠다. 한국어 교육은 근자에 國內外의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약 50개국에서, 그것도 대학 및 연구 기관만 하여도 약 300개 기관에서 한국어가 교수·학습되고 있다. 이러한 한국어 교육은 초·중·등학교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은 敎育課程의 불비, 학습자료의 부실, 學習指導法 개발의 부진, 敎育評價의 소홀 등 많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敎師 양성기관은 법적 뒷받침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다. 國家的 지원과, 연구자 및 한국어 교육자의 배전의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韓國語敎育에서 漢字敎育의 위상과 방향

        김정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어문연구 Vol.33 No.3

        이 論文은 현재 韓國語敎育에 있어서 漢字敎育의 位相이 어떠한지를 大學의 韓國語 敎育機關들을 중심으로 되돌아보고 한국어를 학습하는 外國人을 위한 바람직한 한자교육의 方向을 提示하는 데에 목적을 둔 것이다. 따라서 먼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가르칠 漢字들을 한국어교육의 6단계로 나누어 總 1,357字로 제시하였다. 이 한자들은 韓國語 學習用 基礎語彙 가운데 漢字語들만을 골라 이 語彙들을 구성하는 漢字들을 析出하여 頻度數 順으로 정리하여 얻어진 것이다. 이 목록을 初等敎育用 기초한자 1,000字와 대조하여 그 妥當度를 檢討하였으며 한국어교육의 諸 部門에서 漢字에 대한 知識이 어떻게 效果的으로 活用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漢字文化圈 學習者들에게 旣存의 한자 지식이 干涉으로 作用하지 않고 效果的인 轉移를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同形同素異義語들에 대한 硏究와 選別과 敎育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This paper aims at claiming the necessity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o foreign Korean learners as a part of Korean Education, and proposing how to teach them effectively. For this purpose, we first look around the realities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 in Korea, and suggested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foreign learners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Korean. Then, we show how important role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o foreign Korean learners will serve in all areas of Korean teaching, and propose some effective methods for Korean education. Finally, to obtain the best result from foreign students from Chinese cultural areas, we propose the teaching methods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their first languages as well as to maximize the positive transfers from them.

      • KCI등재

        ‘-아요’는 왜 ‘-았-’ 뒤에 나타나지 않는가

        이용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 Vol.43 No.2

        In this paper, we examine usefulness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the reason why ayo doesn't appear after -ass-. This problem is brought from experience in the education field up. It is difficult to explain without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history, prefinal ending marker -ass/əss- was formed by grammaticalization of combination of ending marker -a/ə and existence verb iss-. Because -ass- has the historical information of iss- even after grammaticalization, -ass- needs -əyo, when it combines with ayo/əyo. In addition to these explanation, the reason why nappayo appears, not nappəyo, is explained, focusing on the vowel harmony and vowel system. Then we deal with the usefulness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the basis of explanation. For this purpose we arranged the existing study and the case for grammar in Thonbury(1999), and then try to connect it with the necessity and usefulness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nally, basic problems which are relat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discussed. 이 글에서는 韓國語敎育에서 韓國語史 知識이 有用할 수 있는지를 ‘-아요’가 ‘-았-’ 뒤에 나타나지 않는 理由를 中心으로 살펴보았다. 이 問題는 現場에서의 經驗을 土臺로 提起된 것으로 한국어교육의 현장에서 效率的 說明을 위해서는 때로 韓國語史에 대한 知識을 필요로 한다. 韓國語史에서 보면 ‘-았/었-’은 語尾 ‘-아/어’와 存在詞 ‘잇-’의 결합이 文法化하여 형성된 것이다. 文法化된 이후에도 ‘-았-’은 ‘잇-’의 素性을 가지기 때문에 ‘-았-’ 뒤에서도 ‘-어요’가 結合하는 것이다. 또한 ‘나뻐요, 바뻐요’가 아니라 ‘나빠요, 바빠요’로 나타나는 것을 母音造化와 母音體系의 變化를 中心으로 說明해 보았다. 그런 다음에 이러한 記述을 토대로 韓國語敎育에서 韓國語史 知識의 必要性이나 有用性을 다루어 보았다. 이를 위해 旣存에 論議된 것과 더불어 Thonbury(1999)의 文法敎育의 必要性을 정리하고 이것을 韓國語敎育에서 韓國語史 知識의 必要性이나 有用性과 連結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