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항CCP항체와 류마티스인자의 진단정확성에 대한 메타분석연구

        이영호 ( Young Ho Lee ),우진현 ( Jin Hyun Woo ),최성재 ( Seong Jae Choi ),지종대 ( Jong Dae Ji ),송관규 ( Gwan Gyu Song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8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5 No.1

        목적: 한국인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항CCP항체와 류마티스인자의 민감도와 특이도, 진단정확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문헌검색은 Medline과 Koreamed, 대한류마티스학회지를 이용하였고 논문들의 참고문헌도 조사하였다. Random-effects 모델을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항CCP항체와 류마티스인자의 민감도, 특이도, positive와 negative likelihood ratios (PLR, NLR), diagnostic odds ratio (DOR)와 summary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SROC 커브)를 구하였다. 결과: 항CCP항체와 류마티스인자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연구한 7개의 논문의 류마티스관절염환자 1,041명과 대조군 970명이 메타분석에 포함되었다. 항CCP항체의 민감도와 특이도, PLR, NLR, DOR은 76.7% (95% confidence interval [CI] 74.0∼79.2), 95.1% (93.8∼96.3), 14.837 (11.567∼19.031), 0.244 (0.202∼0.294)과 59.235 (43.806∼80.097)이었고 류마티스인자의 수치는 78.2% (0.756∼0.807), 80.5% (78.1∼82,6), 3.687 (3.027∼4.492), 0.298 (0.218∼0.406)과 12.915 (8.427∼19.771)이었다. 항CCP항체의 area under the curve (AUC)와 Q* index는 0.9453과 0.8842이었고 류마티스인자의 수치들은 0,8583과 0.7891이었다. 항CCP항체는 류마티스인자와 비교하여 특이도와 PLR, DOR, AUC, Q* index가 높았으며 민감도와 NLR은 유사하였다. 항CCP항체와 류마티스인자가 모두 양성인 경우 특이도와 AUC가 류마티스인자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특이도 96.5% vs. 80.5%, AUC 0.9864 vs. 0.8583). 결론: 한국인에서 항CCP항체는 류마티스인자와 비슷한 민감도를 보이나 특이도와 진단 정확성은 더 높았고 항CCP항체와 류마티스인자를 같이 검사하는 경우 항CCP항체나 류마티스인자보다 진단정확성이 증가하여 한국인 류마티스관절염 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Telomerase 활성도

        고희관 ( Hee Kwan Koh ),안명주 ( Myung Ju Ahn ),김태환 ( Tae Hwan Kim ),이은영 ( Eun Young Lee ),유태석 ( Tae Seok Yoo ),이제경 ( Je Kyung Lee ),장대국 ( Dae Kook Chang ),심승철 ( Seung Cheol Shim ),전재범 ( Jae Bum Jun ),정성수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9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6 No.1

        연구배경: 류마티스 관절염은 활막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과 단핵세포의 침윤으로 인한 종양처럼 활막의 증식 등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Telomerase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활성화되어 류마티스 관절염의 병인에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와 대조군으로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서 얻은 활막조직, 배양된 활막세포, 활액에서 추출한 단핵세포 등에서의 telomerase의 활성도를 TRAP(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assay를 이용하여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Telomerase 활성도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막에서 높은 활성도를 보였고(70.6%: 12/17),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일부(30%: 3/10)에서도 역시 관찰되었다. 그러나 배양된 활막세포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일부에서만(50%: 2/4) 관찰되었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활액에서 추출한 단핵세포는 모두 telomerase 활성도가 관찰되었다. 결론: Telomerase 활성도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병인에 관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되며 앞으로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telomerase의 생물학적 기능과 활성기전에 대해서도 보다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Rheumatoid arthritis(RA)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infiltration of mononuclear cells into synovium and abnormal proliferation of synovial cells leading to pannus formation, which shows tumor-like growth. To determine whether telomerase is activated in RA and telomerase might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RA, we measured telomerase activity in patients with RA. Methods: Telomerase activity was measured by using TRAP(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assay in synovial tissues obtained from 17 patients with RA and 10 patients with osteoarthritis(OA), in cultured synovial cells from 4 patients with RA and 2 patients with OA, and in extracts of mononuclear cells from synovial fluid of 6 patients with RA. Results: Twelve of synovial tissues from 17 patients with RA(70.6%) showed telomerase activity, where three of synovial tissues from 10 patients with OA(30%) showed telomerase activity with low activity. Telomerase activity was detected in two of the cultured synoviocytes from 4 patients with RA(50%), but synoviocytes from patients with OA did not reveal any telomerase activity, if any. Telomerase acivity was detected in mononuclear cells extracted from synovial fluid of all patients with RA. Conclusion: Telomerase activity is highly positive in RA synovial tissues than OA synovial tissues and in RA synoviocytes as in mononuclear cells from synovial fluid.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elomerase may play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RA.

      • KCI등재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질병활성 표지자로서의 중합 C9 검사의 유용성

        서정욱 ( Jung UK Sir ),김신규 ( Thin Kyou Kim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5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2 No.3

        목적: 류마티스 관절염은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전신적인 염증성 질환이며 주요 관절의 변형이나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질병활성 표지자(disease activity parameter)는 이러한 염증성 질환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객관적인 지표로서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저자들은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해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C반응성단백(C-reactive protein, CRP), 류마티스 인자(rheumatoid factor, RF), 적혈구침강속도(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등과 같은 질병활성 지표들의 결과와 최근에 소개된 시험관에서 보체를 활성화시킨 후 단일 클론성 항체를 사용하여 보체 활성의 최종 생성물인 중합 C9 (polymerized C9)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중합 C9 검사의 결과를 비교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의 새로운 질병활성 표지자로서의 유용성과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동반되는 신장병증의 예측인자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미국 류마티스 협회의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 기준에 의해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진단 받은 대상 환자군(n=86)의 임상 소견 및 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활성군(active RA, n=43), 류마티스 관절염 비활성군(inactive RA, n=35) 및 신장병증을 동반한 류마티스 관절염군(RA with nephropathy, n=8)으로 분류하였고, 각 군에서 CRP, RF, ESR 및 중합 C9 검사(CAE, INCSTAR-DiaSorin, Italy)를 시행하였다. 각 검사간의 민감도와 특이도 비교는 ROC 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을 통하여 시행하였고 통계처리는 ANOVA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CRP, RF, ESR 및 중합 C9 검사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성군과 비활성군의 비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ROC 곡선을 통한 각 검사간의 민감도와 특이도의 비교에서는 중합 C9 검사와 CRP 검사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한편, 류마티스 관절염의 비활성군과 신장병증을 동반한 류마티스 관절염군의 비교에서는 중합 C9 검사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중합 C9 검사는 류마티스 관절염에 있어서 질병 활성도를 잘 반영하는 새로운 질병 감시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되며,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신장병증의 동반 유무를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항-CCP 항체와 기능적 상태와의 상관성

        김경희 ( Kyeong Hee Kim ),이성원 ( Sung Won Lee ),정원태 ( Won Tae Chung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6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3 No.1

        목적: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항-CCP 항체와 임상 소견 및 검사실 소견 사이의 상관성을 횡단면적으로 조사하였다. 방법: 미국류마티스협회의 기준에 의해 진단된 114명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 소견으로 나이, 성별, 질병의 기간, 기능적 상태를 조사하였고, 검사실 소견으로는 총 백혈구 수, 혈색소, 혈소판 수, 적혈구 침강속도, C-반응단백을 검사하였다. 항-CCP 항체와 함께 분석한 자가항체는 류마티스 인자, 항핵항체, 항핵주위인자였다. 결과: 항-CCP 항체는 대상 환자의 67.5%(77/114)에서 양성이었고, 류마티스 관절염의 기능적 상태가 나쁠수록 항-CCP 항체의 양성률이 의미 있게 높았다(functional class I/II vs III/IV, p<0.0001, OR=1.67). 항-CCP 항체 양성률은 류마티스 인자(p<0.0001), 항핵주위인자(p=0.018)의 양성과는 상관성이 있었으나 다른 임상적 검사실적 소견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항-CCP 항체가 류마티스 관절염의 나쁜 기능적 상태와 연관성이 있었기 때문에 항-CCP 항체의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nti-cyclic citrullinated peptide (CCP) antibodies and clinical and laboratory parameters in rheumatoid arthritis (RA) patients. Methods: We studied 114 patients with RA, diagnosed according to the revised criteria of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Clinical informations were collected such as age, sex, functional status, and disease duration. Tested laboratory parameters were WBC, hemoglobin, platelet count,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Analyzed autoantibody profiles were rheumatoid factor, anti-nuclear antibodies, and anti-perinuclear factors. Results: Anti-CCP antibodies were detected in 67.5% (77/114) of RA patients and anti-CCP positive RA patients had a mean antibody concentration of 564.5±755.7 (range, 27∼4717) units. Anti-CCP positiv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re severe disease (functional class I/II vs III/IV, p<0.0001, OR=1.67). Anti-CCP positivity was associated with rheumatoid factor (p<0.0001) and anti-perinuclear factor (p=0.018), but not with other clinical or laboratory parameters. Conclusion: Since anti-CCP antibodie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unctional class of the disease, further evaluation for the prognostic value of anti-CCP in RA is needed.

      • KCI등재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T세포 수용체 Vβ 유전자 레퍼토리 분석

        정성수 ( Sung Soo Jung ),황관표 ( Kwan Pyo Hong ),김동욱 ( Dong Yook Kim ),김태환 ( Tae Hwan Kim ),이인홍 ( In Hong Lee ),전재범 ( Jae Bum Jun ),배상철 ( Sang Cheol Bae ),유대현 ( Dae Hyun Yoo ),김성윤 ( Seong Yoon Kim ),이은영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6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3 No.1

        목적: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의 병인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T세포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한국인을 대항으로 시행된 보고는 없다.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관절병변부위에서 T세포 수용체(TCR)의 Vβ유전자 사용의 빈도를 검색하여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사용되는 빈도가 높은 유전자계를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에 저자는 T세포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3명과 정상인 4명을 대상으로 말초 혈액과 활액 T세포로부터 추출한 RN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한뒤 cDNA를 주형을 Vβ family specific oligonucleotide를 시발체(primer)로하여 반정량적 역전사 연쇄중합반응(semiquantative RT-PCR)을 시행하여 T세포 수용체(T cell receptor; TCR) Vβ 레퍼토리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정상인 4명의 말초혈액에서 T세포 수용체 Vβ유전자 평균사용빈도는 Vβ7(8.68±3.20%), Vβ3(7.83±2.03%), Vβ(6.74±1.43%)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으며, HLA-DR4 양성군(3명)에서는 Vβ8(7.39±1.71%), Vβ2(7.31±2.30%), Vβ1(7.22±1.54%)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고, HLA-DR4 음성(1명)에서는 Vβ3(17.79%), Vβ4(11.41%), Vβ24(9.8%)의 순서로 사용빈도가 높았다. 2. 류마티스 관절염환자 3명의 말초 혈액에서는 Vβ16(6.90±1.81%), Vβ18(6.89±0.80%), Vβ14(6.58±0.65%)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HLA-DR4 양성 환자군에서는 Vβ16(7.52±2.06%), Vβ14(6.96±0.04%), Vβ22(6.78±0.18%)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각각 환자의 결과를 보면 첫번째 환자(HLA-DR4 양성)는 Vβ16(8.98%), Vβ14(6.99%), Vβ22(6.91%)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고, 두번째 환자(HLA-DR13 양성)는 Vβ18(7.79%), Vβ20(5.98%), Vβ24(5.90%)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이를 종합해 보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Vβ16, Vβ20, Vβ14, Vβ18유전자계가 제한되어 사용되었다. 3. 류마티스 관절염환자의 활액의 T세포에서 Vβ유전자 평균발현빈도는 Vβ20(7.39±1.77%), Vβ18(5.60±1.31%), Vβ12(5.56±1.77%)순으로 높았으며, HLA-DR4양성인 환자군에서는 Vβ12(6.56±0.58%), Vβ20(6.44±0.94%), Vβ4(5.30±0.49%)순으로 빈도가 높았으며, HLA-DR4음성 환자에서는 Vβ20(9.29%), Vβ19(7.57%), Vβ18(7.07%)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각각 환자의 결과를 보면 첫번째 환자(HLA-DR4 양성)는 Vβ12(6.15%), Vβ20(5.77%), Vβ7(5.74%)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고, 두번째 환자(HLA-DR4 양성)는 Vβ20(7.10%), Vβ12(6.98%), Vβ24(5.83%)의 순서이었고, 세번째 환자(HLA-DR13 양성)는 Vβ20(9.29%), Vβ19(7.57%), Vβ18(7.06%)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활액 T세포에서는 Vβ20, Vβ12유전자계가 제한되어 사용되었다. 4. 말초 혈액에 비해 활액 T세포에서 TCR Vβ유전자 사용빈도가 1.5배 이상인 경우는 Vβ5.2, Vβ9, Vβ23 이었으나, 이들 유전자계가 활액 T세포 전체에서 차지하는 사용빈도에 있어서는 각각 Vβ5.2는 1.07±1.26%, Vβ9는 2.17±1.42%, Vβ23는 3.84+1.97%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각각 환자에서 비교했을때에 첫번째 환자(HLA-DR4 양성)는 Vβ23(3.69%:1.12%), Vβ5.1(3.51%:1.40%), Vβ12(6.15%:3.29%), Vβ6(3.35%:2.10%), Vβ2(5.74%:3.73%)의 유전자계에서, 두번째 환자(HLA-DR4 양성)는 Vβ9(3.58%:0.74%), Vβ19(4.67%:1.52%), Vβ5.2(2.52%:0.87%), Vβ10(4.25%:1.75%), Vβ1(5.74%:2.35%)의 유전자계에세, 세번째 환자(HLA-DR13 양성)는 Vβ6(2.68%:0.15%) Vβ9(2.17%:0.73%), Vβ11(2.30%:1.10%), Vβ20(9.29%:5.98%)의 유전자계에서 활액에서 말초혈액보다 1.5배이상 증가되어 사용됨을 볼수 있었다. 즉 활액에서 말초혈액보다 의미 있게 편향되어 사용되는 Vβ 유전자계는 각각 환자마다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5. 류마티스 관절염환자의 말초 혈액과 정상인의 말초 혈액의 T세포의 Vβ 유전자 사용빈도를 비교했을때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말초혈액 T세포에서 Vβ16(6.90±1.81%:3.23±1.21%), Vβ18(6.89±0.80%:2.72±0.70%) 유전자계가 2배 이상으로 빈도가 높았고, HLA-DR4양성군만 비교하였을때도 Vβ16(7.52±2.06%:3.69±1.46%), Vβ18(6.45±0.28%:2.61±0.86%) 유전자계가 2배 이상 사용이 많았다. 결론: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류마티스 관절염 각각 환자마다 다른 Vβ 유전자계의 제한적 사용과 편향됨을 볼 수 있었으나, 공통된 유전자계의 증식은 볼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연구보고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고, 이것은 대상 환자의 질병의 유병기간이 다르고, 또 유전적인 배경, 생존 환경, 적용된 방법의 차이로 기인한다고 하는 기존의 보고와 부합된다고 사료되는데 질병의 진행단계에 따라 주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의 에피토프가 달라짐에 따라 여기에 대항하는 T세포들의 수용체도 이들 에피토프에 반응할 수 있는 수용체를 가진 코론들이 증식하게 된다는 epitope spreading theory에 부합되며, 이는 아주 초기에 질병을 시작하게 유도하는 항원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환자선택이 연구결과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 다른 가능성은 각각 환자마다 다른 Vβ유전자계의 증식된 클론들의 CDR3 연기 서열을 규명하여 비록 유전자 서열이 다를 지라도 항원과 결합하는 같은 성상을 갖는 아미노산 motif를 가질 가능성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echnology was eamine synovial fluid and peripheral T cells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RA) to determine the preferential usage of the T cell receptor(TCR) variable region (V) gene. Methods: Oligonucleotide primers specific for individual TCR Vβ gene families were used to amplify the TCR gene products in a semiquantitative assay of their relative utilization in unselected T cell populations. Results: The result of Vβ utilization was generally heterogenous, similar with previous reports. However, the mean expression of Vβ16 and Vβ18 in RA was more preferentially utilized compared to normal donors. The usage of Vβ in peripheral blood from 3 patients with RA demonstrated restrictions in Vβ16, Vβ20 and Vβ18 genes, respectively. Analyses of synovial fluid resulted in restriction in β12, Vβ20 and Vβ20,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pattern of skewed Vβ gene mean usage when comparing the synovial fluids with the peripheral blood T cells from RA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biased Vβ genes, Vβ12, Vβl and Vβ20, each 3 patients. As the HLA type is a determining factor in shaping TCR repertoire of peripheral T cells, we compared the Vβ utilization in HLA-DR4 expressing groups that have susceptibility and gene dosage effect in disease progression. It was a little different that comparing the pattern of Vβ usage in peripheral blood and synovial fluid from RA patients between HLA-DR4 positive and negative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conclusion that the increased Vβ family T cells infiltrate synovium and are dependent on each patient and may be involved in inducing and maintaining the synovitis that characterizes RA The different outcome of each patient may be due to the difference in disease duration, genetic background and geographic region. A more important factor may be the stage of disease, because epitope induced immune reaction may change over time. Therefore, selecting patients early in the course of disease may be important and may facilitate the need for more in-depth TCR analysis in the future.

      • KCI등재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파골세포의 분화 및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영향

        김성수 ( Sung Soo Kim ),권성렬 ( Seong Ryul Kwon ),임미진 ( Mie Jin Lim ),박원 ( Won Park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7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4 No.1

        목적: 첫 번째, 류마티스관절염과 골다공증 환자들의 말초혈액단핵구에서 파골세포의 분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와 나이가 비슷한 골다공증 환자, 그리고 젊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단기간 처리가 파골 세포 생성 및 관련된 사이토카인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미국류마티스협회의 기준에 의해 진단된 류마티스관절염 12명과 그들과 나이가 비슷한 일차성 저골밀도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서 사이토카인 발현과 파골세포의 분화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혈청양성 저골밀도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와 나이가 비슷한 일차성 골다공증, 젊은 정상성인, 각각 6명씩에서 말초혈액단핵구를 얻었다. 이들 세포에서 사이토카인의 발현 정도는 real time RT-PCR로 확인하였고,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양성거대세포의 형성과 칼슘판의 흡수구멍형성을 측정하여 파골 세포의 발현과 그 기능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실험은 24시간 비스포스포네이트 처리 전후로 시행하여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첫 번째 실험의 경우 기본적인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TRAP 양성 거대세포의 형성과 흡수구멍의 형성 정도는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와 일차성 골다공증 환자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두 번째 실험은 비스포스포네이트 단기처리 후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M-CSF),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 (RANKL),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6 (IL-6), interferon-γ (IFN-γ) 등의 mRNA 발현은 증가하였고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RANK), cathepsin K, TRAP 등의 발현은 세 그룹 모두에서 감소하였다. 그 중 IL-6와 IFN-γ의 증가가 가장 저명하였다. IL-1 mRNA 의 발현은 변함이 없었다. 그들의 비스포스포네이트에 의한 mRNA 변화는 증가와 감소 모두 IL-6를 제외하면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전반적으로 그 변화폭이 적었다. 세 그룹 모두에서 TRAP 양성 거대세포의 발현과 흡수구멍의 생성은 현저히 저해되었다. 결론: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말초혈액단핵구에서 염증성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사이토카인의 변화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INF-γ의 증가였다. 이 결과는 IFN-γ가 T세포를 통한 파골세포 생성저해의 매개체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들 사이토카인의 반응은 다른 그룹에 비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단기 처리는 파골세포의 발달을 전구세포 단계에서 저해하여 후속되는 배양에서 파골세포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이 반응도 다른 그룹에 비해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발생하는 골다공증과 골미란의 감소에 비스포스포네이트가 도움을 주며, 특히 골다공증이 동반된 경우를 치료할 때는 그 용량이나 투여방법을 파제트병이나 전이성종양의 경우처럼 더욱 강력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혈관염을 포함한 류마티스 질환에서의 항호중구세포질 항체 양성율

        송영욱 ( Yeong Wook Song ),백경란 ( Kyong Ran Peck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4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 No.1

        연구 배경: Anti-neutrophil cytoplasmic antibody(ANCA)는 호중구와 단핵구의 세포질내에 존재하는 단백질에 대한 자가항체로, 많은 전신성 괴사성 혈관염 환자들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지표로서 이용이 되고 있고. ANCA가 전신성 혈관염에 비교적 특이적인 항체이어서, 다른 면역학적인 검사와 함께 실시하면 전신성 혈관염과 류마티스 질환을 감별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전신성 혈관염 중 우리 나라에 많은 베체트병 타카야수 동맥염에서의 ANCA 양성율과 그 외 여러 류마티스 질환에서의 ANCA 양성율에 대한 조사를 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류마티스 크리닉에 다니는 활동성 류마티스 질환 및 혈관염성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간접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혈청의 ANCA 양성률을 조사하였다. 대상 환자는 총 185명(여자 115명, 남자 70명)이었고, 질환 별로는 전신성홍반성낭창 41예, 류마티스양관절염 31예, 베체트병 50예, 그리고 타카야수 맥염 11예이었다. 그밖에 Henoch-Schonlein 자반증(HSP)과 베게너 육아종증 환자가 각각 1예씩 있었다. 결과: 전신성홍반성낭창 환자 41예 중에서는 2예가 P-ANCA 양성이었고, C-ANCA가 양성인 예는 없었으며, P-ANCA가 양성인 2예는 특별히 혈관염 증상 및 징후가 관찰되지는 않았다. 피부 근염 및 다발성근염 환자 22예 중에서 1예가 P-ANCA 양성이었고 역시 C-ANCA 양성을 보이는 환자는 없었다. 류마티스양관절염 환자 31예, 강직성척추염 환자 9예, 진행성전신경화중 환자 19예는 모두 ANCA 음성이었다. 베체트병, 환자 50예 중 P-ANCA 양성은 2예 있었고, C-ANCA 양성은 없었다. P-ANC가 양성인 2예는 모두 완전형(complete type)으로 구강궤양, 성기궤양, 포도막염 및 피부병변이 있었고, 이중 1예는 혈관염 병변으로 우측 대퇴정맥의 폐쇄소견이 있었다. 타카야수 동맥염 11예와 Henoch-Schonlein 자반증 1예에서 ANCA 양성을 보이는 예는 없었다. 베게너 육아종중 환자 1예는 전형적인 C-ANCA 양성을 보였다(Table 2). 이 환자는 치료 후 관해가 온 다음에는 C-ANCA가 음전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한국인에 많은 혈관염 및 류마티스질환의 ANCA 검사가 ANCA 양성 혈관염과 다른 류마티스질환을 감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Background: Antineutrophil cytoplasmic antibodies (ANCA) are autoantibodies that are specific for proteins in the cytoplasm of neutrophils and monocytes. In the 10 years since their discovery, ANCA have become widely used serological markers for various systemic necrotizing vasculitides, including Wegener`s granulomatosis, polyarteritis nodosa, crescentic glomerulonephritis, and Churg-Strauss syndrome. Rheumatic manifestations (such as arthralgia, myalgia, even frank arthritis) are observed frequently in the group of primary vasculitides. In the group of collagen vascular diseases and the various forms of chronic inflammatory arthritis, vasculitis may severely complicate the course of the disease. Since atypical vasculitic diseases are indistingushable from other rheumatic disorders in the initial period of disease, immunological studies must be performed. We conducted this study for obtaining the seroprevalence of ANCA in rheumatic disorders including vasculitides which are common in Korea. Method: ANCA was detected with indirect immunofluorescent microscopy of alcohol-fixed granulocytes. Results: Total 185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re was no patient having C-ANCA except one patient with Wegener`s granulomatosis. Total 5 patients were positive for P-ANCA; 2 of 41 SLE patients, 1 of 22 dermatomyositis/polymyositis patients, 2 of 50 Behcet`s disease patients. All 11 patients with Takayasu`s arteritis were ANCAnegative.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s. Conclusion: ANCA, as a adjunct to other autoantibodies, will be helpful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various vasculitides and rheumatic disorders.

      • KCI등재

        류마티스 관절염의 질병 활성도 결정에 있어서 손목 자가공명영상의 유용성

        김효열 ( Hyo Youl Kim ),김진안 ( Jin An Kim ),이수곤 ( Soo Kon Lee ),홍천수 ( Chein Soo Hong ),서진석 ( Jin Suck Suh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5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2 No.1

        연구목적: 다양한 경과와 예후를 보이는 만성 염증성 다관절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질병 경과와 치료 반응 정도를 결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최근 자기공명영상이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병변의 염증 상태와 골의 미란성 병변을 관찰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소개도어지고 있어 저자 등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 있어서 자기공명영상 촬영이 질병 활성도를 반영할 수 있는지 여부와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7월부터 연세의료원 류마티스 크리닉에서 추적 관찰 중인 15명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손목관절의 일반 방사선 촬영과 여러 촬영기법의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시행하여 미란의 수를 관찰한 미란점수를 방사선 지표로 질병 활동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임상 및 검사실 지표와 상관관계를 검정하였다. 결과: 손목관절의 미란점수로 나타낸 방사선 지표가 일반 방사선영상과는 달리 자기공명영상에서 적혈구침강속도 및 혈청 IgG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그러나 이 지표는 환자의 주관적 통증평가와 의사의 임상 평가인 손의 악력, Ritchie 지수 등과 연관성이 없었다. 자기공명영상은 특히 초기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일반 방사선영상에는 관찰되지 않는 골 미란까지 관찰할 수 있어 유용하였고, 자기공명영상의 촬영방법으로 지방신호 억제 T2 강조영상 조영증강영상이 일반 방사선 촬영보다 우월하였다(p<0.05). 결론: 현재로서는 높은 비용과 긴 촬영시간이 제한점이 되고 있지만 앞으로 이런 문제만 해결된다면 손목 자기공명영상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질병 활성도 측정에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약물의 치료효과 판정에도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추측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whether the findings of wris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RA) is representative of their disease activity. Methods: MRI and plain radiographs were performed on the wrists of 15 patients with RA. Four MRI techniques were used; T1 weighted spin echo image (T2WI), chemical fat suppression T2 weighted image (FS-T2WI) and Gadolinium-DTPA contrast enhanced T1 weighted image (CE-T1WI). Erosion scores used as radiologic index were calculated from total counts of bone erosion in all coronal planes of wrist MRI and plain radiographs. This erosion score was compared with the clinical indices (Ritchie index, grip strength, visual analogue pain scale) and laboratory indices (ESR, CRP, hemoglobin, immunoglobulins). Results: MRI erosion score of the wrist in patients with RA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SR and serum IgG level, but did not correlate with global clinical indices such as grip strength and Ritchie index. MRI was especially useful in early detection of erosive bone change. Special MR images such as fat suppres-sion and Gd-DTPA enhanced images were superior to plain radiographs and conventional MR images in detecting the erosive lesion of carpal bones. Conclusions: Wrist MRI is useful in early detection of erosive bone change and may be an important tool for the measurement of disease activity in RA. We prospect that it could be used to assess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and the response of drug therapy.

      • KCI등재

        Bucillamine의 항류마티스 작용중 임파구에 대한 효과

        박성환 ( Sung Hwan Park ),임순자 ( Soon Ja Lim ),민준기 ( Jun Ki Min ),박재호 ( Jae Ho Park ),홍연식 ( Yeon Sik Hong ),이상헌 ( Sang Heon Lee ),조철수 ( Chul Soo Cho ),김호연 ( Ho Youn Kim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6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3 No.2

        연구 목적: bucillamine의 항류마티스 작용 기정을 알기 위하여 bucillamine(BUC)과 그 대사유도체인 (BUC-ID, SA 981)의 T 임파구와 B 임파구의 기능에 대한 시험관내 효과를 약물학적으로 의미있는 농도에서 측정하여 d-penicillamine(DPC)의 효과와 비교함으로서 면역 조절 작용상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 지원자 11명의 말초 단핵구에서 B, T 임파구를 분리한 후 Staphylococcus aureus Cowan 1 (SAC) 자극에 해단 IgM 생산 및 Phytohemagglutinin (PHA) 자극에 대한 T 세포의 증식과 Interferon r(IFN-r) 및 Interleukin-2 (IL-2) 생산에 대한 BUC 및 SA-981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BUC, DPC 모두 약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IgM 생성에 대한 억제 효과가 증가하였다. IgM 생성의 억제 효과는 SA981과 BUC는 DPC와는 달리 각각 약물학적으로 의미있는 농도로 알려진 0.1㎍/ml, 1㎍/ml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BUC, DPC의 약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HA자극에 대한 T 세포 증식의 억제 효과가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다. DPC는 10㎍/ml의 농도에서 IFN-r의 생산억제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찰 되기 시작하였으나 IL-2 생산에선 영향이 없었다. BUC는 10㎍/ml의 농도에서 IFN-r 및 IL-2 생산에는 영향이 없었다. 결론: BUC는 T 임파구 증식의 억제 효과면에서는 DPC와 유사하지만, intramolecular disulfide 형태인 SA981을 통해 생체내에서 DPC 보다 B 세포의 면역 억제 기능에 깊이 관여함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DPC에 반응하지 않은 RA 환자중 B 임파구 활성화로 인한 류마티스 인자 양성인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Bucillamine[N-(2-mercapto-2-methylpropionyl)-L-cysteine] (BUC) is a thiol compound that differs from D-pencillamine(DPC) in that it contains two free sulfhydryl groups. Clinical trials have suggested that the efficacy of BUC in rheumatoid arthritis (RA) is as effective as DPC, but the mechanism of action remains unclear. We therefore examined the effects of BUC on the in vitro function of human B cell and T cell in comparision to those of DPC. Methods: The effect of BUC and DPC on Staphylococcus aureus Cowan l (SAC) induced IgM production by B cells from 11 healthy donors was examined. Phytohemagglutinin (PHA) induced proliferation and Interferon-r(IFN-r) and Interleukin-2 (IL-2) production by T cells was also examined. Results: BUC and BUC-ID(SA981)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IgM at concentration of 0.1-100 ug/ml, whereas DPC suppressed at concentration of 100 ug/ml. BUC and DPC inhibited PHA induced DNA synthesis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and T cell in a dose-dependent manner. DPC (10 ug/ml) significantly suppresed IFN-r production by PHA-stimulated T cells, but not suppressed IL-2 production, whereas BUC(10 ug/ml) not significantly suppressed IFN -r and IL-2 production. Conclusion: BUC has immunosuppressive effects inhibiting the function of B cells and T cell proliferation, whereas the action of DPC is targeted at T lymphocytes. BUC may be effective in rheumatoid factor positive RA patients who have not responded to treatment with DPC.

      • KCI등재

        류마티스질환에서 후성유전체 변화

        이주하 ( Jennifer Lee ),김해림 ( Hae Rim Kim ),이상헌 ( Sang Heon Lee ),김호연 ( Ho Youn Kim ) 대한류마티스학회 2013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20 No.3

        류마티스질환에서 기존에 알려진 질병 관련 유전 정보들은 상당수가 질병의 임상상과 병인을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류마티스질환에서의 후성유전체 연구는 매년 급속히 성장하고 있고 새로운 비전을 보여 주고 있다. 류마티스 질병의 면역학적인 병인을 규명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유전적, 환경적인 요인과 후성유전학적인 변화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은 질병의 병태생리를 정확히 파악하고 새로운 치료 약제를 개발함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질병병인 세포나 질병 특이 표적 조직에서 일어나는 후성유전체 변화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임상 증상을 이해하고, 질병 유형을 분류하고, 치료 약제에 대한 반응을 해석하는데 핵심적인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High-throughput approach를 통해 질병 특이 세포나 조직에서 후성유전학적인 변화를 탐색하는 등 차세대 맞춤의학에 따른 신약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 노력이 필요하겠다. Epigenetics is defined as an inheritable effect that influences gene activity, but does not involve a change in DNA sequence. Epigenetic gene regulation has an essential role in determining individual gene function and activity in each specific cell type. Epigenetics includes four predominant mechanisms: DNA methylation, histone modification, nucleosome positioning and microRNA (miRNA). These mechanisms influence gene expression, cell differentiation, proliferation, DNA repair and replication. Epigenetic modifications are far mo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stimuli than DNA sequence alterations. Candidate gene approaches have identified a small set of genes that undergo epigenetic changes, such as aberrant DNA demethylation, histone modification, as well as regulation by miRNA in rheumatic diseases. It is well known that T cells from patients with SLE or RA, as well as synovial fibroblasts from individuals with RA, have sequences undergoing DNA hypomethylation and/or histone modifications. In addition, miRNA regulates the gene expression by pairing with its target mRNAs and is often deregulated in systemic rheumatic diseases. High-throughput approaches are necessary for screening the epigenetic alterations, and it is essential to screen the specific tissue and cell types that are relevant to the disease pathogenesis. Identification of cell-specific targets of the epigenetic deregulation in rheumatic disorders will provide clinical markers for the diagnosis, disease progression and response to therapy. Our understanding of epigenetics is in its infancy. New generation of pharmaceuticals, which manipulate the epigenome to the switch targeted genes on or off are under investigation. The new field of repairing or optimizing the epigenome through epigenetic modifier and/or diet is wide op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