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지역 청소년의 동네살이 경험에 관한 연구

        최혜정,이재경,김순규 한국자치행정학회 2015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9 No.3

        본 연구는 농촌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동네살이에 대한 주관적 경험을 탐구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농촌지역 거주 청소년의 동네살이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며, 농촌에 거주하는 청소년 24명을 4집단으로 구성하여 초점집단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동네살이 경험은 5개 주제어로 추출되었으며, '부족과 생산이 공존함', '비밀이 없는 동네에 살고 있음', '다양성 속에서 배척과 배려를 경험함', '느리게 자연 속에서 행복을 배워감', ‘같이 라는 의미를 몸으로 익혀감’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농촌지역 거주 청소년의 동네살이 경험은 ‘부족함 속에서 공동체 삶을 터득해 가기’로 도출되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study examining the perceived life experiences of Korean adolescents living in rural areas of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question “What is life like for Korean adolescents living in rural areas?”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24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focus groups of six and were interviewed by the autho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se interviews, five main themes were identified. They are “strength in the face of adversity or inadequate resources,” “lack of individual privacy in the context of small town life,” “social/cultural exclusion due to regional identity/stereotype (both received and projected),” “positive feelings resulting from perceived close connections with nature,” an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local community spirit through the sharing of firsthand experiences with peers, family, and local community members.” From subjects’ responses, categorized across these five themes, one common feature was found among all of the adolescents’ reported experiences. This feature was that, despite (and perhaps because of) the relative inadequacy and scarcity of resources in rural Korean communities (compared to urban areas), rural adolescents develop stronger interpersonal ties within their community and stronger collective community identities. Drawing from this, we suggest some practical strategies for social service providers at the local and regional level to support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positive academic outcomes among adolescents in rural areas

      • KCI등재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 성향집단의 MMPI-2 프로파일 유형과 자아방어기제 특징

        최혜정,장문선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2

        his study explored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overt narcissism and covert narcissism through investigating MMPI-2 profil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elf-defense mechanism of the overt narcissism tendency group and the covert narcissism tendency group.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overt narcissism tendency group, K scale was increased by showing positive slope pattern in MMPI-2 validity scale, Ma scale was increased in clinical scale, and difference between covert narcissism tendency group and non-narcissism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in self-defense mechanism, overt narcissism tendency group was inclined to use defense mechanisms such as omnipotence, humor, denial, sublimitation, and covert narcissism tendency group was inclined to use defense mechanisms like suppression, projection, fantasy, resignation etc. These results improved that narcissism tendency was represented as narcissistic, active, constructive, and vigorous personality in overt narcissism, but sensitiveness, nervousness, chronical depression, and negative emotion were shown in covert narcissism although their motivation for accomplishment was strong and high standard and strictness to themselves were shown. In addition to that, totally different representation aspects of these narcissism was confirmed by MMPI-2 profiles. Also, compared to 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shows using immature and unadaptive defense mechanism.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idea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의 성격적인 특성과 적응행동을 알아보고자 외현적 자기애 성향집단과 내현적 자기애 성향집단의 MMPI-2 프로파일 유형과 자아방어기제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외현적 자기애 성향집단에서는 MMPI-2 타당도 척도에서 K척도가 상승하는 정적 기울기 형태를 나타내고 임상척도에서는 Ma 척도가 경미하게 상승하는 형태를 보였으며, 내현적 자기애 성향집단, 비자기애집단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내현적 자기애 성향집단에서는 MMPI-2 타당도 척도에서 L, K 척도에 비해 F척도가 상승하는 ‘∧’ 자 형태를 나타내고 임상척도에서는 D, Pt, Si 척도가 경미하게 상승하는 형태를 보였으며, 외현적 자기애 성향집단, 비자기애집단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자아방어기제에서는 외현적 자기애 성향집단은 전능, 유머, 부정, 승화 등의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경향이 높았고, 내현적 자기애 성향집단은 억제, 투사, 공상, 체념 등의 방어기제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교육복지 대상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원예활동의 효과

        최혜정,윤숙영,최병진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4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복지 우선 지원 사업의 교육복지 대상 아동들에게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교육 취약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D시 P초등학교 교육복지 우선지원 사업의 교육복지 대상 아동 중 5학년, 6학년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시기간은 2013년 4월 2일 부터 2013년 6월 11일 까지 주 1회씩 14시 50분에서 15시 50분까지 총 10회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활동은 난이도와 대상자들의 유대감 형성 등을 고려하고 대상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입, 전개, 마무리 과정의 3단계로 분류하여 다양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원예활동 실시 후 대상자들의 자아개념은 일반적 자아, 학업적 자아, 사회적 자아, 정서적 자아의 4가지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일반적 자아는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27.36점에서 실시 후 평균 29.09점으로, 학업적 자아는 실시 전 30.64점에서 실시 후 31.91점으로, 사회적 자아는 29.09점에서 32.27점으로, 정서적 자아는 22.82점에서 24.27점으로 자아개념의 모든 하위항목이 원예활동 실시 후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원예활동 실시 후 대상자들의 성취동기는 학업적 성취동기와 사회적 성취동기의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학업적 성취동기는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45.55점에서 실시 후 평균 49.55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사회적 성취동기도 실시 전 43.45점에서 실시 후 47.36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식물을 기르고 가꾸는 체계적이면서 작업의 난이도를 고려한 원예활동은 교육복지 대상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의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effects of a horticultural program on self-concepts and achievement motivations in educationally vulnerable children by carrying out the program with children subject to educational welfare in the priority supporting project for educational welfare in elementary schools. The survey was performed on 11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among other children from P Elementary School in D City, who were subject to educational welfare in the priority supporting project for educational welfare in elementary schools. The duration of the program was from April 2 to June 11, in which it was carried out from 14:50 to 15:50 once a week in a total of 10 sessions.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consisted of three steps including introduction, engagement, and finishing for leading the subjects to positively participate in consideration of difficulty degrees and consolidation among the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ubjects’self-concepts were evaluated after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in 4 items including general ego, academic ego, social ego, and emotional ego. With the score of general ego from 27.36 before the activities to 29.09, that of academic ego from 30.64 to 31.91, and that of social ego from 29.09 to 32.27, we can tell that all the sub-items of self-concep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xecution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Achievement motivations in the subjects after the execution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evaluated against items including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motivations.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s is evidenced by the average score changed from 45.55 before the execution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to 49.55 after it, and the social one wa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with the average score changed from 43.45 to 47.36.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 far, we can tell that the systematic horticultural activities that take job difficulty degrees into account and lead children to grow and take care of plants a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self-concepts and achievement motivations in children subject to educational welfare.

      • KCI등재

        동두천지역 고등학생의 안굴절상태 조사 및 연구 II

        최혜정,차정원,박문찬,진가헌,Choi, Hae Jung,Cha, Jung Won,Park, Moon Chan,Chen, Ko Hsein 한국안광학회 1998 한국안광학회지 Vol.3 No.1

        현재 국내의 고등학생에 대한 굴절이상에 관한 조사는 아주 미흡한 상태이다. 특히 동일집단의 시력을 수년에 걸쳐서 추적 조사한 사례는 거의 전무한 설정이므로 동두천지역 중 고등학생의 3년 전과 현재의 안굴절 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근시, 원시, 난시 등 굴절이상의 발생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또한 앞서 보고한 바 있는 일반성인의 시력에 관한 역학조사와 동일한 장비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시력을 측정함으로서 성인과 학생의 시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시력을 spherical equivalent 기준으로 분류할 때 정시안이 총 대상안의 36.0%, 굴절이상안이 총 대상안의 64.0%(근시 60.6%, 원시 4.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5년 학생에 비하여 1998년 학생의 근시안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1998년 학생들이 1997년 일반성인보다 정시안의 비율이 7.4%, 근시안의 비율이 4% 높게 나타났고, 원시안의 비율은 성인에 비하여 매우 낮게 나타났다. 굴절이상안의 종류별 분포는 전체 대상안 1212안 중 단순근시가 전체 대상안 중 28.6%로 가장 많았고, 근시성 복난시가 22.4%로 두 번째로 많았으며, 그 다음은 근시성단난시가 14.4%, 원시성단난시 3.1%, 혼합난시 1.7%, 단순원시 1.2%, 원시성복난시 1.2%의 순서로 나타났다. 난시안의 분포는 Cyl-0.25Dptr를 난시에 포함시켰을 때 전체 대상안의 76.7%를 차지하였으며, -025Dptr를 제외하였을 때는 전체 대상안의 45.6%를 차지하였으며, 학생의 직난시가 도난시의 약 4.5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안과 좌안의 굴절력을 비교한 결과 우안이 더 근시 쪽의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성인의 경우와 동일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남녀의 굴절이상에서는 유의한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Until now, the study of eye refractive error examin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are a few report that in Korea. In particular, there is few report about the visual power for same group during several years. We compared the study of refractive error done this year with that reported three years ago at the same high school. From the these data, the distribution of ammetropia was investigated. The study of refractive error for high school students was also compared with those reported before for the Adults and the middle school student. When the visual power is refered to spherical equivalent, the 36% of the whole students examined above had emmetropia and the other part of them fumed out to be ammetropia which is classify to 60.6% belonged to myopia and 4.4% belonged to hyperpia. The ratio of myopia for this year students is increased in comparision with the students in 1995. The ratio of emmetropia for this year students is 7.4% higher, and the ratio of myopia for this year students is 4% higher, but the ratio of hyperopia is very lower than that for the adults in 1997. In the kind of refractive error, it is classified that a simple myopia is shown to highest ratio as a 28.6% of 1212 eyes examined, a compound myopic astigmatism to the next high ratio as a 22.4%, a simple myopic astigmatism as 14.4%, a simple hyperopic astigmatism as 3.1%, a mixed astigmatism as a 1.7%, a simple astigmatism as 1.2%, a compound hyperopic astigmatism as 1.2%,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an astigmatism is a 76.7% of total eyes examined if Cyl-0.25 Dptr is included to an astigmatism.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age of an astigmatism is a 45.6% of total eyes examined if Cyl-0.25 Dptr is excluded to an astigmatism. In the kind of astigmatism, the number of students had an astigmatism with the rule is about 4.5 times than that of astigmatism against the rule. From the result of comparision the right eye with the left eye, the right eye of the students had more a myopic refractive error than the left eye, which is same as adults' case, there is no difference in a refractive error between the boy students and the girl students.

      • KCI등재

        제2차 교육과정 일본어 교과서의 사용한자 분석

        최혜정 한국일본학회 2014 日本學報 Vol.98 No.-

        1973年2月14日文教部令第310号の公布により第二次教育課程の部分改訂が行われ、日本語教育が高等学校(以下、高校)において始まった。これに伴い、高校で使用する初の日本語教科書「日本語読本(上․下巻)」が作られた。その後、2007年の改訂教育課程実施までの間、7回の教科書改訂がなされ現在に至っている。1973年から現在までの40余年の間、教育現場で使用された日本語教科書には、その時代の教育政策や教育目標、世相が反映されていると言える。日本語教科書は、日本語教育の変遷を反映した歴史的証拠物であり、これを分析することは、日本語教育史研究において非常に意味のある作業だと考えられる。そこで、第二次教育過程から現在の2007年改訂教育課程に至るまでの変遷を、教科書で使用された漢字を軸として調査を進める予定である。本稿では、第二次教育課程の日本語読本(上․下巻)で使用された漢字および漢字を使用した語彙(以下、漢字語彙)を調査した。その結果は、次の通りである。(1)日本語読本(上․下巻)で使用された漢字の異なり漢字数を調査した結果、上巻より下巻において70%ほど出現数が多いことがわかった。出現頻度が高い漢字は、上巻「日、国、一、本、二、十、三、課、第、形、大、生」、下巻「国、一、人、生、十、二、大、日、本、見、業、分、三、年」であった。また、漢字語彙を調査したところ、『韓国に関連した内容』を想起させる語が多く出現した。これは第二次教育課程における教育目標を反映しているものと思われる。(2)日本語読本(上․下巻)で使用された漢字は全体で1,348字である。その漢字と日本教育漢字(1,006字)との使用率を調査した結果、91%に該当する925字が使用されていた。また、漢字は日本の当用漢字の範囲内で使用することが定められているが、当用漢字1,850字のうち1,266字が使用されていた。当用漢字以外の漢字使用が86字あったが、これは地名や人名などの固有名詞で使われた文字である。(3)日本語読本(上․下巻)では、韓国の地名․人名․場所․時代背景を表す語彙が多く出現しており、漢字の使用もそれら語彙に多く含まれていたのが特徴である。漢字語彙のうち分類語彙表の「体の類(体言)」を基準として名詞のみを分析した結果、固有名詞、固有人名、固有地名、年代順、場所など韓国の近代化、産業化を象徴する年代から韓国に関連した語彙が多く出現しており、そこに漢字が含まれて使用され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 KCI등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인식한 의사소통 실천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최혜정,이대영,신선미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2 신학과 사회 Vol.36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communication with subjects, which hospice volunteers perceived,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their professionalism and developing a guideline applicable to the field. To this end, a phenomenological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group interview asking the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communication experience between hospice volunteers and subjects, and what does it mea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as made up of 7 groups of 20 hospice volunteers through purposive sampling in order to search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communication experiences between hospice volunteers and subjects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emporality, relationship, and completion of life. Specifically, first, when it comes to <Temporality>, communication was made during the hours in a hospice ward, and it was found to be exploring, establishing relationships, and helping to complete life. Second, <Relationship> showed the different communication experiences between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ird, <Completion of life> was found to have a good life, a lonely life, and a sad life, and the experiences of communication about them were also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hospice volunteers and provided the basis for practical communication guidelines according to care types. Based on this,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further discussion on how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hospice volunteer activities, as well as the practical communication techniques to be shared as the last friend in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인식한 대상자간의 의사소통 실천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이들의 전문성 강화 및 현장 적용 가능한 지침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와 대상자간의 의사소통 실천 경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초점집단 인터뷰로 현상학적 탐색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의도적 표집방법을 적용하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20명을 7그룹으로 구성하여 자료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과 대상자간의 의사소통 실천 경험은 시간성, 관계성, 삶의 완성 유형으로 3가지 범주로 도출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시간성>으로는 호스피스 병동의 시간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탐색하기, 관계 맺기, 삶의 완성 돕기로 도출되었다. 둘째, <관계성>으로는 환자 당사자와 가족에 대한 의사소통의 경험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환자에게는 당사자의 삶 정리해 주기, 가족에게는 환자의 죽음이 존엄하게 되도록 안내하는 유형으로 의사소통이 경험되고 있었다. 셋째, <삶의 완성 유형>으로는 좋은 삶, 외로운 삶, 안타까운 삶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의사소통의 경험도 다름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의의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의사소통 실천 경험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는 의사소통 관련 실천 지침의 근거자료가 되었다는 데에 있다. 이를 기반으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활동의 전문성 강화 및 인생의 마지막 친구로서 함께 나누는 의사소통 실천 기법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