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인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항CCP항체와 류마티스인자의 진단정확성에 대한 메타분석연구
이영호 ( Young Ho Lee ),우진현 ( Jin Hyun Woo ),최성재 ( Seong Jae Choi ),지종대 ( Jong Dae Ji ),송관규 ( Gwan Gyu Song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8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5 No.1
목적: 한국인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항CCP항체와 류마티스인자의 민감도와 특이도, 진단정확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문헌검색은 Medline과 Koreamed, 대한류마티스학회지를 이용하였고 논문들의 참고문헌도 조사하였다. Random-effects 모델을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항CCP항체와 류마티스인자의 민감도, 특이도, positive와 negative likelihood ratios (PLR, NLR), diagnostic odds ratio (DOR)와 summary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SROC 커브)를 구하였다. 결과: 항CCP항체와 류마티스인자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연구한 7개의 논문의 류마티스관절염환자 1,041명과 대조군 970명이 메타분석에 포함되었다. 항CCP항체의 민감도와 특이도, PLR, NLR, DOR은 76.7% (95% confidence interval [CI] 74.0∼79.2), 95.1% (93.8∼96.3), 14.837 (11.567∼19.031), 0.244 (0.202∼0.294)과 59.235 (43.806∼80.097)이었고 류마티스인자의 수치는 78.2% (0.756∼0.807), 80.5% (78.1∼82,6), 3.687 (3.027∼4.492), 0.298 (0.218∼0.406)과 12.915 (8.427∼19.771)이었다. 항CCP항체의 area under the curve (AUC)와 Q* index는 0.9453과 0.8842이었고 류마티스인자의 수치들은 0,8583과 0.7891이었다. 항CCP항체는 류마티스인자와 비교하여 특이도와 PLR, DOR, AUC, Q* index가 높았으며 민감도와 NLR은 유사하였다. 항CCP항체와 류마티스인자가 모두 양성인 경우 특이도와 AUC가 류마티스인자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특이도 96.5% vs. 80.5%, AUC 0.9864 vs. 0.8583). 결론: 한국인에서 항CCP항체는 류마티스인자와 비슷한 민감도를 보이나 특이도와 진단 정확성은 더 높았고 항CCP항체와 류마티스인자를 같이 검사하는 경우 항CCP항체나 류마티스인자보다 진단정확성이 증가하여 한국인 류마티스관절염 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질병활성 표지자로서의 중합 C9 검사의 유용성
서정욱 ( Jung UK Sir ),김신규 ( Thin Kyou Kim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5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2 No.3
목적: 류마티스 관절염은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전신적인 염증성 질환이며 주요 관절의 변형이나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질병활성 표지자(disease activity parameter)는 이러한 염증성 질환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객관적인 지표로서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저자들은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해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C반응성단백(C-reactive protein, CRP), 류마티스 인자(rheumatoid factor, RF), 적혈구침강속도(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등과 같은 질병활성 지표들의 결과와 최근에 소개된 시험관에서 보체를 활성화시킨 후 단일 클론성 항체를 사용하여 보체 활성의 최종 생성물인 중합 C9 (polymerized C9)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중합 C9 검사의 결과를 비교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의 새로운 질병활성 표지자로서의 유용성과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동반되는 신장병증의 예측인자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미국 류마티스 협회의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 기준에 의해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진단 받은 대상 환자군(n=86)의 임상 소견 및 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활성군(active RA, n=43), 류마티스 관절염 비활성군(inactive RA, n=35) 및 신장병증을 동반한 류마티스 관절염군(RA with nephropathy, n=8)으로 분류하였고, 각 군에서 CRP, RF, ESR 및 중합 C9 검사(CAE, INCSTAR-DiaSorin, Italy)를 시행하였다. 각 검사간의 민감도와 특이도 비교는 ROC 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을 통하여 시행하였고 통계처리는 ANOVA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CRP, RF, ESR 및 중합 C9 검사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성군과 비활성군의 비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ROC 곡선을 통한 각 검사간의 민감도와 특이도의 비교에서는 중합 C9 검사와 CRP 검사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한편, 류마티스 관절염의 비활성군과 신장병증을 동반한 류마티스 관절염군의 비교에서는 중합 C9 검사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중합 C9 검사는 류마티스 관절염에 있어서 질병 활성도를 잘 반영하는 새로운 질병 감시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되며,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신장병증의 동반 유무를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파골세포의 분화 및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영향
김성수 ( Sung Soo Kim ),권성렬 ( Seong Ryul Kwon ),임미진 ( Mie Jin Lim ),박원 ( Won Park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7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4 No.1
목적: 첫 번째, 류마티스관절염과 골다공증 환자들의 말초혈액단핵구에서 파골세포의 분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와 나이가 비슷한 골다공증 환자, 그리고 젊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단기간 처리가 파골 세포 생성 및 관련된 사이토카인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미국류마티스협회의 기준에 의해 진단된 류마티스관절염 12명과 그들과 나이가 비슷한 일차성 저골밀도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서 사이토카인 발현과 파골세포의 분화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혈청양성 저골밀도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와 나이가 비슷한 일차성 골다공증, 젊은 정상성인, 각각 6명씩에서 말초혈액단핵구를 얻었다. 이들 세포에서 사이토카인의 발현 정도는 real time RT-PCR로 확인하였고,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양성거대세포의 형성과 칼슘판의 흡수구멍형성을 측정하여 파골 세포의 발현과 그 기능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실험은 24시간 비스포스포네이트 처리 전후로 시행하여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첫 번째 실험의 경우 기본적인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과 TRAP 양성 거대세포의 형성과 흡수구멍의 형성 정도는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와 일차성 골다공증 환자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두 번째 실험은 비스포스포네이트 단기처리 후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M-CSF),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 (RANKL),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6 (IL-6), interferon-γ (IFN-γ) 등의 mRNA 발현은 증가하였고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RANK), cathepsin K, TRAP 등의 발현은 세 그룹 모두에서 감소하였다. 그 중 IL-6와 IFN-γ의 증가가 가장 저명하였다. IL-1 mRNA 의 발현은 변함이 없었다. 그들의 비스포스포네이트에 의한 mRNA 변화는 증가와 감소 모두 IL-6를 제외하면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전반적으로 그 변화폭이 적었다. 세 그룹 모두에서 TRAP 양성 거대세포의 발현과 흡수구멍의 생성은 현저히 저해되었다. 결론: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말초혈액단핵구에서 염증성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사이토카인의 변화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INF-γ의 증가였다. 이 결과는 IFN-γ가 T세포를 통한 파골세포 생성저해의 매개체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들 사이토카인의 반응은 다른 그룹에 비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단기 처리는 파골세포의 발달을 전구세포 단계에서 저해하여 후속되는 배양에서 파골세포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이 반응도 다른 그룹에 비해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발생하는 골다공증과 골미란의 감소에 비스포스포네이트가 도움을 주며, 특히 골다공증이 동반된 경우를 치료할 때는 그 용량이나 투여방법을 파제트병이나 전이성종양의 경우처럼 더욱 강력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활액막과 연골조직에서 IGF-1 및 TGF-β의 발현에 관한 연구
이인홍 ( In Hong Lee ),정성수 ( Sung Soo Jung ),배상철 ( Sang Cheol Bae ),유대현 ( Dae Hyun Yoo ),김성윤 ( Seong Yoon Kim ),정현기 ( Hyun Kee Chung ),최일용 ( Il Yong Choi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4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 No.2
목적: 정상 관절 연골은 여러가지 요소들에 의해 생성과 파괴의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균형유지에는 다양한 국소 성장 인자가 관여한다. 만성 염증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의 병태생리에 IGF-I과 TGF-β가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지만, 동물실험이 아닌 인체로부터 얻어진 관절 연골 및 활액막 조직에 대한 연구는 연구용 재료를 얻기가 용이하지 않아 이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미진하였으며, 활액막 조직의 경우는 발현양상에 대한 보고도 미흡한 실정이다. 방법: 류마티스 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활액막과 연골 조직 및 활액막 판누스형성 부위에서 단세포군 항체를 이용한 면역 조직화학법으로 IGF-I과 TGF-β, 두가지 물질의 발현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류마티스 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활액막 조직에서 IGF-I 및 TGF-β의 발현은, 활액막세포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고, 미세혈관들의 혈관 내피세포 및 염증 세포의 침윤이 많은 부위에서 발현이 관찰되었다. 2) 연골 조직에서의 IGF-I 및 TGF-β의 발현은 주로 표면에 분포한 연골세포에서 발현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연골세포가 증식하여 군집을 이룬 부위에서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다. 3) 활액막 판누스 형성부위에 광범위하면서도 전반적인 발현과 관절 연골로의 이행 부위를 따라서 발현이 관찰되었다. IGF-I 및 TGF-β 2가지 요소에 대한 발현 양상은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실험결과로 IGF-I과 TGF-β가 류마티스 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에서 활액막염의 발생과 유지, 연골조직의 유지와 보수기전에 관여하여 이들 질환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이들 국소 성장 인자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 및 분자 생물학 분야의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하겠다.
Woo, Yun-Ju,Cho, Mi-La,Min, Jun-Ki,Ju, Ji Hyeon,Ju, Seyoung,Park, Sung-Hwan,Kim, Ho-Youn 대한류마티스학회 2008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5 No.2
목적: 최근 들어 면역조절능을 가지는 B세포의 존재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B세포의 특성 중 면역조절기능을 세포상호작용을 통해 연구하고자 본 실험에서는 B세포를 B세포 수용체 (anti IgM)와 CD40에 대한 단클론항체(agonist anti mouse CD40 monoclonal antibody)로 자극하여 관찰하였다. 방법: 마우스의 비장에서 분리한 B세포를 lipopolysaccharide (LPS), B세포 수용체 또는 CD40에 대한 단클론항체로 자극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B세포에서 발현하는 공동신호분자(CD40, CD80, CD86, MHC-II, PD-1, PD-L1)를 유세포 분석기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활성화된 B세포를 anti CD3로 자극한 T세포와 공조 배양하여 T세포에서 발현하는 사이토카인을 중합효소연쇄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과 효소결합 면역흡수 분석법(ELSI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B세포에서의 공동신호분자는 자극(LPS, B세포 수용체 또는 CD40에 대한 단클론항체)에 대해 반응하여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B세포 수용체와 CD40에 대한 단클론항체로 자극하였을 경우 음성신호분자로 알려져 있는 PD-L1의 발현이 가장 의미 있게 증가되었다. B세포를 T세포와 공조배양 하면, T세포에서 분비되는 IL-17이 의미 있게 감소(nil: 1932±386 pg/mL vs anti IgM+agonist CD40mAb: 1193±334 pg/mL, p<0.01)하였다. 그러나 IFN-γ (nil: 4658±752 pg/mL, anti IgM+agonist CD40mAb: 5525±315 pg/mL)와 TNF-α (nil: 1445±178 pg/mL, anti IgM+agonist CD40mAb: 1,469±281 pg/mL)의 형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공조배양을 통한 IL-17 생성 억제는 PD-L1 중성화 항체 처리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로 B세포는 B세포 수용체와 CD40에 대한 단클론항체로 자극하면 PD-L1의 발현이 증가되고, T세포와 공조배양 시 IL-17분비를 뚜렷이 감소시킨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면역조절능을 가진 B세포는 PD-L1발현을 통해 결과적으로 IL-17의 생성을 억제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박일규 ( Ile Kyu Park ),김신규 ( Think You Kim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0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7 No.2
Objective: Quantitative experiment and analysis of the result with statistical techniques are an essential part of the medical article for acquiring objective confidence. But errors on application, calculation, and interpretation of statistics and in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used statistical technique deprive the reader of reliance on the article. We identified the statistical techniques and errors that were commonly encountered, and both of researchers and readers should recognize,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Rheumatism Association (JKRA). Methods: We identified the frequency of the statistical techniques and errors from the 136 articles in the 1994~1998 editions of the JKRA. Each different kind of statistical techniques and errors in the same article were counted separately, but two or more of the same kind of statistical techniques and errors in an article were counted as one. Results: One hundred and seventy-seven statistical techniques were encountered and 75 statistical errors were identified. The most frequently used technique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mmon errors and the observed numbers of the errors were as follow: 1. performing statistical techniques for two groups on the comparison of three or more groups(14), 2. mentioning the statistical technique without using it(14), 3. us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stead of median and range on the ordinal data(12), 4. using standard error instead of standard deviation for the description of data spread(11), 5. using p value without the statistical name(11). Conclusion: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statistical technique and error are descriptive technique and performing statistical techniques for 2 groups on the comparison of 3 or more groups, respectively. The authors` careful application of the basic statistics would be the real solution to reduce the statistical errors.
Internal Impact Score를 이용한 대한류마티스학회지 게재 논문의 자체 기여도 조사
김덕언 ( Duck An Kim ),김신규 ( Think You Kim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7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4 No.3
Objective: The authors created a new citation index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Rheumatism Association (JKRA) and, based on the index, developed internal impact score, which can measur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journal by manuscript, by author and by institute. Thus, we report the results in this paper. Methods: For manuscripts published in the JKRA from Volume 1 No. 1 in 1994 to Volume 13 No. 4 in 2006, we built a database of the journals and their references, and created an index using the database. The citation index were analyzed using three indicators internal impact score for manuscript (IIS-M), internal impact score for author (IIS-A) and internal impact score for institute (IIS-I). Results: The total number of references cited in the manuscripts was 7,341, and of the references, 80 (1.1%) had been published in the JKRA. The mean IIS-M of all the cited manuscripts was 0.46. The total number of authors participated in the cited manuscripts was 226. In IIS-A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each author`s participation and the weight of manuscripts, the highest score was 19.253. The number of institutes that had produced the cited manuscripts was 29. In IIS-I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each organization`s participation and the weight of manuscripts, the highest score was 92. Conclusion: If the indicators developed by the authors are used as tools for analyzing the citation indexes of journals, they can quantify the contribution of manuscripts, authors and institutes to each journal, and compensation based on the quantified contribution will promote the development of academic journals considerably.
PD-L1 발현 B세포를 통한 활성 T세포의 IL-17 분비 조절
우윤주 ( Yun Ju Woo ),조미라 ( Mi La Cho ),민준기 ( Jun Ki Min ),주지현 ( Ji Hyeon Ju ),주세영 ( Se Young Ju ),박성환 ( Sung Hwan Park ),김호연 ( Ho Youn Kim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8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5 No.2
목적: 최근 들어 면역조절능을 가지는 B세포의 존재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B세포의 특성 중 면역조절기능을 세포상호작용을 통해 연구하고자 본 실험에서는 B세포를 B세포 수용체(anti IgM)와 CD40에 대한 단클론항체(agonist anti mouse CD40 monoclonal antibody)로 자극하여 관찰하였다. 방법: 마우스의 비장에서 분리한 B세포를 lipopolysaccharide (LPS), B세포 수용체 또는 CD40에 대한 단클론항체로 자극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B세포에서 발현하는 공동신호분자(CD40, CD80, CD86, MHC-II, PD-1, PD-L1)를 유세포 분석기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활성화된 B세포를 anti CD3로 자극한 T세포와 공조 배양하여 T세포에서 발현하는 사이토카인을 중합효소연쇄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과 효소결합 면역흡수 분석법(ELSI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B세포에서의 공동신호분자는 자극(LPS, B세포 수용체 또는 CD40에 대한 단클론항체)에 대해 반응하여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B세포 수용체와 CD40에 대한 단클론항체로 자극하였을 경우 음성신호분자로 알려져 있는 PD-L1의 발현이 가장 의미 있게 증가되었다. B세포를 T세포와 공조배양 하면, T세포에서 분비되는 IL-17이 의미 있게 감소(nil: 1932±386 pg/mL vs anti IgM+agonist CD40mAb: 1193±334 pg/mL, p<0.01)하였다. 그러나 IFN-γ (nil: 4658±752 pg/mL, anti IgM+agonist CD40mAb: 5525±315 pg/mL)와 TNF-α (nil: 1445±178 pg/mL, anti IgM+agonist CD40mAb: 1,469±281 pg/mL)의 형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공조배양을 통한 IL-17 생성 억제는 PD-L1 중성화 항체 처리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로 B세포는 B세포 수용체와 CD40에 대한 단클론항체로 자극하면 PD-L1의 발현이 증가되고, T세포와 공조배양 시 IL-17분비를 뚜렷이 감소시킨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면역조절능을 가진 B세포는 PD-L1발현을 통해 결과적으로 IL-17의 생성을 억제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Deflazacort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최종형 ( Jong Hyoung Choi ),김대훈 ( Dae Hoon Kim ),박성훈 ( Sung Hoon Park ),신운건 ( Woon Geon Shin ),이준호 ( Jun Ho Lee ),강인수 ( In Soo Kang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9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6 No.3
Polyarteritis nodosa(PAN), a systemic vasculitis involving multiple organs including the nervous system, requires a long-term glucocorticoid therapy. Deflazacort is a synthetic glucocorticoid, which has been claimed to have less side effects, but its use for vasculitis has never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We report a case of polyarteritis nodosa presenting with mononeuritis multiplex causing a left foot drop, which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deflazacort.
통풍환자에서 Benzbromarone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성훈 ( Seong Hoon Han ),안홍준 ( Hong Joon Ahn ),이윤우 ( Yun Woo Lee ),김동욱 ( Dong Wook Kim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9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6 No.3
Objective: Benzbromarone is a most potent uricosuric agent which has been marketed in Europ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benzbromarone as a uric acid lowering agent in gouty patients in Korea. Method: Twenty-one patients with gout, who were lower excreter of uric acid and had no other complication of gout, were treated with benzbromarone for 6 months. In these patients we checked complete blood count, liver function test, BUN, creatinine, serum uric acid, 24 hour urine uric acid excretion and uric acid clearance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benzbromarone. Results: Significant improvements(p<0.01) were found in the serum uric acid level, 24h uric acid excretion and uric acid clearance. The mean serum uric acid decreased from 8.2mg/dl to 5.1mg/dl at the end of 6 months; mean urinary uric acid excretion increased from 425.9mg/day to 760.3mg/day; and the uric acid clearance increased from 3.5mL/min to 10.9mL/min. There are no clinical or laboratory side effects, except skin rash in the one patient. Conclusion: Benzbromarone was effective to control plasma uric acid concentration at doses ranging from 25 to 50mg/day.