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omparison of trophic factors changes in the hippocampal CA1 region between the young and adult gerbil induced by transient cerebral ischemia.

        Yan, Bing Chun,Park, Joon Ha,Kim, Sung Koo,Choi, Jung Hoon,Lee, Choong Hyun,Yoo, Ki-Yeon,Kwon, Young-Geun,Kim, Young-Myeong,Kim, Jong-Dai,Won, Moo-Ho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2012 Cellular and molecular neurobiology Vol.32 No.8

        <P>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neuronal death/damage in the gerbil hippocampal CA1 region (CA1) and compared changes in some trophic factors, such as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the CA1 between the adult and young gerbils after 5 min of transient cerebral ischemia. Most of pyramidal neurons (89%) were damaged 4 days after ischemia-reperfusion (I-R) in the adult; however, in the young, about 59% of pyramidal neurons were damaged 7 days after I-R. The immunoreactivity and levels of BDNF and VEGF, not GDNF, in the CA1 of the normal young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ormal adult. Four days after I-R in the adult group, the immunoreactivity and levels of BDNF and VEGF were distinctively decreased, and the immunoreactivity and level of GDNF were increased. However, in the young group, all of their immunoreactivities and level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young group. From 7 days after I-R, all the immunoreactivities and levels were appare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normal adult and young. In brief, we confirmed our recent finding: more delayed and less neuronal death occurred in the young following I-R, and we newly found that the immunoreactivities of trophic factors, such as BDNF, GDNF, and VEGF, in the stratum pyramidale of the CA1 in the young gerbil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adult gerbil 4 days after transient cerebral ischemia.</P>

      • KCI등재

        Productivity Loss of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ccording to the Their Stages of the Disease Activity Score

        ( Sang-Cheol Bae ),( Jin-Hye Cha ),( Jung-Yoon Choe ),( Sung Jae Choi ),( Soo-Kyung Cho ),( Won-Tae Chung ),( Chung-Il Joung ),( Young-Ok Jung ),( Young Mo Kang ),( Dong-Wook Kim ),( Jinseok Kim ),( Y 대한류마티스학회 2018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25 No.2

        Objective. Productivity loss was compared by 3-stage of disease activity and associations between higher disease activity and high productivity loss were identified. Methods. Data were extracted from Rheumatoid Arthritis (RA) Patient-reported Outcomes Research, which enrolled 2,000 RA patients (>20-year) on disease-modifying-antirheumatic-drugs (DMARDs) (≥ 6-month) from December 2012 to June 2013. This included 1,457 RA patients with the disease activity score (DAS-28-ESR) in their medical charts. Productivity loss in time and indirect cost was estimated using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and Work Performance Questionnaire (HPQ).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loss outcom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DAS-28-ESR groups. Results. 84.4% were females, 54.2% had low DAS-28-ESR (<3.2), and 38.2% and 7.6% had moderate (3.2∼5.1) and high DAS-28-ESR (>5.1). Patients with moderate to high DAS-28-ESR had higher lost productivity time (LPT) and monthly costs of LPT than those with low DAS-28-ESR (time in hours: 110.0±58.4 vs. 132.4±57.2 vs. 71.5±52.0, p<0.0001; monthly costs of LPT in 1,000 Korean won: 1,097±607 vs. 1,302±554 vs. 741±531, p<0.0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high LPT in high (adjusted odds ratio [OR]=3.87, 95% confidence interval [CI]: 2.18∼6.87) and moderate DAS-28-ESR (adjusted OR=1.88, 95% CI: 1.41∼2.52) compared to low DAS-28-ESR. In addition, positive associations with high monthly costs of LPT were observed in high (adjusted OR=3.45, 95% CI: 1.98∼5.99) and moderate DAS-28-ESR (adjusted OR=1.93, 95% CI: 1.43∼2.54) compared to low DAS-28-ESR. Conclusion. Timely therapeutic strategi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given that the RA patients with moderate to high DAS-28-ESR showed strong associations with high productivity los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RA. (J Rheum Dis 2018;25:122-130)

      • KCI등재

        과학기술정보콘텐츠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모델 수립 및 적용 사례

        신성호(Sung-Ho Shin),이민호(Min-Ho Lee),이원구(Won-Goo Lee),윤화묵(Hwa-Mook Yoon),성원경(Won-Kyung Sung),김광영(Kwang-Young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11

        국내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장은 작년 기준으로 3조 6,633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데이터베이스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맞물려,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의 중요성도 날로 높아지고 있다. 고객 위치를 찾아주는 g-CRM이나 고객에게 상품을 추천하는 맞춤 설계 기능 등은 모두 고객 데이터베이스, 상품 데이터베이스,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이 결합되어야 구현 가능한 서비스들이다. 스마트 비즈니스의 핵심 인프라도 통합되고 완전하며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및 통합 과정의 효율적인 수행 방안이나 데이터 검증 방법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타입으로 존재하는 과학기술분야 콘텐츠들을 대상으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모델을 설계하였고, 모델을 기반으로 실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수행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결과에 대한 검증을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완전성, 데이터값의 일관성, 관계의 일관성을 검증하였고, ANSI/ASQ Z1.4-2003에서 제시된 샘플링 검사 기법도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모델 수립에 의한 체계적인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수행은 데이터베이스 정합성 및 데이터값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고, 고품질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다. The domestic market of database in Korea is estimated to be over 3.663 trillion won. The data migration is getting to be more important along with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database industry. g-CRM and private recommending function are examples of the service that can be given through coupling among customer database, product database, geographic information database, and others. The core infrastructure is also the database which is integrated, perfect, and reliable.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on efficient way of data migration and integrating process and investigation of migrated data though trends of database in IT environment as above. In connection with this issue, we have made a model for data migration o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ontents and suggest the result of data migration process adapting that model. In addition, we verified migration's exhaustiveness, migration's consistency, and migration's coherence for investigation of migrated data and database. From the result, we conclude data migration based on proper model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atabase consistency and the data values correctness and is essential to maintain high qualified databas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췌도세포 동종이식의 반복시행

        양태영,정인경,서인아,오은영,조건영,오승훈,김성주,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김광원,도영수,주성욱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4

        연구배경:췌도세포 이식은 시술이 간편하고 안전하기 때문에 반복이식이 가능하여 그 동안 여러 센터에서 반복이식의 성공을 보고한 바 있다. 국내에서도 본 병원을 비롯하여 몇몇 센터에서 췌도세포 이식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으나 사람에서의 동종이식 및 동종 이식의 반복시행은 보고된 바 없는 실정이다. 저자 등은 국내 최초로 췌도세포 동종이식을 시행하여, 혈청 C­펩타이드가 증가하고 인슐린 요구량이 감소하였으며, 혈당농도와 당화혈색소의 안정을 보였다. 그러나 이식 70일 후 다시 인슐린 요구량이 증가하고 C­펩타이드가 감소하여 췌도세포 이식을 다시 시행한 바 있다. 2차 이식 후 70여일이 지난 현재 다시 혈청 C­펩타이드가 증가하고, 인슐린 요구량이 더 감소되어 췌도세포 이식에서 반복 시행의 유용성을 보고하는 바이다. 방법:환자는 32세 남자로 17년전 당뇨병 진단 후 인슐린 치료 중이었으며, 3년전 부터는 만성신부전증으로 혈액툭석을 하고있었다. 1999년 12월 25일 신장이식을 하였고 3일 후 췌도이식을 하였으며, 두번째 이식은 70일 후 시행하였다. 췌도분리는 변형된 Recordi방법과 비연속성 자당 농도차(discontinuous density gradient)를 이용하였으며 분리한 췌도는 배양 후 환자의 신장기능이 정상화되고 미생물학 검사에서 음성을 확인한 후 경피경간으로 간문맥을 접근하여 16G 폴리 에틸렌 카테터를 이용하여 간실질에 이식하였다. 결과:1차 췌도이식시 순수분리전 췌도수는 210,000개, 순수분리후 획득한 췌도수는 90,000개, 순도 95%, 세포양 1.0mL 이었고, 2차 췌도이식시 순수분리전 췌도수는 420,000개, 순수분리후 획득한 췌도수는 370,000개, 순도 95%, 세포양 1.5mL 이었다. 1,2차 모두 간문맥을 통해 약 20분에 걸쳐 간실질에 주입하였다. 췌도이식전 인슐린요구량은 75∼75U/일, HbA1e 8∼10%, C­펩타이드 0.6ng/mL 였으며, 1차 췌도이식수 7일째 인슐린 요구량은 40U/일, C­펩타이드 1.5ng/mL, FPS 109mg/mL 였고, 40일 추적관찰 후 인슐린 요구량이 36U/일, C­펩타이드 1.8ng/mL, HbA1e 6.5∼7.0%로 안정되었다. 그러나 이식 50일째부터 인슐린 요구량이 50∼56U/일, C­펩타이드 0.6ng/mL, FPS 130∼200mg/dL로 혈당 조절이 불안정하여 다시 췌도이식을 시행하였다. 2차 이식후 50일이 경과한 현재, 인슐린 요구량은 26U/일, C­펩타이드 1.8ng/mL, FPS 90∼120mg/dL로 다시 안정되었다. 결론:췌도이식은 반복이식이 가능하며, 본 환자의 경우 인슐린요구량 감소, 혈당의 안정화 및 C­펩타이드가 상승하여 이식한 췌도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스테로이드 등 면역억제가 유지 용량으로 감량되면 인슐린 요구량은 더 감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Over the past 20 years, significant advances have been made in human islet transplantation. However, cases of prolonged insulin independence after islet allotransplantation have rarely been reported and over time, a slight, gradual decrease in insulin secretion appears to occur, as suggested by the lower C-peptide. Although preliminary clinical success achieved over the past few years has been considerably higher with whole pancreatic transplant than with isolated islet grafts, both approaches remain experimental. Islet grafts might gain, over time, increasing credibility and might eventually provide an easier alternative in terms of grafting procedures and patient management, as compared with the more "traumatizing" whole-pancreas transplantation. Also, using islet, re-transplantation is possible. But it is not known whether re-transplantation of islet could be suitable for those patients who lost grafted islet functio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nefits of re-transplantation of islet in previously simultaneous islets-kidney transplant (SIK) patient who have lost graft function. Methods : The recipient was a 32 year old male. First islet transplantation was underwent at December 25, 1999. However, the grafted islets lost function after 70 days. So we performed re-transplantation of islets. The isolation of islet was conducted sterilely on a laminarflow hood and isolated by a modified Recordimethod. The islet was injected slowly into the liver via a cannular placed in the potalvein for 20 minutes. Results : Transplanted islets were 90,000 IEq at first islet transplantation, 370,000 IEq at second islet transplantation. The insulin requirement was reduced from 75-85 to 35-40 U/day, the basal C-peptide level was 1.5 ng/mL at 7 days posttransplant Unfortunately, the grafted islets lost function after 70 days. After second transplantation, the insulin requirement was reduced to 26 U/day. Conclusions : Despite the continuous need for exogenous insulin therapy, islet transplantation can prevent wide glucose fluctuations, thus resulting in normalization of glycemic control and improvement in HbAlc, and also, show that islets can be successfully and safely re-transplanted intraportally in patients who have lost previously grafted islet function (J Kor Diabetes Asso 457~466, 2000).

      • 十二變에 대한 考察 : 六元正紀大論을 중심으로

        채영진,남호현,이석모,여성원,한성규,이재원,안민식,정헌영,금경수 한국전통의학연구소 2003 한국전통의학지 Vol.13 No.1

        The six kinds of natural factors(It refers to wind, cold, summer-heat, dampness, dryness and fire.) is constantly moving to maintain the balance of whole climate of one year. Four seasons are the largest mediation of whole climate of one year. The cold and the heat have the relationship of mutual intervention. The dampness and the dryness have it also. In this process they raise various climate appearance. And that various climate appearance influence the whole lives on the earth.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classification of them.

      • KCI등재

        2010 해남, 평창, 원주지역 갈대 등 야초류의 이용실태와 사료가치 평가

        서성(Sung Seo),한대덕(Dae Duk Han),장선식(Sun Sik Jang),김원호(Won Ho Kim),정민웅(Min Woong Jung),최진혁(Jin Hyuck Choi),김진숙(Jin Sook Kim),김하영(Ha Young Kim),이종경(Joung Kyong Le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2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는 부존 조사료자원 이용으로 수입사료를 줄이고 사료비를 절감하고자 2010년도에 전남 해남(간척지), 강원 평창(강변), 원주(섬강변), 전남 영광(와탄강변) 등 4개 지역에서 갈대와 억새 등 야초 자생지를 탐색하고, 수확·이용실태 조사와 함께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전남 해남 해남목장 내 갈대(Phragmites communis) 위주의 야초 자생지는 300 ha로 예년에는 2회 곤포작업하여 연간 사일리지로 2,300~2,500톤(ha당 8톤)을 생산하였으나 2010년도는 1회 곤포조제로 사일리지 2,000톤(ha당 7톤)을 생산하였다. 유통가격은 롤 당 53천원으로 ㎏당 110원이었다. 곤포는 전량 자가소비하며, 외부 작업단에 롤 당 26천원의 작업비를 지불하였다. 연간 조수입은 2억 2,260만원이며, 소득은 1억원 수준(345천원/ha)이었다. 초장 150 ㎝의 갈대는 조단백질 8.4%, 상대사료가치 71.9 (건초 5등급), 건물 소화율 60.1%로 사료가치는 볏짚에 비해 약간 나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갈대 사일리지의 사료가치와 유기산 함량은 동일 지역에서 동일한 재료로 사일리지를 조제하더라도 수확시기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CP 4.7~6.4%, RFV 62.2~78.9, 건물 소화율 41.9~53.9%), 갈대 사일리지의 품질은 수단그라스에 비해 불량하였다. 강원 평창 강변 자생갈대의 사료가치는 초장이 79, 117, 121, 142㎝로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낮아져, 조단백질은 각각 13.9%에서 7.6%로, 상대사료가치는 90.7 (건초 3등급)에서 76.1 (건초 4등급)로, 건물 소화율은 72.9%에서 54.7%로 감소하였다. 원주 섬강 주변 야초류는 곤포수확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초장 130 cm의 갈대는 조단백질 8.5%, 상대사료가치 82.3 (건초 4등급), 건물 소화율 70.2%로 사료가치는 높았으며, 220㎝의 성숙한 갈대는 조단백질 10.2%, 상대사료가치 65.1 (건초 5등급), 건물 소화율 48.9%로 볏짚 대비 조금 나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남영광지역에서는 와탄천 주변에 자생하는 갈대를 수거 이용하고자 시도하였으나 경제성이 없어 중단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볼 때, 갈대, 억새 등 야초류는 현 상태에서 최대한 수거·이용하되, 사료가치를 유지하고 가축 기호성이 양호한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하며, 최소한 볏짚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사료가치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7월 중순 이전(늦어도 7월까지)에 수확·이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2010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and forage quality of native grasses, such as Phragmites communis which might reduce the cost of feeding domestic cattle. The regions surveyed were the Haenam ranch in Haenam, Pyeongchang, Wonju, and Yeonggwang. In Haenam, yearly silage production harvested from 300 ha was 2,000 MT (7 MT/ha). All of those round bale silages were self-consumed in that region, and marketing price was 50,000 55,000 won per roll (110 won/㎏). Phragmites communis of 150 ㎝ in length contained 8.4% crude protein (CP) with relative feed value (RFV) 71.9 and 60.1%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which was somewhat more favorable than forage quality of rice straw. The silag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varied greatly by the time of harvest (CP 4.7 6.4%, RFV 62.2 78.9, and IVDMD 41.9 53.9%), even with the same district and of the same original forage materials. Generally, th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silage of was poorer than that of sorghum * sudangrass hybrid. In Pyeongchang, forag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was decreased from 13.9% to 7.6% in CP, 90.7 to 76.1 in RFV, and 72.9% to 54.7% in IVDMD, as plant was getting mature, from 79 ㎝ to 117 ㎝, 121 ㎝ or to 142 ㎝ in length. In Wonju, the quality values of Phragmites communis of 130 ㎝ in length were 8.5% CP, 82.3 RFV and 70.2% IVDMD, while those of matured grasses of 220 ㎝ in length were lower (10.2% CP, 65.1 RFV and 48.9% IVDMD), but this was a little more favorable than quality of rice straw. In Yeonggwang, feeding Phragmites communis was tried in a Hanwoo feed, but stopped due to low profitability. In conclusion, the overall quality of most native grasses including Phragmites communis in this survey was poor. Therefore, we recommend that Phragmites communis and native grasses should be harvested on June or July to obtain richer forage quality in forage values than rice straw.

      • 用寒遠寒과 用熱遠熱에 대한 考察 : 六元正紀大論에서

        채영진,신창환,임현택,여성원,한성규,이재원,정헌영,금경수 한국전통의학연구소 2003 한국전통의학지 Vol.13 No.1

        Five elements motion and six kinds of natural factors influence not only human disease but also difference of medicine effect. Because the climate of summer is very hot, that is easy to increase the properties of hot medicines, a doctor must be careful to use it in summer. Also the climate of winter is very cold, that is easy to increase the properties of cold medicines, a doctor must be careful to use it in winter. But in the certain conditions to use diaphoretics or purgatives, in spite of that regulation a doctor can use them.

      • SCOPUSKCI등재

        동종골수이식 후 혈당 및 혈중 지질농도의 변화양상 및 관련인자

        이원영,강무일,오은숙,오기원,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신완식,민우성,김춘주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6

        연구배경:골수이식은 비교적 젊은 연령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면역억제제의 사용기간이 비교적 짧으므로, 주로 고령의 만성 질환 환자에서 시행되는 고형장기이식에서와는 달리 당대사 및 지단백 대사에 있어서 많은 차이점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저자들은 전향적 연구를 통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로 혈당 및 혈중지단백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임상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8년 10월부터 1999년 8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동종골수이식을 시행한 환자들 중 43명을 대상으로 이식 전 및 이식 후 1, 2, 3, 4주와 3개월, 6개월에 공복 혈당, 혈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을 측정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 변화를 관찰하고 여러 임상인자들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1. 공복혈당은 골수이식 수 첫4주 동안 상승하였고 이후 감소하였으나 이식 6개월 시점의 평균 공복혈당은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은 이식 후 1주에 최고치를 형성하였고 이후 기저수준으로 회복되었다가 이식 수 3,6개월에 다시 증가하여 기저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혈중 중성지방은 이식 후 1개월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후 감소하여, 3,6개월에는 기저치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중 고밀도지단백은 이식 후 2,3주에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후 이식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혈중 저밀도지단백은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와 매우 유사하였다. 2. 골수이식 후 6개월 시점에서 공복 혈당이 126㎎/dL이상인 환자는 7명(16%)이었다. 이들 환자들과 공복혈당 126㎎/dL 미만의 환자 36명을 비교한 결과, 공복혈당이 126㎎/dL 이상인 환자군에서 스테로이드 평균 투여량이 많았고 고밀도지단백이 유의하게 낮았다. 3. 이식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이 더 낮았고, 3개월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다. 혈연골수이식 환자군은 비혈연골수이식 환자에 비해 투여된 스테로이드 용량이 더 적음에도 불구하고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더 높았다. 스테로이드 고용량 투여군(하루 평균 7.5㎎기준)은 저용량군보다 이식 후 3개월 시점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으나 나머지 시점의 혈당, 혈중 지질농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골수이식 후 초기시기에 주로 당 대사 및 지질대사이상이 관찰되며 이는 면역억제제 투여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면역억제제가 고용량 투여되는 합병증 발생 시 이들 대사이상에 관심을 기울여 대처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In bone marrow transplantation(BMT), recipients are usually younger and immunosuppressants are open used in shorter period than in solid organ transplantation. Therefore, there might be a difference i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between BMT and solid organ transplantation. However, the serial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following BMT have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rial changes of blood glucose, lipids and the putative factors that are related with these changes after BMT. Methods: We have prospectively investigated 43 patients who underwent allogeneic BMT. Fasting plasma glucose(FPG),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igh-density lipoprotein(HDL) were measured before BMT, and at 1, 2, 3, 4, 12 weeks and 6 months after BMT. The serial changes of these metabolic parameters according to clinical factors including type of BMT, mean daily steroid dosage, and occurrence of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were examined. Results: 1. Mean FPG level increased during 4 weeks after BMT and remained above basal value at post-transplant 6 months. Total 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and was above basal value at post-BMT of 3 and 6 months. Triglyceride level was progressively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2. Patients with FPG above 126 mg/dL and the other patients, the former received larger amounts of daily steroid and had lower HDL-cholesterol level. 3. The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BMT, steroid dose, and occurrence of GVHD. Conclusion: Although there was increase of FPG, TC, TG and decrease of HDL-C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these metabolic changes recovered slowly thereafter. Immunosuppressants are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these changes. Further observation will be needed for the long-term effect of BMT on metabolic changes(J Kor Diabetes Asso 24:689~698, 200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