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차미란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
한국의 교육대학교에서 ``초등도덕교육``(또는 ``초등도덕과교육``)은 교육대학교 재학생이 수강해야 할 필수 과목으로서, 2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Ⅰ``, 3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Ⅱ``를 수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교과교육 분야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겠지만, ``초등도덕교육Ⅰ``은 초등 도덕교육 분야의 이론적 기초를 다루고, ``초등도덕교육Ⅱ``에서는 초등학교 바른 생활 및 도덕과의 수업과 학습지도에 필요한 실제적 기술과 전문적 능력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강화되고 있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표준화 방안은 강의 목표나 방향뿐만 아니라, 주별 강의 주제와 내용의 표준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권고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지난 수년간 강의를 담당해 온 ``초등도덕교육Ⅰ, Ⅱ`` 강좌의 운영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도덕교육 이론의 핵심 내용을 확인하고 초등 도덕과교육의 운영 원리를 확립하기 위한 학술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통하여 초등도덕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과 지향점 탐구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철주 ( Lee Chul-j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60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과 지향점을 탐구하는 것이다. 초등 도덕교육은 주당 1시간 교과이며 초등 교사가 전 교과를 가르치고 있기에,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이나 그것이 지향하는 바를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초등 도덕교육의 정체성이나 지향점에 관한 탐구는 학교 도덕교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도덕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가능하다. 이에 먼저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이 ‘통합적 인격’과 ‘도덕적 실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검토하여 재정립하고, 이것을 초등 도덕교육에서 구체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Elementary moral education is only one hour per week,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teaching all subjects. So it is necessary to clear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and its direction. The inquiry into the identity and orientation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can be based o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directly affects school moral education.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revealed in the course of moral education lies in 'integrated character' and 'moral practice'. After reviewing these characteristics and reestablishing them, I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actualize them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초등 도덕과 교육의 전략 탐색
김재식 ( Jae Sik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5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 도덕과 교육이 목적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위한 도덕 교육적 전략을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 분석을 통해 보완할 부분을 살펴보고, 그 대안적 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초등 도덕과 교육이 목표로 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은 개인의 덕 함양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도덕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초등 도덕과 교육은 개인의 도덕성 함양을 위해 인지, 정의, 행동적 도덕성 함양을 도모하고, 학교나 교실의 도덕 공동체를 계획한다. 이러한 도덕 교육적 계획은 도덕과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그리고 학교나 교실의 도덕 공동체를 위한 전략으로 구체화된다.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해 보면, 초등 도덕과 교육 목표는 개인의 덕 함양을 통해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겨냥하고 있고, 교육 내용은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위한 여러 덕목을 선정하여 지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여러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 부록을 통해 학교나 교실의 도덕 공동체 조성을 권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덕과 교수-학습 전략에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자 하는 전략이 미흡하다는 것이 발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해 탐구와 공동체가 동시에 고려될 수 있는 탐구 공동체 접근을 보완적 전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lternative strategies for complementary part through analysis of teacher`s guidebook and curriculum of moral subject directing at harmonious communal life in the curr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Harmonious communal life that aims at elementary moral education requires to cultivate personal virtues and creates morality of school community. In view of this, elementary moral education plans to raise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morality of the individual and build school and classroom into moral community. These moral educational plans is embodied in strategies for formation of moral community as well as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methods of moral subject. By analyzing curriculum of moral subject and teacher`s guidebook,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m could be found. First, educational goals of moral subject aim at harmonious communal life through cultivating personal virtues. Second, educational contents of moral subject are composed of the important virtues for harmonious communal life. Third, teacher`s guidebook presents a variety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ur, strategies for building of moral community in the school and classroom is presented in the supplement of teacher`s guidebook. But insufficiency is found in the strategy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tries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a approach of inquiry community as a complementary strategy considering at the same time inquiry and community to cultivate the sense of community.
한국사회에 필요한 도덕성 탐구: 액션 러닝을 활용한 교수-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장승희 ( Seung Hee Jang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6
전통적으로 덕목주의 도덕교육은 ``덕목``의 필요성을 전제하고 덕을 교육하는 것이다. 현행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은 18개 덕목을 중심으로 내용체계가 구성되어 있다. 교육과정에는 선행 연구 등을 토대로 이 덕목들을 선정하였다고 기술되어 있지만, 그 구체적인 기준과 준거는 명확하게 드러나 있지 않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초등도덕과교육1`` 강좌에 액션 러닝을 적용하여, 오늘날 ``한국사회에 필요한 도덕성[넓은 의미의 덕목]``과 그 근거는 무엇이며, 이를 위해 어떻게 도덕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이 주제는 초등학교 도덕교과에서 어떤 덕목들이 교육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연구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필자가 제시한 가설 형식에 의거하여 예비교사들이 자신들의 관점에서 한국사회에 필요한 도덕성[덕목]을 선정하고 그 근거를 설정한 후, 한국사회의 도덕성을 진단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과정이 이 수업의 핵심 내용이다. 필자는 학생들이 탐구한 내용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도덕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고, 결론에서는 앞으로의 덕목주의 도덕교육의 과제와 방향을 제안해 보았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orality that korean society requires. I gave lecture on the name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with for the good moral lesson as its theme applying action learning as a teaching method. The important methods of the action learning are team playing, solving the given task, and linking the practical question. I planned two grounds in my lecture for this aim. This study consists of contents that my students search the morality that korean society is needed in the first ground during first semester. 18 virtues are in contents of current moral education curriculum. As a basic research on virtues approach teaching,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rality on the viewpoint of preliminary teachers search for that korean society need to have in mind. The research process are three, building a hypothesis, proving a hypothesis, and drawing a conclusion from this process. In conclusion, I suggested virtue that moral education have to teach for the coming future society.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학교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 개선 방향
서강식 ( Kang Sik Suh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5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업을 할 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일차 자료로서 초등 교사들이 가장 신뢰하는 자료이다. 또 장차 교단에 서고자 준비하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이 가장 많이 공부하는 자료이다.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의 중요성은 바로 여기에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2007년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 방향과 개선점을 찾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수행하기 위해 먼저 제4차 교육과정 시기로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기까지의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를 고찰하고, 이러한 고찰을 근거로 하여 바람직한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결론으로 다음과 같은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제재의 해설 부분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지도서에서 제재의 구성과 수업 계획이 중복되는 부분을 정리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실 현장에서 도덕과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을 수록하도록 한다. 셋째, 교수·학습 지도안의 양식을 초등학교 교실에서 교사들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또 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차시 교수·학습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is a first resource material on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end on when they are going to study about teaching- learning in moeal educaion. Also many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o. We may find some desirable developmental points of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from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at 4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to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at 2007 year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First, we have to develop the quality on explanation of the unit. Second, we ought to structure and lesson plan of unit in order to help the class lesson practically. Third, It is desirable to develop the mode of teaching-learning plan. Fourth, we must to develop the lesson plan, so teachers can know the flow about period in moral education.
한국 초등 도덕과 교육과 관련된 독일 도덕 교과서 분석 연구 - 가치영역별 도덕 역량 지향 모델을 중심으로
김형주 ( Hyeongjoo Kim ),변순용 ( Byun Sun-yong ),김민수 ( Kim Min-s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59
본 연구는 독일의 초등 도덕과 교과서의 내용 구성 체계를 분석하여, 한국의 도덕과 교육 및 교과서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독일의 초등학교에 실제 적용되고 도덕과 교과서이며, 구체적으로는 현재까지 독일 초등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코넬슨(Cornelson), 클레트(Klett), 밀리츠케(Militzke)출판사의 교과서들이다. 이 교과서들의 내용분석을 통해 우리는 독일 초등 도덕과 교과의 내용 구성 원리 및 성취 능력 목표를 귀납적으로 도출할 것이다. 그리고 이 분석 성과를 토대로 한국의 도덕과 교육의 방향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의 연구의 핵심은 두 가지이다. 우선, 독일의 초등 도덕과 관련 교과서의 내용 구성이 네 가지의 범주 영역을 근간으로 되어 있음을 밝힌다. 네 가지 범주 영역은 첫째, ‘자아에 대한 반성과 이해’, 둘째, ‘나와 공동체의 관계’, 셋째, ‘역사와 문화’, 넷째, ‘환경과 자연 혹은 세계’이다. 다음으로, 각 범주 영역을 바탕으로 3가지의 성취 능력을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뚜렷이 드러난다는 점을 논증한다. 이러한 독일 초등 도덕과 관련 교과서의 내용 구성 체계의 특성을 우리는 ‘가치 영역별 도덕 역량 지향 모델’이라는 말로 함축하고, 이 모델이 ‘가치관계 확장 모델’을 넘어서 새로운 차원으로 전환하고 있는 한국의 도덕과 교육의 방향 및 교과서 개발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주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음을 결론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f moral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in Germany.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and textbooks in Korea. Specifically, it analyzes textbooks that are actually applied to elementary schools in Germany, analyzes contents of textbooks and learning objectives. Through these analyzes, we will derive the meaning of the content and editorial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morality and textbooks in Germany. In our content analysis research, our core research achievements are twofold. One of them is that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is hunted into four categories. The four categories are: ‘reflection and understanding of self’ ; second, ‘relationship with community’ ; third, ‘history and culture’ ; and fourth, ‘environment and nature or world’. The other is that the goal or ability of education based on this content converges to three. The three abilities are ‘conceptualization ability’, ‘text analysis ability’, and ‘reflection and judgment ability’. In addition, in order to positively evaluate and util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ositively, we summarize it from four viewpoints of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moral textbooks.
‘행위 중심도덕 교과서 구성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모색 - 전통 예(禮)교육에 기초하여
김재식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06 초등도덕교육 Vol.22 No.-
Paradigm shift of the moral textbooks constitution centered on 'action' in elementary school. - based on the traditional decorums education - 이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 도덕과 교육의 도덕적 습관화의 문제를 전통 예 교육에 기초한 초등 도덕교과서 개발을 통해 해결의 단초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초등 도덕과 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교과로서 도덕과 교육은 일반 도덕교육과 차별화되어야 하고, 도덕 교과서 내용 구성이 체계적이고 위계적이어야 한다. 특히 아동의 건전한 도덕성 함양을 위해 초등 도덕과 교육은 도덕적 행동의 습관화 교육이 무엇보다 절실히 요청된다. 이를 위해 앞으로의 초등 도덕과 교육은 현행 덕목 교육적 접근을 전통 예 교육에 기초한 덕 교육적 접근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즉, 현행 도덕과 교육에서처럼 미리 덕목을 선정하고 내면화시키는 교육이 아니라 전통 예 교육에서처럼 예 교육을 통해 도덕적행동을 습관화시킴으로써 도덕적 덕을 기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도덕과 교과서를 전통 예 교육에 기초한 행동 중심의 도덕 교과서로 구성함으로써 초등 도덕과 교육의 정체성을 확고히 함은 물론 효과적으로 도덕적 행동의 습관화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덕목교육, 습관의 형성, 예, 전통 예(덕) 교육.
변종현 ( Jong Heon Byeo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9
초등학교 통일교육은 공식적인 학교 통일교육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 과정의 통일교육은 일반적으로 교과와 비교과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가운데서 북한과 통일문제를 가장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다루는 교과가 바로 도덕과다. 따라서 초등학교 도덕과의 통일교육은 학교 통일교육의 토대로서 학생들의 통일의지와 통일역량을 함양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이 글의 목적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현행 초등학교 도덕과의 통일교육 관련 단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향후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 과정까지의 통일교육 관련 단원의 내용체계 선정과 조직의 적정성, 북한 및 통일문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요소들에 대한 논의를 통해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a basic foundation for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n general, unification education in our elementary school is relying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well as official subjects. It is the moral education that playes the most critical role for unification education among various elementary school subjects, which can help to stimulate the will for Korean Unification and strengthen the consciousness of Korean Unification. In this vein,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for Korean Unification and suggest some ideas to activate unific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contents for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be reorganized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sequence and integration. And the elementary unification education has to try to magnify the function of making elementary students to be more interested in unification-related issues.
김봉제 ( Kim Bong-j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3
의료분야의 주요 관심사였던 뇌에 관한 연구는 2000년부터 교육과 연계되기 시작했다. 이후 다양한 영역에서 뇌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결국 뇌과학의 전성시대가 되었다. 교육분야에서도 다양한 뇌 관련 주제가 지속해서 등장하고 있으며, 교과 교육학에서는 뇌와 연계한 구체적인 학습방법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도덕교육과 관련해서는 ``도덕적 뇌(the moral brain)``라는 표현이 등장한 것처럼 도덕성을 뇌와 연계해 설명하려는 시도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흐름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뇌교육 학습방법과 그 특징을 파악하고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도덕교육의 주요 내용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와 그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뇌연구는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가치와 관련이 있으며, 뇌교육의 학습방법은 도덕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도덕적 정서 능력(도덕적 민감성 갖기, 공감 능력 기르기), 도덕적 판단 능력(도덕적 가치·덕목 이해하기, 올바른 의사 결정하기, 행위 결과 도덕적으로 상상하기), 윤리적 성찰 능력(심미적 감수성 기르기, 자연과 유대감 갖기, 반성과 마음 다스리기)`` 등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활용 가능하다.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provided objective evidence that can be diversified teaching methods. Development of the brain science, us to be able to see the educational benefits of teaching methods directly. In particular, brain educational methods of brain oil and neuro-feedback, the effect is associated with morality. How brain oil brain education, starting from the individual, to enable the higher-order accident that work with social problems. This is associated with complex thinking of moral judgment. In addition, the method of neurofeedback, is related to the synchronization control and behavior control capability, which is associated with moral behavior. Brain teaching methods can improve the adjustment capacity of moral judgment and moral behavior, and as a method of education, actively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김태훈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62
본 논문은 덕목 중심의 초등 도덕과교육이 어떤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는지를 밝히고, 도덕적 역량 중심의 초등 도덕과교육 접근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2015 도덕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역량, 기능, 가치, 덕 등의 주요 용어의 개념을 규정하고, 이들 용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규명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도덕적 역량 중심 접근의 구조와 적용방안을 논의한다. 도덕적 역량은 행동적 영역을 중심으로 도덕적 덕과 수행적 덕이 교차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기능은 구체적인 행위로 드러나는 요소를 뜻한다. 도덕적 역량 중심의 접근은 도덕적 이슈들을 교육과정의 내용요소와 교과서 단원의 주제로 선정한다. 학생들은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도덕적 주제들을 논의하는 과정을 통해 미래 사회에 필요한 도덕적 역량을 키우며 통합적 인격 형성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dicate the problems of 'the bags of virtues' approach and explore an application of the moral competence based approach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To do this, The concepts of major terms(competence, skills, value, and virtue) which are clearly stated in the 2015 moral education curriculum will be defined and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ose terms. And on that basis, The structure and application scheme of moral competence based approach will be discussed in exploratory dimension. The moral competence means the overlapping domains of moral virtues and performance virtues based on behavioral domain. The skills connotes an element which is exposed to specific actions among moral competences and can be rationalized by the core values. The moral competence based approach selects moral issues as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themes of text units, and it can emerge from reductionist educational system which is inevitably derived from the elements of morality. Students can develop the foundations of moral competence and form the basis for integrated character building through discussing moral themes in accordance with core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